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6-08-19 13:30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술중독 (酒毒) : 宿醉(숙취), 스트레스 (Stress)
 글쓴이 : admin
조회 : 12,433  
술중독 (酒毒)
            宿醉(숙취)
            임상 (臨床)
        1) 과음(過飮)
            ⑴ 香砂六君子湯(향사육군자탕)《和劑局方》
                                ≒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苓(복령), 甘草(감초), 木香(목향), 砂仁(사
                                    인), 陣皮(진피), 半夏(반하).
                                    加 枳椇子(지구자)30, 葛花(갈화)30, 白豆蔲(백두구)30, 乾姜(건강)
                                        10, 附子(부자)10, 桂陵(계릉)15.
                       
            ⑵ 술을 지나치게 많이 마시고(過飮), 구토(嘔吐) 하며 담(膽)이 끓고 손발이 떨리며,
                정신이 朦朧(몽롱)하고, 입맛이 떨어지는(食欲减退) 증상을 치료한 다.
                葛花解酲湯(갈화해정탕)
                            ≒ 葛花(갈화), 砂仁(사인), 白豆蔲(백두구)各20g, 白朮(백출), 乾姜(건강),
                                神曲(신곡), 澤瀉(택사) 各8g, 人參(인삼), 猪苓(저령),  복령(茯苓), 陳
                                皮(진피) 各6g, 木香(목향)2g.
                                이상의 약들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물에 타서 먹고 땀을 약간 내
                                면 술병이 없어진다.

            ⑶ 술을 너무 많이 마시고 상(傷)해서 위(胃)와 장(腸)에 열이 쌓여 혹 피를 토하거나
                변혈이 나오고, 항문에 열감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일명 “소황련원”이라고 한다.
                주중환련환(소황련원)
                            ≒ 황련(黃連)160g.
                                이 약재를 썰어 술에 하룻밤 재워 두었다가 햇볕에 말려서 가루를 낸
                                다음 좁쌀풀로 반죽하여 0.3g 정도의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30~50 알
                                씩 끓인 물로 먹는다.

            ⑷ 술에 상한 것을 다스린다.위장(胃腸)의 기운(氣運)을 고르게 하며 담(痰)을 삭힌다.
                貸金飮子(대금음자)
                          ≒ 陳皮(진피)12g, 厚朴(후박), 蒼朮(창출), 甘草(감초) 各2.8g.
                              이상의 약들을 1 첩 양으로 하여 생강(生姜) 3 片과 함께 水煎服(수전복)
                              한다. 葛根(갈근)8g, 赤茯苓(적복령), 砂仁(사인), 神曲(신곡) 各 4g 을 加
                              味(가미)하면 더욱 좋다.

            ⑸ 술을 마신 뒤에 感氣(감기)로 發熱(발열) 頭脹痛(두창통)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가미(加味)
                            ≒ 滑石(활석)6.8g, 甘草(감초)4.8g, 石膏(석고), 黃芩(황금), 桔梗(길경)
                                各2.8g, 防風(방풍), 川芎(천궁), 當歸(당귀), 赤芍(적작), 大黃(대황),
                                麻黃(마황), 半夏(반하), 連翹(연교),芒硝(망초),荊芥(형개),白朮(백출),
                                梔子(치자)에 黃連(황련)8g, 葱白(총백)10根을 加味(가미).
                                - 水煎服(수전복)

            ⑹ 술을 잘 마시는 사람이 아침마다 헛구역질하는데
                소조중탕 ≒ 황련(黃連) 닳인 물에 감초를 담그고, 감초를 닳인 물에 황련(黃連)을
                                  담그고, 과루인(瓜蔞仁)을 닳인 물에 반하(半夏)를 담그고, 반하(半夏)
                                  를 달인 물에 과루인(瓜蔞仁)을 담갔다가 따로따로 물기가 마르도록
                                  볶는다.
                                  이상의 약들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20g을 생강(生姜) 3片과 함께
                                  달여서 먹는다.
                                  혹은 이상의 약들을 가루 내서 생강 달인 즙을 넣고 쑨 풀에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50알 씩 먹으면 매우 좋다.
                                  또 이 약을 1 달에 3~5 회 먹는 것이 좋다.

        2) 주적(酒積)
            ⑴ 酒積(주적) 胸膈痞悶(흉격비민) 食少体倦(식소체권) 苔膩(태니) 脈滑(맥활)
                方 : 葛花解酲湯(갈화해정탕)《蘭室秘藏》消道劑(소도제)
                                  ≒ 葛花(갈화), 砂仁(사인), 白豆蔲(백두구) 各20g, 白朮(백출), 乾姜
                                      (건강), 神曲(신곡), 澤瀉(택사) 各8g, 人參(인삼), 猪苓(저령), 茯苓
                                      (복령), 陳皮(진피) 各6g, 木香(목향)2g.
                                      이상의 약들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 씩 물에 타서 먹고 땀을 약간
                                      내면 술병이 없어진다.

            ⑵ 술기운이 가슴에 머물러 있으면 얼굴색이 검누르고, 벽질(癖疾, 옆구리에 뜬뜬한
                점이 생기는 병)이 되려 하며, 점차 수척해 가는 것을 치료한다.
                술을 마시려는 사람이 먼저 이 약을 먹으면 술에 취하지 않는다.
                백배환 ≒ 생강(生姜,去皮 소금 80g에 하룻밤 재웠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600g, 귤홍(橘紅) 건강(乾姜) 各 120g, 아출(莪朮 봉출 싸서 구운 것),
                              삼릉(三稜,싸서 구운 것), 자감초(炙甘草) 各8g, 목향(木香), 회향(茴香,
                              볶은 것) 各4g, 정향(丁香)50介, 사인(砂仁), 백두구(白豆寇) 各30알,
                              익지인(益智仁)20알.
                              이상의 약들을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5 환을지어 주사(朱
                              砂)를 입혀서 생강탕(生姜湯)으로 씹어 먹는다.

            ⑶ 술 중독으로 머리가 아프고 토하며 어지럼증이 심한데 쓴다.
                補中益氣湯(보중익기탕) 加减(가감)
                            ≒ 黃芪(황기), 人參(인삼), 白朮(백출), 甘草(감초), 當歸身(당귀신), 진피
                                (陣皮), 升麻(승마), 柴胡(시호)에서 白朮(백출)을 减(감)하고, 半夏(반
                                하), 白芍(백작), 黃芩(황금), 黃柏(황백), 葛根(갈근), 川芎(천궁)을 加
                                味(가미)한다.

            ⑷ 酒積(주적)
                酒積丸(주적환)
                      ≒ 烏梅(오매), 黃連(황련, 하룻밤 술에 담갔던 것) 各40, 半夏(반하)28, 枳實
                          (지실), 砂仁(사인) 各20, 木香(목향)16, 杏仁(행인)12, 巴豆霜(파두상)4.
                          가루 내서 蒸餠(증병)에 반죽하여 녹두알 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10 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

        3) 酒癖(주벽)이 없어지지 않아 배가 불러 오르고 신물이 오라오며 嘔逆(구역)이 나고 음
            식을 먹지 못할 때
            국얼원 ≒ 炒神曲(초신곡), 炒麥芽(초맥아) 各40, 黃連(황련, 巴豆 3粒의 肉과 볶아서
                          巴豆(파두)는 버리고)20.
                          가루 내어 끓인 물로 반죽해서 0.3g정도 알약을 만들어서 한번에 50~70
                          알씩 生姜湯에 먹는다.

        민방 (民方)
        1) 禁酒(금주)
            ① 金錢草(금전초)30, 地龍(지룡)15.
            ② 질경이 뿌리와 이질풀 各10g에 물 반되를 붓고 달여서 마신다.
        2) 宿醉(숙취)
            ① 三黃瀉心湯(삼황사심탕)
                            ≒ 大黃(대황), 黃連(황련), 黃芩(황금).
            ② 五苓散(오령산)
                      ≒ 猪苓(저령), 茯苓(복령), 白朮(백출), 澤瀉(택사), 桂枝(계지).
            ③ 黃連解毒湯(황련해독탕)
                            ≒ 黃連(황련), 黃芩(황금), 黃柏(황백), 梔子(치자).


스트레스 (Stress)
          1. 임상(臨床)
              1) 辨證施治(변증론치)
                  ⑴ 스트레스로 氣(기)가 막힌다고 할 때 너무 放心(방심)하든가 지나치게 安逸
                      (안일)하기 때문에 오는 스트레스성 疾患(질환)의 경우
                      橘皮一物湯(귤피일물탕)
                                    ≒ 橘皮(귤피) 40g - 水煎服(수전복)

                  ⑵ 스트레스로 氣(기)가 막히고 氣(기)가 鬱滯(울체)되어 속이 더부룩하고 滯(체)
                      한 것 같으며 大小便(대소변)이 圓滑(원활)하지 못할 때
                      분심기음 ≒ 紫蘇葉(자소엽)4.8, 炒甘草(초감초)2.8, 半夏(반하), 枳殼(지각)
                                        各2.4, 靑皮(청피), 陳皮(진피), 木通(목통), 大腹皮(대복피), 桑白
                                        皮(상백피), 木香(목향), 赤茯苓(적복령), 檳榔(빈랑), 莪朮(봉출),
                                        麥門冬(맥문동), 桔梗(길경),桂皮(계피), 香附子(향부자), 藿香(곽
                                        향) 各2,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燈心草(등심초)10莖.
                                        - 水煎服(수전복)

            ⑶ 情緖的(정서적) 스트레스에 의해 氣(기)가 막히는 것을 七氣(칠기)에 의한 損傷(손
                상)이라고 한다. 漆氣(칠기)가 서로 相搏(상박)하면 목구멍이 막혀 무엇이 걸린 듯
                싶어서 뱉어보지만도 뱉어지지 않고, 삼켜도 삼켜지지 않으며(梅核氣) 답답하고
                가슴도 그득하고 번거로워(胸悶煩躁) 진다. 또는 명치 아래가 비트는 것 같이 아파
                오기도 할 때 이 처방을 쓴다.
            ☆ 이 처방은 “中氣(중기)”라는 증상에도 쓰인다. 中氣(중기)란 스트레스로 中風(중풍
                  )과 恰似(흡사)하게 精神(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것인데 몸이 싸늘하며 가래가 없
                는 것이 특징이다.
                四七湯(사칠탕)
                        ≒ 法半夏(법반하)8, 赤茯苓(적복령)6.4, 厚朴(후박)(法制)4.8,紫蘇葉(자소엽)
                            3.2, 生姜(생강)7片, 大棗(대조)2枚. - 水煎服(수전복)

            ⑷ 公的(공적) 혹은 私的(사적)인 스트레스, 名譽(명예)와 財産(재산)이 뜻대로 이루
                어지지 않아 抑鬱(억울)하고, 苦悶(고민)하여 飮食(음식)을 먹을 生覺(생각)이 없
                고, 얼굴이 누렇게 들뜨며 여위고 가슴이 더부룩하고 답답할 때
                  교감단 ≒ 香附子(향부자)600, 白茯神(백복신)150.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 번
                                에 한 알씩 香附子(향부자), 白茯神(백복신), 甘草(감초) 各4g을 달인 물
                                로 씹어서 복용한다.

            ⑸ 스트레스로 不安神經證(불안신경증)이 甚(심)해지고 貧血(빈혈)이나 无氣力(무기
                력) 혹은 각종 出血性(출혈성) 증상을 일으킬 때 등등 폭넓게 응용할 수 있는 처방
                이다.
                腦(뇌)의 興奮性(흥분성)과 抑制性(억제성)이 合理的(합리적)으로 調節(조절)되게
                한다. 특히 自律神經(자율신경)의 亢進(항진)으로 인한 熱證(열증)을 鎭靜(진정)
                시키는 효과가 있다.
                加味歸脾湯(가미귀비탕)
                              ≒ 半夏(반하), 陳皮(진피), 枳實(지실), 人參(인삼), 白朮(백출), 茯神(복
                                  신), 當歸(당귀), 遠志(원지), 炒棗仁(초조인), 黃芪(황기), 龍眼肉(용안
                                  육) 各3.75, 天麻(천마), 牛膽南星(우담남성), 竹茹(죽여) 各2.62, 木香
                                  (목향), 甘草(감초) 各1.87, 生姜(생강)3片, 大棗(대조)2枚.
                                  - 水煎服(수전복)

            ⑹ 스트레스로 氣(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거나 氣(기)가 위로 치밀어서 숨이 몹시
                찬 증상에 쓴다.
                쾌기탕 ≒ 香附子(향부자)140, 砂仁(사인)32, 炒甘草1(초감초)6.
                                가루 내어 한 번에 4g씩 鹽湯으로 調服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