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4-10-07 15:30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백합병 (百合病)
 글쓴이 : admin
조회 : 21,699  
백합병 (百合病)
            槪述 : 金匱要略(금궤요략)에 쓰여 있는 옛날의 병명이다. 일종의 心肺陰虛(심폐음허)
                      적 병증(病證)이다. 臨床表現(임상표현)은 침울하고, 말이 적으며, 잠을 자려고
                      하지만 잠이 오지 않고, 걸으려 하지만 걸을 수 없으며, 먹으려 하지만 먹을 수
                      없고, 寒熱(한열)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며, 정신이 때로는
                      안정하지 못하고 혼자 중얼거리고, 입 안이 쓰고, 오줌이 붉으며, 맥이 數(삭)
                      한 등 內熱證狀(내열증상)이 동반하여 나타난다. 神經衰弱(신경쇠약), 히스테
                      리 혹은 열병후기의 虛弱證(허약증)과 비슷하다.
                      어떤 사람은 金匱要略(금궤요략)에서 百合(백합),地黃(지황)등 滋陰葯(자음약)
                      으로 치료하여 효과를 얻기 때문에 百合病(백합병)이라 한다고 전한다.
        1. 참조(參照) 및 비교(比較)
            1) 신경쇠약 (神經衰弱)
            2) 신지병 (神志病)
            3) 히스테리
        2. 常用葯 : 百合(백합)
        3. 金匱要略
            1) 論曰 百合病者, 百脈一宗, 悉致其病也, 意欲食復不能食, 常黙黙, 欲臥不能臥 欲行
                不能行, 飮食或有美時 或有不用聞臭時, 如寒無寒 如熱無熱, 口苦, 小便赤, 諸藥不
                能治, 得藥則劇吐利, 如有神靈者, 身形如和, 其脈微數, 每溺時頭痛者 六十日乃愈,
                若溺時頭不痛 淅然者 四十日愈, 若溺快然 但頭眩者 二十日愈, 其證或未病而預見
                或病四十五日而出, 或病二十日, 或一月微見者 各隨證治之.

                百合病(백합병)을 論 하는 경우 百脈(백맥)과 관련시켜서 생각하지 않을 수없다.
                왜냐하면 인체의 수많은 모든 脈絡(맥락)은 그 出源(출원)이 같기 때문이며, 百合
                病(백합병)의 發病(발병)역시 脈絡(맥락)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병은
                全身(전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全身이 病情(병정)에 따라 불쾌감을 유발한다.
                百合病(백합병)의 주요한 증상은 음식을 먹으려 해도 먹을 수 없다. 항상 말이 없고
                잠을 자고자 해도 잘 수가 없다. 걷고자 해도 걸을 수가 없으며, 음식에 대하여 식
                욕이 왕성한 때가 있는가 하면 음식물의 냄새며 말도 듣기 싫어한다. 추워 보이나
                춥지 않고 熱(열)이 있는 듯하지만 熱(열)은 나지않고, 입 안이 쓰며, 小便色(소변
                색)이 붉다.
                대부분의 약물이 이 병을 고칠 수가 없다. 無理(무리)하게 약을 복용하면 往往(왕왕
                ) 吐(토)하거나 下痢(하리)를 한다. 이 病床(병상)이 마치 神靈(신령)에 들린듯하여
                종잡을 수가 없다. 外見(외견)으로는 顯著(현저)한 病象(병상)이 있는 것처럼 보이
                지 않고, 脈搏(맥박)은 좀 빠를 뿐이다.
                臨床(림상)에서 觀察(관찰)로 얻은 경험에 의하면 小便(소변)을 볼 때 頭痛(두통)이
                있으면 약 육십일 이면 회복되고, 소변을 볼 때 머리가 아프지 않으며 약간 추위를
                꺼리면 대체로 사십일 정도에 회복하며, 小便(소변)은 아주 상쾌히 보는데 가벼운
                眩氣症(현기증)을 느낀다면 약 이십일 정도면 治愈(치유)된다. 상술한 百合病(백합
                병)의 각종 症狀(증상)은 傷寒病(상한병)에 걸리기 전에 나타나는 일이 있는가 하
                면 傷寒病(상한병)에 걸려서 4~5일 지나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또 傷寒病(상한병)
                에 걸려서 二十日 或은 一個月쯤 지나서 겨우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서 病情(병정)
                에 따라 適宜治療(적의치료)하지 않으면 안 된다.

            2) 百合病, 發汗后者, 百合知母湯 主之.
                百合病(백합병)으로서 發汗劑(발한제)를 服用后(복용후)에 發病(발병)한 경우에는
                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으로 主治(주치)한다.
                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
                            ≒ 百合(백합)七枚(擘), 知母(지모)三兩.
                                치 : 養陰潤燥(양음윤조), 補氣(보기), 解熱(해열).
                                  - 우선 百合(백합)을 물로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두면 하얀 거품이
                                뜨게 된다. 그 물을 버리고 새물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滓(거재)한다. 다음은 知母(지모)를 같은 방법으로 淸水(청수) 二升(
                                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滓(거재)한다. 이 兩者(양자)를 합하
                                여 一升五合(일승오합)으로 달여서 二回(이회)로 나누어 溫服(온복)한
                                다.
                方解 : 신선하고 윤택이 있는 百合(백합)으로 脾(비)를 强(강)하게 해서 氣(기)를 補
                        充(보충)하여 精神狀態(정신상태)를 安定(안정)시키고, 知母(지모)로 津液(
                        진액)을 産生(산생)하게 하여 潤氣(윤기)를 주고, 淸水(청수)로 中氣(중기)를
                        調和(조화)시켜서 熱(열)을 내린다.
            3) 百合病 下之後者 滑石代赭湯 主之.
                百合病(백합병)으로서 下劑(하제)를 服用(복용)한 后(후)에 發病(발병)한 患者(환
                자)는 滑石代赭湯(활석대자탕)으로 다스린다.
                滑石代赭湯(활석대자탕)
                            ≒ 百合(백합,擘)七枚, 滑石(활석,碎綿裏(粉)三兩, 代赭石(대자석,碎綿裏)
                                如彈子大一枚.
                方解 ≡ 이 方(방)은 陰(음)을 滋養(자양)하여 下痢(하리)를 멈추게 한다.百合(백합)
                          과 淸水(청수)가 主葯(주약)으로서 滑石(활석)을 도와 소변이 잘 나오게 한
                          다.
            4) 百合病 吐之後者 用後方 主之.
                百合病(백합병)으로서 催吐劑(최토제)를 服用(복용)한 后(후)에 발병한 경우는 百
                合鷄子湯(백합계자탕)으로 다스린다.
                百合鷄子湯(백합계자탕)
                            ≒ 百合(백합, 擘)七枚, 鷄子黃(계자황)一个
                                우선 百合(백합)을 물로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두면 하얀 거품이 뜨
                                게 된다. 그 물을 버리고 새물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
                                滓(거재)한다. 다음은 鷄卵(계란) 노른자위만을 넣고 攪拌(교반)하여
                                절반으로 달여 溫服(온복)한다.
                方解 ≡ 鷄卵(계란)의 노른자위는 百合(백합)과 淸水(청수)를 도와 陰(음)을 滋養(
                          자양)하고,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下降(하강)시켜서 嘔吐(구토)를 멈추
                          게 한다.
          5) 百合病 不經吐下發汗, 病形如初者, 百合地黃湯主之.
              百合病(백합병)으로서 催吐法(최토법), 瀉下法(사하법), 發汗法(발한법) 등의 誤治(
              오치)를 전혀 하지 않았는데도 발병하여 典型的(전형적)인 백합병 증상(백합병으로
              서 下劑(하제)를 복용한 후의 증세)  을 나타내는 경우 이는 즉 陰液(음액)이 過度(
              과도)하게 損耗(손모)되어 內熱證(내열증)을 惹起(야기)한 경우에는 百合地黃湯(백
              합지황탕)으로 다스린다.
              百合地黃湯(백합지황탕)
                            ≒ 百合(백합, 擘)七枚, 生地黃汁(생지황즙)一升.
                                - 우선 百合(백합)을 물로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두면 하얀 거품이 뜨
                                게 된다. 그 물을 버리고 새물 二升(이승)으로 달여 一升(일승)에서 去
                                滓(거재)한다. 여기에다 地黃汁(지황즙)을 넣고 一升五合(일승오합)으
                                로 달여 二回(이회)에 나누어서 溫服(온복)한다. 약효가 있으면 더 이상
                                服用(복용)을 금한다.
                                ※ 大便(대변)은 生地黃汁(생지황즙)을 복용하였으므로 漆(칠)처럼 검
                                    게 나올 것이다.
              方解 ≡ 生地黃汁(생지황즙)은 百合(백합)과 淸水(청수)를 도와서 滋陰養血(자음양
                          혈)하며, 解熱(해열)한다.
          6) 百合病一月不解, 變成渴者, 百合洗方 主之.
              百合病(백합병)이 일 개월이 되어도 낫지 않고, 입이 마르는 등 症狀(증상)이 나타
              날 때에는 百合洗方(백합세방)으로 다스린다.
              百合洗方(백합세방)
                        ≒ 百合(백합)一升.
                            百合(백합) 一升(일승)을 一斗(일두)의 물에 하룻밤 담근 후 그 물을 데워
                            서 따뜻한 물로 患者(환자)의 몸을 씻는다. 다 씻고 난 뒤에, 찐 떡을 먹는
                            다. 이 떡에는 소금과 豆豉(두시)를 넣어서는 안 된다.
          7) 百合病渴不差者, 栝樓牡蠣散 主之.
              百合病(백합병)에 百合洗方(백합세방)의 처방을 사용했으나 입이 마르는 것이 전혀
              輕减(경감)되지 않는 것은 어쩌면 熱(열)이 甚(심)해서 津液(진액)을 耗傷(모상) 했
              기 때문이므로 栝樓牡蠣散(괄루모려산)으로 다스린다.
              栝樓牡蠣散(괄루모려산)
                            ≒ 括樓根(괄루근), 熬牡蠣(오모려) 各等分
              方解 ≡ 括樓根(괄루근)은 津液(진액)을 맑게 하고, 多量(다량)으로 産出(산출)하게
                          함으로 渴症(갈증)을 내리게 한다. 牡蠣(모려)는 虛熱(허열)을 除祛(제거)하
                          고, 焦憔(초초)한 것을 진정시킨다. 때문에 百合洗方(백합세방)으로 효과가
                          없을 경우에 이 처방을 服用(복용)하여 治愈(치유)에 이루도록 한다.
          8) 百合病變發熱者(一作發寒熱), 百合滑石散 主之.
              百合病(백합병)은 본래 發熱(발열)하는 일은 없는데도 發熱(발열)하는 것은 里熱(리
              열)이 상당히 甚(심)한 것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으로 다스
              린다.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
                            ≒ 炙百合(자백합)一兩, 滑石(활석)三兩.
                                하루에 三回(삼회) 복용한다. 그러나 다만 小便(소변)이 조금 나오면 복
                                용을 중지한다.  熱(열)은 小便(소변)과 더불어 排出(배출)되었기 때문
                                이다.
          9) 百合病見於陰者 以陽法救之, 見於陽者 以陰法救之, 見陽攻陰 復發其汗 此爲逆, 見
              陰攻陽, 乃復下之, 此亦爲逆.
              百合病(백합병)에 걸린 환자가 熱(열)이 里(리)로 들어간 症狀(증상)이 보일 때는 百
              合洗方(백합세방)을 사용하여 表(표)에서 治療(치료)해야 한다. 또 熱(열)이 表(표)
              에 있는 症狀(증상)일 때에는 滋陰法(자음법)으로 里(리)에서 治療(치료)해야 한다.
              表(표)의 症候(증후)가 나타나 있는데도 攻下法(공하법)으로 治療(치료)하고, 게다
              가 發汗(발한)시키는 것은 逆症(역증)이다. 마찬가지로 里(리)의 症候(증후)가 나타
              나 있는데도 發汗法(발한법)으로 治療(치료)하고, 게다가 攻下(공하)시키는 것도 逆
              症(역증)이다.
      4. 임상 (臨床)
          1) 百合病(백합병) : 吐后傷陰(토후상음), 脾胃之陰(비위지음).- 擾亂(요란), 肺胃和降
                                        之氣(폐위화강지기).
                                방 : 百合鷄子湯(백합계자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鷄子黃(계자황).
          2) 百合病(백합병) : 未經(미경) - 汗(한), 吐(토), 下(하) 病形如初者(병형여초자).
                                  방 : 百合地黃湯(백합지황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地黃葉(지황엽).
          3) 百合病(백합병).- 發熱者(발열자)
                                방 :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滑石(활석).
          4) 百合病變爲渴者(백합병변위갈자)
                                방 : 百合(백합) 一味(일미), 漬之一宿(지지일숙), 洗身(세신).
          § 若洗后(약세후) 渴不解者(갈불해자), 爲葯不勝病(위약불승병), 應服(응복)
              栝樓牡蠣散(괄루모려산)《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括蔞(괄루), 牡蠣(모려).

백합병오치(百合病誤治)
  1. 임상 (臨床)
      1) 百合病(백합병) - 誤汗傷陰(오한상음).
          방 : 百合知母湯(백합지모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知母(지모).
      2) 百合病(백합병) 下后(하후) 損傷脾胃(손상비위).- 嘔吐(구토) 혹 呃逆(애역) 氣不下降(기불하강).
          방 : 百合滑石代赭湯(백합활석대자탕)《金匱要略》淸熱劑(청열제)
                                    ≒ 百合(백합), 滑石(활석), 代赭石(대자석).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