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9-28 19:54
[약물치료] 우울증(憂鬱症), 장조(臟躁) Depression, (de) Depression,
 글쓴이 : admin
조회 : 11,774  
우울증(憂鬱症), 장조(臟躁) acedia, blues, Depression,
                                      (de) Gemuetskrankheit, Depression, Hypochondrie

우울증을 동의학(東醫學) 쪽에서는 장조(臟躁)라고 하는 병이다. 내장 전체가 유기체(有機体)로서의 정체성(整体性)을 잃고,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떠나 복잡한 불협화음과 정서(情緖)가 문란(紊亂)해진 상태를 말한다.
정신(精神)적으로 억울(抑鬱)하고, 마음이 괴롭고 조급하며(煩躁不寧), 무고히 슬퍼져서 울고 싶은 것을 주요 임상표현으로 하는 일종의 질병으로서 주로 청년, 중년 여성에게서 대부분 발병한다.
음(陰)이 소모되어 간(肝)을 상하게 되면 간기(肝氣)가 울결(鬱結)되서 화(火)가 됨으로 정신사유(精神思惟)가 바르지 못하게 된다. 그리움과 같은 사려(思慮)가 과도하게 되면 심음(心陰)을 잃게 되고, 마음을 바르게 가누지 못하게 되며. 비기(脾氣)가 울결 되면 진액(津液)을 생성시킬 수 없게 되는데, 이런 상황이 오래 지속되면, 육장(六臟)에 음액(陰液)이 부족하게 되어서, 정신사유가 영민하지 하게 됨으로 신지(神志)가 불편(不寧)한 질환으로 발전한다.
간(肝)은 소설(疏泄)을 주관하는 기능을 가진 장기(臟器)로써 그 특성은 조달(調達)하는 것을 좋아하고, 억울(抑鬱)한 것을 싫어한다. 괴롭거나(惱), 노(怒)하고, 우울한 생각(惱怒懮思) 등으로 사유활동(思惟活動)를 바르게 할 수 없으면 간기(肝氣)가 울결(鬱結) 되고, 기화 기능이 불창(不暢)하게 되어서 신(神)을 역란(逆亂)시키게 된다.
이런 억울(抑鬱)함이 오래 지속되면 화(火)로 화하여 음(陰)을 상하게 함으로 왕성한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상극(相克)함으로써 비(脾)는 운화기능(運化機能)을 상실하게 하게 되고 따라서 탁(濁)한 담(痰)이 내생(內生)하게 되면 탁담(濁痰)이 열(熱)로 화하게 되어 또 한편 나아가 담(膽)과 위(胃)를 상역하게 한다.
오랜 동안 음혈(陰血)을 소모하면 신수(腎水)가 부족하게 되고, 따라서 간목(肝木)이 실양(失養)되면 음(陰)이 허하고 간양(肝陽)만이 항성하게 됨으로 나아가 심화(心火)가 어렵게 되어서 심열(心熱)이 심신(心神)을 어지럽게 요동(撓動)시키는 결과가 된다.
 “폐신동원(肺腎同源)” 폐(肺)와 신(腎)은 동원(同源)이라 했다. 수지하원(水之下源)인 신수(腎水)가 부족하게 되면, 상원(上源)인 폐(肺) 역시 수원이 줄어들어 고달프게 되고, 결국에는 폐음허(肺陰虛)로 손상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장조(臟躁) 즉 우울증(憂鬱症)의 발생은 심, 간, 비, 폐, 신(心,肝,脾,肺,腎) 등 5 장과 관계되는 질환(疾患)이다.
결론적으로 음액(陰液)이 부족하게 되면 허열(虛熱)이 내생(內生)하게 되고 이것이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겸하여 혹 담열(痰熱)이 발생하면 열담(熱痰)이 기도(氣道)를 막아 기체(氣滯)가 됨으로 본병이 밖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물론 이 같은 증상 표현은 평소에 장기(臟器)의 허실(虛實)에 따라 발병여부와 정신자격(精神刺激)의 강약을 표현하게 되는 주요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본병치료는 양액윤조(養液潤燥)를 기본방법으로 해서 청열(淸熱), 화담(化痰), 리기(理氣), 화체(化滯)하는 것을 보조방법으로 하고, 겸하여 정신적인 인소(因素)를 해제시키는 것을 치법(治法)으로 한다.


1. 변증요점(辨證要点)
    본병이 오래되면 육장(六臟)이 모두 조화를 잃고 조동(躁動)하게 된다. 평소에 장기
    (臟氣)가 편쇠(偏衰)한 정도에 따라 정신자격(精神刺激)의 강약을 나타내는 방식이
    각기 다른 것이다. 병(病)의 위치와 겸증(兼證) 역시 부동(不同)하다. 환자의 주요한
    표현에 따라 변증(辨證)을 삼을 수 있다.
    대부분
    1) 흉협고만(胸脇苦滿), 애기(噯氣), 희태식(喜太息), 맥현(脈弦).
        - 간기불서(肝氣不舒)
    2) 흉완비민(胸脘痞悶), 비읍탄기(悲泣嘆氣), 납소(納少), 맥현완(脈弦緩).
        - 간비불화(肝脾不和)
    3) 흉완비색(胸脘痞塞), 인부경조감(咽部梗阻感), 태황니(苔黃膩), 맥현활(脈弦滑).
        - 담열울결(痰熱鬱結)
    4) 희소무상(喜笑无常), 면색황백(面色晄白), 설담(舌淡), 맥세무력(脈細无力).
        - 심폐기음양허(心肺氣陰兩虛)
    5) 다경선의(多驚善疑), 번조난매(煩躁難寐), 오후조열(午后潮熱), 구조인건(口燥咽
        乾), 두운목현(頭暈目眩), 설홍(舌紅) 맥세삭(脈細數).
        - 음허양항(陰虛陽亢)

2. 변증시치(辨證施治)
    1) 간기불서(肝氣不舒)
                    證狀 : 입이 쓰고,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괴롭다. 트림하며, 한숨을
                              잘 쉰다. 혹은 머리와 눈이 터질 것 같이 아프며, 밤잠이 불편
                              하고(夜寐欠安), 스트레스(情緖刺激)를 받으면 더욱 가중된다.
                              설태박백(舌苔薄白), 맥은 가야금 줄을 누르는 듯하다.(脈弦)
                    治法 : 소간해울(疏肝解鬱)
                    方葯 : 소시호탕(小柴胡湯) 合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 ≒ 시호(柴胡),
                              황금(黃芩), 반하(半夏), 생강(生姜), 대조(大棗), 감초(甘草),
                              인삼(人蔘), 소맥(小麥).
                    加减 ① 머리와 눈이 터질것 같이 아픈(頭目脹痛) 경우에는 : 加 국화
                                (菊花), 구등(鉤藤), 백질려(白蒺藜). - 청간설화(淸肝泄火).
                            ② 트림을하고(噯氣) 속이 울렁거리고 토하는(嘔噁) 경우에는
                                加 진피(陳皮), 선복화(仙復花). - 화위강역(和胃降逆)시킨다. 
    2) 간비불화(肝脾不和)
                    證狀 : 안색이 어둡고, 가슴이 답답하며, 한숨을 잘 쉬고, 슬퍼서 울고
                              싶어지며, 복부가 그득하여 창만하고, 음식량이 적고, 변은 묽은
                              오리 똥 같다. 맥은 가야금 줄을 누르는듯한데 느리다(脈弦緩).
                    治法 : 소간건비(疏肝健脾) 리기개울(理氣開鬱)
                    方葯 : 소요산(逍遙散) ≒ 시호(柴胡), 당귀(當歸), 백작(白芍), 복령(茯
                                        笭), 백출(白朮), 감초(甘草), 생강(生姜), 박하(薄荷).
                    加减 ①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게 부풀고 아프며(胸脇脹痛) 입이 쓴
                                경우에는 : 加 향부(香附), 울금(鬱金).- 소간청열(疏肝淸熱)
                            ② 배가 부르고, 위완부가 답답한(脘悶腹脹) 경우에는 : 加 향부(香
                                附), 목향(木香).- 개울성비(開腥脾)
    3) 담열울결(痰熱鬱結)
                    證狀 : 울다가 웃고, 웃다가 울기를 반복하며, 혹은 무고히 슬픔에 잠기
                              고, 가슴이 꽉 막혀서 답답하고, 앉으나 서나 마음이 불안하며,
                              목구멍에 이물(異物)이 걸린 것 같은데 삼켜도 넘어가지 않고,
                              뱉으려 해도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음식을 삼키는 데는 이상이
                              없다. 각담(咯痰)이 누렇고 껄쭉하다. 혹은 변비(便秘)가 있기도
                              하고, 소변색은 붉으며, 설질홍(舌質紅), 태황니(苔黃膩),  맥은
                              순조롭게 잘 흐르는데 빠르다(脈滑數).
                    治法 : 청열화담(淸熱化痰) 소간개울(疏肝開鬱)
                    方葯 : 온담탕가미(溫膽湯加味) ≒ 진피(陳皮), 반하(半夏), 복령(茯笭),
                              지실(枳實), 죽여(竹茹), 생강(生姜), 감초(甘草),. 과루(瓜蔞),
                              남성(南星).
                    加减 ① 목구멍 부위가 적절하지 못한(咽喉不適) 경우에는 : 加 후박(厚
                                朴), 울금(鬱金), 소자(蘇子).- 갱조강기(更助降氣), 개울소담(開
                                                                                                    鬱消痰).
                            ② 변비가 있고(便秘), 오줌색이 붉으면(尿赤) : 加 목통(木通), 등
                                심초(燈心草), 원명분(元明粉).- 청심(淸心), 사열(瀉熱), 통변
                                                                                                            (通便).
    4) 심폐양허(心肺兩虛)
                    證狀 : 얼굴색이 누렇게 뜨고, 울고, 웃기를 반복하고, 기지개를 켜면서
                              한숨을 잘 쉬고(喜欠伸), 숨이 차고, 정신이 지쳐있으며, 설담홍
                              (舌淡紅), 맥은 가늘고 힘이 없다(脈細无力).
                    治法 : 익기양음(益氣養陰), 심폐쌍보(心肺双補)
                    方葯 : 담죽여탕(淡竹茹湯) ≒ 당삼(黨參), 맥동(麥冬), 죽여(竹茹), 복령
                              (茯笭), 반하(半夏), 감초(甘草), 소맥(小麥), 대조(大棗).
                    加减 ① 머리가 어지럽고(頭暈), 숨이 차며(氣短), 정신적으로 지치고
                                피곤하며 괴로울(神疲) 때는 : 加 백출(白朮), 천마(天麻), 국화
                                (菊花).- 보비거풍(補脾祛風) 지운(止暈).
                            ② 가슴이 답답하고 두근 거리며 때로는 두려운(胸悶心悸) 때는
                                加 선복화(仙復花), 단향(檀香), 단삼(丹參).- 행기개울(行氣開
                                                                                      鬱), 활혈양심(活血養心).
                            ③ 잠이 오지 않을 때(失眠) : 加 초조인(炒棗仁), 야교등(夜交藤).
                                                                        - 양심안신(養心安神)
    5) 음허양항(陰虛陽亢)
                    證狀 : 잘 놀라며 의심이 많고(多疑善驚), 마음이 괴로워 잠을 이루지
                              못하며(心煩不寐), 오후에 미열(微熱)이 마치 조수처럼 밀려오는
                              듯 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캄캄하고 아찔해 지며, 입과 목
                              이 건조하고, 설질홍(舌質紅), 태박이건(苔薄而乾), 맥은 가늘고
                              빠르다(脈細數)           
                    治法 : 자음청열(滋陰淸熱), 잠양안신(潛陽安神)
                    方葯 :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 合 침중단(枕中丹) 가미(加味) ≒ 감초
                              (甘草), 대조(大棗), 소맥(小麥), 구판(龜板), 용골(龍骨), 창포(菖
                              蒲), 원지(遠志), 지모(知母), 은시호(銀柴胡).
                    加减 ① 입과 목이 건조하면(口燥咽乾) : 加 천동(天冬), 맥동(麥冬), -
                                                        자음증액(滋陰增液)
                            ②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며 앗 찔해진다.(頭暈目眩) :
                                加 천마(天麻), 구등(鉤藤), 국화(菊花), 초결명(草決明). - 거풍
                                                                            (祛風), 청간(淸肝), 정현(定眩).

3. 류증감별(類證鑑別)
    장조(臟躁)는 담기울결형(痰氣鬱結型) 전증(癲證)과 분별해야 한다.
    전증(癲證)을 자세히 보아야 한다.

4. 경험방(經驗方)
    1) 심비양허(心脾兩虛)
                      연자(蓮子), 검실(芡實) 各60g, 선하엽(鮮荷葉) 손바닥 만 한 것 1 덩어
                      리, 나미자죽(糯米煮粥, 참쌀죽)적당량, 설탕(砂糖)적당량 - 복식(服食).
    2) 담열형(痰熱型)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백작(白芍). 백출(白朮), 천궁(川芎), 법반하(法半夏),
                        맥동(麥冬), 지실(枳實), 제향부(制香附), 황연(黃連), 창포(菖蒲) 各
                        10g, 죽여(竹茹) 감초(甘草) 各6g, 당귀(當歸) 복령(茯苓) 各12g, 당
                        삼(黨參)15g. - 물로 한 번에 모두 달여 3등분해서 하루 복용한다.     
                                              (水煎三服), 매일 1 제(劑)
    3) 심음부족형(心陰不足型)
        주사분(朱砂粉), 단자석분(煅磁石粉) 各60g, 신곡말(神曲末) 봉밀(蜂蜜) 各180g.
        이상의 약들을 80~120 환(丸)으로 만들어서 매복 1~2 환(丸)씩 매일 2~3번
        복용한다.
        § 주사(朱砂)는 독(毒)이 될 수 있으므로 의사에 특별한 처방이 없는 한 용량을
          과용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4) 신음허형(腎陰虛型)
        황정(黃精)15~30g, 산약(山葯)100~200g, 계(鷄) 1마리 혹은 반 마리. 닭을 깨
        끗이 씻어서 토막 내어 위의 약과 함께 물에 삶은 후 닭을 먹는다.

5. 외치(外治)
    국화(菊花)90g, 창포(菖蒲)150g, 백지(白芷)30g, 산조인(酸棗仁)50g, 대조(大棗)40
    枚,  대형 수통에 달인 물로 전신목욕(全身沐浴)을 매일 또는 2일 1회 한다. 

6. 연구(硏究) : 장조(臟躁)
    1) (진요장(陳耀章) 河北中醫 1986, ⑷ : 27)
        해울청심탕(解鬱淸心湯)으로 장조병(臟躁病) 환자 50예을 치료한 보고서이다.
        용약(用葯) ≒ 시호(柴胡), 향부(香附) 각10g, 용골(龍骨) 모려(牡蠣) 각20g, 울금
                          (鬱金)15g, 석창포(石菖蒲)20, 생지(生地)15, 황연(黃連)8g, 영양각
                          (羚羊角)1~2g(先煎), 죽엽(竹葉)6g, 주사(朱砂)2g (冲服).
                          § ① 주사(朱砂)는 독(毒)이 될 수 있으므로 의사에 특별한 처방이
                                  없는 한 용량을 과용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 ② 주사(朱砂)는 절대로 열(熱)을 가해서는 안 된다. 때문에 달
                                  이면 독이 된다. 달인 약으로 먹되 약물이 뜨거워도 안 된다.
        가감(加减): ① 담열(痰熱) : 加 천축황(天竺黃)
                        ② 혈어(血瘀) : 加 단삼(丹參)
                        ③ 기허(氣虛) : 加 인삼(人蔘), 황기(黃芪).
                        ④ 기체흉협(氣滯胸脇) : 加 과루(瓜蔞),지각(枳殼).
                        ⑤ 실면(失眠), 심계(心悸) : 加 산조인(酸棗仁)
        약물치료(葯物治療)와 함께 정신치료(精神治療)를 보조(輔助)한 결과 50예 환중
        에 36명이 치유(治愈)되고, 6명이 명확한 효과를 보았으며, 4명이 유효하였다는
        결과를 나타내어 총 유효율 92%라고 보고 했다. 

    2) (오영경(吳永慶) 北京中醫學院學報 1984, ⑷ : 33)
        활혈화어법(活血化瘀法)으로 40예의 장조증(臟燥症)을 치료한 결과 보고서이다.
        용약(用葯) ≒ 시호(柴胡), 당귀(當歸), 천궁(川芎) 도인(桃仁), 홍화(紅花) 각10g,
                            향부(香附), 적작(赤芍), 백작(白芍) 각12g, 생지(生地) 숙지(熟地)
                            각20g, 생용골(生龍骨)30g, 감초(甘草)6g.
        가감(加减): ① 번민급조(煩悶急燥) : 加 황연(黃連), 치자(梔子).
                        ② 흉비탄식(胸痞嘆息) : 加 불수(佛手), 울금(鬱金).
                        ③ 심계(心悸) 실면(失眠) : 加 복신(茯神), 초조인(炒棗仁)
                        ④ 기단핍력(氣短乏力) : 加 황기(黃芪), 당삼(黨參).
                        ⑤ 신허요통(腎虛腰痛) : 加 천단(川斷), 기생(寄生).
                        ⑥ 백대과다(白帶過多) : 加 백출(白朮), 복령(茯苓), 오적골(烏賊骨).
                        ⑦ 복약 후 무월경 : 加 주군(酒軍), 생내금(生內金)
        결과(結果) : 증상(症狀)은 모두 소실되었다. 혈어 체징도 대부분 소실하였다.
                          복약 후 반년에서 2년이 되도록 발작 하지 않은 자 13예이다;
                          증상(症狀)이 부분적으로 소실, 발작 차수도 감소, 시간단축, 정도
                          감경, 어혈 체징도 개선되었다. 1년 정도 관찰한 결과 발작 차수가
                          5번을 넘기지 않은 자가 4예였다. 고 보고 했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