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6-24 15:03
[동의진단학] 三. 팔강(八綱) 4. 허실(虛實)
 글쓴이 : admin
조회 : 11,296  
4. 허실(虛實)
    1) 허실(虛實)의 개념(槪念)
        허실을 통해 사기(邪氣)와 정기(正氣)의 성쇠(盛衰)를 판별(判別)한 수 있다. 허(虛)는 정기
        가 부족(正氣不足)함을 설명하고 실(實)은 사기가 왕성(士氣旺盛)함을 설명한다. 변증(辨
        證)은 허실(虛實)로 구분되고 또 허실(虛實)은 표리(表里), 한열(寒熱)과 연계(連系)되며 복
        잡한 증후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질병(疾病)의 발전과정(發展過程)에서 허실(虛實)은 상호
        간(相互間)에 전변(轉變)될 뿐만 아니라 또 허실이 착잡(虛實錯雜)한 증상들도 나타나는 것
        이다.
        허실(虛實)의 치료원칙(治療原則)으로써 실증(實證)은 공(攻)하여야 하고, 허증(虛證)은 보
        (補)하여야 하는데 오로지 변증(辨證)이 정확하여야만이 비로서 공보(攻補)가 적합하며 허
        허실실(虛虛實實)의 착오(錯誤)를 피면(避免)할 수 있는 것이다.
    2) 임상표현(臨狀表現)
        ⑴ 허증(虛證)
            허증은 인체의 정기(正氣)가 허약(虛弱)하여 나타나는 각종 증후(證候)들을 개괄(槪括)
            한 것이다. 허증의 형성은 선천성부족(先天性不足)과 후천성실조(后天性失調) 로 인한
            증후로 보는데 그중에 후천성실조가 보다 주요한 원인(原因)이 되고 있다. 즉 음식실조
            (陰食失調)로써 후천성결핍(后天性缺乏)이 거나 칠정의 자격(七情刺激)과 과도(過度)
            한 피로(疲勞)로써 장부(臟腑)의 기혈(氣血)이 손상되거나 성생활(性生活)이 과도하여
            신(腎)의 원기(元氣)를 손상시켰거나 제때에 치료하지 못한 오랜 병으로 정기(正氣)를
            손상시킨 등의 원인에 의해 허증(虛證)이 형성(形成)되는 것이다.
            허증(虛證)은 음(陰), 양(陽), 기(氣). 혈(血), 정(精), 진액(津液) 및 장부(臟腑)가 손상
            된 각종의 증후들을 포괄(包括)한다. 이 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陽)과 음(陰)이 손상
            (損傷)되었을 때의 증후만을 소개 한다. 
            임상표현(臨狀表現)
            양허(陽虛) : 면색은 담백색(淡白色) 혹은 위황색(萎黃色)을 나타내고, 정신위미(精神萎
                            靡), 피로(疲勞), 사지궐냉(四肢厥冷), 자한(自汗), 변당(便溏), 소변자리(小
                            便自利) 공제불가(控制不可), 설실태백(舌實苔白), 맥허침지(脈虛 沉遲).
            음허(陰虛) : 오심번열(五心煩熱), 소수(消瘦), 면홍(面紅), 구간(口干), 조열도한(潮熱 
                            盜汗), 설홍태소(舌紅苔少), 맥허약삭(脈虛弱數). 
            분석(證候分析)
            허증(虛證)의 표현은 각기 부동(不同)하므로 전면적으로 개괄(槪括)  하기 곤란(困難)하
            지만 흔히 볼 수 있는 증후는 음허증(陰虛證)과 양허증(陽虛證)이다. 만일 양허(陽虛)인
            때에는 양(陽)이 온운(溫運)과 통솔(統率)기능이 하강되므로 면색이 희고 사지(四肢)가
            차며 맥이 없고 피로(疲勞)하며 숨이 차고 대변이 묽고 소변을 공제(控制)하지 못하는
            증상을 볼 수 있다. 만일 음(陰)이 허한 때에는 음(陰)이 양(陽)을 억제하지 못하므로 자
            양(滋養)하고 습윤(濕潤)시키는 기능을 잃으므로 손과 발바닥 및 얼굴에 열이 나고, 몸
            이 여위며 얼굴이 붉고, 오후해질녘에 열(熱)이 나며, 잠자리에 땀을 흘리는 증상을 볼
            수 있다.
            양(陽)이 허(虛)하면 음한(陰寒)이 성(盛)해 지므로 설(舌)이 실(實)하고 색이 희며 맥허
            침지(脈虛沉遲)하다. 음(陰)이 허(虛)하면 양(陽)이 항진(亢進)되므로 설(舌)이 붉고, 설
            태가 적으며, 맥이 약하고 빠르다. 
        ⑵ 실증(實證)
            실증은 인체가 외사(外邪)의 침습(侵襲)을 받거나 혹은 병리적(病理的) 산물(産物) 즉
            담음(痰飮)과 어혈(瘀血) 등이 모여서 발생하는 각종 임상증후(臨床證候)를 개괄(槪括)
            한 것이다. 실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침습(侵襲)한 외사(外邪)가 강(强)하고, 체내(体內)의 정기(正氣)도 왕성(旺盛) 
            하여 정사(正邪)의 투쟁(鬪爭)이 격열(激烈)한 가운데 발생(發生)되는 것이고, 다른 하
            나는 내장(內臟)의 기능이 실조(失調)되어 담음(痰飮), 수습(水濕), 어혈(瘀血) 등 병리
            적(病理的)인 산물(産物)이 체내에 정유(停留)되어 발생되는 것이다. 침습(侵襲)한 외사
            (外邪)의 성질(性質)과 산생(産生)하는 병리산물(病理産物)이 각기 다름에 따라 나타나
            는 증후표현(證候表現)도 부동(不同)한 것이다.
            임상표현(臨狀表現)
            병을 일으키는 사기(邪氣)의 성질(性質) 및 부위(部位)가 부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실증
            (實證)의 증상(症狀)들도 동일하지 않다. 흔히 나타나는 증상(症狀)들로써는 발열(發
            熱), 복만통(腹滿痛), 거안(拒按), 흉민(胸悶), 번조(煩躁), 심칙(甚則) 정신혼미(精神昏
            迷), 섬어(譫語), 숨소리가 크고, 담다(痰多), 대변간결(大便干結) 혹은 설사(泄瀉), 후중
            (后重),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을 깨끗하게 보지 못하고, 아프며, 설창백간(舌蒼白
            干), 설태후니(舌苔厚膩), 맥실유력(脈實有力).
            증후분석(證候分析)
            사기(邪氣)가 성(盛)하여 정기(正氣)와의 투쟁이 심하면 양열(陽熱)이 항진(亢進)되므
            로 열(熱)이 나고 실사(實邪)가 심(心)을 소란 시키거나 심신(心神)을 몽폐(蒙蔽)시키면
            번조(煩躁)해 하거나 심지어 정신이 혼미(精神昏迷)되어 헛소리를 치며 사기(邪氣)가 폐
            (肺)에 울체(鬱滯)되어 폐(肺)의 선발숙강(宣發肅降) 기능이 실조(失調)되면 가슴이 답
            답하고 숨이 차며, 담이 성(痰盛)해져 가래 소리가(痰鳴) 난다. 수습(水濕)이 체내에 정
            지(停止)되므로 기(氣)의 순행(循行)이 순리(順利)롭지 못하여 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다. 습열(濕熱)이 방광(膀胱)에 침습되면, 소변을 깨끗하게 보지 못하고 아프다. 사기(邪
            氣)와 정기(正氣)가 상호(相互) 투쟁(鬪爭)하여 혈맥(血脈)을 충격(衝擊)하므로 맥이 실
            (實)하고 유력하다. 습사(濕邪)사 증발되어 올라오므로 설태는 두텁고 미끈거린다.

    3)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의 관계
        ⑴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의 감별요점
            허증과 실증은 정기(正氣)가 허(虛)하거나, 사기(邪氣)가 성(盛)한 본질적인 차이를 가
            지고 있으나 양자는 흔히 상호(相互) 겸(兼)하여 나타나고 있으므로 반드시 상세히 관찰
            (觀察)하여야 구별(區別)할 수 있는 것이다. 감별의 관건  은 아래와 같다. 
            ① 병정(病程) : 일반적으로 병의 기일이 긴 것은 허증(虛證)이고 병의 기일이 상대적으
                                로 짧은 것은 실증(實證)이다.
            ② 음성(音聲) : 허증(虛證)은 정기가 부족(正氣不足)하므로, 소리가 낮고(聲低), 실증
                                  (實證)은 사기와 정기가 모두 왕성(邪正旺盛)하므로 소리가 높고 강(高
                                  强)하다.
            ③ 동통(疼痛) : 허증은 눌러주는 것을 즐기고(虛證喜按), 이로 인해 동통(疼痛)이 경(輕
                                해지고, 실증(實證)을 사기가 왕성(邪氣旺盛)하여 누르면 통증이 심하
                                여 (按之痛甚) 누르지 못하게 한다(拒按).
            ④ 설상(舌狀) : 실증(實證)은 위기(胃氣)와 사기(邪氣)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설태(舌苔)
                                가 두텁지만 허증(虛證)은 사기(邪氣)가 없으므로 설태가 엷다.
            ⑤ 맥상(脈象) : 실증(實證)은 사기(邪氣)가 성(盛)하므로 맥박(脈搏)이 힘이 있으나 허
                                증(虛證)은 정기(精氣)가 허(虛)하므로 맥(脈)이 침(沉)하고 무력(无力)
                                하다.
        ⑵ 허실(虛實)의 착잡(錯雜), 전화(轉化)와 진가(眞假)
            질병(疾病)은 복잡(複雜)한 한 과정으로써 체질(体質), 치료(治療), 병간(病看, 護理) 등
            과 관계되는 것이므로 허증(虛證)과 실증(實證)이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상호(相互) 전
            화(轉化)될 수 있는 것이다. 또 가상(假象)이 나타날 때도 있으므로 세심히 관찰(觀察)하
            지 않으면 오진(誤診)하기 쉬운 것이다. 
            ① 허실(虛實)의 착잡(錯雜)
                허증(虛證)에 실증(實證)이 겸하고, 실증(實證)에 허증(虛證)이 겸(兼)하거나 혹은 허
                실(虛實)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은 모두 허실(虛實)이 착잡(錯雜)된 증후(證候)이다.
                예를 들면 표허리실(表虛里實), 표실리허(表實里虛), 상허하실(上虛下實), 상실하허
                (上實下虛) 등이 이러한 것이다.
                허실착잡(虛實錯雜)한 증후의 치료(治療)는 공보겸시(攻補兼施)의 치칙(治則)을 사
                용(使用)한다. 공보겸시의 방법을 사용할 때는 허실의 주차(虛實主次)를 분별(分別)
                하여야 하며, 약(葯)을 쓸 때도 경중의 주차(輕重主次)를 구분(區分)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부녀들의 간혈노증(干血癆證)에서는 형체(形体)가 초췌(憔悴)하고, 신체
                (身體)가 허약(虛弱)하며, 피부가 간조(皮膚干燥)하고, 오심번열증(五心煩熱證)이 나
                타나며, 소식(消食)하는 것으로 보아 허상(虛象)이 명확(明確)하지만 설질(舌質)은
                자색(紫色)이고, 혀의 변두리로 어점이 있으며(舌邊有瘀点), 월경(月經)이 정지(停
                止)되어 오래 오지 않고 맥은 삽(脈澁)하며, 힘이 있는데 이것은 허증(虛證)에 실증
                (實證)을 겸한 것이다.
                치료(治療)할 때는 반드시 어혈(瘀血)을 제거(除祛)하고 새롭게 혈(血)을 산생시키는
                방법(方法)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 고창병(臌脹病)으로 오래 고생하는 환자(患者)에 있어서는 그 증상으로는 배가 붓
                고 배의 근맥(筋脈)이 나타나며(靑筋暴露), 면색황암(面色黃暗), 광택(光澤)이 없으
                며, 형체(形体)가 허약(虛弱)하고, 사지에 부종(四肢浮腫)이 생기며, 식사(食事)를 하
                면 도리어 병이 중해지고,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설(舌)은 심홍색(深紅色)이며, 설
                태는 간조(舌苔干燥)하고, 조잡(粗雜)하며, 누렇고 끈끈하고(黃粘), 맥유완(脈濡緩)
                치료(治療)할 때는 공보겸시(攻補兼施)의 치칙(治則)을 사용하거나 보(補)를 위주로
                하는 동시에 공(攻)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외에 허약한 체질의 사람이 실증(實證)
                인 질병(疾病)에 걸렸거나, 건강(健康)한 사람이 실혈(失血) 혹은 허로증(虛勞證)에
                걸렸을 때의 치료도 역시 부동(不同)하다.
                본절(本節)에서는 실증(實證)에 허증(虛證)을 겸했을 때, 허증(虛證)에 실증(實證)을
                겸(兼)했을 때와 허실(虛實)이 동시(同時)에 나타나는 3가지 병증을 소개한다.
                ㈀ 실증(實證)에 허증(虛證)을 겸(兼)했을 때
                    이러한 병증은 실증인 병리과정(病理過程)에서 정기(正氣)가 더욱 손상(損傷)되었
                    거나 혹은 원래 본질(本質)이 허약한 환자가 또 새롭게 외사(外邪)의 침습(侵襲)
                    을 받은 것에 의하여 형성(形成)되는 것이다.
                    이 병증의 특징은 실사(實邪)가 주요(主要)한 것이고, 정허(正虛)는 차요(次要)한
                    것이다. 예를 들면 외감상한(外感傷寒)일 때 한(汗)을 내거나 토(吐)하고, 설사(泄
                    瀉)시키는 방법으로 치료한 후 배가 뜬뜬하고 트림(噯氣)이 나는 증상이 나타나는
                    데 이것은 위(胃)에 담습(痰濕) 혹은 사기(邪氣)가 어지럽게 어체(瘀滯)되어 있기
                    때문이며 위기(胃氣)가 손상(損傷)되어 실증(實證)에 허증(虛證)을 겸한 병증(病
                    證)이다.
                ㈁ 허증(虛證)에 실증(實證)을 겸(兼)했을 때
                    이러한 병븡은 일반적으로 실증(實證)이 심(甚)하고, 병(病)이 오래 지속되어 정기
                    (正氣)가 손상되고 아직 사기(邪氣)가 체내(体內)에 남아있는 병자(病者)에게서
                    볼 수 있다. 이 외에 평상시(平常時)에 허약(虛弱)한데다가 다시 외사(外邪)의 침
                    습(侵襲)을 받은 환자에게서도 볼 수 있다.
                    이 병의 특징은 정허(正虛)가 주요(主要)한 것이고, 실사(實邪)가 차요(次要)한 것
                    이다. 예를 들면 이병은 보통 신음(腎陰)이 손상(損傷)된 춘온병(春溫病)의 말기에
                    나타나는 사열(邪熱)이 간(肝)과 신(腎)의 음(陰)을 손상(損傷)시킨 것으로 사기
                    (邪氣)는 경(輕)하지만 허증(虛證)이 심(甚)한 증후에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
                    한 때에는 저열(低熱)이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어서 설색(舌色)은 심홍색(深紅色)
                    을 띠는 증상들이 나타나는데 자음양액(滋陰養液)의 보법(補法)을 위주(爲主)로
                    하는 동시에 체내에 남아 있는 사기(邪氣)를 제거(除祛)하는 방법으로 치료 하여
                    야 한다.
                ㈂ 허실(虛實)이 동시(同時)에 나타났을 때
                    이러한 병증은 아래의 2가지 원인(原因)에 의해 발생(發生)된다.
                    하나는 원래(原來) 엄중(嚴重)한 실증(實證)으로써 오랜 시간 경과하여 정기(正
                    氣)는 손상(損傷)되었으나 실사(實邪)가 감소(減少)되지 않았을 때 볼 수 있다.
                    또 하나는 원래(原來)부터 정기(正氣)가 극히 허약(虛弱)한 기초상(基礎上)에서
                    또 다시 중(重)한 사기(邪氣)가 침습되었을 때에 볼 수 있다.
                    특징은 정허(正虛)와 사실(邪實)이 모두 분명하므로 질병은 비교적 심(甚)한 것이
                    다. 예를 들어 어린이 들이 음식에 체한 병증에서 음식이 채 소화되지 않은 묽은
                    대변을 보며 복창(腹脹), 소수(消瘦), 오후에 번조(煩躁)해 하고, 음식증다(飮食增
                    多) 설태는 두텁고 어지러우며 맥세현(脈細弦)한 증상(症狀)들이 나타난다.
                    병은 식체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써 비(脾)와 위(胃)를 손상(損傷)시켜 허실(虛實)
                    이 동시에 나타나므로 치료에는 소화기능(消化機能)을 돕는 약(葯)을 동시에 써야
                    한다. 
            ② 허실(虛實)의 전화(轉化)
                질병(疾病)의 발전과정(發展過程)은 즉 정기(正氣)와 사기(邪氣)가 투쟁 하는 과정
                (鬪爭過程)이다. 사(邪)와 정(正)의 투쟁(鬪爭)이 증후상(證候上)에서의 반응은 허실
                (虛實)의 변화(變化)로 나타난다. 질병의 발전과정에서 어떤 병은 원래는 실증(實證)
                이지만 병사(病邪)가 오래 동안 머물러 있으므로 해서 정기(正氣)를 손상(損傷)시키
                고 허증(虛證)으로 전화(轉化)되는 것이다. 또 어떤 것은 정기(正氣)가 허(虛)하여 장
                부(臟腑)의 기능이 실조(失調)되면서 담(痰), 혈(血), 음식물(飮食物) 등이 응결(凝
                結)되어 병(病)을 일으키는데 이것은 허증(虛證)으로부터 실증(實證)으로 전화(轉化)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발열(發熱), 구간(口干), 한출(汗出), 맥대(脈大) 등이 나타나는 것은 실열
                증(實熱證)이지만 치료(治療)가 합당하지 못해 병(病)이 오래 지속된다면 진액(津液)
                과 기(氣)를 손상(損傷)시키므로 소수(消瘦), 면색창백(面色蒼白), 식욕감퇴(食欲减
                退) 등으로 허약해지고, 기단(氣短), 설태박혹무(舌苔薄或无) 맥약무력(脈弱无力)
                등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실증(實證)으로부터 허증(虛證)으로 전변(轉變)되는 것
                이다.
                또 원래 심비(心脾)의 기(氣)가 허약(虛弱)하며, 심계기단(心悸氣短)의 증상이 나타
                나며 오랜 동안 치료하였으나 낫지 않을 뿐 아니라 갑자기 기(氣)가 허(虛)하고, 혈
                (血)이 울체(鬱滯)되어 심맥(心脈)이 막혀서 일어나는 증후(證候)이다. 이것은 허증
                (虛證)이 실증(實證)으로 전변(轉變)된 것으로써 임상에서는 활혈화어(活血化瘀)와
                지통(止痛)하는 방법으로 치료(治療)하는 것이 마땅하다.
            ③ 허실(虛實)의 진가(眞假)
                허증과 실증에도 진가(眞假)의 구별(區別)이 있다. 한편 허실(虛實)의 진가(眞假)와
                허실(虛實)의 착잡(錯雜)은 증후(證候)가 같지 않으므로 감별(鑒別)에 주의를 요한
                다.
                ㈀ 가실(假實) : 복부(腹部)가 그득하지만 실증(實證)과 같지 않고, 배가 뻐근하고 아
                                    프며 때로는 심(甚)하고, 때로는 경(輕)하지만 실증(實證)처럼 계속
                    뻐근히 아픈 것이 아니며, 배가 그득하지만 누르면 아픔이 감소(減少)되며, 맥은
                    현맥(弦脈)이지만 동시에 침지(沉遲)한 맥을 겸(兼)한 것들이 가실증(假實證)이
                    다.
                ㈁ 가허(假虛) : 말을 하기 싫어하지만 말을 시작하면 소리가 높고 탁하며, 설사(泄瀉
                                    를 하지만 설사(泄瀉)후에 도리어 편해지고, 음식을 먹지 않지만 어
                    떤 때에는 먹을 생각이 있거나 혹은 먹을 때도 있으며, 피로(疲勞)하지만 좀 움직
                    이면 도리어 피로가 가시고, 흉복창만(胸腹脹滿), 동통점심(疼痛漸甚), 통처고정
                    (痛處固定) 등이 가허증(假虛證)이다.
 
                옛 사람들은 맥상(脈象)과 설상(舌象)에 의해 허실진가(虛實眞假)를 구별(區別)해야
                한다고 강조(强調)하여 왔던 것이다. 그러나 임상에서는 허실(虛實)의 진가(眞假)를
                판단하려면 맥상(脈象)과 설상(舌象) 뿐만 아니라 주의하여야할 몇 가지를 아래와 같
                이 소개 한다.
                ㉠ 맥상(脈象)이 힘이 있는 가, 없는 가 신(神)이 있는 가, 없는 가, 부취(浮取)할 때에
                    는 어떤 맥(脈)이 나타나고 침취(沉取)할 때는 어떠한 맥이 나타나는 가 등을 구별
                    하여야 한다.
                ㉡ 설질(舌質)이 실 한가, 연 한가 아니면 여위고, 마르는가를 구별(區別)하여야 한다
                ㉢ 음성이 높은가 낮은 가를 구별하여야 한다.
                ㉣ 환자의 체질강약(体質强弱), 발병원인(發病原因)의 신구(新舊) 및 치료과정(治療
                    過程)을 분석하여야 한다.
                이상에 소개한 4가지는 허실(虛實)의 진가(眞假)를 판별(判別)하는 요점(要点)이다.
                이외에도 보다 중점적이고, 의심할 만한 증상(症狀)을 중시(重視)하여야 만 허실(虛
                實)의 진가(眞假)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⑶ 허실(虛實)과 표리한열(表里寒熱)의 관계(關系)
            허실(虛實)과 표리한열(表里寒熱)의 반영에 의해 형성(形成)되는 증후(證候)로써 임상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표허(表虛), 표실(表實), 리허(里虛), 리실(里實), 허열(虛
            熱), 실열(實熱), 허한(虛寒), 실한(寒) 등의 병증(病證)이다. 
            ① 표허증(表虛證) : 표허증은 2가지가 있다. ㈀ 풍사(風邪)에 침습되어 나타나는 표허
                                      증(表虛證)으로써 외감병(外感病)의 표허증이고 ㈁ 폐(肺)와 비(脾)
                의 기허(氣虛)로써 위기(衛氣)가 체표(体表)를 고섭(固攝)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것으
                로써 내상병(內傷病)의 표허증(表虛證)이다. 
                표현(臨狀表現)
                ㈀ 외감(外感) : 두통(頭痛), 경항강직(頸項强直), 발열한출(發熱汗出), 오풍(惡風),
                                      맥부완(脈浮緩).
                ㈁ 내상(內傷) : 자한(自汗), 이우감모(易于感冒), 면색창백(面色蒼白), 기단(氣短) 동
                                    칙우심(動則尤甚), 피곤(疲困), 핍력(乏力), 식욕감퇴(食欲减退), 변
                    당(便溏), 설태백(舌苔白), 맥세약(脈細弱) 등 기허증(氣虛證)의 증상들이  나타
                    난다. 
                분석(證候分析)
                ㈀ 외감(外感) : 풍사(風邪)가 침습되어 일어나는 표허증(表虛證)이다. 풍사(風邪)가
                                    태양경(太陽經)을 속박하므로 양기(陽氣)는 체표로 떠오르므로 열
                    (熱)이 나고 주리(腠理)가 치밀하지 못하여 땀구멍이 열리므로 땀이 나고 바람을
                    싫어하며 풍사(風邪)가 체표를 침범하였으므로 맥이 부완하다.
                ㈁ 내상(內傷) : 주요하게 폐(肺)와 비(脾)의 기(氣)가 허(虛)하여 형성(形成)되는 것
                                    으로 폐(肺)는 피모(皮毛)를 주관하고, 비(脾)는 근육(筋肉)을 주관하
                    므로 기(氣)가 허(虛)하면 체표의 주리(腠理)가 치밀하지 못하게 되고, 위기(衛氣)
                    가 체표를 보위(保衛)하지 못하므로 한(汗)이 저절로 나며, 저항력(抵抗力)이 낮아
                    지므로 감기에 쉽게 걸리게 된다. 폐(肺)와 비(脾)의 기가 허하므로 면색이 희고,
                    숨이 차며, 움직이면 심해지며, 피로하고, 식욕이 떨어지며, 대변이 묽고, 혀와 설
                    태가 희며, 맥이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지만 무력한 증상이 나타난다.
            ② 표실증(表實證) : 표실증은 외사의 침습을 받았을 때 양기(陽氣)가 체표에 집중(集中)
                                      되어 정기(正氣)와 사기(邪氣)가 투쟁하며, 주리(腠理)가 밀집되어 
                나타나는 증후(證候)이다. 
                임상표현(臨狀表現)은 표증(表證)인 증상외에 무한(无汗), 전신동통(全身疼痛) 맥부
                긴 (脈浮緊)이 특징이다. 보통 한사(寒邪)가 침습된 표한증(表寒證)에서 볼 수 있다.
            ③ 리허증(里虛證) : 리허증은 비교적 복잡하다. 즉 각 장부(臟腑), 경락(經絡), 음양(陰
                                      陽), 기혈(氣血)의 손상(損傷)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것은 리허증(里
                虛證)에 속한다. 상세(詳細)한 것은 관계되는 장절(章節)에서 소개하기로 한다.
                리허증(里虛證)을 만약 한열(寒熱)로 구분한다면 허한증(虛寒證)과 허열증(虛熱證)
                2 가지로 나눈다.
            ④ 리실증(里實證) : 리실증도 비교적 복잡하다. 각 장부경락조직(臟腑經絡組織)과 관계
                                      될 뿐만 아니라 또 여러 가지 부동(不同)한 사기(邪氣)와 관계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병증(病證)은 상관되는 장(章)에서 소개(紹介)하기로 한다.
                리실증(里實證)을 만약 한열(寒熱)로 구분 한다면 실한증(實寒證)과 실열증(實熱證)
                2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⑤ 허한증(虛寒證) : 허한증은 체내의 양기(陽氣)가 허약하여 일어나는 증후(證候)이다.
                표현(臨床表現) : 정기휴허(正氣虧虛), 면백(面白), 사지궐냉(四肢厥冷), 오한(惡寒),
                                      복통희안(腹痛喜按), 변당(便溏), 소변청장(小便淸長), 기단(氣短),
                                      핍력(乏力), 설태백(舌苔白), 맥약혹침지(脈弱或沉遲) 무력(无力).
                분석(證候分析) : 양기가 허약(陽氣虛弱)하므로, 추동기능(推動機能)과 기화기능(氣
                                      化機能), 하강(下降)되므로 정기(正氣)가 없고, 낮색이 희며, 숨이
                차고, 맥이 없으며, 혀가 희고 맥(脈)이 약하거나 침지(沉遲)지 하고 무력(无力)한 증
                상(症狀)이 생긴다. 양기(陽氣)가 허(虛)하여 신체를 온화(溫化)시키지 못하므로 사
                지가 싸늘하고, 추워하며, 복부가 쌀쌀하게 아프고, 대변이 묽으며 소변이 맑고 많이
                보게 된다.
            ⑥ 허열증(虛熱證) : 허열증은 체내의 음액(陰液)이 휴손(虧損)되어 일어나는 증후이다.
                표현(臨狀表現) : 권홍(顴紅), 신체허약(身体虛弱), 조열(潮熱), 도한(盜汗), 오심번열
                                      (五心煩熱)과 구갈(口渴), 설홍태박(舌紅苔剝), 맥세삭(脈細數).
                분석(證候分析) : 음액(陰液)이 휴손(虧損)되었으므로, 신체(身體)가 허약해지고, 음
                                      (陰)이 허(虛)하고 양(陽)을 억제(抑制)하지 못하므로, 허열(虛熱)
                이 생겨 체내를 요란 시키므로 양쪽 볼이 붉고, 오심번열(五心煩熱), 조열(潮熱)과 도
                한(盜汗)이 생긴다. 허열이 상염(虛熱上炎)하므로 얼굴이 붉고, 목이 마르며, 혀가 붉
                고, 태가 적다. 음혈이 부족(陰血不足)하여, 체내에 허열(虛熱)이 생기므로 맥이 세삭
                (脈細數)하다.
            ⑦ 실한증(實寒證) : 한사(寒邪)가 인체를 침습하여 양기(陽氣)를 울체(鬱滯)시킨 증후
                표현(臨狀表現) : 오한(惡寒), 희온(喜溫), 면색창백(面色蒼白), 사지냉(四肢冷), 복통
                                      거안(腹痛拒按), 장명음심(腸鳴音甚), 설사(泄瀉), 혹담명(或痰鳴),
                해수(咳嗽), 구담연다(口淡涎多), 설태백(舌苔白), 습윤(濕潤), 맥지혹긴(脈遲或緊).
                분석(證候分析) : 한사(寒邪)가 체내에 침습하여 양기(陽氣)가 울체(鬱滯)되므로 사
                                        지가 싸늘해지고, 음한(陰寒)이 응결(凝結)되고, 경맥이 통하지 않
                으므로 복통(腹痛)이 나타나며 누르지 못하게 하고, 양기(陽氣)가 위로 얼굴을 영양
                하지 못하므로 면색이 희고, 한사(寒邪)가 중양(中陽)을 울체시키므로, 운화기능(運
                化機能)이 실조(失調)되어 배에서 꾸룩꾸룩 소리가 나고 설사(泄瀉)한다. 만일 한
                (寒)이 폐(肺)를 침범하면 가래가 생기고, 기침이 나며 숨이 차다. 입이 담담하고 침
                이 많으며, 설태가 희고 습윤한 것은 모두 음한(陰寒)이 성(盛)한 증상(症狀)이다. 맥
                (脈)이 지(遲)하거나 긴(緊)한 것은 한(寒)이 혈행(血行)을 응체시킨 표현이다.
            ⑧ 실열증(實熱證) : 양열(陽熱)의 사기가 인체를 침습하고 진액(津液)이 열(熱)에 의해
                                      손상(損傷)되어 일어나는 증후이다.
                표현(臨狀表現) : 열심구간(熱甚口干), 희냉음(喜冷飮), 면홍목적(面紅目赤), 번조(煩
                                      躁) 혹정신혼미(或精神昏迷), 섬어(譫語), 복부창통(腹部脹痛) 거안
                (拒按), 대변간결(大便干結), 소변단적(小便短赤), 설홍태황(舌紅苔黃) 간조(干燥),
                맥홍활삭실(脈洪滑數實)하다.
                분석(證候分析) : 체내에 열사(熱邪)가 성(盛)하므로 열(熱)이 나고 찬것을 즐기며 화
                                        열(火熱)이 상염(上炎)하므로 얼굴과 눈이 붉어지며, 열(熱)이 심
                (心神)을 소란(騷亂)시킴으로 안정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정신이 혼미하고, 잡소리를
                하며, 열(熱)이 장도(腸道)와 위(胃)에 몰리므로 배가 뻐근하게 붓고 아프며 누르지
                못하게 하고, 대변이 굳으며, 열(熱)이 음액(陰液)을 손상하므로 소변 량이 적고 색
                이 진하며, 목이 마르고 찬물을 즐긴다. 혀가 붉고 태가 누런 것은 진액(津液)이 손상
                된 표현이며 열(熱)은 양사(陽邪)이므로 혈액(血液)을 추동(推動)시키며 맥이 홍,
                활, 삭, 실하게 나타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