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3-15 16:15
[침구임상(針灸臨床)] 중서 (中暑) - 중이염 (中耳炎)
 글쓴이 : admin
조회 : 7,850  
중서 (中暑)
    1. 參照文(참조문)
        1) 고열 (高熱)
        2) 열병 (熱病)
        3) 온병 (溫病)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陰心經 : 少冲(소충,井).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合,血郄).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井).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合), 勞宮(노궁,滎), 中冲(중충,井).
            督脈 :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水泃(수구).
            頭頸部奇穴 : 內迎香(내영향).
            上肢部奇穴 : 十宣(십선).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더위 먹은 증상 : 高熱(고열)
            足陽明胃經 ① 足三里(족삼리), 百會(백회), 水泃(수구), 太冲(태충).
                            ② 廬兌(려태), 百會(백회), 水泃(수구), 中冲(중충).
            手少陰心經 : 少冲(소충), 水泃(수구).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 十宣(십선), 人中(인중).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 委中(위중)에 點刺出血(점자출혈).
            督脈 ① 水泃(수구), 十宣(십선), 委中(위중, 出血).
                    ② 水泃(수구), 十宣(십선), 湧泉(용천), 委中(위중).
            上肢部奇穴 : 十宣(십선), 大椎(대추), 耳尖(이첨).
        2) 處方 ① 人中(인중), 百會(백회), 印堂(인당).
                    ② 人中(인중), 內關(내관), 十宣(십선).
    4. 中醫針灸學
        中暑(중서)는 여름에 발생하는 일종에 급성질병이다. 무더운 여름에 고온다습(高溫多濕)
        한 환경 혹은 뜨거운 햇빛에 오래 노출되면 중서가 발생된다.
        輕重(경중)에 따라 증상이 각이한데 머리가 어지럽고(頭暈), 頭痛(두통), 懊憹(오농), 嘔
        惡(구오)한 자는 傷暑(상서)라 부르고,갑자기 昏倒(혼도)한 자는 暑厥(서궐)이라 부르며,
        風(풍)을 이루는 자는 暑風(서풍)이라 부른다.
        懊憹(오농) : 《상한론》소개된 것이고 《왕필창․의계변증》에서는 “오농의 증상은 심하
                          의 열이 마치불과 같이 뜨거워 불안케 하는데 토하게 하면 멎는다.”라고 하
        였다. 이것은 횡격막 사이가 뜨겁고 嘈雜感(조잡감)이 나는 것을 자각하는 증상이다. 병
        부위가 횡격막의 명치끝에 있기 때문에 이를 心中懊憹(심중오농)이라고도 한다. 병인이
        대부분 표증인 것을 誤治(오치)로 發汗(발한)하지 않았거나, 瀉下葯(사하약)을 씀으로 해
        서 外邪(외사)가 里(리)로 들어가 횡격막에 자리 잡음으로써 병세가 胃部(위부)에 미치게
        되어 발생한다. 급성열병 혹은 위장염의 병적 과정에서 나타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中暑(중서)의 발생은 대부분 체질의 허약으로 暑熱(서열) 혹은 暑濕(서습)의 氣(기)가 인
        체를 침습하여 상한 것이다.
        輕證者 : 暑邪(서사)가 인체의 肌表(기표)를 鬱滯(울체)하여 表衛(표위)가 서로 소통되지
                    못하게 됨으로(失和), 땀이 밖으로 잘 나갈 수 없고(汗出不暢), 邪熱(사열)이 밖
        으로 나갈 수 없기(邪熱不得外泄)하기 때문에 몸에는 열이 나고(身熱), 머리가 아프며(頭
        痛), 머리가 어지럽고(頭暈), 땀이 적게 나는(少汗)등 증상이 나타난다. 暑氣(서기)의 열
        과 습이 안에 쌓이게(暑濕內蘊)되어 비와 위가 서로 조화롭지 못하고(脾胃不和)하면 속
        이 울렁거리고(惡心), 嘔吐(구토)하고, 음식을 먹으면 곧 토하게 되고(納呆), 懊憹(오농)
        등 증상이 나타난다.
        重證者 : 暑邪(서사)가 体表(체표)로부터 里(리)에 침습하게 됨으로 邪熱(사열)의 기세가
                    몹시 성(熾盛)하게 되면 계속하여 膈(격)을 침범하고 心竅(심규)를 덮어씌우게
        (蒙蔽) 됨으로 高熱(고열)이 나고 정신을 일고 쓰러져(혼도) 사지를 쭉 뻗고 부들부들 떠
        는(抽畜)등 증상이 나타난다.
        만약 暑熱(서열)의 기세가 성하며(熾盛) 기와 음이 모두 말라버리게 되어(氣陰兩竭) 구슬
        같은 땀을 흘리게 되고, 호흡이 짧고 급하며(短促), 얼굴색은 창백하고,팔다리(四肢)는
        冷(냉)해 지며, 맥은 脈微(미맥)이고 끊어지려(欲絶)하는 등 虛脫證狀(허탈증상)이 나타
        나는데 이는 위험한 현상이다.
        辨證論治(변증론치)
        1) 輕證 : 暑邪(서사)가 肌表(기표)를 가로막아(鬱滯) 表衛(표위)가 서로 소통되지 못함
                      으로(失和) 땀이 잘 나오지 못하고(汗出不暢) 사열을 밖으로 배설할 수 없기(邪
                      熱不得外泄) 때문에 몸에 열이 나고(身熱), 頭痛(두통)이 생기고, 머리가 어지
                      러우며(頭暈) 땀이 적고(少汗), 가슴이 답답하고(胸悶), 갈증으로 괴로워하며(
                      煩渴), 게을러지고 잠잘 생각만 하게 된다(倦怠思睡). 설태는 희고 찐득찐득하
                      며(舌苔白膩), 맥은 유삭(脈濡數)하다.
                      서사가 안에 싸이어(署內蘊) 비위가 조화롭지 못하면(脾胃不和) 속이 울렁거리
                      고(惡心) 嘔吐(구토)하고, 음식을 먹으면 속히 토하게(納呆)되고 懊憹(오농) 등
                      증상이 나타난다.
            原則 : 체표의 서사를 해제하고(解表淸署) 비위를 조화롭게 하고 습사를 제거한다(和
                      中化濕). - 督脈(독맥) 手足陽明(수족양명)과 膈經(격경, 心包經).
            處方 : 大椎(대추), 合谷(합곡), 陷谷(함곡),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方義 - 大椎穴(대추혈) : 督脈經穴(독맥경혈)에 속하고 인체의 모든 陽(양)이 모이는
                      곳(諸陽之會)이며 陷谷(함곡), 合谷(합곡)과 배합하여 막힌 위를 통하게 하고(
                      疏泄陽明(소설양명) 체표에 울체된  서사를 해제(解表淸暑)한다.,
                      內官穴 : 陰維脈(음유맥)을 통해 腹部(복부)속으로 들어가 胃(위), 心(심), 胸部
                                  (흉부)에 분포되고, 足三里(족삼리)와 배합해서 비위를 조화롭게 하
                      고 濕邪(습사)를 제거하며(和中化濕), 기를 보태어 正氣(정기)를 補(보)해(益氣
                      扶正) 暑邪(서사)가 속으로 侵犯(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萬若 - 頭痛(두통)이 甚(심)하면 : 加 頭維(두유) - 통증을 멎게(止痛) 하고 嘔吐
                                (구토)가 甚하면 : 加 中脘(중완) - 비위를 조화롭게 하여 구토를  멎게(
                                和中止嘔)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直刺(직자)하며 瀉法(사법)을 쓴다.
        2) 重證 : 暑邪(서사)가 体表(체표)에서 里(리)로 內傳(내전)되어 膈(격, 心胞)을 침범하
                      고 心竅(심규)를 덮어씌우며(蒙蔽), 몸에는 열이 성한데 땀이 나지 않으며(壯熱
                      无汗) 정신이 미혹(昏迷)하여 쓰러지고(昏倒), 살갗은 불로 지지듯 뜨겁고(肌
                      膚灼熱), 입과 입술은 건조(口乾脣燥)하며, 얼굴과 눈이 붉고(面紅目赤), 갈증
                      이 자주 나고 물을 많이 미시며(煩渴多飮)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煩躁不安)하
                      며, 근육이 경련으로 당기(抽畜)고, 미친 지랄병(瘈瘲), 설질이 붉고(舌質紅赤),
                      진액이 적으며(少津) 설태는 두텁고 끈적끈적(舌苔黃厚膩)하며, 맥은 홍삭(脈
                      洪數)하다.
                      嚴重者 : 땀은 많이 흘리며(大汗出), 얼굴색이 창백(面色蒼白)하고, 호흡은 짧
                                  고 급하며(呼吸短促), 팔다리가 말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오르고(四肢
                      厥冷), 정신은 혼미(昏迷)하고, 설질이 진한 빨간색(舌質紅降)에 태는 적으며
                      (苔少), 맥은 미삭(脈微數)하다.
            原則 : 서열을 제거하고(淸泄署熱) 정신을 차리게(開竅醒腦)한다.
                      - 督脈(독맥), 十宣穴(십선혈)을 위주로 치료한다.
            處方 : 百會(백회) 人中(인중), 十宣(십선), 曲澤(곡택), 委中(위중), 曲池(곡지)
            方義 - 百會(백회), 人中(인중) : 淸熱(청열), 醒腦(성뇌), 開竅(개규)하고.,
                      曲池(곡지), 十宣(십선) : 蘇厥止痙(소궐지경)한다.,
                      曲澤(곡택) : 手厥陰(수궐음)의 合穴(합혈)이고, 委中(위중)은 足太陽(족태양)
                                        의 合穴(합혈)인데 그 浮絡(부락)을 삼능침으로 点刺(점자)해서
                                        출혈하여 營血(영혈)의 暑熱(서열)을 瀉(사)한다.
            萬若 - 虛脫者(허탈자) : 神闕(신궐), 關元(관원)에 신속히 뜸(灸)을 떠서 - 양기를 회복
                                              하고 굳건하게 하여 탈증의 위험으로부터 구 한다(回陽固脫救
                                              逆).
                      抽畜(추축) 瘈瘲(계종) 환자 : 加 陽陵泉(양능천) - 筋이 쫄아 드는 것을 緩和시
                                                                                            킨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針刺(침자)하여 瀉法(사법)을 使用한다.
                      十宣(십선), 曲澤(곡택)은 三陵針(삼능침)으로 點刺出血(점자출혈)하고 땀을
                      흘리고 팔다리가 차고(汗出肢冷), 맥은 미하고 끊어질듯 한(脈微欲絶) 환자는
                      급히 神闕(신궐) 關元(관원)에 뜸(灸)을 뜬다.
    5. 耳針(이침)
        耳穴 : 神門(신문), 皮質下(피질하), 交感(교감), 心(심), 腎上腺(신상선), 枕(침), 耳尖(이
                  첨, 放血)
    6.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여름에 더위를 먹어 스스로 熱(열)이 나고, 小便(소변)이 不利(불리) 하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陰谷(음곡), 百勞(백노), 中脘(중완), 委中(위중), 氣海(기해), 陰陵泉
                                    穴(음능천혈)에 針刺(침자)한다.
            ② 여름에 더위를 먹어 大熱(대열)이 있고 癨亂(곽란)으로 인해 吐(토)하고 泄瀉(설사)
                한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委中(위중), 百勞(백노), 中脘(중완), 曲池(곡지), 十宣(십선), 三星(
                                    삼성), 合谷穴(합곡혈)에 針刺(침자)한다.
    7. 舍岩五行鍼解說
        1) 中暑(중서)
            見症 : 심장이 약하고(心弱), 頭痛(두통), 惡寒(오한), 팔다리 관절이 아프며(肢節痛),
                      마음이 괴롭고(心煩), 虛弱(허약)한 경우
            처방 ①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보), 然谷(연곡) 少海(소해) 曲澤(곡택) 瀉(사)한다.
                    ② 中渚(중저) 補(보), 曲澤(곡택) 瀉(사).
            가감 - 심장이 허약한 환자(心虛弱者) : 心正方(심정방) 특효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暑(서)는 六氣(육기)의 하나로써 夏月(하월)은 相火(상화)의 行令(행령)인지라
                    사람으로 하여금 그 氣(기)를 感(감)하면 口齒(구치)로부터 肺, 胃(폐,위)에 入(
        입)하여 흔히 身熱(신열), 汗出而喘(한출이천), 煩渴(번갈), 多言(다언), 倦怠少氣等證(권
        태소기등증)을 見(견)하며 혹은 下血(하혈), 發黃(발황), 生班(생반)하고 만일 心包(심포)
        에 侵入(침입)하여 血脈(혈맥)에 흩어져가지고 腦(뇌)에 들어가면 四肢축溺(사지축닉),
        不省人事(불성인사) 등 증을 訴(소)한다. 脈狀(맥상)으로 말하면《內經》에는 脈虛身熱(
        맥허신열)로써 傷暑(상서)라 하고 《金匱》에는 弦, 細, 芤, 遲(현,세,규,지)로 傷暑(상서)
        라 했다. 大槪(대개)가 暑(서)는 氣(기)를 傷(상)하고 形(형)을 傷(상)하지 않으므로 氣(기
        )가 消(소)하면 脈(맥)이 虛弱(허약)함으로써 일 것이다.大抵(대저) 脈(맥)이 오기를 虛大
        無力(허대무력) 혹은 小弱(소약)한 것은 모두 中氣(중기)가 本虛(본허)함인데 傷暑(상서)
        는 不足(부족)의 證(증)이 되는 것이므로 만일 洪盛(홍성), 數疾(삭질)의 脈(맥)을 得(득)
        하면 모두 時邪(시사)의 熱病(열병)을 感受(감수)한 有餘證(유여증)이 되며 만일 脈(맥)
        이 沉, 緊(침,긴)하다면 傷寒冷(상한냉) 및 中寒(중한)의 本脈(본맥)이오 傷暑(상서)의 脈
        (맥)은 아니므로 비록 夏月(하월)이라 하더라도 暑證(서증)과는 관계가 없으며, 만일 惡
        寒(오한)능 見(견)하고 혹은 四肢(사지)가 逆冷(역냉)하며 甚至於(심지어) 迷悶不省(미민
        불성), 霍亂吐利(곽란토리), 痰滯吐逆(담체토역), 腹滿瀉利(복만사리)하는 것은 모두다
        暑傷(서상)이 아니오 因暑自致(인서자치)의 病(병)이다. 治暑(치서)의 大法(대법)은 濕熱
        (습열)을 去(거)하고 心臟(심장)을 말키며 小便(소변)을 利(이)롭게 함을 위주하고 氣(기)
        가 傷(상)한 자는 眞氣(진기)를 補(보)해야 하는 것인데 舍岩(사암)은 內經(내경)의 暑汗
        煩則(서한번칙) 喘渴(천갈) 陰濕(음습) 靜則(정칙) 藏熱(장열)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上(
        상)의 見證(견증)을 列擧(열거)한 후에 “此(차)는 表也(표야)”라 하고  “暑者(서자)는 心
        弱(심약)”이라하여 心經正格(심경정격)을 用(용)하였을 뿐이므로 不得已原文(부득이원
        문)에 依(의)하여 아즉 抄記(초기)해 둔자.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單用(단용)에는 大敦(대돈) 少府(소부) 補(보), 陰谷(음곡),少海(소해) 瀉(사). 小兒(소아)
        인 경우에는 少冲(소충) 1穴(혈)을 補(보)하면 神效(신효)하다.
    8. 針灸大成
        1) 여름에 더위를 먹어 스스로 熱(열)이나고, 小便(소변)이 不利(불리)할 때 - 西江月 任
            脈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陰谷(음곡), 百勞(백노), 中脘(중완), 委中(위중), 氣海(기해), 陰陵泉(음
                                능천).
        2) 여름에 더위를 먹어 大熱(대열)이 나고, 癨亂(곽란)으로 구토 설사할 때.- 西江月 任脈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委中(위중) 百勞(백노) 中脘(중완) 曲池(곡지) 十宣(십선) 三星(삼성) 合
                                谷(합곡).
중습 (中濕)
    1. 參照文(참조문)
        1) 고창 (鼓脹)
        2) 부종 (浮腫)
    2. 舍岩道人針灸要訣
        1) 中濕 - 內傷 : 生冷(생냉)한 飮食(음식)으로 인하여 誘致(유치)된 內鬱性證(내울성증)
                                은 흔히 鼓脹(고창), 浮腫(부종) 등 증을 訴(소)한다.
                      處方 :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2) 中濕 - 外傷 : 陰雨霧露(음우무로)로 인하여 誘致(유치)된 外傷性濕證(외상성습증)은
                              흔히 重腿脚氣(중퇴각기) 等證(등증)을 訴(소)한다.
                      處方 : 丹田(단전) 陰谷(음곡) 補, 臨泣(림읍) 陷谷(함곡) 瀉.
                    ※ 註 : 본서에 인용된 丹田(단전)의 명은 14條(조)가 있으나 모두 正經穴名(정
                                경혈명)이 아니오 ① 十七椎下(십칠추하)에 在(재)한 족태양방광경의
                                關元兪(관원수). ② 臍下二寸(제하이촌)에 在(재)한 任脈經(임맥경), 石
                                門(석문) 兩穴(양혈)의 별명이 모두 丹田(단전)으로 되어 있다. 此(차)에
                                丹田(단전)은 果然何穴(과연하혈)을 지칭함인지 未詳(미상)하나 아즉
                                後者(후자)에 依(의)하여 解明(해명)해 둔다.
        3) 濕腫(습종) : 全身(전신)이 모두 헐되 腰(요)로부터 足(족)에 至(지)하기까지 尤甚(우
                              심)하며 氣(기)가 혹은 急(급), 혹은 不急(불급)하고 大便(대변)이 혹은
                              묽고 혹은 묽지 않기도 하다.
                    處方 : 大敦(대돈) 隱白(은백) 補, 經渠(경거) 商陽(상양) 瀉.
        4) 黃疸(황달) : 濕(습)과 熱(열)의 交結(교결) 때문에 分泌(분비)되는 膽(담)의 熱汁(열즙
                              )이 胃(위)의 濁氣(탁기)와 相倂(상병)되는 까닭에 皮膚(피부)와 眼目(안
                              목)이 모두 黃色(황색,(胃의 本色))을 發(발)하는 證.
                    處方 : 三里(삼리) 腕骨(완골) 內庭(내정) 臨泣(임읍) 陷谷(함곡) 瀉.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濕(습)은 重濁有質(중탁유질)의 邪(사)로서 外感(외감), 內傷(내상)등 傳入(전입
                    )의 經路(경로)는 다르다 하겠으나 外感(외감)의 濕(습)은 臟腑(장부)에 漸入(점
        입)하고, 內傷(내상)의 濕(습)은 經絡(경락)에 漸傳(점전)할 뿐으로 그 증상에 있어 ① 上
        에 在하면 頭痛(두통), 目黃(목황),鼻塞聲重(비색성중)하고, ② 中에 在하면 痞憫不舒(비
        민불서)하며, ③ 下에 在하면 足脛腑腫(족경부종)하고, ④ 經絡(경락)에 在하면 日晡發熱
        (일포발열), 筋骨疼痛(근골동통), 腰痛不能轉側(요통불능전측), 四肢痿弱痠痛(사지위약
        산통)하고, ⑤ 腐肉(부육)에 在하면 腫滿(종만), 按肉如泥(안육여니)하며, ⑥ 肢節(지절)
        에 在하면 屈伸强硬(굴신강경)하고, ⑦ 隧道(수도)에 在하면 重着不移(중착불이)하며,⑧
        皮膚(피부)에 在하면 頑麻(완마)하고,⑨ 氣血(기혈)에 在하면 倦怠(권태)하며 ⑩ 肺(폐)
        에 在하면 喘滿咳嗽(천만해수)하고 ⑪ 脾(비)에 在하면 痰涎腫脹(담연종창)하며 ⑫ 肝(
        간)에 在하면 脇滿癮疝(협만은산)하고 ⑬ 腎(신)에 在하면 腰痛陰汗(요통음한)한다. ⑭
        腑(부)에 入하면 腸鳴(장명), 嘔吐(구토), 淋濁(임탁), 大便泄瀉(대변설사), 後重(후중),
        小便秘澁(소변비삽), 黃赤(황적)하고, ⑮ 臟(장)에 入하면 昏迷不省(혼미불성), 直視無聲
        (직시무성) 等證(등증)을 訴(소)하기는 一般(일반)이다.
        舍岩(사암)의 治驗(치험)을 考察(고찰)하건데 內傷性濕證(내상성습증)에는 그 치료법칙
        을 주로 脾經(비경)에 두어서 嘈囃(조잡)과 같이 취급해 왔으며 伏兎穴(복토혈) 근처 및
        內股腹相下(내고복상하)에 結核(결핵) 또는 成膿氣(성농기)가 있는 것은 모두 濕熱(습열
        )에 의해 뭉친 것이라 하여 脾經正格(비경정격)의 治法(치법)으로 萬無一失(만무일실)
        을 壯談(장담)하였다.
        舍岩經驗方(사암경험방)
        1) 一男子(한 남자)가 年五十(연오십)에 兩脚(양각) 曲泉(곡천) 上으로부터 陰莖(음경)에
            이르기까지 左右(좌우)에 貫珠狀(관주상)의 結核(결핵)이 있고 風寒(풍한)을 싫어하
            여 出門(출문)하지 않은지 임의 屢日(루일)이며 때는 정히 夏末(하말)을 當(당)한지라
            濕氣(습기)가 方盛(방성)한 節氣(절기)이며 또한 右邊(우변)이 甚(심)하므로 少府(소
            부) 大都(대도) 補, 隱白(은백) 大敦(대돈) 瀉하기 一次(일차)에 痛證(통증)이 그치고
            痢疾(이질)이 作(작)하더니 제 3일 만에 두 가지 증세가 모두 掃然(소연)하더라 그러
            면 兩脚流注(양각류주)의 濕氣(습기)가 白痢(백리)로 변하여 없어진 것일까. . . . .
        2) 一女子(한 여자)가 年十餘歲(연십여세)에 잘못 南草田(남초전)에 蔓菁(만청)을 먹고
            菜毒(채독, 十二指腸虫)이 되어 痿黃幾死之境(위황기사지경)에 도달하였더니 脾經正
            格(비경정격)으로써 見効(견효)하였다.
중이염 (中耳炎)
        1. 參照文(참조문)
            1) 이농 (耳膿)
            2) 이창 (耳瘡)
            3) 이병(耳病)
            4) 외이도염(外耳道炎)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足陽明,少陽의 會).
                手太陽小腸經 : 聽宮(청궁,手足少陽과 會).
                手少陽三焦經 : 顱息(로식), 翳風(예풍,手足少陽의 會), 이문(耳門).
                足少陽膽經 : 聽會(청회), 上關(상관).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① 聽宮(청궁), 合谷(합곡), 外關(외관).
                                    ② 聽宮(청궁), 翳風(예풍), 合谷(합곡).
                手少陽三焦經 ①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中渚(중저).
                                    ② 耳門(이문), 翳風(예풍), 合谷(합곡).
            2) 處方 ① 翳風(예풍), 合谷(합곡).
                        ② 風池(풍지), 聽宮(청궁), 外關(외관).
            3) 消炎(소염) : 耳門(이문), 聽會(청회), 聽宮(청궁), 翳風(예풍), 中渚(중저), 外關(외
                                  관), 陽陵泉(양능천), 丘墟(구허).
            4) 聽宮(청궁), 合谷(합곡), 外關(외관).
            5)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中渚(중저).
            6) 外耳道炎 - 手太陽小腸經 : 聽宮(청궁,手足少陽과 會).
            7) 中耳炎 - 手太陽小腸經 : 聽宮(청궁,手足少陽과 會).
        4. 針灸大成解釋
            1) 中耳炎(중이염) : 瀉 聽會穴(청회혈) - 玉龍歌
        5. 中醫針灸學
            聤耳(정이)는 귓구멍에 발생하는 化膿性疾病(화농성질병)을 가리키는 것으로 고름의
            색이 黃色(황색)이면 경우이다.만일 고름의 색이 푸른색이 섞이면 囊耳(낭이)라 하고,
            백색이면 纏耳(전이)라 하며, 고름에서 취한 냄새가 나는 것을 耳疳(이감)이라 한다.
            西醫(서의)의 急性中耳炎(급성중이염)은 본절의 辨證論治(변증론치)를 참고한다.
            병인병기(病因病機)
            本證(본증)은 虛實(허실) 2가지로 나눈다. 實證(실증)은 膽火上炎(담화상염)으로 火毒
            (화독)이 귀에 침입되거나 外感風邪(외감풍사)로 熱毒內盛(열독내성)하여 灼傷肌膜(
            작상기막)하므로 化腐生膿(화부생농)한다. 虛證(허증)은 대부분 脾虛失健(비허실건)
            으로 濕濁不化(습탁불화)하며 귓속에 집결되어 발생한다.
            변증론치(辨證論治)
            1) 實證(실증)
                症狀 : 귀뿌리가 아프며, 黃色(황색)의 粘膿(점농)이 흐르고, 聽力减退(청력감퇴),
                          犮熱(발열), 頭痛(두통), 脘悶(완민), 便秘(변비)가 생기고, 舌質紅(설질홍)
                          苔黃(태황)하며 脈弦數(맥현삭)하다.
                治則 : 疏風淸熱(소풍청열), 解毒開竅(해독개규)
                          - 手足少陽經穴(수족소양경혈) 위주
                處方 : 風池(풍지), 翳風(예풍), 聽會(청회), 合谷(합곡), 外關(외관),足臨泣(족림읍).
                方解 : 瀉肝膽火(사간담화)이다.
                          足少陽經(족소양경)의 風池(풍지), 足臨泣(족림읍).-祛風淸熱(거풍청열)
                          合谷(합곡) + 外關(외관) : 淸熱解毒(청열해독).                   
                          翳風(예풍) + 聽宮(청궁) : 疏風開竅(소풍개규).
                  만일 熱甚(열심) : 加 大椎(대추), 關冲(관충). - 淸熱(청열)
                          頭痛(두통) : 加 太陽(태양), 上星(상성). - 消風鎭痛(소풍진통).
                治法 : 毫針瀉法(호침사법) 15~30분간 留針(류침)하며 매일 하번씩, 6번을 한 료
                          정으로 한다
            2) 虛證(허증)
                證狀 : 귓속에서 淸稀(청희)한 고름이 계속 나오며, 오래도록 낫지 않고,眩暈(현훈),
                          四肢倦怠(사지권태), 食少(식소), 面色黃(면색황), 便溏(변당), 舌質軟(설질
                          연), 舌苔薄白(설태박백), 脈濡弱(맥유약)
                治則 : 健脾化濕(건비화습).
                          - 手少陽(수소양), 足陽明(족양명), 足太陰經穴(족태음경혈) 위주
                處方 : 翳風(예풍), 足三里(족삼리), 陰陵泉(음능천).
                方義 : 手少陽經(수소양경) 翳風(예풍) - 通絡開竅(통락개규)
                          足三里(족삼리), 陰陵泉(음능천) : 健脾化濕(건비화습)
                  만약 眩暈(현운) : 加 脾兪(비수), 太白(태백) - 健脾(건비) 補益氣血(보익기혈)한
                                                다.
                治法 : 毫針補法(호침보법) 兼灸(겸구).
                          15~30분간 留針(류침)하며, 하루에 1번씩 10번을 1療程(료정)으로 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