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5-10-25 16:45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부정맥 (不定脈)
|
|
글쓴이 :
admin
 조회 : 16,569
|
부정맥 (不定脈)
1. 참조문(參照文)
1) 협심증 (狹心症)
2) 심률문란(心律紊亂) - 중의내과학(中醫內科學) 심계(心悸) 참조(參照)
2. 림상(臨床)
1) 심계(心悸) 결대맥(結代脈)
⑴ 氣虛血弱(기허혈약)
症狀 : 結脈(결맥), 代脈(대맥), 心動悸(심동계), 体羸(체리)(瘦(수)), 氣短(기단),
舌光色淡(설광색담), 少津(소진)
⑵ 虛勞肺萎(허로폐위)
症狀 : 乾咳无痰(건해무담), 或咯痰多(혹각담다), 痰中血絲(담중혈사), 形瘦氣短
(형수기단), 虛煩不眠(허번불면), 自汗(자한), 或盜汗(혹도한), 咽乾舌燥
(인건설조), 大便難(대변난), 或時有虛熱(혹시유허열), 脈虛數(맥허삭)
處方 : 炙甘草湯(자감초탕)(復脈湯)
≒ 炙甘草(자감초)12, 生姜(생강)9, 人參(인삼)6, 生地黃(생지황)
30, 桂枝(계지)(去皮)9, 阿膠(아교)6, 麥門冬(맥문동)10, 麻仁(마
인)10, 大棗(대조)5~10枚.
效用 : 益氣滋陰(익기자음), 補血復脈(보혈복맥)
2) 脈(맥)이 結代(결대)하고 가슴이 놀란 것처럼 두근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대체로 脈
(맥)만나타나는데 쓰는 것도 좋다.
處方 : 炙甘草湯加味(자감초탕가미)
≒ 炙甘草(자감초)8, 生乾地黃(생건지황)(酒炒), 桂枝(계지), 麻
子仁(마자인), 麥門冬(맥문동) 各6, 人參(인삼), 阿膠珠(아교
주) 各4, 生姜(생강)5片, 大棗(대조)3枚.
- 阿膠珠(아교주)를 제외한 나머지 약을 水(수)와 酒(주)를 2 : 1의 비율로 섞은 것에 달여 절반쯤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阿膠珠(아교주)를 넣고 다시 한 번 끓어오르게 달인 후 1일
3회 따뜻하게 分服(분복)한다.
參考 : 生乾地黃(생건지황) 대신에 生地黃(생지황)을 쓰고, 桂枝(계 지)를 제외한 모든 葯劑(약제)를 8g으로 늘리면 더 좋다.
加减 : 陰虛內熱(음허내열)로 不安(불안)하고 不眠症(불면증)
≒ 减 桂枝(계지), 生姜(생강),
加 鱉甲(별갑)12, 牡蠣(모려)20.
氣虛 ≒ 加 黃芪(황기)8, 五味子(오미자)6.
3) 氣血을 補充하고, 營衛를 調和시키며, 三焦를 고르게 하고, 血脈을 잘 돌게 하는데,
특히 雜病으로 不定脈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人參黃芪湯(인삼황기탕)
≒ 陣皮(진피)8, 黃芪(황기), 白芍(백작), 桔梗(길경), 天門冬(천문동), 半
夏(반하), 當歸(당귀) 各4, 人參(인삼), 白茯苓(백복령),熟地黃(숙지황),
地骨皮(지골피), 甘草(감초) 各2.
위의 약을 生姜 7 片을 넣고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으면 마신다.
4) 不整脈(부정맥) 및 脈搏(맥박)이 힘이 없을 때 쓰는 처방이다. 특히 脈(맥)이 虛(허)
하고 기침하면서 가슴이 아프고 목구멍에 무엇이 걸린 것 같이 캑캑 거리는 것을
치료한다.
이 처방 중 黃芪(황기), 人參(인삼), 麥門冬(맥문동), 桔梗(길경), 甘草(감초) 만을
끓여 먹는 경우도 있는데 이 처방을 “補氣湯(보기탕)”이라고 한다.
茯神湯(복신탕)
≒ 茯神(복신), 人參(인삼), 遠志(원지), 通草(통초), 麥門冬(맥문동), 黃芪(황
기), 桔梗(길경) 各2.8, 五味子(오미자) 甘草(감초) 各1.2, 生姜(생강)2片.
위의 약을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마신다.
5) 心臟筋肉(심장근육)의 베타-交感神經(교감신경) 수용체를 興奮(흥분)시키고, 혈액
이 부족한 심장의 합성대사를 개선 시키므로써 酸素(산소) 缺乏(결핍)을 이기는 힘
을 키우고, 心筋(심근)의 산소와 화학에너지 소모를 감소시켜 心筋機能(심근기능)
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 처방이다.
生脈散(생맥산) 加味(가미)
≒ 麥門冬(맥문동), 人參(인삼) 各12, 五味子(오미자)6, 炙甘草(자감초)8.
五味子(오미자)를 짓찧은 후 위의 葯劑(약제)와 함께 끓여 먹는다. 꿀을 타서 차게 먹어도 좋다. 또는 가루 내어 1 회 4g씩 꿀물에 타서 먹어도
좋다.
參考 : 生脈散(생맥산) ≒ 麥門冬(맥문동)8, 人參(인삼), 五味子(오미자) 各4. 을 변방 시킨 處方(처방)이다.
加减 : 血瘀症(혈어증)
≒ 加 熟地黃(숙지황), 當歸(당귀), 白芍(백작) 各8. = 補血(보혈)
胸悶症(흉민증)
≒ 桂枝(계지)6. = 溫經通絡(온경통락), 胸中(흉중)
- 疏通陽氣(소통양기)
瘀血症(어혈증)
≒ 丹參(단삼), 赤芍(적작) 各8, 桃仁(도인)6, 紅花(홍화)4.
- 活血祛瘀(활혈거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