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3-09-16 13:24
[探方(탐방)] 목통(目痛) - 반진(斑疹)
 글쓴이 : admin
조회 : 6,543  
목질(目疾) ⇒ 안질(眼疾)
목통(目痛)
  1) 目珠疼痛(목주동통), 痛久血傷(통구혈상)
      ① 夏枯草(하고초) 加 當歸(당귀), 生地(생지), 白芍(백작) : 補血養肝(보혈양간)
  2) 暴發火眼(폭발화안)
      應用葯(응용약) : 苦地丁(고지정),
목현(目眩)
    1. 參照文(참조문) : 현운(眩暈)
    2. 應用葯(응용약) : 葱子(총자),
    3. 配伍葯(배오약)
        1) 女貞子(여정자)10 + 旱蓮草(한련초)10 = 目眩(목현) - 肝腎陰虧(간신음휴), 血不上榮
                                                                                        (혈불상영)
        2) 龍骨(용골)30 + 牡蠣(모려)30 = 目眩(목현) - 陰虛陽亢(음허양항), 以致心神不寧(이
                                                  치심신불영) 煩躁不安(번조불안), 失眠(실면), 頭暈(두훈).
        3) 龍齒(용치)15 + 紫貝齒(자패치)15 = (打先煎) 陽不得入于陰(양불득입우음), 以致睡眠
                                                                  困難者(이치수면곤난자) 兼見症(겸견증)
        4) 石決明(석결명)12 + 紫石英(자석영)12 = (打先煎) 肝陽上亢(간양상항), 以致目眩(이
                                                                                    치목현)
        5) 刺蒺藜(자질려)15 + 姜蚕(강잠)10 = 目眩(목현) - 肝陽上亢(간양상항)
        6) 刺蒺藜(자질려)10 + 沙苑子(사원자)10 = 目眩(목현) 視物不淸(시물불청) 頭昏(두혼)
                                                                        - 肝腎不足(간신부족)
목혼암증(目昏暗證)
      1. 參照文(참조문)
          1) 목암(目暗)
          2) 시력감퇴(視力减退)
      2. 常用葯(상용약)
          1) 治陰虛目昏(치음허목혼) 最上善用的(최상선용적) 葯物(약물) : ☆ 枸杞子(구기자)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肝腎陰虛(간신음허)
              應用葯(응용약) - 目昏不明(목혼불명) : 枸杞子(구기자) - 益精明目(익정명목)
              ⑴ 養肝明目(양간명목)
                  ① 白菊花(백국화) 加 枸杞子(구기자), 地黃(지황), 山茱萸(산수유) . . .
                                            ≒ 杞菊地黃丸(기국지황환)
          2) 其他(기타) 目疾患(목질환)
              ① 노감석(爐甘石) 配 硼砂(붕사), 冰片(빙편) 同量細粉(동량세분)해서 投入眼球(투
                                            입안구) 한다.
목황(目黃)
      參照文(참조문) : 황달(黃疸)
      1) 瓜蒂(과체)의 瓜丁(과정)을 細末(세말) 吹鼻入(취비입)
몽유(夢遺)
      參照文(참조문) : 유정(遺精)
  1) 心陰虛(심음허)
      ⑴ 心腎不交(심신불교)
          ① 柏子仁(백자인) 配 麥冬(맥동), 熟地(숙지), 石菖蒲(석창포). . .≒ 柏子養心丸(백자
                                                                                                          양심환)
      ⑵ 補腎固精(보신고정)
          ① 覆盆子(복분자) 加 沙苑子(사원자), 山茱萸(산수유), 芡實(검실)
      ⑶ 淸心固腎(청심고신)
          ① 蓮須(연수) 加 沙苑子(사원자), 芡實(검실), 龍骨(용골), 牡蠣(모려)
문둥병 ⇒ 마풍(痲瘋)
반신불수(半身不遂)
      1. 參照文(참조문)
          1) 수족마목(手足麻木)
          2) 수족마비(手足麻痹)
          3) 마목탄탄(痲木癱瘓)
          4) 중풍후유증(中風后遺證)
      2. 應用葯(응용약) : 全蝎(전갈), 취오동(臭梧桐), 豨薟草(희렴초),
      3. 配伍葯(배오약)
          1) 海藻(해조)15 + 昆布(곤포)15 = 中風半身不遂(중풍반신불수) - 血管硬化症(혈관경
                                                                                                        화증)
          2) 海風藤(해풍등)15 + 絡石藤(락석등)15 = 半身不遂諸症(반신불수제증)
          3) 海桐皮(해동피)10 + 豨薟草(희렴초)10 = 半身不遂諸症(반신불수제증)
반위(反胃)
        식후에 배가 창만(脹滿)되고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거나(朝食暮吐), 혹은 저녁에
        먹은 것을 아침에 토하며(暮食朝吐), 삭이지 못한 음식물을 토하고 권태감(倦怠感)이 나
        며 설질(舌質)이 엷고 맥세무력(脈細无力)한 증상으로 먹은 것이 반대로 나오기 때문에
        반위(反胃)라고 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에서는 위반(胃反)이라 하였고, 송대(宋代) 주단장(朱端章)의
      《위생가 보산과비요(衛生家寶産科備要)》에서는 번위(翻胃) 라고도 하였다. 주로 비위
      허한(脾胃虛寒)에 의하여 생긴다.
  1. 參照文(참조문)
      1) 구토(嘔吐)
      2) 열격(噎膈)
      3) 위암(胃癌)
  2. 應用葯(응용약) - 噎膈反胃(열격반위) : 狗寶(구보), 惱砂(뇌사)
  3. 配伍葯(배오약)
      1) 砂仁(사인)6 + 白豆蔲(백두구)10 = 反胃(반위) - 脾胃虛寒(비위허한) 運化失職(운화실
                                직), 濕濁內蘊(습탁내온), 氣機不得宣暢(기기불득선창) 以致納呆食少(
                                이치납매식소) 胸悶不舒(흉민불서) 脘腹脹痛(완복창통) 嘔逆(구역)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⑴ 溫胃止嘔(온위지구)
          ① 灶心土(조심토) 常配 半夏(반하), 乾姜(건강), 白朮(백출)
  5. 辨證施治(변증시치)
      1) 氣逆證(기역증)
          臨床 : 역시 비위허한(脾胃虛寒)에 의한 질병으로서 위기상역(胃氣上逆)으로 아침에
                    먹은 음식을 저녁에 토하고(朝食暮吐) 저녁에 먹은 음식을 아침에 토하며(暮食
                    朝吐), 곡식이 위장에 머물러 있으며 소화되지 않는(宿谷不化) 것은 모두 위가
                    차가워서 곡식을 부숙(腐熟)시키지 못하기 때문이고(此皆胃寒不能腐谷), 비가
                    허한 탓에 운화가 건전할 수 없기(脾虛无以健運) 때문이다. 
          治宜 : 익기온중(益氣溫中) 화위지구(和胃止嘔)
          方用 : 정향투격산(丁香透膈散)《화제국방(和劑局方)》
                                ≒ 정향(丁香), 인삼(人參), 백출(白朮), 향부(香附), 사인(砂仁), 목향
                                    (木香), 백두구(白豆蔲), 맥아(麥芽), 신곡(神曲), 감초(甘草)

          간기(肝氣)가 지나치게 승발(升發)하여 기역상충(氣逆上冲)한 환자는 이미 모두 상술
          한 각 병증 중에서 볼수 있었음으로 여기서는 다시 번거롭게 설명을 반복 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증을 조성하는 병인은 상술한 외상(外傷), 내상(內傷)의 병인을 제외한 것 외
          에 또 계절과도 일정한 관계가 있다. 《古今醫統 ․ 嘔吐噦門》에서 말하기를 “갑자기
          구도를 하는 것은(卒然而嘔吐) 반드시 위부에 객사가 있고(定是邪客胃腑), 여름 장마
          철에 서사에 막히고(在長夏暑邪所干), 가을과 겨울에 풍한이 침범한(在秋冬風寒所犯)"
          것이라 하였다.
          구토(嘔吐)와 천병(喘病)이 명확하게 같은 것은 매번 동춘(冬春)과 하추(夏秋)가 교차
          되는 한온(寒溫)의 기후가 돌변하는 시기에 기역(氣逆)하며 천촉(喘促)이 쉽게 발생한
          다는 점이다.
          예전에 임상변증을 할 때는 각기 다른 계절에 따라 역시 병사(病邪)의 특점을 근거로
          해서 論治(론치) 하였다.
          임상상 본증의 발생은 정서적 영향을 왕왕 받았고, 돌연적으로 喜, 怒, 驚, 駭(희,노,경,
          해)하는 정서의 불안정한 변화는 매번 氣機逆亂(기기역란)을 쉽게 造成(조성)하며 또
          그렇게 怒(노)하면 氣(기)의 上逆(상역)이 觸發(촉발) 되어 眩暈(현운), 咯血(각혈), 脇
          痛(협통), 口苦(구고), 噯氣(애기) 등의 병인이 되는 증상을 쉽게 볼 수 있다.
          갑자기 暴飮暴食(폭음폭식)을 하거나 生冷(생냉)한 음식을 과식하거나 혹은 부패하거
          나 변질된 식품을 먹게 되면 역시 위기(胃氣)를 손상하게 되어 胃(위)가 和降(화강)하
          는 기능상실을 조성함으로 脘腹(완복)이 그득하게 부르고(脹滿) 아프며, 구토 등을 하
          게 된다. 예로부터 정서와 의지가 거침이 없고 평안하며(情志舒暢), 체온이 적당하고
          (寒溫適度), 음식을 절제하여 편식과 과식을 피함(飮食有節) 으로써 예방 혹은 본증의
          발생을 감소시켰다.
      2)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
          臨床 : 반위(反胃)에서 보는 위기상역증(胃氣上逆證)의 그 증후 특점은 음식을 먹은 뒤
                    에(食入之后), 위안에 정유되어(停留胃中), 아침에 먹은 것을 저녁에 토하고(朝
                    食暮吐), 저녁에 먹은 음식을 아침에 토하는데(暮食朝吐), 먹은 곡식이 소화되
                    지 않는 것이다(完谷不化). 대부분 익히지 않은 차가운 음식을 먹었거나(多因飮
                    食生冷), 혹은 정서가 우울해서 비장을 상하고(憂思傷脾), 비양을 손상(損傷脾
                    陽) 함으로써 중초가 허한(中焦虛寒)하게 되어 곡식을 부수고 삭히지 못하기(不
                    能腐磨谷食) 때문이다.
                    《聖濟悤錄 ․ 嘔吐門》說 “食久反出(식구반출), 是无火也(시무화야)”라 했고
                    《景岳全書 ․ 嘔吐門》說 “朝食暮吐(조식모토), 暮食朝吐(모식조토), 食入中焦不
                    化者(식입중초불화자), 胃虛也(위허야)” 
          治宜 : 온중건비(溫中健脾), 강역화위(降逆和胃).
          方用 : 정향투격산(丁香透膈散)《和劑局方》
                                  ≒ 정향(丁香), 인삼(人蔘), 백출(白朮), 향부(香附), 사인(砂仁), 목향
                                      (木香), 백두구(白豆寇), 맥아(麥芽), 신곡(神曲), 감초(甘草).
              或 : 부자리중탕(附子理中湯)《화제국방(和劑局方)》가감(加减)
                                ≒ 인삼(人蔘), 건강(乾姜), 백출(白朮), 부자(附子), 감초(炙甘草).
      3) 脾胃陽虛證(비위양허증)
          臨床 : 반위병(反胃病) 중에 보는 비위양허증(脾胃陽虛證)의 임상표현은 아침에 먹은
                    음식을 저녁에 토하고(朝食暮吐),저녁에 먹은 음식을 아침에 토하며(暮食朝吐),
                    토출되는 것들은 대부분 소화되지 않은 것이다. 이는 비위양허(脾胃陽虛)에 속
                    하는 것으로 위가 덥지 않은(胃中无火) 것이다.
          治宜 : 온중건비(溫中健脾), 강역화위(降逆和胃).
          方用 : 리중탕(理中湯)《상한론(傷寒論)》가감(加减)
                          ≒ 인삼(人蔘), 백출(白朮), 건강(乾姜), 감초(甘草).
반진(斑疹)
        斑(반)과 疹(진)은 모두 피부의 병리변화로서 질병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한 개의 증
        상으로서 斑(반)은 陽斑(양반)과 陰斑(음반)으로 분리된다.
        점이 크고 넓게 이루어지며 색이 붉거나 자색이고 만져도 거칠음이 없는 것을 斑(반)이
        라 하는데 대부분 熱(열)이 陽明(양명)에 鬱結(울결)되어 營血(영혈)을 逼迫(핍박)함으로
        肌膚(기부)에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모양이 좁쌀알과 같고 색이 붉거나 紫色(자색)
        이며 피부보다 높게 도드라져서 만지면 거칠음이 있는 것을 疹(진)이러고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 피부가 도드라졌지만 거칠음이 없을 수도 있다. 이는 대체로 風熱(풍열)이 鬱滯
        (울체)되어 안으로 營分(영분)이 막힘으로써 血絡(혈락)으로부터 피부에 돋아나는 것이
        다.
  1. 常用葯
      1)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消斑(양혈소반)
          ⑴ ☆ 連翹(연교) - 又能 淸心瀉火(청심사화).
          ⑵ ☆ 大靑葉(대청엽)
  2. 配伍葯
      1) 葛根(갈근) + 升麻(승마) = 斑疹初現(반진초현), 頭痛(두통), 發熱(발열).
      2) 牛蒡子(우방자)10 + 連翹(연교)15 = 斑疹(반진) - 風熱痒疹(풍열양진).
      3) 丹皮(단피)10 + 丹參(단삼)15 = 斑疹熱毒(반진열독) - 風熱入于血分(풍열입우혈분)
      4) 蟬退(선퇴) + 薄荷(박하)  = 風熱爲患(풍열위환), 瘟疫發疹(온역발진).
  3.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風溫初起(풍온초기)
          ⑴ 淸熱解毒(청열해독)
              應用葯(응용약) : 紫草(자초),
              ① 連翹(연교) 加 銀花(은화), 牛蒡子(우방자), 薄荷(박하). . . ≒ 銀翹散(은교산)
      2) 解毒化斑(해독화반)
          ⑴ 淸熱凉血(청열량혈), 기혈양청(氣血兩淸)
              ① 石膏(석고) 加 犀角(서각), 牡丹皮(모단피), 玄參(현삼). . .
                                  ≒ 淸瘟敗毒飮(청온패독음)
          ⑵ 熱入營血(열입영혈)
              ① 水牛角(수우각) 加 生地(생지), 玄參(현삼), 銀花(은화), 連翹(연교)
          ⑶ 溫毒發斑(온독발반), 血熱毒盛(혈열독성), 斑疹紫黑(반진자흑)
              ① 紫草(자초) 加 赤芍(적작), 蟬蛻(선태), 甘草(감초), 木通(목통). . . .
                                  ≒ 紫草快斑湯(자초쾌반탕)
      3) 斑疹色暗(반진색암), 熱鬱血瘀(열울혈어)
          ⑴ 凉血解毒(양혈해독) - 泄熱(설열) 
              ① 紅花(홍화) 常配 當歸(당귀), 紫草(자초), 大靑葉(대청엽). . .
                                      ≒ 當歸紅花飮(당귀홍화음)
          ⑵ 現代(현대) : 多形性(다형성) 紅斑(홍반) : ① 紅花注射液(홍화주사액) 肌注(기주)
                            ☞ 菊花科(국화과)의 紅花(홍화)와 같은 作用(작용)이 있는 外(외)에 凉血
                                解毒(양혈해독) 效能(효능)이 있어 大熱斑疹(대열반진)에 더욱 좋다.
      4) 발반(發斑)
          ⑴ 溫病發斑(온병발반) - 熱毒發斑(열독발반)
              應用葯(응용약) : 板藍根(판람근),
              ① 淸熱解毒(청열해독) : 玳瑁(대모),
              ② 溫毒發斑(온독발반) - 淸熱凉血(청열양혈) : 牡丹皮(모단피), 番紅花(번홍화)
          ⑵ 熱毒發斑(열독발반)
              ① 升麻(승마) 加 石膏(석고), 大靑葉(대청엽), 犀角(서각), 玄參(현삼), 知母(지모). .
                                  ≒ 化斑湯(화반탕)
              ② 羚羊角(영양각) 配 犀角(서각)(血分熱), 石膏(석고, 白及(백급). . .
                                        ≒ 犀及白虎湯(서급백호탕)
              ③ 羚羊角(영양각) 加 白虎湯(백호탕) + 玄參(현삼), 犀角(서각). . .
                                          ≒ 化斑湯(화반탕)
          ⑶ 發斑發疹(발반발진)
              應用葯(응용약) -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消斑(양혈소반) : 大靑葉(대청엽)
          ⑷ 熱入血分(열입혈분) - 淸熱凉血(청열양혈)
              ① 赤芍(적작) 加 犀角(서각), 生地(생지), 丹皮(단피). . .
                                  ≒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4. 辨證施治(변증시치)
      1) 발반 (發斑) - 方葯(방약)
          ⑴ 위열발반(胃熱發斑). - 반색심홍(斑色深紅), 장열번갈(壯熱煩渴), 설강태황(舌絳苔
                                              黃), 맥삭유력(脈數而有力)
              방 :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傷寒六書》청열제(淸熱劑)
                                ≒ 化斑湯(화반탕, 석고(石膏), 지모(知母), 감초(甘草), 갱미(粳米), 원
                                    삼(元參), 서각(犀角)) 加 청대(靑黛), 치자(梔子), 천련(川連), 생지
                                    (生地), 인삼(人蔘), 시호(柴胡),초(醋).
          ⑵ 결절성홍반(結節性紅斑).- 경결성(硬結性) 홍반(紅斑), 하지결절병(下肢結節病).
              방 : 통락활혈방(通絡活血方)《朱仁康臨床經驗集》癰瘍劑
                                  ≒ 도인(桃仁), 홍화(紅花), 귀미(歸尾), 적작(赤芍), 우슬(牛膝), 왕불
                                      유행(王不留行), 향부(香附), 청피(靑皮), 천초(茜草), 택란(澤蘭).
                                      - 수전복(水煎服)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