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3-05 13:22
[방제] 귀비탕(歸脾湯)(丸)《濟生方·宋代 嚴用和》보익제(補益劑)
 글쓴이 : admin
조회 : 17,434  
귀비탕(歸脾湯)(丸)《濟生方·宋代 嚴用和》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15, 백출(白朮) 황기(黃芪) 복령(茯苓) 용안육(龍眼肉) 산조인(酸棗仁)
                  각30, 목향(木香)15, 당귀(當歸)3, 원지(遠志)3 감초(甘草)8, 생강(生姜)5편(片),
                  대조(大棗)1매(枚).
      효용 : 익기보혈(益氣補血) 건비양심(健脾養心)
      방해 - 人蔘, 黃芪, 白朮, 甘草, 生姜, 大棗 : 비장(脾臟)을 보(補)하여 익기(益氣)하고
                當歸 : 간장(肝臟)을 자양(滋養)허고 심장(心臟)의 혈(血)을 생(生)하게 했으며
                茯神, 棗仁, 龍眼肉 : 심장(心臟)을 자양(滋養)하여 안신(安神)케 했고,
                遠志 : 심(心臟)과 신(腎臟)을 교통(水火相濟)케 하여 마음을 안정시키며,
                木香 : 익기(益氣)하고 보혈(補血)하는 약들은 대체로 자니(滋膩)한 약성(葯性)
                          인만큼 적체(積滯)하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목향(木香)으로 비장(脾臟)을
                          일깨워서 리기(理氣)케 하였으며 비위(脾胃)의 운화기능(運化機能)을 높이
                          는 효능을 보도록 하였다.
                          이로써 익기(益氣)하며 양혈(養血)하도록 한 것이다.
      주치 1) 심비양허(心脾兩虛)로 인한 사려과도(思慮過度) 심비노상(心脾勞傷) 기혈부족
                  (氣血不足)과 심계정충(心悸怔冲) 건망불면(健忘不眠) 도한허열(盜汗虛熱) 식소
                  체권(食少體倦) 면색위황(面色萎黃) 설질담(舌質淡) 태박백(苔薄白) 맥세완(脈細
                  緩)
                  이 방제는 심장과 비장이 허약함을 다스린다. 심장은 신기(神氣)와 혈(血)을 주관
                  하고, 비장은 사려(思慮)와 통혈(統血)을 주관한다. 때문에 사려(思慮)가 과도(過
                  度)하게 되면, 심비(心脾)가 많은 기혈(氣血)을 소모(消耗)하게 됨으로 상(傷)하게
                  된다. 비기(脾氣)가 휴허(虧虛)하게 되면 몸이 권태롭고, 식소(食少), 허열(虛熱)
                  이 생기게 되고, 심혈(心血)을 소모(消耗)하고 자양(滋養)을 잃게되면 심혈(心血)
                  이 부족(不足)하므로 경계(驚悸), 즉 심계(心悸) 및 정충(怔忡)으로 가슴이 두근거
                  리고 두렵고 무서우며, 건망증(健忘症), 밤잠을 못 이루는 불침(不寢)과 잠이 들면
                  땀이 나는 도한(盜汗)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모두 기혈(氣血)이 부족(不足)한 탓이
                  다. 얼굴색이 흿누렇고, 설질이 담담하고, 태는 적고 희며, 맥은 가늘고 완만하다.
              2) 비허기약(脾虛氣弱),- 비불통혈(脾不統血)로 인한 빈혈(貧血) 부녀붕루(婦女崩漏)
                  월경초전(月經超前) 양다색담(量多色淡) 혹은 임리불지(淋漓不止), 혹은 대하(帶
                  下) 등을 다스린다.
                  비장(脾臟)은 통혈(統血)과 섭혈(攝血)을 관장한다. 만약 비기(脾氣)가 허하면 통
                  섭(統攝)이 무력하여 변혈(便血), 뉵혈(衄血)등 출혈(出血)이 발생한다. 부녀자(婦
                  女子)에게는 혈해(血海) 즉 자궁(子宮, 女子胞)이 견고치 못하여 출혈하게 되는
                  붕루(崩漏)가 있을 수 있고 혹은 월경주기가 앞당겨지고, 경량(經量)이 많고 색(
                  色)이 묽은 것이다.비(脾)가 허(虛)하면 또한 운습(運濕)을 못하여 탁(濁)한 습(濕)
                  이 하주(下注)하게 됨으로 백대(白帶)가 된다.
                  본방은 비기(脾氣)를 이롭게 하여 비양(脾陽)을 돕고, 간혈(肝血)을 양(養) 하므로
                  상술한 변혈(便血), 붕루(崩漏)와 같은 출혈과 대하(帶下) 등의 모든 증상을 치료
                  할 수 있다.
              3) 암(岩) 유담(乳痰) 等. 구궤불렴(久潰不斂) 기혈양휴(氣血兩虧) 심비쇠약(心脾衰
                  弱) 심번불매(心煩不寐).
                  종양(腫瘍), 유방암(乳房癌)으로 고름이 흐르는 등 궤양(潰瘍)이 오랜 동안 아물
                  지 않고, 기(氣)와 혈(血)을 모두 잃어 심비(心脾)가 쇠약(衰弱)해지고, 마음이 초
                  조(焦躁)하며, 밤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다스린다.
              4) 포허여구(胞虛如球) 포륜진도(胞輪振跳)
                  기혈(氣血)이 모두 소진(消盡)한 탓으로 여자포(女子胞, 子宮, 血海)가 허(虛) 하
                  여져서 마치 둥근 공과 같고 바퀴가 구르듯 뛰는 것을 다스린다.
              5) 현대(現代)에 와서는 신경쇠약(神經衰弱), 심장병(心臟病), 빈혈(貧血), 자궁기능
                  성출혈(子宮機能性出血), 혈소판감소성자전(血素板減少性紫癜) 등에 쓰여지고 
                  있다. 다만 증상(證狀)이 심비양허(心脾兩虛)에 속하면 증상(症狀)에 따라 가감
                  (加減)하여 쓰면 모두 현저한 효과가 있다.
              6) 경험방(經驗方)
                  유학생(遊學生), 판매사원(販賣社員)과 같은 많은 정신력(精神力)을 소모(消耗)하
                  며, 과민하게 신경(스트레스)을 쓰게 되는 직종과 불의에 닥친 불우한 처지로 고
                  민하게 되는 경우 체력(體力)을 소모(消耗)하게 되면서 식욕부진(食欲不振), 수면
                  부족(睡眠不足)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어 누적(累積)된 신체허약(身體虛弱),
                  신경쇠약(神經衰弱), 무력감(無力感), 공포증(恐怖症), 우울증(憂鬱症) 등에도 일
                  정한 효력을 보고 있다. 이 계통의 환자 대부분은 혈액순환(血液循環)이 정상이
                  못되고, 따라서 신체의 신진대사(新陳代謝) 기능(機能)도 부족하기 때문에 체질
                  을 개선시키는 침(針)을 놓는데 약(葯) 복용(服用)과 함께 병행해서 연일(連日) 3
                  ~8 일간 놓는다. 40세 이전의 환자에게는 약 3 회 가량 연일(連日) 침을 놓고 40
                  세 이후의 환자에게는 8 일정도 연일(連日) 쉬지 않고 침을 놓는다. 이렇게 침을
                  놓고 약을 복용하게 되면 치료중에 효과가 나타나면서 점차 호전되는 것을 경험
                  하게 된다.
                  효과란 것은 우선 수면시간이 길어지고, 안신 하게되며 피로감이 해소된다.
                  처방(處方)
                          1) 침(針) : 사관혈(四關穴)을 기본으로 하고 증상(症狀)에 따라 가(加)하는
                                          데 기혈(氣血)이 쇠약(衰弱)한 환자(患者), 연노(年老)한 환자에
                                          게는 매회 도합 8 개혈을 넘기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2) 약(葯) : 증상(症狀)에 따라 가감(加减)하도록 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