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4-15 10:57
[침구임상(針灸臨床)] 해수기단 (咳嗽氣短) - 허로 (虛勞)
 글쓴이 : admin
조회 : 12,213  
해수기단 (咳嗽氣短)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 扶突(부돌).
                  足陽明胃經 : 氣戶(기호), 庫房(고방), 屋翳(옥예), 𥊹窗(응창), 乳根(유근), 足三里
                                    (족삼리), 豊隆(풍륭).
                  足太陰脾經 : 隱白(은백), 周榮(주영).
                  手太陽小腸經 : 肩中兪(견중유).
                  足太陽膀胱經 : 肺兪(폐수), 腎兪(신수), 魄戶(백호), 膏肓(고황), 神堂(신당), 譩譆
                                        (의희).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任脈 : 鳩尾(구미), 膻中(전중), 紫宮(자궁), 華盖(화개), 璇璣(선기), 天突.
                  督脈 : 至陽(지양), 身柱(신주), 大椎(대추).
              2) 水突(수돌).
              3) 俠白(협백), 孔最(공최), 尺澤(척택).
              4) 少商(소상), 大陵(대능).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氣短咳嗽 : 缺盆(결분), 肺兪(폐수).
              2) 手太陰肺經 : 少商(소상), 勞宮(노궁).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天突(천돌)
                  足陽明胃經 ① 庫房(고방), 屋翳(옥예), 膏肓(고황).
                                  ②人迎(인영), 氣舍(기사), 庫房(고방), 屋翳(옥예), 水突(수돌).
                  足太陰脾經 : 天溪(천계), 天府(천부).
                  足少陰腎經 ① 神藏(신장), 風門(풍문), 肺兪(폐수), 尺澤(척택).
                                  ② 兪府(수부), 風門(풍문), 肺兪(폐수), 膏肓(고황), 膻中(전중).
                  任脈 ① 巨闕(거궐), 中脘(중완), 天突(천돌).
                        ② 膻中(전중), 肺兪(폐수), 天突(천돌), 尺澤(척택), 列缺(열결).
                        ③ 子宮(자궁), 肺兪(폐수), 風門(풍문), 天突(천돌).
          3. 針灸經驗方 許任
              1) 기침하면서 숨을 헐떡거리고 물을 마시는 症狀(증상).
                  處方 : 太淵(태연), 神門(신문), 支溝(지구), 中渚(중저), 合谷穴(합곡혈).
해열 (解熱)
    1. 參照文(참조문)
        1) 중서 (中暑)
        2) 고열 (高熱)
        3) 열병 (熱病)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陽三焦經 : 陽池(양지,原).
        2) 暑熱(서열) : 足太陽膀胱經 - 委中(위중,合,血郄).
        3) 表熱(표열) :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해천 (咳喘)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扶突(부돌), 天突(천돌), 太溪(태계).
    3.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기관지 천식으로 숨이 차거나 가래가 성해서 막힐 때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豊隆(풍륭), 兪府(수부), 膻中(전중), 三里穴(삼리혈)에 針刺(
                                              침자)한다.
                      ② 기관지 천식으로 가슴과 횡격막이 갑자기 아프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彧中(욱중), 天突(천돌), 肺兪(폐수), 三里穴(삼리혈)에 針刺(
                                              침자)한다.
                      ③ 喘息(천식)으로 가슴에 氣(기)가 그득하며 肺(폐)가 팽팽하여 누울 수가 없
                          다.
                          處方 : 先刺 - 列缺穴(열결혈),
                                    后刺 - 兪府(수부), 風門(풍문), 太淵(태연), 中府(중부), 三里(삼리),
                                              膻中穴(전중혈)에 針刺한다.
해표 (解表)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穴(합혈, 原).
            督脈 : 陶道(도도,太陽經과 交會).
        2) 解表通陽 : 督脈 - 大椎(대추,手足三陽經의 交會).
해혈 (咳血)
    1. 參照文(참조문)
        1) 각혈 (咯血)
        2) 타혈 (唾血)
        3) 폐염 (肺炎)
        4) 출혈 (出血)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孔最(공최), 魚際(어제).
            項背腰部 : 百勞(백로).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 后溪(후계).
        2) 處方 ① 勞宮(노궁), 尺澤(척택).
                  ② 肺兪(폐수), 太淵(태연).
                  ③ 郄門(극문), 太谿(태계).
    4. 中醫針灸學
        咳血(해혈)
        ⑴ 肝火犯肺(간화범폐)
            證狀 : 기침이 나며 가래(痰)에 피가 섞이는 咯血(각혈)을 하는데 혈색은 鮮紅(선홍)
                      혹은 紫暗色(자암색)이고 가슴,옆구리가 당기며 아프고 煩躁(번조)하며 성(怒)
                      을 잘 내며, 소변이 붉고, 입이 쓰고(苦), 맥은 弦數(현삭)하다.
            治則 : 泄肝淸肺(설간청폐), 和絡止血(화락지혈).
                      手太陰(수태음), 手足厥陰經穴(수족궐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魚際(어제), 勞宮(노궁), 行間(행간), 肺兪(폐수).
            方義 : 魚際(어제), 肺兪(폐수). - 肺熱(폐열)을 瀉(사)하여 止血(지혈)하고
                      行間(행간)-肝火(간화)를 瀉(사)하여 逆氣(역기)를 눌러 혈을 所藏(소장)시키고
                      勞宮(노궁).- 血熱(혈열)을 제거하여 妄行(망행)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4穴(혈)을 배합하면 泄肝淸肺(설간청폐), 和絡止血(화락지혈)의 목적을
                      달성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20~30분간 留針(류침)하며 하루에 1
                      번씩 침자 한다.
        ⑵ 陰虛火旺(음허화왕)
            證狀 : 기침이 나며 가래(痰)는 적고 가래에 피가 섞이는데 색은 鮮紅色(선홍색)이고,
                      潮熱(조열), 盜汗(도한), 口乾咽燥(구건인조)하며, 양쪽 뺨이 붉고 신체가 여위
                      며 舌紅苔少(설홍태소)하고, 맥은 가늘고 빠르다(脈細數).
            治則 : 益陰養肺(익음양폐), 淸熱止血(청열지혈).
                      手太陰(수태음), 足少陰經穴(족소음경혈)을 위주로 취한다.
            處方 : 尺澤(척택), 魚際(어제), 孔最(공최), 百勞(백노), 然谷(연곡).
            方義 : 尺澤(척택)을 補(보)하고, 魚際(어제)를 瀉(사)하면 益肺陰(익폐음), 淸肺熱(청
                      폐열)하므로 止血(지혈)시키고 肺經(폐경)의 郄穴(극혈) 孔最(공최)와 經外寄
                      穴(경외기혈) 百勞(백노)는 益肺止血(익폐지혈)하며, 然谷(연곡)은 腎經(신경)
                      의 滎穴(형혈)로서 益陰淸熱(익음청열)한다.
            治法 : 毫針(호침)으로 주로 보법을 사용하며 때로는 보사를 겸한다.
행기이습 (行氣利濕) : 피부과상용수혈(皮膚科常用輸穴) 참조
          1. 상용혈(常用穴) : 태백(太白) 음능천(陰陵泉) 간수(肝兪) 내관(內關) 중극(中極)
허로 (虛勞)
    1. 參照文(참조문)
        1) 오로 (五勞)
    2. 針灸大成
        1) 극도(極度)의 허약증(虛弱證) : 고황혈(膏肓穴) 구법(灸法) - 玉龍歌
            ☆☆ 고황혈(膏肓穴)은 대다수(大多數)의 병(病)을 치료(治療)하는 요혈(要穴)이다.
        2) 만성과로(慢性過勞) 조잡(嘈囃) 창만(脹滿) : 장문혈(章門穴) - 勝玉歌
        3) 오로증(五勞症) 극도쇠약(極度衰弱) : 고황(膏肓), 백로(百勞, 大椎) 구후(灸后),구(灸)
            삼리혈(三里穴) 화기인하(火氣引下) - 行針指要歌
        4) 西江月
            ① 노인(老人) 허손(虛損) - 손발이 뒤틀려서 거동을 할 수 없을 때
                處方 : 先刺 - 조해혈(照海穴),
                          后刺 - 승산(承山), 양능천(陽陵泉), 임읍(臨泣), 태충(太冲) 척택(尺澤) 합곡
                                    혈(合谷穴).
    3. 舍岩道人針灸要訣
        1) 心虛(심허) : 顔面(안면)에 精光(정광)이 없으며 驚悸(경계), 盜汗(도한), 夢遺(몽유)등
                              證(증)을 訴(소)하고 極(극)한 즉 胸痛(흉통), 咽腫(인종).
                              - 天王補心丹(천왕보심단) 또는 古庵心腎丸(고암심신환) 證
                    處方 : 大敦(대돈) 少冲(소충) 補, 陰谷(음곡) 少海(소해) 瀉.
        2) 肝虛(간허) : 面目(면목)이 乾黑(건흑)하고 視力(시력)이 밝지 못하며, 자주 눈물을 흘
                              리고, 筋骨(근골)이 拘攣(구련)하며 極(극)하면 頭目(두목)이 昏眩(혼현)
                              한 증 - 雙和湯(쌍화탕) 또는 歸葺元(귀즙원) 또는 供辰丹(공진단) 증
                    處方 :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經渠(경거) 中封(중봉) 瀉.
        3) 腎虛(신허) : 腰痛(요통) 遺精(유정) 白濁(백탁), 極(극)하면 얼굴이 지저분하고, 등성
                              마루가 아픈 증 - 六味丸(육미환), 三一腎氣丸(삼일신기환) 증
                    處方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4) 肺虛(폐허) : 咳嗽(해수), 痰盛(담성),숨이 가쁘고(氣短), 咳血(해혈),極(심)하면 털(毛)
                              이 焦(초)하고 津液(진액)이 마르는 증.
                              - 獨參湯(독삼탕), 人參膏(인삼고) 證
                    處方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
        5) 脾虛(비허) : 속이 더부룩하고 먹지 못하며 極(심)하면 위로 吐(토)하고 아래로 사(瀉)
                              하며 살이 여위고(消瘦) 四肢无力(사지무력)하여 느리고 關節(관절)과 肩
                              背(견배)가 아픈 증 -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天眞元(천진원) 證
                    處方 : 少府(소부) 大都(대도) 補, 大敦(대돈) 隱白(은백) 瀉.
        6) 傷精(상정) : 七情(칠정)의 損傷(손상)으로 해서 潮汗(조한, 때를 맞추어 땀이나는) 痰
                              咳(담해)와 함께 먹지를 못히고(不可飮食), 精神(정신)이 昏暗(혼암)하며
                              눕기를 좋아하고(嗜臥), 遺精(유정), 뼈마디가(骨節) 痹痛(비통)한 증
                    處方 : 大敦(대돈) 陰谷(음곡) 經渠(경거) 太白(태백) 少府(소부) 補,
                              三里(삼리) 陽池(양지) 瀉.
        7) 老欲(노욕) : 嗜欲无常(기욕무상)으로 해서 如上(여상)의 證狀(증상)을 초래하는 
                    處方 : 經渠(경거) 太白(태백) 少府(소부) 補, 氣海(기해) 心兪(심수) 瀉.
        8) 眞元枯竭(진원고갈) : 虛勞日久(허로일구)해서, 眞元(진원)이 枯竭(고갈)되는 증
                    處方 : 經渠(경거) 通谷(통곡) 補,  中脘(중완) 正, 陽谷(양곡) 陽池(양지) 瀉.
        9) 元氣衰弱(원기쇠약) : 上(虛勞)과 如(여)한 證(증)으로 해서 元氣(원기)가 衰弱(쇠약)
                                          해진 것
                    處方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 支溝(지구) 然谷(연곡) 瀉.
      10) 遺精(유정) : 上記(虛勞)와 如(여)한 證(증)에 주로 遺精(유정)을 訴(소)하는 것
                    處方 : 復溜(복류) 經渠(경거)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11) 神靨(신엽) : 몽압(夢壓) 즉 꿈에 가위눌리는 것, 꿈에 귀신이 찍어 누르는 것.
                    處方 : 臨泣(림읍) 后谿(후계) 補, 通谷(통곡) 前谷(전곡) 瀉. (或 左小腸正方, 右
                            心正方)
      12) 神交(신교, 鬼交)
            ① 꿈에 神(신)과 相接(상접)하는 症
                處方 : 期門(기문) 日月(일월) 膻中(전중) 補,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
            ② 귀신(鬼神)이 보이는 증 - 針灸經驗方 許任
                處方 : 양곡혈(陽谷穴).
      13) 황홀(恍惚) : 神知(신지)가 明瞭(명료)하지 못한 것
                    處方 : 丹田(단전) 迎, 氣海(기해) 斜, 陽谿(양계) 補, 太白(태백) 瀉.
      14) 노채(癆瘵) : 西醫(서의) 肺結核(폐결핵)으로서 소위 先後天不足(선후천부족).
                              肺勞(폐로)는 초기, 勞瘵(노채)는 2 期 이상 넘어선 症狀.
            症見 : 上(상, 虛勞)과 如(여)한 증이 日久(일구)함으로써 虫(충)이 生(생)하여 주로 肺
                      (폐)를 侵蝕(침식)하는 것이니 咯血(각혈), 痰嗽(담수), 遺精(유정), 泄瀉(설사),
                      潮熱(조열), 盜汗(도한), 瘦削(수삭), 疲倦(피권) 등의 증을 訴(소)하며 꿈에 神(
                      신)과 交接(교접)함이 잦고 前世人(전세인)과 만나게 되며 恒時(항시) 感情(감
                      정)이 銳  敏(예민)하고 平朝(평조)에는 病(병)이 减(감)하나 午後(오후)에는 增
                      劇(증극)하며 發熱(발열), 心煩(심번), 口燥(구조), 身乾(신건),臉紅(검홍,面紅),
                      脣赤(순적), 骨蒸(골증), 肺痿(폐위), 失音(실음)하게 되는데 瀉不止(사불지)하
                      면 不治(불치)한다.
            處方 : 腰眼(요안) 四膠(사교, 四髎(사료) 補, 膏肓(고황) 瀉
                      參考 - 腰眼穴(요안혈)은 鬼眼穴(귀안혈)의 腰間(요간)에 在(재)한 것으로서 腰
                                間兩傍(요간양방)에 在(재)한데 正身直立(정신직립)하면 조금 오목하게
                      들어간 곳(微陷處)을 此(차)에 밝히고 四膠(사교)는 穴名(혈명)에 없는 것으로
                      膠(교)와 髎(료)는 魚(어)와 魯(로)의 不辨(불변)과 같은 것이어서 膠(교)는 髎(
                      료)의 誤字(오자)가 안인가 생각할 때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上髎(상
                      료), 次髎(차료), 中髎(중료), 下髎(하료)를 총괄하여 四髎(사료)라 칭한 것이
                      안인가 疑訝(의아)하나 此亦確認(차역확인)이 불능하므로 이제 此(차)를 强解(
                      강해)하지 못하고 아직 그대로 廢置(폐치)하여 後(후)의 아는 이를 기다리노라.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虛勞(허로)하함은 氣血不足(기혈부족)과 精神困憊(정신곤비)의 總稱(총칭)으로
                  서 밖으로는 酒色(주색)에 안으로는 七情(칠정)에 傷(상)한 것과 陰食勞倦(음식
      노권),嗜慾無節(기욕무절) 등이 모두 此證(차증)에 基因(기인)된다.大凡(대범) 술이 肺(폐)
      를 傷(상)한 것이면 濕熱(습열)이 薰蒸(훈증)하여 肺陰(폐음)이 약해지고 色(색)이 腎(신)
      을 傷(상)한 것이면 精室(정실)이 空虛(공허)하여 相火(상화)가 無制(무제)하게 되며 思慮(
      사려)가 心(심)을 傷(상)한 것이면 血液(혈액)이 耗損(모손)되어 火(화)가 上炎(상염)하기
      쉽고 勞倦(노권)이 脾(비)를 傷(상)한 것이면 熱(열)이 生起(생기)어 眞陰(진음)을 內傷(내
      상)하며 怒(노)가 肝(간)을 傷(상)하여 鬱怒(울노)한 것이면 肝火(간화)가 內熾(내치)하여
      血(혈)을 灼(작)하고 大怒(대노)하면 肝火(간화)가 상승하여 吐血(토혈)이 된다.
      그런데 그 受病(수병)되는 것이 陽分(양분)에 在(재)한 것도 있고 陰分(음분)에 在(재)한
      것도 있으며 一證(일증)에만 偏發(편발)되어 혹은 잠시만 困憊(곤비)한 것, 혹은 먼저 氣(
      기)를 傷(상)하여 精(정)에 及(급)하는 것, 혹은 먼저 精(정)을 傷(상)하여 氣(기)에 及(급)
      하는 것도 있다. 顴赤脣紅(권적순홍)한 것은 陰(음)이 下(하)에서 虛(허)하여 陽(양)에 逼
      迫(핍박)한 까닭이고, 입이 몹시 마른 자는 腎水(신수)가 부족하여 물을 끌어다가 스스로
      救(구)하는 까닭이며, 목이 쉬어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은 腎氣(신기)가 竭乏(갈핍)한 까닭
      이고, 氣息(기식)이 喘急(천급)한 것은 陰(음)이 虛(허)하고 肺(폐)가 말라서 氣(기)가 所歸
      (소귀)할 데가 없는 까닭이며, 喉乾咽痛(후건인통)한 것은 眞水(진수)가 下虧(하휴)하여
      虛火(허화)가 上浮(상부)하는 까닭이고, 잠이 안 오고 恍惚(황홀)한 것은 血(혈)이 心(심)
      을 기르지 못하여 神(신)을 藏(장, 감추다)하지 못하는 까닭이다. 때로 煩躁(번조)가 많은
      것은 陽中(양중)에 陰(음)이 없어 柔不制剛(유불제강)한 까닭이고, 嗔怒(진노)하기를 잘하
      고 힘줄(筋)이 당기며 아픈 것은 水虧不燥(수휴불조)가 되어 肝(간)이 所資(소자)를 잃은
      까닭이며, 飮食(음식)이 맛이 없고(不甘),膚肉(부육)이 점점 파리한(蒼白) 것은 脾元(비원)
      이 守失(수실)되어 化機(화기)가 日敗(일패)하는 까닭이고, 心下(심하)가 跳動(도동)하고
      怔忡不息(정충불식)이 되는 것은 氣(기)가 歸精(귀정)하지 못하는 까닭이며, 痰(담)이 많
      아서 혹은 淸水(청수)와 같고 혹은 白沫(백말)이 많은 것은 물이 떠올라 痰(담)이 되나 脾(
      비)가 虛(허)하여 制水(제수)를 못하는 까닭이다.
      뼈가 아프기가 꺾는 것 같은 것은 腎(신)은 骨(골)을 主(주)하는지라 眞陰(진음)이 敗竭(패
      갈)된 까닭이고, 허리와 갈비가 아픈 것은 肝, 腎(간,신)이 虛(허)한 까닭이며, 무릎아래가
      찬 것은 命門(명문)이 衰絶(쇠절)하여 火(화)가 歸原(귀원)이 되지 못하는 까닭이고, 小便(
      소변)이 黃, 澀, 淋, 瀝(황,삽,임,력)한 것은 眞陰(진음)이 虧竭(휴갈)하여 氣(기)가 化水(화
      수)하지 못하는 까닭이며, 足心(족심)이 단근질(烙)하는 것 같은 것은 虛火(허화)가 陰(음)
      을 조려(灼)서 湧泉(용천)이 涸竭(학갈)된 것이다. 皮膚(피부)가 寒慄(한율)하고 涎沫(연말
      )을 토하는 것은 衛(위)가 虛(허)한 까닭이고. 咳嗽內熱(해수내열)이 되어 唾液(타액)에서
      비린내가 나는 것은 營血(영혈)이 虛(허)한 까닭인데 斫傷(작상, 傷粍)에서 因起(인기)되
      어 肝, 腎(간,신)이 過傷(과상)한 者(자)는 흔히 亡血失精(망혈실정)이 되어 死歸(사귀)하
      고, 鬱結(울결)에서 기인되어 內火(내화)가 灼津(작진, 진액을 조리는 것)이 된 者(자)는
      흔히 血結(혈결), 乾咳(건해), 發癰(발옹)이 되어 死歸(사귀)하며, 藥(약)의 誤用(오용)으로
      脾胃(비위)가 損傷(손상)을 받은 데서 기인한 者(자)는 흔히 飮食减少(음식감소), 咳嗽(해
      수), 泄瀉(설사)가 되어 死歸(사귀)한다.
      만일 五敗(오패), 九死(구사), 十絶(십절)의 徵候(징후)를 見(견)하는 것과 위로는 痰火咳
      嗽(담화해수)가 있어 눕지를 못하고, 아래로는 下焦(하초)의 大便(대변)이 溏稀(당희)한
      者(자), 혹은 泄瀉日久(설사일구)로 糞門(분문)에 痔瘡(치창)이 生(생)한 者(자)는 모두 不
      治(불치)한다.
      註 五敗(오패) : ① 手足(수족)이 부어서 交紋(교문) 없는 것은 心敗(심패).
                            ② 口舌(구설)이 도리어 검고 紋彩(문채)가 없는 者(자)는 肺敗(폐패).
                            ③ 얼굴이 검고 瘡(창)이 있는 자는 肺敗(폐패).
                            ④ 陰莖(음경)이 붓고 陰囊(음낭)이 우그러진 자는 腎敗(신패)
                            ⑤ 배꼽이 솟고 부은 者(자)는 脾敗(비패).
          九死(구사) : ① 手足色靑(수족색청). ② 四肢俱腫(사지구종). ③ 眠枯齒乾(면고치건).
                            ④ 聲音散漫(성음산만). ⑤ 鼻孔虛張(비공허장). ⑥ 脣寒宣露(순한선로),
                            脣腫齒焦(순종치초). ⑦ 手巡衣縫(수순의봉). ⑧ 汗出不流(한출불류).
                            ⑨ 脣卷卵縮(순권란축).
                            이것이 모두 虛勞(허로)의 不治證(불치증)이다.
          十絶(십절) : ① 氣短(기단), 目視亭亭(목시정정), 無精光(무정광)은 心絶(심절)이고
                            ② 鼻虛張(비허장), 氣短(기단)은 肺絶(폐절)이며
                            ③ 面靑(면청) 眼視人不直(안시인불직) 數出淚(삭출루)는肝絶(간절)이고
                            ④ 面黑睛黃(면흑정황), 素汗流(소한류)는 腎絶(신절)이며
                            ⑤ 泄涎唾(설연타), 時時妄語(시시망어)는 脾絶(비절)이고
                            ⑥ 爪靑(조청), 惡罵不休(악매불휴)는 膽絶(담절)이며
                            ⑦ 背脊痠痛(배척산통), 腰重(요중) 反履難(반이난)은 骨節(골절)이고
                            ⑧ 面無精光(면무정광) 頭目自眩(두목자현)은 血絶(혈절)이며
                            ⑨ 舌卷縮如紅丹(설권축여홍단),嚥唾不得(연타불득), 足踝小腫(족과소종)
                                은 肉絶(육절)이고
                            ⑩ 髮直如麻(발직여마), 汗出不止(한출불지)는 膓絶(장절)이니 모두 虛勞(
                                허로)의 不治證(불치증)이다.
        그런데 舍岩(사암)은 觸傷(촉상)을 虛(허)라 하여 心, 肝, 脾, 肺, 腎(심,간,비,폐,신)등
        五臟虛證(오장허증)을 虛損(허손)이라 하고 七情傷(칠정상)을 勞極(노극) 즉 咳嗽(해수)
        遺精(유정), 是鬼交之外賊(시귀교지외적), 蒸熱(증열), 恍惚(황홀), 玆神魔之內傷(자신마
        지내상)이라 하여 上(상)의 諸法(제법)을 指示(지시)하였다.
        舍岩經驗例
        虛勞(허로)는 俗所謂(속소위) 滅門之疾(멸문지질)로서 治病者(치병자)가 반드시 주의하
        지 않으면 안되는 重要證(중요증)이니 그 경과를 듣고 그 所見(소견) 가려내는 이른바 「
        察之如毫(찰지여호) 臨之如氷(임지여빙)」하여야 할 것이다.
        1) 한 男子(남자)가 年二十餘(연이십여)에 恒常(항상) 虛汗(허한)을 作(작)하고 元氣(원
            기)가 蕩失(탕실)되어 行步(행보)가 十里(십리)가기가 不能(불능)하며 肉脫(육탈)이
            심한지라 肺經正格(폐경정격)을 썼더니 유효하더라.
            處方 :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少府(소부)  魚際(어제) 瀉(사)  󰠐
        2) 한 男子(남자)가 年三十(연삼십)에 혹은 夢泄(몽설), 혹은 遺精(유정)하기를 벌써 十餘
            年(십여년)이라 腎經正格(신경정격)을 썼더니 유효하더라.
            處方 : 經渠(경거)  復溜(복류) 補(보),  太白(태백)  太谿(태계) 瀉(사).
        3) 한 男子(남자)가 年近四十(연근사십)에 元氣(원기)가 蕩失(탕실)되어 혹은 惡寒(오한)
            을 作(작)하고 肉色(육색)이 淡白(담백)하거늘 太白(태백) 太淵(태연) 補(보), 支溝(지
            구) 然谷(연곡) 瀉(사) 하기 二度(이도)에 병이 낫다. 
    4. 針灸經驗方 許任
        오로(五勞)는 심로(心勞) 폐로(肺勞) 비로(脾勞) 간로(肝勞) 신로(腎勞) 등 5가지 소모성
        질환(消耗性疾患)을 말하며 칠상(七傷)은 즉 내상칠정(內傷七情)으로 정서(情緖)상의 문
        제로 장부에 기혈문란을 초래하여 소모성질병(消耗性疾病)을 생기게 하는 7가지 병인(
        病因)을 말하는데 소위(所謂) 희노우사비경공(喜怒懮思悲驚恐)이다. 심장(心臟)과 신장(
        腎臟)이 사기(邪氣)를 받아 오장(五臟)의기능이 쇠약해지면 근육이 이완(弛緩 atony)되
        고 구축(拘縮 contracture)되며 관절이 붓고 아프며 반신불수(半身不遂 hemiplegia)가 되
        고 팔다리에 경련(痙攣)이 일어 난다. 사기(邪氣)가 완성하면 아프고, 정기(正氣)가 부족
        하면 가렵다.
        1) 소모성 질병으로 몸이 여위고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며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소변이
            흐리거나 정액이 섞여 나오며 외음부가 아프고 발이 얼음처럼 찬 증상
            “虛勞羸瘦 耳聾血尿 小便濁或出精 陰中痛足寒如氷”
            處方 : 곤륜(崑崙) 신유혈(腎兪穴)에 나이 수만큼 뜸을 뜨고, 조해(照海) 절골(絶骨穴).
                      몸에 사해(四海)가 있는데 기해(氣海) 혈해(血海) 조해(照海) 수해(髓海)이다.
        2) 오장의 기능장애(visceral dysfunction) 정기(正氣)가 부족한 증, 온갖 기병(氣病)
            處方 : 기해혈(氣海穴)에 뜸 100장을 뜬다.
        3) 몽정(夢精 nocturnal emission)
            (1) “夢與人交泄精(몽여인교설정)”
                處方 : 삼음교혈(三陰交穴)에 뜸 21장 뜬다. 몽정이 없어진지 100일 뒤에 다시 50
                          장을 더 뜨면 절대 재발하지 않는다.
            (2) “夢遺失精(몽유실정)”
                處方 : 곡천혈(曲泉穴)에 100장, 태충(太冲) 조해(照海) 신수(腎兪) 삼음교(三陰交)
                          관원(關元) 고황유(膏肓兪) 정궁(精宮, 志室穴) 뜸 7장을 뜬다.
    5. 針灸大成
        1) 西江月 - 心虛(심허)하고 膽寒(담한)하여 四肢(사지)가 흔들릴 때
                        處方 : 先刺 - 內關穴(내관혈),
                                  后刺 - 膽兪(담수), 通里(통리), 臨泣穴(임읍혈)을 治療한다.
    6. 東醫寶鑑
        鍼灸法(침구법)
        ① 五勞(오로)의 羸瘦(리수)에는 足三里(족삼리)를 취하고
        ② 身熱(신열)하고 勞嗽(노수)하는 데는 魄戶穴(백호혈)을 瀉(사)하고 
        ③ 虛勞(허로)의 骨蒸(골증)과 盜汗(도한)에는 陰郄穴(음극혈)을 瀉(사)한다.(綱目(강목)
        ④ 眞氣(진기)가 不足(부족)한데는 氣海穴(기해혈)에 灸(구)한다.(資生(자생))
        ⑤ 虛勞(허로)의 百症(백증)에는 膏肓兪穴(고황유혈), 患門穴(환문혈), 崔氏瀉火穴(최씨
            사화혈)에 灸(구)하면 낫지 않는 法(법)이 없다.

        【許浚 ․ 東醫寶鑑】
        이러한 灸法(구법)이 다 陽虛(양허)에 마땅한 법이니 華佗(화타)가 이른바 風虛(풍허)와
        冷熱(냉열)에 오직 오직 虛(허)만 있는 症(증)은 灸(구)하지 않는다는 법과 通(통)하는 말
        이다. 다만 方書(방서)에 이르되 虛損(허손)과 勞瘵(노채)는 마땅히 膏肓(고황)의 四穴(
        사혈)을 일찍이 灸(구)하라 하였으니 즉 虛損(허손)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 瘦弱(수약
        )하고 火(화)를 겸했으면 灸(구)하더라도 다만 內關(내관), 三里(삼리)를 灸(구)해서 그
        痰火(담화)를 흩을 뿐이요 早年(조년)에 陰火(음화)를 짓고자 하는 것은 灸(구)하지 못한
        다.(入門(의학입문))
        大病(대병)에 虛脫(허탈)한 症(증)은 陰虛(음허)한 所致(소치)인데 丹田(단전)을 쑥으로
        灸(구)하는 것은 陽(양)을 補(보)하는 법이며 陽(양)이 나면 陰(음)이 長盛(장성)하기 때
        문이다.(丹心(단계심법)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