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2-05-24 20:17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라력 (瘰癧-連珠瘡)
 글쓴이 : admin
조회 : 9,490  
라력 (瘰癧-連珠瘡) : 중의외과(中醫外科) 속(屬) 창양(瘡瘍)
        頸部(경부) 앞부분에 구슬 같은 알맹이들이 생기는 질병으로 肺(폐)와 腎(신)의 陰虛(음
        허)로 인한 虛熱(허열)이 津液(진액)을 말려서 痰核(담핵)으로 되거나, 風火(풍화)의 전
        염성 병독을 받아 氣血(기혈)이 瘀滯(어체)되어 頸部(경부)에 모여들어 생기는 질환이다
        《靈樞 ․ 寒熱編》에 기록되었다. 주로 경부 림파결 결핵을 가리키는 말로써 력자경(癧
        子頸), 경력(頸癧) 혹은 서창(鼠瘡)이라고 한다. 작은 것은 라(瘰)라고 하고 큰 것은 력
        (癧)이라고 하는데 대부분 목과 귀 전후에 생기고 병변(病變)이 한쪽에만 국한되거나 또
        는 양쪽에 동시에 생길 수도 있고 또 턱 아래, 흉쇄유돌기근(胸鎖乳突肌筋)의 전후, 겨드
        랑이 등에도 만연 될 수 있다. 그 형상이 구슬을 실에 궤여 놓은 것과 같고 하나하나 헤
        아릴 수 있기 때문에 라력이라고 한다.
        병인(病因)은 폐신(肺腎)의 음허(陰虛)에 의하여 허화(虛火)가 담(痰)을 뜨겁게 함으로
        담화(痰火)가 목에 맺혀서 생기는 것이다. 대부분 체질이 약한 아동들에게 발생한다.
        자라는 아동들은 체질이 양성적(陽性的)이 어서 항상 음(陰)이 부족한 편이기 때문이다.
        임상표현은 초기에는 하나 또는 수개의 크고 작은 콩알 만한 종물이 생기고 점차 커진다        그 수가 3~5개로부터 많으면 10여개가 연접되어 있다. 피부색은 변하지 않고 손으로
        누르면 딴딴하고, 밀면 움직이며, 한열(寒熱)이 없고, 아픈 감도 없으나 만일 오래되면
        좀 아픈 감이 나며, 멍이 한군데 붙어서 크게 되고 눌러도 움직이지 않으며, 곪을 때에는
        피부색이 점차 붉고 비교적 연하며 곪아 터진 후에는 마치 가래와 같은 멀건 고름이 나
        오거나, 콩물과 같은 고름이 흐르고 오래 되어도 창구(瘡口)가 낫지 않으며 두도(竇道)
        혹은 루관(瘻管)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서루(鼠瘻)라고도 한다.
        병인 부위가 각기 다름에 따라 담라(痰瘰), 습라(濕瘰), 기력(氣癧), 근력(筋癧) 등 이름
        을 달리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마도협영(馬刀俠癭)이 있다.
        마도협영(馬刀俠癭)은 《靈樞 ․ 經脈篇》등에 기록된 것으로 이 증(證)이 라력(瘰癧)에          속하는 것으로 겨드랑이 밑에 생긴 것이 마치 마도(馬刀)와 같기 때문에 마도(馬刀) 또
        는 마도창(馬刀瘡)이라고도 한다. 목옆에 생긴 것이 마치 구슬을 궨 것과 같아 협영(俠
        癭)이라고 한다. 이는 양쪽의 병변이 늘 서로 관련이 되고 있는 경부(頸部)와 액와부(腋
        窩部) 림파결결핵이다.
    1. 참조문(參照文)
        1) 담핵(痰核) 참조
        2) 류담(流痰)
    2. 常用葯(상용약)
        1) 熱毒蘊結(열독온결)에 의한 각종 瘡毒癰腫(창독옹종), 혹은 瘰癧結核(라력결핵) 宜選
            用(의선용) :☆ 連翹(연교) - 淸熱解毒(청열해독), 淸心瀉火(청심사화).
        2) 瘰癧痰核(라력담핵) : ☆ 連翹(연교) + 夏枯草(하고초).
        3) 白附子(백부자),
    3. 配伍葯(배오약) 
        1) 全蝎(전갈)4.5 + 蜈蚣(오공)3 =(硏末冲服 每 各1) 瘰癧諸症(라력제증)
        2) 浙貝母(절패모)10 + 夏枯草(하고초)15 = 瘰癧(라력) - 類似 淋巴腺結核(임파선결핵)
                                                                        과 유사한 모든 증상(諸症)
        3) 玄參(현삼)15 + 牡蠣(모려)30 = 瘰癧(라력)의 諸症(제증)
        4) 海藻(해조)15 + 昆布(곤포)15 = 瘰癧痰核(라력담핵)
    4. 中醫葯學
        1) 瘰癧結核(라력결핵) : 何首烏(하수오), 土貝母(토패모), 香附子(향부자)
    5. 중의외과학(中醫外科學)
        1) 病因病機(병인병기)
            항상 우사울노(懮思鬱怒)로 인하여 간기가 울결(肝氣鬱結)하며, 비장의 운화기능이
            실조(脾失健運)되여, 담습이 내생(痰濕內生)하며, 기체 담응(氣滯痰凝)으로, 경맥이
            순통치 못함으로(阻于經脈)해서, 담핵이 목덜미에 응결(結于頸項)되어, 이 병이 이루
            어지는 것이다(而成此病).
        2) 診斷(진단)
            頸項(경항) 및 耳前(이전), 耳后(이후)의 한쪽 혹은 양쪽, 또는 턱 아래(頷下)로 鎖骨
            上(쇄골상) 및 겨드랑이 부위(腋部) 등에  발병을 잘한다. 발병하기 전에 虛勞病(허로
            병)의 病史(병사)가 있었을 것이다.
            初期 : 경부(頸部) 한쪽 혹은 양쪽(一側或兩側)에 콩알과 같은 크기의 결괴(結塊)가
                      독립(獨立) 되었거나 혹은 구멍에 궤인 구슬 모양을 하고 견실(堅實)하며 밀면
            움직이고(推之活動), 열도 나지 않고 아프지도 않으며(不熱不痛), 피부색은 정상이고
            (膚色正常), 수개월간 연속 상처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고(數月不潰), 일반적으로 전
            신증상(全身症狀)도 없다. 
            中期 : 경부(頸部)에 종괴(腫塊)가 점점증대(漸漸增大)하고, 표피(表皮)가 끈끈하며
                      몇 개가 서로 융합(融合)해서 한 덩어리를 이루고, 손가락으로 밀면 활동의 도
            가 감소(减少)되고, 압통(壓痛) 혹은 은은한 통증(隱痛)이 있다.
            만일 액(液)으로 화(化)하여 고름을 형성할 때는, 피부가 약간 붉거나(皮膚微紅) 혹은
            반들반들한 어두운 자주색이며(紫暗發亮), 어루만지면 미열이 있고(捫之微熱), 손으
            로 누르면 경미한 파동감(波動感)이 있다. 일부 환자 중에는 저열(低熱) 및 식욕부진(
            食欲不振), 전신핍력(全身乏力) 등의 증상(症狀)이 있다.
            后期 : 액체를 이룬 고름(液化成膿) 덩어리(結塊)를 절개(切開)하거나 혹 저절로 터진
                      후(自行潰破后) 패서상괴사조직으로 된(來有敗絮狀壞死組織) 엷고 묽은 농액
            (膿液稀薄)은 속에서 흐르는 빈 통로(潛行性空腔) 를 따라 창구(瘡口)로 흘러나온다.
            살점은 신선하지 않고 창백하며(肉芽蒼白不鮮), 창(부스럼) 주위의 피부색은 어두운
            자줏빛이고(瘡周皮膚紫暗) 창구는 오래 아물지 못하며(瘡口久不收斂) 항상 이렇게
            무너진 뒤에 낫는데(常此愈彼潰) 병행하여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幷可形成竇道).
            본병의 예후(預后)는 일반적으로 양호(양호)하다.
        3) 辨證施治(변증시치)
            ⑴ 氣滯痰凝(기체담응)
                證狀 : 라력초기(瘰癧初起)에는 대부분 종괴가 견실(腫塊堅實)하고, 전신증상이
                          명확하지 않으며(无明顯全身症狀), 태는 황니(苔黃膩)하고 맥은 현활(脈弦
                          滑)한 것을 본다.
                  治法 : 疏肝理氣(소간리기), 化痰散結(화담산결).
                  處方 : 逍遙散(소요산) 合 二陳湯(이진탕) 加减(가감)
                                  ≒ 시호(柴胡), 당귀(炒當歸), 백작(白芍), 복령(茯苓), 백출(白朮)각30,
                                      감초(炙甘草)15, 생강(生姜), 박하(薄荷)
                                      合 ≒ 진피(陳皮), 반하(半夏), 복령(茯苓), 감초(甘草).
            ⑵ 陰虛火旺(음허화왕)
                證狀 : 담핵 덩어리가 점점 증대되는(核塊逐漸增大) 것과 피부가 끈적끈적하고(與
                          皮膚粘連) 피부색은 암홍색으로 변하며(皮色轉暗紅). 오후조열(午后潮熱),
                          야간도한(夜間盜汗), 설홍(舌紅), 소태(少苔), 맥세삭(脈細數).
                治法 : 滋陰降火(자음강화)
                處方 : 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合 淸骨散(청골산) 加减(가감)
                                        ≒ 숙지황(熟地黃), 산수유(山茱萸), 산약(山葯), 택사(澤瀉), 복령
                                            (茯苓), 모단피(牡丹皮).
                                    合 ≒ 자감초(炙甘草), 청호(靑蒿), 지골피(地骨皮), 호황련(胡黃連),
                                            별갑(鱉甲), 지모(知母), 은시호(銀柴胡), 진교(秦艽).
            ⑶ 氣血兩虛(기혈양허)
                證狀 : 부패한 솜처럼 된 맑고 묽은 고름이 창구(瘡口)로 흘러나오며 몸은 여위고
                          (形體消瘦), 정신이 권태로우며(精神倦怠), 안색이 밝지 못하고(面色无華),
                          혀는 담담하며 야들야들하고(舌淡質嫩), 태박(苔薄) 맥세(脈細).
                治法 : 益氣養血(익기양혈)
                處方 : 香貝養榮湯(향패양영탕) 加减(가감)
                                        ≒ 향부(香附), 패모(貝母), 팔진탕(八珍湯,인삼(人蔘),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숙지(熟地)) 길경(桔梗), 진피(陣皮)., 강조(姜棗) 위인(爲引).
        4) 外治
            初期 : 국부 종괴(腫塊) 부위에 바른다.
                    충화고(冲和膏) 혹은 양화해응고(陽和解凝膏), 흑퇴소(黑退消).
            中期 : ⑴ 외부(外敷) - 충화고(冲和膏),
                    ⑵ 如膿成微熱(여농성미열) 가용(可用) 천추고(千捶膏)
            后期 : ⑴ 이궤자(已潰者)  선용(先用)
                        ① 오오단(五五丹), ② 或 칠삼단(七三丹), ③ 再用 팔이단(八二丹) 
                              약선인류(葯線引流), 혹 약면감입창구(葯棉嵌入瘡口),
                          ④ 외부(外敷) - 홍유고(紅油膏), 혹 충화고(冲和膏).
                      ⑵ 육아선홍(肉芽鮮紅) 농부이진시(膿腐已盡時) 개용(改用)
                          ① 생기산(生肌散), ② 백옥고(白玉膏).
                      ⑶ 만일 창면(瘡面)이 육아고돌(肉芽高突)하면 가선용(可選用)
                          ① 천금산(千金散) 면감(棉嵌),
                      ⑷ 부육(腐肉)을 평정한 후에 개용(改用) ① 생기산(生肌散),② 백옥고(白玉膏)
                      ⑸ 공강(空腔) 혹은 두도(竇道)가 있을 때
                          ① 천금산(千金散) 약선(葯線),
                          ② 手術擴創(수술확창) - 청제(淸除) 괴사(壞死) 조직(組織).
    6. 임상 (臨床)
        1) 임파결핵(林巴結核) 
            ⑴ 하고초(夏枯草), 현삼(玄參), 모려(牡蠣), 곤포(昆布)
            ⑵ 하고초(夏枯草), 패모(貝母), 향부자(香附子), 하수오(何首烏)
        2) 라력(瘰癧) 담화울결(痰火鬱結).
            ⑴ 자금정(紫金錠, 玉樞丹)
                      ≒ 대극(大戟)(紅), 천금자상(千金子霜), 오배자(五倍子), 사향(麝香), 웅황(雄
                          黃), 주사(硃砂)
            ⑵ 소라환(消瘰丸) ≒ 모려(牡蠣), 절패모(浙貝母), 현삼(玄參)
        3) 라력(瘰癧) 담핵(痰核)
            ⑴ 연견산결(軟堅散結) : 백강잠(白僵蚕), 와릉자(瓦楞子), 모려(牡蠣), 연교(連翹), 절
                                                패모(浙貝母), 하고초(夏枯草) -
        4) 膿水不乾(농수불건) : 로봉방(露蜂房), 현삼(玄參), 황기(黃芪), 사태(蛇蛻)
        5) 반모분(斑蝥粉)에 대산(大蒜)을 찢어 고(膏)를 만들어 환부(患部)에 외부(外敷)한다.
        6) 생기건농산(生肌乾膿散) ≒ 반모(斑蝥), 백비(白砒), 백반(白礬), 청대(靑黛)
        7) 라력(瘰癧) 마도창(馬刀瘡).
            종괴결경(腫塊結硬) 여석(如石), 종이하연급결분(從耳下延及缺盆) 혹 저견상(抵肩上)
            혹 연협하(連脇下) 혹 궤파유농수(潰破流膿水).
            방 :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蘭室秘藏》옹양제(癰瘍劑)
                              ≒ 당귀미(當歸尾), 백작약(白芍葯), 승마(升麻), 시호(柴胡), 황금(黃芩),
                                  자감초(炙甘草), 황연(黃連), 갈근(葛根), 연교(連翹), 길경(桔梗), 곤
                                  포(昆布), 천화분(天花粉), 용담초(龍膽草), 지모(知母), 황백(黃柏),
                                  삼능(三棱), 광무(廣茂), 봉아출(蓬莪朮).
        8) 라력(瘰癧).- 담핵(痰核).
            방 : 서황환(犀黃丸)(西黃丸)《外科證治全生》癰瘍劑
                        ≒ 성소환(醒消丸) 감(减) 웅황(雄黃), 加 서우황(犀牛黃), 유향(乳香) 몰약
                            (沒葯), 사향(麝香)
        9) 라력(瘰癧).- 종괴견경(腫塊堅硬),추지불이(推之不移), 불홍불열(不紅不熱),정지불창
                              (情志不暢), 번조울민(煩躁鬱悶).
                        방 : 서간궤견탕(舒肝潰堅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 하고초(夏枯草), 진피(陣皮), 시호(柴胡), 당귀(當歸), 천궁
                                              (川芎), 향부(香附), 백작(白芍), 정심(灯心), 홍화(紅花), 강
                                              잠(姜蚕), 강황(姜黃), 천산갑(穿山甲), 석결명(石決明) 감초
                                              (甘草).
      10) 라력(瘰癧).- 라력미궤파(瘰瀝未潰破) 체질불허쇠(体質不虛衰)
                      방 : 하고초고(夏枯草膏)《丸散膏丹集成》옹양제(癰瘍劑)
                                      ≒ 하고초(夏枯草), 현삼(玄參), 당귀(當歸), 주초백작(酒炒白芍),
                                          오약(烏葯), 절패모(浙貝母, 象貝), 강잠(姜蚕), 진피(陣皮), 길경
                                          (桔梗), 천궁(川芎), 감초(甘草),곤포(昆布),주초향부(酒炒香附),
                                          홍화(紅花).
      11) 라력(瘰癧).- 경부결핵(頸部結核) 루루여관주(累累如貫珠).
                      방 : 우잉환(芋艿丸)《中醫外科臨床手冊》옹양제(癰瘍劑)
                                    ≒ 향경우잉(香梗芋艿 揀大者) 불구다소(不拘多少). 장우잉절편(將
                                        芋艿切片), 쇄건(晒乾), 연세말(硏細末) 용진해철(用陳海蜇 표담(
                                        漂淡)) 대발제(大荸薺) 전탕범환(煎湯泛丸) - 매차(每次) 9g, 진해
                                        철(陳海蜇) 발제(荸薺) 煎湯送下.
      12) 라력(瘰癧).- 경부결핵(頸部結核) 루루여관주(累累如貫珠) 혹초기(初起),혹파궤(破潰)
                        방 : 내소라력환(內消瘰癧丸)《瘍醫大全》옹양제(癰瘍劑)
      13) 라력(瘰癧).- 초기(初期) 결핵여두(結核如豆), 점증대(漸增大), 피색불변(皮色不變), 안
                              지견경(按之堅硬).
                        방 : 소라환(消瘰丸)《醫學心悟》옹양제(癰瘍劑)
                                    ≒ 모려(牡蠣), 황기(黃芪), 삼능(三棱), 아출(莪朮), 혈갈(血竭), 유
                                        향(乳香), 몰약(沒葯), 용담초(龍膽草), 현삼(玄參), 절패모(浙貝
                                        母).
      14) 라력(瘰癧).- 경항간(頸項間) 장출여두상(長出如豆狀) 결핵(結核), 점증대(漸增大), 안
                              지견경(按之堅硬).
                      방 : 소핵산(消核散)《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15) 실영(失榮) 상석저(上石疽).- 경부종괴(頸部腫塊), 견경여석(堅硬如石), 신체소수(身體
                                                    消瘦), 면색무화(面色无華), 소기핍력(少氣乏力).
                                                    역치(亦治) 비허협담(脾虛脇痰) 풍륜적두(風輪赤豆)
                                              방 : 향패양영탕(香貝養榮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16) 실영(失榮).- 경부(頸部) 혹 이전이후(耳前耳后) 종괴여석(腫塊如石) 미미작통(微微作
                              痛) 형체소수(形體消瘦) 면색무화(面色无華) 소기핍력(少氣乏力) 맥현삭
                              (脈弦數).
                      방 : 화영산견환(和榮散堅丸)《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17) 라력(瘰癧), 육류(肉瘤) 영(癭), 담핵(痰核).
                      방 : 소류이반고(消瘤二反膏)《外科大成》옹양제(癰瘍劑)
                                        ≒ 감초(甘草), 원화(芫花), 감수(甘遂), 대극(大戟).
                          - 선장감초전농고(先將甘草煎濃膏), 필잠약(筆蘸葯), 도우류사주(涂于瘤四
                            周), 대건재도(待乾再涂), 범삼차(凡三次). 차이(次以) 대극(大戟), 원화(芫
                            花), 감수(甘遂), 위말(爲末), 이초조도우(以醋調涂于), 류중간(瘤中間), 불
                            득여도우(不得與涂于), 감초(甘草)의 피부접촉(皮膚接觸). 여차다일(如此
                            多日) 칙류체축소(則瘤體縮小).
      18) 라력(瘰癧), 정핵(疔核), 치루제관(痔漏諸管).- 창양내핵(瘡瘍內核), 내막(內膜) 부육루
                            관(腐肉漏管), 구불소산(久不消散), 신육불생(新肉不生).
                      방 : 삼품일조창(三品一條槍)《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19) 라력(瘰癧). 옹저(癰疽) 유담(流痰).- 궤후농수(潰后膿水) 부육불진(腐肉不盡).
                      방 : 흑호단(黑虎丹)《外科診療學》옹양제(癰瘍劑)
      20) 한습응체(寒濕凝滯)적 라력(瘰癧), 음저(陰疽), 류담(流痰), 담핵(痰核), 동창(凍瘡)등
                                            음성창양(陰性瘡瘍).
                                      방 : 양화해응고(陽和解凝膏)《外科證治全生》옹양제(癰瘍劑)
      21) 라력(瘰癧)
            ⑴ 담기호결증(痰氣互結證)
                臨床 : 목덜미의 앞과 뒤, 겨드랑이와 사타구이(頸項,腋,胯)의 사이에 나는 연주창
                          (連珠瘡)이다.
                          표현 : 국부에 출현하는데 마치 통과 같은 결괴(結塊)로서, 마치 줄줄이 궨
                                    구슬과 같은데(累累如貫珠狀), 숫자와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數目不
                          等), 열도 없고 아프지도 않으며(无痛无熱), 궨 것 같은 상태로 점점 커진 뒤
                          에는(以后逐漸增大串生) 혹 약간 아플 수 있다(或有微痛). 
                治宜 : 소간해울(疏肝解鬱), 연견화담(軟堅化痰).
                方用 : 소라환(消瘰丸)《의학충중삼서록(醫學衷中參西彔)》
                                ≒ 모려(牡蠣), 황기(黃芪), 삼능(三棱), 아출(莪朮), 혈갈(血竭), 유향(乳
                                    香), 몰약(沒葯), 용담초(龍膽草), 현삼(玄參), 절패모(浙貝母).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