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8-24 11:11
[침구사전(針灸辭典)] 이배신 (耳背腎) - 이침사용범위 (耳針使用範圍)
 글쓴이 : admin
조회 : 8,898  
이배신 (耳背腎) : 이혈(耳穴)
                          定位 : 이배구(耳背泃) - 이배측(耳背側) 하부(下部)
                          主治 : 두통(頭痛), 현훈(眩暈), 신경쇠약(神經衰弱).
이배심 (耳背心) : 이혈(耳穴)
                          定位 : 이배구(耳背泃) - 이배측(耳背側) 상부(上部)
                          主治 : 심계항진(心悸亢進), 실면(失眠), 다몽(多夢).
이배폐 (耳背肺) : 이혈(耳穴)
                          定位 : 이배구(耳背泃) - 이배비혈(耳背脾穴)의 이근측(耳根側)에 있다.
                          主治 : 해수(咳嗽), 천식(喘息),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이백 (二白) : 기혈(寄穴)EX - 상지부(上肢部)(일명 三百)UE
      EX-UE2  定位 : 수장(手掌) 완골횡문(腕骨橫紋)위 4寸, 一穴은 두힘줄사이 다른 一穴은
                            큰힘줄 외측(外側)
                  主治 : 구치질(久痔疾), 항문탈출(肛門脫出), 전완통증(前腕痛症), 흉협통증(胸脇
                            痛證), 치루인기(痔漏引起) 출혈(出血), 소양(瘙痒).
                  操作 : 0.5~0.8寸 직자(直刺) 두 번 흡기(吸氣)하는 동안 사법(瀉法), 가구(可灸)
                            - 3壯.
이병부 (耳屛副)의 수혈(腧穴)
          1) 외이(外耳), 2) 外鼻, 3) 上屛尖, 4) 下屛尖, 5) 咽喉, 6) 內鼻.
이수부 (耳垂部)의 수혈(腧穴)
          1) 目1,  2) 目2,  3) 眼,  4) 절적하(切迹下)(승압점(升壓点)), 5) 아통점(牙痛点)1, 
          6) 아통점(牙痛点)2,  7) 상합(上頜), 8) 내이(內耳),  9) 편도선(扁桃腺),  10) 설(舌),          11) 면협구(面頰區).
이십구호 (二十九号) : 족침(足針)
              定位 : 내측 복사뼈(內踝) 중간에서 아래로 2 촌이다.
              操作 : 1~2 촌 직자(直刺) 혹은 횡자(橫刺)한다.
              主治 :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이십삼호 (二十三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등 3, 4 발가락 사이에서 뒤로 2 촌이다.
              主治 : 락침(落枕).
              操作 : 1.5寸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한다.
이십오호 (二十五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등 제일 척골(跖骨) 밑 내측 앞 오목한 곳이다.
              主治 :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操作 : 1~2寸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한다.
이십육호 (二十六号) : 족침(足針)
              定位 : 행간(行間)과 태충혈(太冲穴) 연선의 중점이다.
              主治 : 편도선염(扁桃腺炎), 이하선염(耳下腺炎).
              操作 : 1~2 촌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한다.
이십일호 (二十一号) : 족침(足針)
              定位 : 족림읍(足臨泣)과 지오회(地五會) 연선(連線) 중점이다.
              主治 :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이하선염(耳下腺炎), 편도선염(扁 桃腺炎).
              操作 : 0.5~1寸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한다.
이십칠호 (二十七号) : 족침(足針)
              定位 : 신무장기건(申拇長肌腱) 내측 척지관절(跖趾關節)이다.
              主治 : 편도선염(扁桃腺炎), 이하선염(耳下腺炎),습진(濕疹),두드러기(蕁麻疹 風疹).
              操作 : 0.1~0.5寸 점자(點刺) 혹은 직자(直刺)한다.
이십호 (二十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등 제 2, 3 지(趾) 사이에서 뒤로 3 촌이다.
            主治 :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위궤양(胃潰瘍), 십이지장궤양(十二指腸潰瘍).
            操作 : 2寸 직자(直刺) 혹은 위로 사자(斜刺)한다.
이주부 (耳舟部)의 수혈(腧穴)
            1) 指, 2) 結節內, 3)腕, 4) 肘, 5) 肩, 6) 肩關節, 7) 鎖骨, 8) 腎炎点.
이중 (耳中) : 耳穴
        定位 : 이륜(耳輪) - 이륜각(耳輪脚) 위에 있다.
        主治 : 딸꾹질(呃逆), 담마진(蕁麻疹), 피부소양(皮膚瘙痒), 피부병(皮膚病),소아유뇨(小
                  兒遺尿), 격기경련(膈肌痙攣), 각혈(咯血).
이첨 (耳尖) : 기혈(寄穴)EX - 두경부(頭頸部)HN
    EX-HN6    定位 : 귀를 겹친 후 이상부(耳上部)에 뾰족한 곳.
                    主治 : 안질병(眼疾病), 각막백탁(角膜白濁)(nephelium).
                    操作 : 0.1~0.2寸 직자(直刺) 혹은 점자출혈(點刺出血), 가구(可灸)(7壯).
이첨 (耳尖) : 이혈(耳穴)
        定位 : 이륜(耳輪) - 귀를 겹친후 이륜상부첨단(耳輪上部尖端)
        效能 : 소풍명목(疏風明目).
        主治 : 결막염(結膜炎), 발열(發熱), 이하선염(耳下腺炎), 고혈압(高血壓),급성결선염(急
                  性結腺炎), 노육(胬肉), 트라코마, 맥립종(麥粒腫).
        操作 : 이첨혈(耳尖穴)의 방혈(放血)은 3~5 방울을 위주로 하는데 퇴열(退熱), 소염(消
                  炎), 강압(强壓), 진정(鎭靜), 지통(止痛)등 작용을 함으로 상기(上記)한 병증을
                  치료하며, 따라서 또한 강혈안(降血月安) 작용이 있으므로 간혼미(肝昏迷), 구급
                  시(救急時)에도 사용한다.
이첨전 (耳尖前) : 이혈(耳穴)
            定位 : 이첨혈(耳尖穴) 앞 대이륜상각(對耳輪上脚)의 밑 변두리와 동일한 수평선의 이
                      륜처(耳輪處)에 있다.
            主治 : 치질(痔疾)을 치료하며 또 치질진단(痔疾診斷)에 임상의의(臨床意義)가 있다.
이침 (耳針)
        당대(唐代)《千金方》에 “耳中孔上橫染”을 택하여 황달(黃疸) 한서역독(寒暑疫毒)등 병
        을 치료하고, “耳上髮際”를 택하여 갑상선(甲狀腺) 등을 치료 한다고 기재 되었으니 이
        혈(耳穴)을 이용하여 병치을 치료한 역사는 과연 유구하다 할수 있다. 민간(民間)에도
        귓밥에 침을 놓아 결막염(結膜炎)을 치료하고, 귀뒤(耳后)를 찔러 인후염(咽喉炎)을 치
        료하는 경험이 있다.
        경락연계 : 귀(耳)와 경락관계(經絡關係)는 밀접하다. 일찍이 2100년전《백서(帛書)․
                        음양십일맥구경(陰陽十一脈灸經) 중에 상지(上肢) 눈(目) 뺨(頰) 인후(咽喉)
        와 상호 연계된 “귀맥(耳脈)”을 계시 하였다. 《內經》에 “귀맥(耳脈)” 을 수소양삼초경(
        手少陽三焦經)으로 발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귀와 경맥(經脈) 경별(經別) 경근(經筋)에
        대한 관계를 비교적 상세히 논술하였다. 예를 들면 족태양(足太陽)의 분지(分枝)는 이상
        각(耳上角)에 도달하고, 족양명(足陽明)은 귀앞에 도달하고, 족소양(足少陽)은 귀뒤에
        내려온 후 귀 중간에서 갈라져 귀 앞에 나오고, 수태양(手太陽)은 귀속에 들어가고, 수양
        명(手陽明)의 별락(別絡)은 귀속에 들어가고, 수소양(手少陽)은 귀뒤와 연계되어 이상각
        에 나온 후 분지는 귀속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수족삼양경(手足三陽經)은 비록 직접 귀
        에 들어가지 않지만 그러나 경별(經別)을 통  과하여 양경(陽經)과 합한 후 귀와 통한다.
        예를 들면 수궐음(手厥陰)의 경별(經別)은 귀 뒤에 나와서 수소양(手少陽)과 합하는 등
                        이다.기경(奇經) 중에 음양교맥(陰陽交脈)은 함께 귀뒤에 들어가고 양유맥(陽
        兪脈)은 머리를 따라 귀속에 들어간다. 이외에 족양명(足陽明)․ 족소양(足少陽)․ 수태양(
        手太陽)․ 수소양(手少陽) 등의 경근(經筋)도 귀와 상호 연계된다. 때문에 “귀(耳)는 종맥(
        宗脈)이 소집된 곳이다. ”耳爲宗脈之所聚“ 귀(耳)와 장부(臟腑)와의 관계도 아주 밀접하
        다.《內經》에 신기(腎氣)는 귀와 통하는데 신기(腎氣)가 충성(充盛)하면 귀는 음성(音
        聲)을 들을 수 있고, 신장(腎臟)은 귀(耳)에 개규(開竅)하였으며 정기(精氣)가 저장되고,
        간병(肝病) 자가 허하면 귀가 잘 들리지 않고, 비(脾)가 부족하면 구규(九竅)가 통하지
        않는다. 즉 오관(五官)의 칠규(七竅 7개 구멍)과 전후음(前后陰)을 합하여 아흡개 구멍
        이다.《難經》에 기재되기를 폐(肺)는 음성 (音聲)을 주재하기에 귀에 음성이 들리게 한
        다. 후세의 말에 의하면 폐(肺)는 기(氣)를 주재하기 때문에 일신의 기(氣)는 귀에 들어
        간다고 했다. 귀(耳)는 전신(全身)의 경락(經絡) 장부(臟腑)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
        에 비로써 이침(耳針) 치료방법에 이론근거를 제공하였다.
이침사용범위 (耳針使用範圍)
                    《中醫針灸學》에 “문헌의 통계에 의하면 이침(耳針)으로 약 200여종의 병증을
                    치료하며 또 일부 급성병에도 아주 좋은 효과가 있다.” 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러한 목적에 도달 하자면 무엇보다도 혈(穴) 선택이 합당하고, 혈(穴) 배합의 처
                    방이 합리 해야만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1. 동통성질병(疼痛性疾病)
                    질타손상(跌打損傷) 찔렸거나(創傷), 베였거나(刀傷), 골절(骨折), 락침(落枕)등
                    외상성동통(外傷性疼痛)과 頭痛(두통), 편두통(偏頭痛), 삼차신경통(三次神經
                    痛) 늑간신경통(肋間神經痛), 대상포진(帶狀疱疹),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등
                    신경성동통(神經性疼痛) 및 오관(五官), 로뇌(顱腦), 흉복(胸腹), 사지(四肢)의
                    각종 수술(手術) 후에 생기는 상처의 통증(痛症) 또 마취(痲醉) 후에 두통(頭痛)
                    요통(腰痛) 등 수술 후 유통(遺痛) 등에 비교적 좋은 진통(鎭痛)과 지통(止痛)
                    작용이 있다.
                2. 염증성질병(炎蒸性疾病)
                    급성결막염(急性結膜炎) 중이염(中耳炎), 인후염(咽喉炎), 편도선염(扁桃腺炎),
                    이하선염(耳下腺炎), 기관염(氣管炎), 장염(腸炎), 면신경염(面神經炎), 풍습성
                    관절염(風濕性關節炎), 말초신경염(末梢神經炎) 등 소염(消炎)과 지통(止痛) 작
                    용이 있다.
                3. 공능문란성질병(功能紊亂性疾病)
                    현훈증(眩暈證), 심율불제(心律不齊), 고혈압(高血壓), 다한증(多汗症), 장공능
                    문란(腸功能紊亂), 월경불조(月經不調), 유뇨(遺尿), 신경쇠약(神經衰弱), 히스
                    테리 성공능문란(性功能紊亂) 등에 조정작용이 있다.
                4. 과민성(過敏性)과 변태반응성질병(變態反應性疾病)
                    과민성비염(過敏性鼻炎), 천식(喘息),과민성결장염(過敏性結腸炎),두드러기(蕁
                    麻疹風疹) 등에 소염(消炎), 탈민하며 면역공능(免疫功能)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5. 내분비대사성질병(內分泌代謝性疾病)
                    단순성갑상선종(單純性甲狀腺腫),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進), 갱년기종
                    합증(更年期綜合證) 등에 보조치료(補助治療) 작용이 있다.
                6. 전염성질병(傳染性疾病)
                    유행성감기(流行性感氣), 세균성이질(細菌性痢疾), 학질(虐疾), 청년 편평사마
                    귀 등에 면역공능(免疫功能)을 제고하여 질병 회복(恢復)을 가속화(加速化)한
                    다.
                7. 만성질병(慢性疾病)
                    요고통증(腰股痛症), 견관절주위염(肩關節周圍炎), 소화불량(消化不良), 사지
                    마목(四肢麻木) 등에 치료 작용이 있다.
                8. 기타(其他)
                    이침마취(耳針痲醉), 부산과(婦産科)에서 최산(催産), 최유(催乳), 감기(感氣),
                    차멀미, 배멀미 예방에도 사용하며, 수혈 수액반응의 예방과 처리에도 사용되
                    고, 계연(戒烟), 계독(戒毒), 감비(减肥), 경기종합증에도 사용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