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09-18 10:23
[침구임상(針灸臨床)] 감기 (感冒)
 글쓴이 : admin
조회 : 8,043  
감기 (感冒)
        感氣(감기)로 열이 나는 것은 “風(풍)은 木(목)이고 木生火(목생화)하기 때문에 熱(열)이 난
        다”고 針灸經驗方에 許任이 말하고 있다.
    1. 參照文(참조문)
        1) 상한병 (傷寒病)
        2) 온병 (溫病) - 초기(溫病)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原,脈會), 少商(소상, 井).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原), 曲池(곡지, 合).
            足太陽膀胱經 : 承光(승광), 大杼(대저,手足太陽,少陽經과 會,督脈의 別絡,骨會), 風門(풍
                                문,督脈과 會).
            手少陽三焦經 : 關冲(관충,井), 陽池(양지,原),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
                                脈).
            足少陽膽經 : 腦空(뇌공),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會).
            督脈 : 印堂(인당), 후정(后頂), 風府(풍부,太陽經,陽兪脈과의 交會), 靈臺(령대).
            經外寄穴 : 太陽(태양).
            頭頸部 : 印堂(인당), 太陽(태양).
            項背腰部 : 崇骨(숭골).
        2) 流行性感氣 :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 輸, 原, 脈會).
    3. 金匱要略(금궤요략)
        1) 婦人中風 發熱惡寒 經水適來 得七八日 熱除脈遲 身涼和 胸脅滿 如結胸狀 譫語者 此爲熱
            入血室. 當刺期門 隨其實而取之.
            婦人(부인)이 傷寒中風(상한중풍)에 걸려 발열과 악한을 하는데 月經(월경)을 시작하였
            다. 7~8日이 지나서 熱(열)이 가시고, 脈象(맥상)이 遲(지)하며, 몸은 시원해졌으나 胸脇
            (흉협)이 그득한 脹滿感(창만감)이 드는 것이 마치 結胸證(결흉증) 같기도 한데, 헛소리
            를 치는 것은 熱(열)이 子宮(자궁)에 침입했기 때문이다. 期門穴(기문혈)에 針(침)을 놓
            아 實熱(실열)을 除祛(제거)해야 한다.
        2) 陽明病 下血譫語者 此爲熱入血室 但頭汗出 當刺期門 隨其實而瀉之 湒然汗出者愈.
            陽明病(양명병)에 걸려 大便(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헛소리를 하는 것은 邪熱(사열)
            이 자궁에 侵襲(침습)했기 때문이다. 만일 頭部(두부)에만 땀을 흘린다면 期門穴(기문혈)
            에 針(침)을 놓아 實熱(실열)을 瀉(사)해야 한다. 全身(전신)에 흠뻑 땀을 흘리면 病(병)
            은 治愈(치유)된다.
    4. 針灸大成(침구대성)
        1) 感氣(감기)가 6日이 되어도 차도가 없으면(不愈) : 期門穴(기문혈) - 靈光賦
        2) 感冒 眞妙訣- 蘭江賦
            ⑴ 三陰(삼음)에 病(병)이 있으면 : 陽經(양경)을 찌르고
            ⑵ 땀이 나지 않으면(无汗) : 補 合谷穴(보 합곡혈), 瀉 復溜穴(사 복류혈)
            ⑶ 땀이 멎지 않으면(汗出不止) : 補 合谷穴(보 합곡혈)
            ⑷ 傷寒(상한)으로 4日이 지나면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에 病(병)이 드는데 자세히 觀
                察(관찰)하여 公孫穴(공손혈)과 照海穴(조해혈)을 같이 찔러주고 다시 內關穴(내관혈)
                에 침자한 후 7일이 지나도 낫지 않으면 期門穴(기문혈)에 침을 찌르면 대단히 妙(묘)
                하다.
            ☆《內經․素問》에 의하면 “傷寒(상한)을 치료할 때 모두 瀉(사)하라 하였고 그리고 氣血
                (기혈)의 流注時間(유주시간)에 따라 生理(생리)와 병의 作用原則(작용원칙)을 보아
                항상 五行(오행)을 평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라는 말이 있다.
                - 水(수)가 不足(부족)하면 肺金(폐금)을 補(보)해야하며,
                  水(수)가 盛(성)하면 土(토)를 補(보)하여 平(평)하게 하여야 한다.
        3) 感冒(감모) ⑴ 기침을 자주하면(咳嗽頻煩)해수빈번 : 肺兪穴(폐유혈),
                            ⑵ 기침하며 가래가 많으면(咳嗽痰多) : 豊隆穴(풍륭혈) - 玉龍歌
        4) 傷寒(상한) 감기(感冒)로.
            ⑴ 六經(육경)이 지나도 낫지 안으면(不愈) : 期門穴(기문혈)을 먼저 보하고 난뒤에 사하
                라(先補后瀉) - 玉龍歌
            ⑵ 急激(급격)하게 氣(기)가 胸部(흉부)와 橫膈膜(횡격막)을 찌르는 듯(刺痛) 아플 때
                : 足三里穴(족삼리혈)을 瀉(사)하라
        5) 傷寒(상한) : 陰陽經(음양경)을 나누어 症(증)에 따라 치료한다. - 雜病穴法歌
                              第一日 : 太陽證(태양증)이기 때문에 風府穴(풍부혈)을
                              第二日 : 陽明證(양명증)이기 때문에 滎穴(형혈)을
                              第三日 : 少陽證(소양증)이기 때문에 輸穴(수혈)을
                              第四日 : 太陰證(태음증)이기 때문에 井穴(정혈)을
                              第五日 : 少陰證(소음증)이기 때문에 輸穴(수혈)을
                              第六日 : 厥陰證(궐음증)이기 때문에 經穴(경혈)을 治療한다.
                              六日이 經過하여도 无汗(무한)이면 : 期門穴(기문혈),
                              陰證(음증)에는 灸 關元穴(관원혈)에 뜸(灸)을 뜬다 .
            ☞ 針(침)으로 汗, 吐, 下法(한,토,하법 즉 공하법)은 별로 신통한 것이 없다. 그러나 發
                汗 (발한)에 合谷穴(합곡혈), 吐(토)에 內關穴(내관혈), 瀉下(사하)에 三陰交穴(삼음
                교혈)을 찌른다.
        6) 모든 風, 寒, 暑, 濕(풍,한,서,습)의 邪氣(사기)와 頭痛(두통), 發熱(발열)에는 外關穴(외
            관혈)을 다스린다. - 雜病穴法歌
        7) 傷寒疾病(상한질병)은 足經絡(족경락)에는 들어와도 手經絡(수경락)에는 들어오지 않으
            니 太冲穴(태충혈), 內庭穴(내정혈)에 깊고 또는 얕게 針刺(침자)한다. - 雜病穴法歌
        8) 傷寒(상한)으로 六經(육경)이 다 지나도록 땀이 나지 않으면(无汗) 우선 期門穴(기문혈) 
            에 침자하고 후에 通里穴(통리혈)을 다스린다. - 長桑君天皇秘訣歌
        9) 傷寒(상한)으로 팔다리가 차고(四肢冷) 맥이 묻히거나 끊어졌을 때(脈伏脈絶時) 復溜穴
            (복류혈)을 針刺(침자)하여 맥을 恢復(회복)시킨다. - 肘后歌
    5. 舍岩五行鍼解說 - 柳泰佑 編著
        寒門(한문) 三一体質(삼일체질)
        1) 陽實症(양실증) : 惡寒(악한), 發熱(발열), 頭痛(두통), 流涕(류체), 肩重(견중).
                          處方 : 大腸實(대장실) - 大腸勝方(대장승방), 혹은 胃勝方(위승방)
        2) 腎實症(신실증) : 咽喉炎(인후염), 扁桃腺炎(편도선염), 頭痛(두통), 身熱(신열).
                          處方 : 小腸勝方(소장승방), 肺勝方(폐승방)을 겸해서 상응하는 처방.
        3) 陰實症(음실증) : 전신에 열이 심하고, 팔다리에 관절통이 있는 몸살.
                  處方 : 心熱方(심열방), 脾熱方(비열방), 膽熱方(담열방).
        傷寒(상한)
        1日 見證 : 사계절을 불문하고 頭痛(두통), 發熱(발열), 惡寒(악한), 无汗(무한), 骨節疼痛(골
                      절동통), 脈浮緊(맥부긴) - 麻黃湯證(마황탕증)
                  ♧ 麻黃湯(마황탕) ≒ 麻黃(마황), 桂枝(계지), 杏仁(행인), 甘草(감초).
                  ♧ 九味羌活湯(구미강활탕) ≒ 羌活(강활), 防風(방풍), 川芎(천궁), 白芷(백지), 蒼
                                                  朮(창출), 黃芩(황금), 生地(생지), 細辛(세신), 甘草(감초).
                  ♧ 十神湯(십신탕) ≒ 葛根(갈근), 赤芍(적작), 升麻(승마), 白芷(백지), 川芎(천궁),
                                                陳皮(진피), 麻黃(마황), 蘇葉(소엽), 香附子(향부자), 甘草
                                                (감초).
              治療 : 足太陽膀胱經 - 商陽(상양) 補, 足三里(족삼리) 瀉. 治官補母(치관보모)
        2日 見證 : 눈이 아프고(目疼), 코가 마르며(鼻乾), 누울 수 업고(不得臥), 위완부가 불편하
                      고 답답하며(脘悶不舒), 팔다리가 발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手足厥冷) 몸에
                      는 열이 나고(身熱) 맥은 홍삭(脈洪數)하다.
                  ♧ 葛根解肌湯(갈근해기탕) ≒ 葛根(갈근), 柴胡(시호), 黃芩(황금), 赤芍(적작), 羌
                                                            活(강활), 石膏(석고), 升麻(승마), 白芷(백지), 桔梗
                                                            (길경), 甘草(감초).
              治療 : 足陽明胃經 - 三里(족삼리) 補, 臨泣(족림읍) 瀉.- 抑官安身(억관안신)
        3日 見證 : 半表半里證(반표반리증) - 表熱證(표열증) 里寒證(리한증)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입 안이 쓰거나(胸脇苦滿) 혹은 몸이 춥고 더움이 반
                      복되고(寒熱往來), 식욕이 부진하고, 嘔吐(구토)하며, 설태가 희다(苔白)
                  ♧ 小柴胡湯(소시호탕) ≒ 柴胡(시호), 黃芩(황금), 人參(인삼), 半夏(반하), 甘草(감
                                                      초).
              治療 : 足少陽膽(膵)經 - 俠溪(협계) 補, 商陽(상양) 瀉.- 抑官補母(억관보모)
                  ☞  前 3日은 傷寒陽證(상한양증)에 속하지만 后 6日 까지는 傷寒陰證(상한음증)에
                      속한다.
        4日 見證 : 복부가 연약하고 무력하며(腹部軟弱无力), 심하부(위완부)에서 물떨어지는 소리
                      가 나고(心下部振水音), 손발이 차고(手足冷),  대변이 묽고(溏便), 이질 설사를
                      하고(下痢), 구토하며(嘔吐), 갑자기 아찔하면 캄캄해지고 어지럽고(眩暈), 배 아
                      프며(腹痛), 맥은 미약(脈微弱)하다.
                  ♧ 理中湯(이중탕) ≒ 人參(인삼), 白朮(백출), 乾姜(건강), 甘草(감초).
              治療 : 足太陰脾經 - 陰陵泉(음능천), 經渠(경거), 補, 隱白(은백) 瀉.
                                      - 補子抑官(보자억관)
        5日 見證 : 三陰病(삼음병), 팔다리가 차고(四肢冷), 이질 설사를 하며(下痢), 배가 그득하고
                      (腹滿), 혹은 發熱(발열), 惡寒(악한), 頭痛(두통)이 나고 몸이 아프다(身疼痛).
                  ♧ 四逆湯(사역탕) ≒ 炙甘草(자감초), 炮姜(포강), 炮附子(포부자).
              治療 : 足少陰腎經 - 陰谷(음곡), 經渠(경거) 補, 太白(태백) 瀉 - 抑官補母
        6日 見證 : 근육과 맥이 경련으로 빳빳하게 강직되고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筋脈痙攣 强直
                      口噤)
                  ♧ 附子理中湯(부자리중탕) ≒ 炮附子(포부자), 人參(인삼), 白朮(백출), 炮姜(포
                      강), 甘草(감초).
              治療 : 足厥陰肝經 - 陰谷(음곡), 大敦(대돈) 補, 經渠(경거) 瀉. - 補母抑官
                  ☞  感冒(감모)는 6日이면 웬만하면 자연 치료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낫지 낳
                      으면(不愈)하면 12日까지 계속되는데 前 6日까지의 傷寒(상한)은 주로 足經絡
                      (족경락)의 병였고 后 12日까지는 手經絡(수경락)의 병이 된다.
        7日 見證 : 足太陽經(족태양경) 병이 衰(쇠)하고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으로 傳病(전
                      병)되어 약간 두통이 난다(微頭痛).
              治療 : 左脈(좌맥) - 小腸虛(소장허) - 小腸正格(소장정격)
                      右脈(우맥) - 小腸實(소장실) - 小腸勝格(소장승격)
        8日 見證 :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병이 衰(쇠)하고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으로 傳病
                      (전병) 되어 身熱(신열)이 있고, 약간 구갈이 나는(微口渴)
              治療 : 三里(삼리) 補, 臨泣(림읍), 陷谷(함곡) 瀉. - 抑官補身
        9日 見證 : 足少陽膽(膵)經(족소양담(췌)경)) 병이 衰(쇠)하고 手少陽三焦經(수소양 삼초경)
                      에 傳病(전병)되어 귀가 먹어 듣지 못하게 되다(耳聾未聞).
              治療 : 至陰(지음), 足竅陰(족규음) 瀉, 足通谷(족통곡), 俠溪(협계) 補.
      10日 見證 :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병이 衰(쇠)하고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에 傳病(전병)
                        되어 腹痛(복통)이 감소되긴 했으나 전 같고, 음식생각이 없다(不思飮食)
              治療 : 神門(신문), 太白(태백) 補, 隱白(은백), 大敦(대돈) 瀉. (脾肺 同時補方)
      11日 見證 :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이 衰(쇠)하고,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에 傳病(전병)
                      되어 消渴(소갈), 舌乾(설건)
              治療 : 曲澤(곡택), 陰谷(음곡) 補, 苔白(태백), 太谿(태계) 瀉.
      12日 見證 :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이 衰(쇠)하고 手厥陰心包經(수궐음심포경)에 傳病(전
                        병)되어 대체로 병이 스스로 안정된 증상(自安症狀)이다.
              治療 : 陰谷(음곡), 曲泉(곡천)(曲澤?) 補, 商陽(상양)(中冲?), 大敦(대돈) 瀉
      13日 見證 : 運傷寒 卽 腸티푸스 - 大腸實熱(大腸實熱(대장실열), 高熱(고열), 脫水現狀(탈수
                        현상), 食欲不振(식욕부진), 꿈속에서 잘 놀라고(夢中易驚), 헛소리를 하다(譫
                        語).
              治療 : 1日 風府穴(풍부혈), 2日 二間穴(이간혈), 3日 中渚(중저) 泣穴(림읍), 4日 少商
                        (소상) 隱白(은백), 5日 神門(신문) 太谿(태계), 6日 中封(중봉),  靈道(령도), 間
                        使(간사) - 모든 혈은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6. 中醫針灸學
        1) 風寒證(풍한증) : 코가 막히고(鼻塞), 맑은 콧물이 흐르며(淸涕), 인후가 가렵고(咽喉痒
                                    症), 재체기, 기침, 가래가 맑고 희박(痰淸稀薄)하며, 오한(惡寒)이 나
                                    고, 땀은 나지 않는데(无汗), 전신이 시큰거리며 아프고(全身酸痛), 두
                                    통(頭痛) 있고, 설태는 희고 얇으며(舌苔薄白), 맥은 부긴(脈浮緊)하
                                    다. - (實症)
                          原則 : 祛風散寒(거풍산한), 解表宣肺(해표선폐)
                                    手太陰(수태음), 陽明(양명), 足太陽經穴(족태양경혈)을 위주로 치료
                          處方 : 列缺(열결), 迎香(영향), 支正(지정), 風門(풍문), 風池(풍지), 合谷(합
                                    곡).
                          方義 : 列缺 + 迎香 = 폐기를 선발시켜서 막힌 것을 통하게 하여(宣肺利竅)
                                              코막힘(鼻塞), 목의 가려움(喉痒)과 기침(咳嗽)을 치료하고
                                    支正 + 風門 = 풍한의 사기를 제거하여(祛風散寒) 오한(惡寒)과 발열
                                                        (發熱) 및 두통(頭痛)을 치료한다.
                                    風池 = 체표에 풍사를 소산(疏風解表).
                                    合谷 = 양명의 기를 통하게 하고(疏利陽明) 폐기를 선발시켜서 표사를
                                              해제하는 작용을 증강시킨다.(卽解表宣肺 作用 增强).
                                    印堂 + 太陽 = 두통(頭痛)을 치료한다.
                      ♧ 方葯 : 三坳湯(삼요탕), 小靑龍湯(소청용탕), 杏蘇散(행소산) 등
        2) 風熱證(풍열증) : 코가 막히고 마르며(鼻塞乾), 인후가 아프고(咽喉痛), 구갈(口渴)이 나
                                    고, 발열이 중하고(發熱重), 오한은 경하며(惡寒輕), 땀이 나고(有汗),
                                    기침(咳嗽)하며, 누런 가래(黃痰)이 생기고, 설태는 얇고 누러고(舌苔
                                    薄黃), 맥은 부삭(脈浮數)하다.
                          原則 : 풍열을 흩어서 줄이고(消散風熱), 폐기를 맑게 통하게(淸利肺氣)한다.
                                    手太陰(수태음), 陽明(양명),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魚際(어제), 大椎(대추), 曲池(곡지), 合谷(합곡), 外關(외관).
                                    魚際 = 폐열을 맑게 내리고(肺熱淸瀉), 가래를 제거하여 기침을 멎게 
                                              하며(化痰止咳), 목구멍을 통하게 해서 아픔을 멎게 한다(利咽
                                              止痛).
                                    大椎 + 外關 = 체표에 양사를 흩어지게(表散陽邪) 하여 高熱(고열), 頭
                                                        痛(두통), 눈이 붉어지는 것(目赤)을 치료한다.
                                    合谷 + 曲池 = 맑은 폐기를 통하게(淸利肺氣)하여, 열을 해제하고 진액
                                                        을 보(解熱補津)하여 해열(發熱), 코 막힘(鼻塞)과 기
                                                        침, 인후가 붓고 아픈(咽喉腫痛) 것을 치료한다,
                          加减 : 咽喉腫痛(인후종통) : 加 少商穴(소상혈) = 독을 해소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한다.(解毒消腫)
                                    小兒高熱(소아고열), 痙厥(경궐) : 加 人中(水泃) + 十宣) = 열이 빠져
                                                                                나가게 하여 진정(泄熱鎭靜) 시킨다.
                          治法 : 호침으로 얕게 찌르되(淺刺)하되 사법을 사용한다. 少商穴(소상혈)은
                                    三 陵針(삼능침)으로 점자하여 출혈시키고, 人中(인중), 十宣穴(십선
                                    혈)은 호침으로 얕게 찔러 사기가 나가도록(淺刺疾出)하되 침구멍을 막
                                    지 말고 피를 짜내야 한다.
                      ♧ 方葯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 麻黃(마황), 杏仁(행인), 石膏(석고), 甘草
                                    (감초).
        3) 暑濕證(서습증) : 머리가 무겁고(頭重) 마치 싸맨듯하고, 팔다리와 몸(肢體)도 무겁고 시
                                  큰거리는 아픔(酸痛)이 있고, 몸에 열이 나며(身熱), 입안이 찐득찐득하
                                  나 갈증은 없거나(口膩不渴) 혹은 갈증이 있는데 더운물을 마시려 한다.
                                  (或渴喜熱飮), 가슴과 위완부가 그득한 것이 답답하고(胸脘滿悶), 토할
                                  듯이 웩웩(嘔惡)거리며, 묽은 변을(便溏) 보고, 소변량은 적으면서 색이
                                  누렇고(小便短黃), 설태는 누렇고 찐득찐득(舌苔黃膩)하고, 맥은 유삭
                                  (脈濡數)하거나 혹은 부삭(或浮數)하다.
                          原則 : 서습을 맑게 제거하고(淸暑化濕), 表邪(표사)를 疏散(소산)시키고 表里
                                  (표리)를 조화시킨다(疏表和里) -  太陰(태음), 陽明(양명), 三焦經穴(삼
                                  초경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孔最(공최), 合谷(합곡), 中脘(중완), 足三里(족삼리), 支溝(지구).
                                  孔最 + 合谷 = 폐기를 선발시켜서 표사를 해제하고(宣肺解表), 서습을 
                                                      막게 제거해서(淸署化濕) : 머리가 무겁고 사지가 고달 
                                                      픈(頭重, 肢困) 것을 다스리며, 코 막힘(鼻塞) 및 한열(寒
                                                      熱)을 다스린다.
                                  中脘 + 足三里 = 비기를 통하게 하여 습을 제거하고(利脾化濕), 위의 강
                                                          탁기능을 조화롭게 하여(和胃降濁), 거슴과 위가 그득
                                                          하고 답답한(胸脘滿悶) 것과, 토할 듯이 웩웩(嘔惡) 거
                                                          리는 것을 다스린다.
                                  支溝 = 삼초의 기화기능(三焦氣化)을 소통 조절(通調) 한다.
                          加减 - 熱(열)이 甚(심)하면 : 加 大椎(대추),
                                  濕(습)이 盛(성)하면 : 加 陰陵泉(음능천)
                                  배가 창만하고 묽은 변을 보면(腹脹便溏) : 加 天樞(천추)하여 비장을 튼
                                                                                튼히 하여 설사를 멎게(健脾止泄)하고
                                  陽虛(양허), 氣虛(기허) : 加 足三里(족삼리) 膏肓(고황)하여 溫 補陽氣,
                                  陰虛(음허), 血虛(혈허) : 加 肺兪(폐수), 血海(혈해), 復溜(복류)하여 補
                                                                        陰養血(보음양혈)한다.
                      ♧ 方葯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
        4) 肺病(폐병) 중에 風寒束肺(풍한속폐), 風熱犯肺(풍열범폐) 참조
        5) 風熱感冒(풍열감모) : 肺經病辨(폐경병변) 중에 熱邪上炎(열사상염) 참조
    7. 現代針灸學 成樂箕
        감기를 漢方(한방)에서는 풍사(風邪)라 하여 상풍(傷風)과 상한(傷寒)으로 분류하여 치료하
        고 있다. 西醫學(서의학)에서는 그 원인을 Virus 또는 세균(細菌 bacteria)에 두고 있으며, 온
        도의 급격한 변화나 한기(寒氣)에 접촉된 점막의 빈혈(貧血)과 냉각(冷却)을 가져와서 비
        (鼻), 인두(咽頭 pharynx) 등의 상기도(上氣道) 점막에 있는 혈관신경의 실조(失調)를 초래
        하여 virus와 bacteria의 감염을 쉽게 일으켜서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證候 : 오한(惡寒chill), 재체기(sneezing), 발열(發熱fever), 비색(鼻塞 noseobstruction) 비
                체(鼻涕nose water) 두통(頭痛 headache) 인후통(咽喉痛 throatpain), 견항근긴장
                (肩項筋緊張) 등이 나타나면서 coughing이 일어난다.
                만약 이관(耳管 eustachian tube)에 침범되면 귀의 페쇄감이 일어난다.
                최성기(prime)에 이르면 체온이 오르면서 눈이 충혈되며 산소결핍증((酸素缺乏症
                anorexia), 설사(泄瀉 diarrhoea), 변비(便秘 constipation), 오심(惡心 nausea) 등의
                소화기장해를 수반하면서 등이나 사지  관절의 권태나 둔통(鈍痛)을 가져온다.
                동양의학상에서는 같은 감기라 할지라도 앞서 말한 것처럼 傷風(상풍)과 傷寒(상한)
                으로 구별한다. 비록 이들 傷風과 傷寒리 감기라고 일컫는 공통된 증후를 나타내지만
                다음과 같은 본질적인 차이점이 있다.

                1) 初起 : 상풍성(傷風性)인 것은 오풍(惡風)을 느끼고, 상한성(傷寒性)인 것은 오한
                              (惡寒)을 느낀다.
                2) 상충, 발열, 두통 등은 공통으로 나타나는 증상이지만 傷風性의 경우는 표허(表虛)
                    의 증상(桂枝湯證)으로 脈浮(浮緩 或浮弱) 有汗인 반면에 傷寒性(상한성)인 경우
                    에는 표실(表實)의 증상(麻黃湯證)으로 脈浮緊 无汗(맥부긴무한)으로 傷風性(상풍
                    성)에 비하여 무겁다.
                3) 傷風性의 경우 傷寒性에 비하여 陽性으로 삼양병(三陽病)을 경과하면서 자연적으
                    로 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傷寒性의 경우는 음병(陰病)까지 진행하여 마지막에
                    는 궐음병(厥陰病)의 무거운 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治療 : 체질의 허실(虛實)에 따라서 복잡한 증후를 나타내기 때문에 대증적(對證的)인 면에
                서 치료방침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실증체질 환자는 증후도 실증성으로
                치유도 빠르지만 허증체질 환자는 병의 원인에 관계 없이 맥(脈)은 연약(軟弱)하고 거
                의 발열(發熱)도 나타나지 않고 만성화 한다.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감기의 초기
                맥상은 부허(浮虛)아니면 부실(浮實)을 발하는 것이 상례이지만 때로는 감기 초기 환
                자로서 침실(沉實)의 맥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대부분 감기에 대한 항
                생물질의 투여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때 침구요법을 시술할 경우 항생물질의
                약기운이 해제됨으로써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서 발열증상을 나타내는 일이 왕왕 있
                다.  이로 인화여 침구치료로 인하여 병변이 약화되고 있다는 오해를 일으키기 쉬우므
                로 치료 전에 먼저 환자에 대하여 이해를 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1) 初起 : 재체기(sneezing)가 나오면서 한기(寒氣)가 있으면 즉시 풍문혈(風門穴)에
                              20장 정도의 뜸을 뜬다. 웬만한 것은 이것만으로 치유가 가능 하다.
                              류체(流涕 맑은 콧물)가 계속되면 찬죽(攢竹) 영향(迎香) 소료(素髎)등에 자
                              침(刺針) 한다.
                2) 최성기 : 병위가 주로 상반신이나 체표(體表) 등 양경(陽經)에 있으므로 전두부(前
                                頭部), 두정부(頭頂部), 후경부(后頸部), 견배부(肩背部)에 산침하고 실증
                                (實症)을 나타내는 수족양경(手足陽經)을 사(瀉)한다.
                                최성기(prime)은 곧 양성음허(陽盛陰虛)를 의미하므로 신경(腎經), 간경
                                (肝經), 비경(脾經), 폐경(肺經) 등의 음경(陰經)을 보(補)한다.
                                두통(頭痛 Headache)이 심하면 백회혈(百會穴)과 두유혈(頭維穴)을 瀉한
                                다.
    8.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① 合谷(합곡, 原), 列缺(열결), 外關(외관), 大椎(대추), 風池(풍지)
                              ② 合谷(합곡, 原), 風池(풍지).
            足太陽膀胱經 ① 風門(풍문), 五處(오처), 身柱(신주), 尺澤(척택).
                              ② 大杼(대저), 風池(풍지), 風門(풍문), 肺兪(폐유).
            手少陽三焦經 ① 外關(외관,絡), 大椎(대추), 曲池(곡지), 合谷(합곡).
                                  - 風寒感冒 加 列缺(열결, 絡), 風熱感冒 加 尺澤(척택, 合).
                              ② 外關(외관), 百會(백회), 合谷(합곡), 列缺(열결).
              足少陽膽經 ① 承靈(승령), 風池(풍지), 大椎(대추), 合谷(합곡) 外關(외관) 太陽(태양).
                              ② 風池(풍지), 大椎(대추), 合谷(합곡).
        2) 處方 ① 大椎(대추), 外觀(외관), 列缺(열결).
                  ② 風池(풍지), 大椎(대추), 合谷(합곡).
        3) 流行性(유행성) : 時行感氣(시행감기)
            ⑴ 足太陽膀胱經 ① 風門(풍문,督脈,足太陽의 會).
                                  ② 風門(풍문) 加 大椎(대추), 合谷(합곡)., 針刺后附缸(침자후부항)을
                                      한다.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督脈 : 大椎(대추), 風池(풍지), 曲池(곡지).
            ⑵ 毒感 -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手足少陽,陽維의 會)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