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0-09 16:58
[침구임상(針灸臨床)] 치매(痴呆) - II dementia, (de) Dementia
 글쓴이 : admin
조회 : 9,432  
치매(痴呆) athymia, dementia, moria,
              (de) Dementia, Schwachsinn

치매란 미련하고, 어리석고 조잡한 매사우분(呆傻愚笨) 증상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일종에 정신질환(精神疾患)이다. 표정은 미련하고 어리석어 보이는 매체(呆滯)한 모습이고,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지 못하며(无所用心), 일상적인 사무를 스스로 처리할 수 없고, 심지어 외부로부터 위태로움이 닥쳐도 저어(抵御)할만한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주요한 임상표현이다.
경(輕)한 환자는 정신과 정서가 싱겁고 조용하며(神情淡漠), 말이 적고, 건망증이 심하
                      며, 지둔(遲鈍)하다.
중(重)한 환자는 하루 종일 말이 없거나 혹은 입으로 중얼(조잘) 거리고(口中喃喃) 혹은
                      말의 선후가 뒤 바뀌고(言辭顚倒), 혹은 갑자기 웃다가 돌연 울고(忽笑
                      忽哭), 혹은 식욕이 없으며 수일간 먹지 못해도 배고픔을 모른다.
본병은 유년(幼年) 시기에 기병(起病)하여 점차 성장하면서 백치(白痴)가 되는 경우의 환자는 매년 점차 몸이 약해져서(年邁体衰) 정혈이 부족하게 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매사자(呆傻者)가 되거나, 혹은 정신적 충격으로 정서상에 상처를 받아 기(氣)가 울체되어(情傷氣鬱) 정신과 의식이 어리석어 빠지게 된 신식매체(神識呆滯)의 경우가 있다. 또 이외에 외상(外傷), 중독(中毒)으로 치매환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주요한 병리기제(病機)는 품부부족(禀賦不足), 간신휴허(肝腎虧虛), 기체혈어(氣滯血瘀)
                                  담탁조규(痰濁阻竅) 등을 들 수 있겠고
치료(治療)에 관해서는
⑴ 선천적인 품부부족(禀賦不足)은 양혈자음(養血滋陰)해서 보신전정(補腎塡精)하고
⑵ 늙어서 신이 쇠약(年老腎衰)해 짐으로 간신에 정혈이 부족하고, 골수가 비어서 공허
    (髓海空虛)하게 되면 따라서 심혈이 부족하게 됨으로 신지(神志)를 유양할 수 없게
    되는데(心神失養) 이런 자는 익정양혈(益精陽血)하여 자보간신(滋補肝腎)하도록 한다
⑶ 기(氣)가 울체된 환자는 기(氣)를 행(行)하게 하여 간기를 펴게 하고(舒肝理氣)
⑷ 혈(血)이 어체(瘀滯)된 환자는 혈을 움직여서 어를 제거(活血化瘀)하며
⑸ 담(痰)이 응결(凝結)된 환자는 비장(脾臟)을 튼튼히 해서 담을 제거(健脾祛痰)한다.
⑹ 만약 외상(外傷)이나 중독(中毒)에 의한 경우는 원인에 따라 대처한다.

1. 변증요점(辨證要点)
    1) 발병연령(發病年齡)
                    유아치매는 대부분 선천적으로 품부(稟賦)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혹 유
                                    년(幼年)에 큰 병을 앓았거나, 혹은 출생할 때 뇌수(腦髓)에
                                    손상을 받은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노연치매는 기억력이 확실하게 감퇴되거나 상실(喪失)된다. 정신과 정
                                    서활동이 느리고 둔해지며(神情遲鈍), 심한 경우는 발음이
                                    맑지 못하고, 횡설수설 말의 앞뒤가 맞지 않으며(言无論次),
                                    최종에 이르면 일상생활을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
                                    하게 된다. 대다수의 환자가 간신부족(肝腎不足)과 유관된
                                    다.
    2) 질병신구(疾病新久)
                    구병(久病) : 오래된 병은 대부분 고질(痼疾)에 속하는 것으로 발병이
                                      완만(緩慢)하고, 유인(誘因)이 불확실하며, 회복이 비교적
                                      어렵다(恢復較難).
                    신병(神病) : 발병한지 얼마 안 되는 새로운 병은 대부분 정서변화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발병(起病突然)하는 경우로서 증상이
                                      비교적 호전적이긴 하지만 더디게 서서히 풀린다(緩解較快).
                    외상(外傷) 혹은 중독(中毒)으로 인한 기병(起病) 환자는 대부분 점차적
                                            으로 정상을 갖출 수 있게 된다(逐漸恢復).
 
2. 류증감별(類證鑒別)
    치매(痴呆)와 전증(癲證), 간증(癇證), 장조(臟躁)는 감별해야 한다.
    1) 전증(癲證) : 정신이 억울하고(精神抑鬱), 표정은 싱겁고 조용하며(表情淡漠), 게
                          으르고 미련해보이며 침묵하고(沉黙遲呆), 횡설수설 앞뒤 말이 일치
                          하지 않는(言无論次)것이 특징이다. 푹 꺼져 있거나 조금 기(氣)가
                          살아있는 듯하며(沒有或僅有) 지능저하는 경미하다(輕微的智能低下).
        치매(痴呆) : 정신 표현이 어리석어 빠지고(神表呆滯), 지능저하(智能低下)를 위주
                          로 하는 것이 주요표현이다.
       
    2) 간증(癇證) : 발작성적 정신상태의 이상(神態異常)을 표현하는 일종의 질환이다.
                          발작할 때 그 전형적인 표현은 갑자기 뒤집어져(突然昏仆), 인사불
                          성(不省人事)이 되고, 양쪽 눈을 위로 치켜뜨며(兩目上視), 거품을
                          토하고(嘔吐涎沫), 사지를 잡어 뽑기나 하듯 쭉 뻗고(四肢抽畜) 입
                          안에 마치 쌓였던 5가지 소리가 나오는 듯 하는(口中如作五畜之聲)
                          발작성을 위주로 하는 질환이다. 이렇게 뚜렷하게 정신을 잃었다가
                          곧 깨어나는데(神昏片刻卽醒) 깨어난 후에는 언제 무슨 일이 있었
                          느냐는 뜻 평상으로 돌아온다(醒后復如常態). 반복해서 발작하며(可
                          反復發作), 발작기간 지능저하(智能低下)는 불확실 하다.
        치매(痴呆) : 점진성(漸進性)이며 발작성(發作性)이 아니다. 또 치매는 지능저하
                          (智能低下)를 위주(爲主)로 하는 질환이다.
   
    3) 장조(臟躁) : 장조의 발병은 대다수가 정신적 인소와 관계된다. 돌발성을 드러내
                          며(呈突發性), 대부분 여성에게서 볼 수 있는 질환으로, 주요 표현은
                          기쁘고, 슬픔에 마음을 상하면 울고 싶어 하며(喜悲傷欲哭), 수시로
                          기지개를 켜며 하품을 하고(數欠伸) 마치 귀신에게 홀린 것 같으며
                          (如神靈所作), 다만 스스로 자제할 수 있기를 바란다(但尙可自制),
                          발작하지 않을 때는(不發作時), 평상시 상태로 돌아온다(復如常態).
                          지력장애도 없다(无智力障碍), 마치 치매(痴呆)와 같은 미련하고 어
                          리석어 보이며 조잡한(呆傻愚笨), 지력저하(智力低下)와는 자연 부동
                          (自然不同)하다.
3. 침구치료(針灸治療)
    1) 체침(体針)
                취혈(取穴) : 아문(啞門), 안면(安眠), 내관(內關), 신문(神門), 족삼리(足三里),
                                  신수(腎兪).
                                  아문혈(啞門穴), 안면혈(安眠穴) : 성뇌계지(醒腦啓智)
                                  족삼리(足三里), 신수혈(腎兪穴) : 보비리기(補脾理氣)
                                                                                익신건뇌(益腎健腦)
                가감(加减) ① 품부부족(禀賦不足) : 加 백회(百會), 신정(神庭), 절
                                    골혈(折骨穴, 懸鍾).- 부양익수(扶陽益髓), 건뇌성신(健腦醒神)
                                ② 간신휴허(肝腎虧虛) : 加 간수(肝兪), 태계(太溪), 삼음교(三陰
                                                                      交).- 보익간신(補益肝腎)
                                ③ 혈어기체(血瘀氣滯) : 加 간유(肝兪), 격유(膈兪), 혈해(血海),
                                                대돈(大敦).- 축어개결(逐瘀開結), 리기행울(理氣行鬱)
                                ④ 담탁조규(痰濁阻竅) : 加 장문(章門), 풍륭(豊隆), 거궐(巨闕),
                                                                      음능천(陰陵泉).- 척담개규(滌痰開竅). 
 
    2) 이침(耳針)
              취혈(取穴) : 신문(神門), 뇌(腦), 신(腎), 침(枕).
                                매일 1회, 메회 2~3혈(양 쪽귀), 20회 1 료정.
              주의(注意) : 소독(消毒), 감염(感染) 방지.

    3) 점자출혈(點刺出血)
                    주치(主治) : 지능발육부전(智能發育不全) - 개선(改善)
                    주혈(主穴) : 중충(中冲), 천추(天樞).
                    배혈(配穴) : 용천(湧泉), 노궁(勞宮).
                    조작(操作) : 삼능침(三陵針)으로 직자(直刺), 피하(皮下) 1mm.
                    출혈(出血) : 4~5 방울, 격일(隔日) 1회
    4) 혈위주사(穴位主射)
                      주치(主治) : 노년성치매(老年性痴呆)
                      복방당귀주사액(復方當歸注射液) ≒ 당귀(當歸), 천궁(川芎), 홍화(紅花).
                                                                        4㎖ 양측 신수혈(腎兪穴), 격일 1회.
                      배혈(配穴) :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합곡(合谷)

4. 추나(推拿) / 안마(按摩)
    1) 처방(處方)
              추(推) : 사신총(四神聰), 백회(百會), 풍지(風池), 풍부(風府). 各 1분간
              장안(掌按) : 중완(中脘), 기해(氣海). 各 5분간.
              안유(按揉) : 태계(太溪), 삼음교(三陰交). 各 3분간.
    2) 가감(加减)
              소아(小兒) 품부부족(禀賦不足) : 加 날척(捏脊) 3~5 편(遍) - 척추를
                                                      위에서부터 꼬리뼈에 이르기까지 3~5 차례 반죽
                                                      을 하듯이 고르게 이겨준다.
                간신휴허(肝腎虧虛) : 가유(加揉) : 간수(肝兪), 신수(腎兪) 各 1분간
                                              가안(加按) : 관원(關元). 5분간
                담탁조규(痰濁阻竅) : 가점안(加点按) : 천돌(天突), 전중(膻中), 풍륭(豊隆),
                                                                    심수(心兪), 격수(膈兪). 1분간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