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4-10-10 14:34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복통 (腹痛) - I 金匱要略(금궤요략)
 글쓴이 : admin
조회 : 12,698  
복통 (腹痛) 
    1. 參照文
        1) 완복동통 (脘腹疼痛) 參照
        2) 소복냉통 (小腹冷痛) 참조
        3) 소복동통 (少腹疼痛) 참조
        4) 한산 (寒疝)
        5) 증상(症狀)과 용약(用葯)
        6) 탐방 (探方)
        7) 복만 (腹滿) ⇒ 복창 (腹脹)
        8) 숙식 (宿食) ⇒ 식적 (食積)
    2. 常用葯(상용약)
        1) 腹冷症(복냉증) : ☆ 艾葉汁(애엽즙)
        2) 寒疝腹痛(한산복통) : ☆ 吳茱萸(오수유)
        3) 溫中止痛(온중지통) : ☆ 乾姜(건강) + 良姜(량강)
        4) 寒證腹痛(한증복통) : ☆ 吳茱萸(오수유) + 小茴香(소회향), 烏葯(오약).
        5) 脘腹脹痛(완복창통) - 脾胃氣滯(비위기체), 食積不化(식적불화), 腸鳴泄瀉(장명         
            설사), 里急后重(리급후중), 下痢腹痛(하리복통) : ☆ 木香(목향)
        6) 脾胃氣滯所致(비위기체소치) - 胸脇(흉협), 脘腹疼痛(완복동통), 疝氣痛(산기통),         
            睾丸腫痛(고환종통) 而偏于熱(而偏于熱(이편우열) : ☆ 川楝子(천련자).
        7) 脘腹攣痛的(완복련통적) 葯物(약물) : ☆ 白芍(백작)
        8) 瀉痢腹痛(사리복통) - 補血(보혈) : 白芍(백작),
    3. 配伍葯
        1) 白芍(백작) + 桂枝(계지) = 腹痛(복통), 證屬(증속) 氣血不調(기혈불조), 虛寒性                                   
                                                  腹痛(허한성복통) - 類似(유사) 腸痙攣(장경련)
        2) 延胡索(연호색)10 + 川楝子(천련자)10 = 腹痛(복통)
        3) 萊菔子(래복자)10 + 萊菔纓(래복영)15 = 腹痛(복통) - 脾胃不和(비위불화), 消化                                       
                                                      不良(소화불량), 噯氣食臭(애기식취) 腹脹(복창)
        4) 三稜(삼릉)10 + 莪朮(아출)10 = 食積腹痛(식적복통) 等症
        5) 五靈脂(오령지)(布包)10 + 降香(강향)(后下)6 = 腹痛(복통)- 氣滯血瘀(기체혈어)
        6) 附子(부자)10 + 白芍(백작)15 = 腹痛(복통)- 證屬(증속) 虛寒爲患者(허한위환자)
        7) 吳茱萸(오수유)10 + 木瓜(목과)15 = 腹痛(복통)
        8) 白芍(백작)60 + 甘草(감초)10 = 腹中疼痛(복중동통), 類似(유사) 腸痙攣(장경련)
    4. 金匱要略
        服滿(복만)은 腹部(복부)가 불러 그득한 것이 主(주)된 症狀(증상)이고, 寒疝(한산)은 음
        한(陰寒盛(음한성)의 腹痛(복통)이며 더욱이 兩脇(양협)이나 胸腔(흉강)이 아픈 것도 있
        다. 이에 관해서 原文(원문)에서는 寒疝(한산)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으나 陰寒性(음한
        성)의 疼痛(동통)과 마찬가지이다. 宿食(숙식)은 飮食物(음식물)이 妥當(타당)하지 않기
        때문에 停滯(정체)하는 病症(병증)이다. 이상 三種(삼종)의 疾病(질병)이 모두 腹部(복
        부)가 그득하고 아픈 共通(공통)의 症狀(증상)이 있다.
 
        1) 問曰 病腹痛有蟲 其脈何以別之, 師曰 腹中痛 其脈當沈 若弦 反洪大 故有蚘蟲.
            虫(충)에 의한 腹痛患者(복통환자)의 그 脈象(맥상)을 어떻게 分別(분별)할 수 있습
            니까? 하고 물으니까 先生(선생)이 答(답)하기를 일반적인 腹痛(복통)의 脈象(맥상)
            은 沈(침) 혹은 弦(현)한 것입니다. 그런데 腹痛(복통)이 있고 脈象(맥상)이 洪大(홍
            대)한 것은 蛔虫(회충)을 의심해야 합니다. 라고 말하였다.

        2) 蚘蟲之爲病 令人吐涎 心痛發作有時 毒藥不止 甘草粉蜜湯主之.
            蛔虫病(회충병)에 걸려 입에서 침을 흘리고, 心腹部(심복부)에 發作性(발작성) 아픔
            이 있는데 일반의 殺虫葯(살충약)으로 依然(의연)한 效果(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甘
            草粉蜜湯(감초분밀탕)으로 主治(주치)한다.
            甘草粉蜜湯(감초분밀탕)
                        ≒ 甘草(감초)二兩(6g), 米粉(미분)一兩(3g), 蜂蜜(봉밀)四兩(12g).
                            上三味(상삼미) 가운데 우선 甘草(감초)를 물 三升(삼승)으로 달여, 二升
                            (이승)에서 去滓(거재)하고 米粉(미분)과 蜂蜜(봉밀)을 넣고 계속 달여서
                            묽은 죽처럼 만든 것을 一升(일승)씩 溫服(온복)한다. 腹痛(복통)이 사라
                            지면 服用(복용)을 中止(중지)한다.
                  方解 : 이 處方(처방)의 葯味(약미)는 모두 甘味(감미)로서 胃(위)를 緩和(완화)
                            시키는 것이며, 主(주)로 蛔虫(회충)을 가라앉히고 아픔을 緩和(완화)시
                            키는 作用(작용)이 있다. 따라서 일반의 蛔虫劑(회충제)와는 다르다.

        3) 蚘厥者 當吐蚘 令病者靜而復時煩 此爲臟寒 蚘上入膈 故煩. 須臾復止 得食而嘔又煩
            者 蚘聞食臭出 其人當自吐蚘. 蛔厥者 烏梅丸主之.
            蛔厥病(회궐병) 患者(환자)는 蛔虫(회충)을 吐(토)할 것이다. 그런데 지금 患者(환자)
            는 安靜(안정)을 取(취)하고 있지만 수시로 기분이 焦躁(초조)해 진다. 이것은 內臟(
            내장)이 冷(냉)하고 蛔虫(회충)이 橫膈膜(횡격막)위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런 焦躁
            (초조)함은 바로 멈추지만, 飮食(음식)을 먹으면 바로 吐(토)하고, 또 焦躁(초조)해
            진다.
            이것은 蛔虫(회충)이 飮食物(음식물)의 냄새를 맡고 橫膈膜(횡격막)위로 올라오기
            때문이며, 患者(환자)는 蛔虫(회충)을 吐(토)하게 된다. 이 蛔厥病(회궐병)은 烏梅丸
            (오매환)으로 主治(주치)해야 한다.
            烏梅丸(오매환)
                  ≒ 烏梅(오매)三百枚, 細辛(세신)六兩, 乾姜(건강)十兩, 黃連(황련)一斤, 當歸(당
                      귀)四兩, 炮附子(포부자)六兩, 川椒(천초)四兩, 桂枝(계지)六兩, 人參(인삼)六
                      兩, 黃柏(황백)六兩.
                      上十味(상십미) 중에서 烏梅(오매)를 제외한 九味(구미)를 각각 찧어 체로 쳐
                      서 고운 분말로 만든 것을 잘 섞는다. 한편 烏梅(오매)를 苦酒(고주)에 하룻밤
                      담가 核(핵)을 除去(제거)하고 이것을 五斗(오두)의 쌀과 함께 쪄서 밥이 되
                      면 烏梅(오매)와 함께 찧어서 泥狀(니상, 진흙탕과 같게)으로 한다. 여기에 앞
                      에서 만든 九味(구미)의 粉末(분말)을 섞어서 절구에 넣고 蜂蜜(봉밀)을 加味
                      (가미)하여 三千回(삼천회, 나주 많이) 찧어서 梧桐子(오동자) 크기로 丸(환)
                      을 지은 것을 十丸(십환)씩一日三回(일일삼회) 食前(식전)에 服用(복용)한다.
                      차츰 增量(증량)하여 二十丸(이십환)까지 服用(복용)한다.
                      飮食禁忌(음식금기)는 날것(生食), 찬것(冷食), 미끈미끈한것(滋膩滑), 냄새
                      나는(腐敗臭) 음식을 삼가 해야 한다.
            方解 : 이 처방은 胃(위)가 虛(허)하고 寒症(한증)과 熱症(열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蛔厥證(회궐증)을 主治(주치)하므로 寒葯(한약)과 熱葯(열약)이 混合(혼합)
                      된 葯物(약물)로 치료한다. 다시
                      말해서 辛溫(신온)한 葯性(약성)으로 寒症(한증)을 흩어지게 하는 동시에 苦
                      寒(고한)한 葯性(약성)으로 熱(열)을 淸除(청제)할 수가 있으며 殺虫(살충)하
                      고 胃(위)를 安定(안정)시키는 方劑(방제)이다.
                      烏梅(오매) : 胃(위)를 安定(안정)시키고, 嘔吐(구토)를 멈추게 하고, 殺虫(살
                      충)하며, 黃連(황연), 黃柏(황백) : 熱(열)을 瀉(사)하고 嘔吐(구토)를 멈추게
                      하며, 川椒(천초) : 脾胃(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殺虫(살충)하고, 細辛(세신),
                      乾姜(건강), 附子(부자), 桂枝(계지) : 陽氣(양기)를 부추겨 寒邪(한사)를 흩어
                      지 게 하며, 人參(인삼), 當歸(당귀) : 中氣(중기)를 補益(보익)하고, 血(혈)을
                      運行(운행)시킨다.

        4) 婦人六十二種風 乃腹中血氣刺痛 紅藍花酒主之.
            婦人(부인)의 六十二種(62종)의 風病(풍병) 및 腹部內(복부내)에 氣(기)가 滯(체)하
            고, 血(혈)이 凝結(응결)하여 마치 針(침)으로 찌르는 뜻한 아픔이 있는 경우에는 모
            두 紅藍花酒(홍람화주)로 主治(주치)한다.
            紅藍花酒(홍람화주, 紅花酒) ≒ 紅藍花(홍람화)一兩.
                          上一味(상일미)를 술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취해서 한 번에
                          服用(복용)한다. 만약 腹痛(복통)이 멈추지 않으면 다시 한 번 服用(복용)한
                          다.
                方解 : 紅藍花(홍람화)는 紅花(홍화) 즉 우리말로 “잇꽃” 이다. 蘇頌(소송)은「其
                          花紅色 葉頗似藍(기화홍색 엽파사람)」라고 指摘(지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紅藍花(홍람화)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러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
                          용하는 葯名(약명)은 紅花(홍화)이다.
                          紅花(홍화) : 血脈(혈맥)을 流通(유통)하고, 經絡(경락)을 通(통)하게 한다.
                          血(혈)이 圓滑(원활)하게 活動(활동)하면 風邪(풍사)는 자연히 平靜(평정)
                          이 되고 痛症(통증)도 사라진다. 술(酒)로 달여 服用(복용)하는 것은 活血
                          (활혈) 을 傍助(방조)하는 效果(효과)를 얻게 되므로 葯效(약효)를 倍加(배
                          가)하는데 있다.(기타 공효에 관해서는 동의약전을 참조)

    ☆ 5) 婦人腹中諸疾痛 當歸芍葯散主之.
            婦人(부인)의 腹痛(복통) 疾患(질환)중에 대부분은 當歸芍葯散(당귀작약산)으로 主
            治(주치)한다.
            當歸芍葯散(당귀작약산)
                        ≒ 當歸(당귀)三兩, 芍葯(작약)一升, 茯苓(복령)四兩, 白朮(백출)四兩, 澤瀉(
                            택사)半升, 芎藭(궁궁, 천궁)半升.
                            上六味(상육미)를 가루 내어서 方寸匕(방촌비)를 술에 타서 一日三回 服
                              用한다.
                  方解 ≡ 婦人(부인)의 諸種(제종) 腹痛(복통)은 氣(기)의 鬱積(울적), 血滯(혈체),
                              帶下(대하) 등의 病(병)이 불러일으킨다. 이 處方(처방)은 氣血(기혈)을
                              通(통)하게 하고, 營衛(영위)를 調和(조화)하며, 脾(비)를 튼튼히 하여 濕
                              邪(습사)를 解除(해제)한다. 肝脾(간비)를
                              滋養(자양)하면 疾病(질병)은 자연히 除去(제거) 된다. 그러므로 症狀(증
                              상)에 따라서 加减(가감)하여 여러 가지 痛症(통증)에 應用(응용)하는
                              것이다.
                          ① 當歸(당귀), 川芎(천궁) : 血(혈)을 補益(보익)하고 痛症(통증)을 멈추게
                                                                  하며,
                          ② 芍葯(작약) : 當歸(당귀)와 川芎(천궁)을 傍助(방조)하며, 肝(간)을 滋養(
                                                자양)하고, 澀滯(삽체)된 瘀血(어혈)을 消散(소산)시킨다.
                          ③ 白朮(백출), 茯苓(복령), 澤瀉(택사) : 補脾(보비)하며, 水濕(수습)을 除
                              去(제거)한다.

        6) 婦人腹中痛 小建中湯主之.
            婦人(부인)의 虛寒性(허한성) 腹痛(복통)은 小建中湯(소건중탕)으로 主治(주치)한다.
            小建中湯(소건중탕)
                      ≒ 桂枝(계지)三兩, 甘草(감초)三兩, 大棗(대조)十二枚 (各6g), 芍葯(작약)六兩
                          (12g),生姜(생강)三兩(6g), 膠飴(교이)一升(40g).
                          上六味(상육미) 중에서 膠飴(교이)를 除外(제외)한 五味(오미)를 우선 물
                          七升(칠승)으로 달여 三升(삼승)에서 去滓(거재)하고, 膠飴(교이)를 넣은
                          다음 약한 불에 膠飴(교이)를 녹인 후에 一升(일승)씩 하루에 三回(삼회)
                          溫服(온복)한다.
                方解 ① 桂枝(계지) : 陽氣(양기)를 溫(온)하게 하며 溫通經絡(온통경락)하므로 營
                                              衛(영위)를 調和(조화)롭게 한다.
                        ② 芍葯(작약) : 陰血(음혈)을 補益(보익)하고, 桂枝(계지)와 配合(배합)되어
                                              上熱下寒(상열하한)을 治療(치료)한다.
                        ③ 炙甘草(자감초) : 甘溫益氣劑(감온익기제)로 飴糖(이당)과 桂枝(계지)의
                                                    益氣溫中(익기온중)을 돕고, 芍葯(작약)과 配合(배합)
                                                    되어 酸甘化陰(산감화음)과 益肝滋脾(익간자비)한다.
                        ④ 生姜(생강) : 溫胃(온위)하고
                        ⑤ 大棗(대조) : 補脾(보비)하므로 生姜(생강)과 配合(배합)하여 中焦(중초)
                                              에서 發生(발생)하는 氣(기)를 돋구어 주고, 津液(진액)을 行
                                              (행)하게 하며, 營衛(영위)를 調和(조화)시킨다.

                        이 처방은 溫中補虛(온중보허), 和裏緩急(화리완급)의 效能(효능)을 발휘하
                        므로 腹痛(복통)을 멈추게 한다.
                      「傷寒論(상한론)」太陽病中篇(태양병중편) 100條에서는「陽脈澀(양맥삽)
                        陰脈 法當腹中痛(음맥법당복중통)」라고 했는데 즉 脈(맥)이 가볍게 누르면                         
                        澀(삽)하고,세게 누르면 弦(현)한 것은 理致(리치)로 보건대 腹痛(복통)이다.
                        이것은 小建中湯(소건중탕)으로 主治(주치)한다고 말하고 있다. 血(혈)은 氣
                        (기)가 없으면 産生(산생)할 수 없고, 또 氣(기)가 없으면 活動(활동)할 수 없
                        다. 이와같은 氣血(기혈)은 모두가 脾胃(비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에 依存
                        (의존)된 만큼 脾胃(비위)의 氣(기)가 健全(건전)하게 運行(운행)된다면 모두
                        이룩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小建中湯(소건중탕)은 婦人(부인)의 虛寒
                        (허한)으로 因(인)하여 배가 당기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 方劑(방제)가 되는
                        것이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