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6-11-09 13:52
글쓴이 :
admin
조회 : 13,648
|
실혈 (失血)
人体(인체)의 內外(내외)에 出血(출혈)이 發生(발생)하여 血(혈)의 保有量(보유량)이 過
不足(과부족) 現狀(현상)을 이루는 경우를 失血(실혈)로 認定(인정)하였고 그 외는 出血
(출혈)하는 部位(부위)와 證狀(증상)에 따라 정해진 명칭을 사용하였다.
1. 참조문 (參照文)
1) 出血(출혈) : 衄血(뉵혈), 便血(변혈), 吐血(토혈), 咳血(해혈), 崩漏(붕루)참조
2. 古傳(고전) 金匱
1) 寸口脈弦而大 弦則爲減 大則爲芤 減則爲寒 芤則爲虛 寒虛相擊 此名曰革 婦人則 半産
漏下 男子則亡血.-(282)
寸口脈(촌구맥)이 弦(현)하면서 大(대)하다. 脈象(맥상)이 弦(현)처럼 팽팽하지만 힘
주어 누르면 减衰(감쇠)하고, 또 脈(맥)이 크고 實(실)한 듣 하지만 힘주어 누르면 속
이 빈 파(芤)처럼 空虛(공허)하게 느껴진다. 脈象(맥상)이 弦(현)하면서 减衰(감쇠)하
는 것은 寒證(한증)이요, 大(대) 하면서도 속이 빈 것은 虛證(허증)이다. 虛(허)와 寒
(한)이 結付(결부)된 脈象(맥상)을 革脈(혁맥)이라 일컫는다. 婦人(부인)에게 이런 脈
象(맥상)이 나타나면 流産(유산)하거나 子宮出血(자궁출혈)이 우려되며, 男子(남자)
에게 이런 脈象(맥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失血證(실혈증)의 疾病(질병)이 發生(발생)
한다.
2) 亡血不可發其表 汗出則寒慄而振.-(283)
원래 亡血(망혈)로 貧血症(빈혈증)이 있는 患者(환자)는 發汗(발한)할 수가 없으며,
땀이 나면 寒氣(한기, 惡寒)가 들어 몹시 떨게 된다.
※ 汗血同源(한혈동원)의 理論(이론)에 의하면 貧血患者(빈혈환자)는 發汗(발한)시켜서
表證(표증)을 解除(해제)하는 방법으로 治療(치료)해서는 안 된다. 이른바「피를 빼
앗는 경우에는 땀을 흘려서는 안 된다.」이다. 동시에 貧血症(빈혈증)이 있는데다가
發汗(발한)까지 시키면 陽氣(양기)를 損傷(손상)하기 쉽고, 寒氣(한기)가 들어 떨리는
病狀(병상)이 일어나기 쉽다.
3) 問曰 寸口脈浮微而澀 法當亡血 若汗出 設不汗者云何, 答曰 若身有瘡 被刀斧所傷 亡
血故也.
寸口脈(촌구맥)의 脈象(맥상)이 浮弱(부약)하면서 澀(삽)한 경우는 道理上(도리상)
當然(당연)히 失血(실혈) 혹은 大汗出(대한출)로 인한 것인데, 萬若(만약) 大汗出(대
한출)을 하지 않고 이런 종류의 脈象(맥상)을 볼 수 있는 것은 어떠한 이유입니까?
하고 물은즉 先生(선생)이 答(답)하기를 이것은 患者(환자)가 칼이나 도끼 등 銳利(예
리)한 물건에 의해 傷處(상처)를 받아 이미 피를 잃었기 때문입니다. 라고 하셨다.
4) 病金瘡 王不留行散主之.-(244)
銳利(예리)한 칼 도끼 등에 의한 傷處(상처)에는 王不留行散(왕불유행산)으로 主治
(주치)한다.
王不留行散(왕불유행산)
≒ 王不留行(왕불유행)十分(8月 8日에 採取한 것), 蒴細葉(삭세엽)十分(7月 7日 採取한 것), 桑白皮(상백피)十分(3月 3日에 東과 南으로 자란 것을
採取(채취)) 各10g, 甘草(감초)十八分 18g, 川椒(천초)三分(祛脂)3g, 黃
芩(황금), 乾薑(건강), 芍葯(작약), 厚朴(후박) 各二分(各2g).
王不留行(왕불유행), 蒴(삭) 細葉(세엽)과 桑白皮(상백피) 三味는 炭(탄
)으로 하고, 나머지 六味(육미)를찧어서 서로 섞어 가루로 만들어 方寸
匕(방촌비)를 복용한다. 傷處(상처)가 작으면 가루를 붙이고, 傷處(상처)
가 크면 服用(복용)한다. 産后(산후)에도 복용할 수 있다.桑東根(상동근)
은 바람이 불거나 추운 날에는 採取(채취)해서는 안 된다. 王不留行(왕불
유행), 桑東南根(상동남근), 蒴(삭) 細葉(세엽)은 모두 百日間(백일간)
陰乾(음건)한다.
方解 :
① 王不留行(왕불유행) - 血分(혈분)의 속을 움직여서 止血(지혈)과 止痛(지통) 작용
을 한다.
② 蒴(삭) 細葉(세엽) - 行血作用(행혈작용)으로 散瘀(산어) 즉 瘀血(어혈)을 消散(소
산)시킨다.
③ 甘草(감초) - 胃(위)를 補益(보익)하고 解毒(해독)작용을 한다.
④ 芍葯(작약), 黃芩(황금) - 血熱(혈열)을 淸除(청제)하는 것을 돕는다.
⑤ 川椒(천초), 乾姜(건강) - 瘀血(어혈)이 움직이도록 돕는다.
⑥ 厚朴(후박) - 瘀血(어혈)을 움직이게 하고 分散(분산)시켜서 血(혈)의 凝滯(응체)
를 막는다.
⑦ 桑白皮(상백피) - 寒性(한성)으로서 王不留行炭(왕불유행탄), 蒴(삭) 細葉炭(세엽
탄)과 더불어 血分(혈분)으로 들어가 傷處(상처)의 出血(출혈)을
막아 止血(지혈)시킨다.
§ 바람이 부는 날이나 추운 날에는 桑根(상근)을 採取(채취)하면 안 된다는 것은 葯性
(약성)이 過度(과도)하게 寒性(한성)으로 되지 않게끔 하기 위해서 일 것이다. 王不留
行(왕불유행), 蒴(삭) 細葉(세엽), 桑東南根(상동남근)을 百日間(백일간) 陰乾(음건)
하라고 한 것은 陰性(음성)을 保存(보존)하기 위해서이며 日光(일광)에 말리거나 불
에 灸(구)해서는 안 된다.
3. 임상 (臨床)
1) 失血(실혈)
症狀 : 元氣暴脫(원기폭탈), 面色蒼白(면색창백), 神情淡漠(신정담막), 肢冷汗出(지냉
한출), 呼吸微弱(호흡미약), 脈微欲絶(맥미욕절).
方 : 獨參湯(독삼탕)《十葯神書》補益劑(보익제)
≒ 人參(인삼),. 大棗(대조).
2) 脾不統血(비불통혈) 所致的(소치적) 失血(실혈).
症狀 : 血色黯淡(혈색암담), 面色萎黃(면색위황), 舌淡苔白(설담태백), 脈沉細无力(맥
침세무력).
方 : 黃土湯(황토탕)《金匱要略》理血劑(리혈제)
≒ 竈心黃土(조심황토)25, 阿膠(아교), 白朮(백출), 乾地黃(건지황), 炮附
子(포부자), 甘草(감초), 黃芩(황금)9.
- 加水 1500 毫升, 煮取 600 毫升, 分兩次溫服(분양차분복).
3) 胃腸虛弱(위장허약) 下血(하혈).
症狀 : 面色萎黃(면색위황), 大便下血(대변하혈).
方 : 胃風湯(위풍탕)《和劑局方》理血劑(리혈제)
≒ 十全大補湯(십전대보탕, 當歸(당귀), 人參(인삼), 肉桂(육계), 川芎(천
궁), 白芍(백작), 茯苓(복령), 白朮(백출), 甘草(감초), 黃芪(황기), 地黃(
지황))
去 黃芪(황기), 甘草(감초), 熟地(숙지),
加 粟米(속미)
4) 腸風下血(장풍하혈).
症狀 : 大便血色鮮紅(대변혈색선홍), 舌紅(설홍), 脈弦數(맥현삭).
方 : 槐花散(괴화산)《本事方》理血劑(리혈제)
≒ 槐花(괴화), 側柏葉(측백엽), 芥穗(개수), 枳殼(지각).
5) 血熱失血(혈열실혈).
症狀 : 血色鮮紅(혈색선홍), 口乾咽燥(구건인조), 舌紅(설홍), 脈數(맥삭).
方 : 約榮煎(약영전)《景岳全書》理血劑(리혈제)
≒ 槐花(괴화), 芥穗(개수), 續斷(속단), 白芍(백작), 甘草(감초), 枯黃芩
(고황금), 地黃(지황), 地楡(지유), 烏梅(오매).
加味(가미)
便秘(변비) : 加 麻仁(마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