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5-10-26 17:52
글쓴이 :
admin
 조회 : 16,805
|
부종 (浮腫)
1. 參照文
1) 수종 (水腫) 參照
2) 수기병 (水氣病)
3) 심쇠부종(心衰浮腫) : 中醫內科學 痰飮 참조
2. 常用葯(상용약)
1) 一葉草(일엽초), 냉이(薺菜)
3. 配伍葯(배오약)
1) 冬葵子(동규자)15 + 茯苓(복령)30 = 浮腫(부종) - 急慢性腎炎(급만성신염) 所致
2) 大腹皮(대복피)12 + 檳榔(빈랑)10 = 面目浮腫(면목부종)
4. 中醫葯學(중의약학)
1) 皮水一身(피수일신), 肌膚悉腫(기부실종), 小便短少(소변단소)
防己茯苓湯(방기복령탕)
≒ 防己(방기), 茯苓(복령), 黃芪(황기), 桂枝(계지)
2) 脚氣浮腫(각기부종)
己椒藶黃湯(기초력황탕)
≒ 防己(방기), 椒目(초목), 葶藶子(정력자), 大黃(대황)
5. 金匱要略(금궤요략)
1) 手指臂腫(수지비종)
⑴ 病人常以手指臂腫動 此人身體瞤瞤者 黎蘆甘草湯主之.-(348)
患者(환자)의 손가락 및 팔이 항상 부어 있어서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고, 더욱이
身体(신체)의 肌表(기표)도 가볍게 痙攣(경련)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에는 黎蘆甘
草湯(여로감초탕)으로 主治(주치)한다.
注解 - 이 경우에는 往往 胸膈部(흉격부)에 風痰(풍담)이 머물러 人体(인체) 각부
에 影響(영향)을 미치는 것이 原因(원인)이다. 일반적으로는 손가락이나 팔
이 스스로 움직일 수 없고, 身体(신체)가 痙攣(경련)하는 것은 風邪(풍사)가
經絡(경락)을 침범했기 때문이다. 또 손가락, 팔 등의 体表(체표)나 關節(관
절)이 붓는 症狀(증상)은 대개는 痰濕(담습)이 停留(정유)하는 것이 原因(
원인)이 되고 있다.
黎蘆甘草湯(여로감초탕) ≒ 이 處方(처방)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注解 - 黎蘆(여로)의 辛寒(신한)한 葯性(약성)으로서 肺(폐)에 들어가면 胸膈部(흉
격부)의 風痰(풍담)을 吐(토)해 내게 할 수가 있다. 甘草(감초)의 도움을 빌
어 黎蘆(여로)의 毒(독)을 解除(해제)하고, 胃液(위액)을 保護(보호)하여,
吐(토)해도 中氣(중기)를 傷(상)하지 않게 한다. 處方(처방)은 아직 發見(발
견)되지 않고 있으나 아마도 催吐劑(최토제)일 것이다. 診斷(진단)에 應用(
응용)하는 경우에는 風痰(풍담)이 胸膈部(흉격부)에 堆積(퇴적, 集積)한 것
이 原因(원인)인 그 밖의 脈症(맥증), 예를 들어 甚(심)하게 焦躁(초조)하다.
吐(토)하고 싶어진다. 脈象(맥상)이 滑(활)한 것을 結付(결부)하여 양쪽을
參考(참고)하여 治療法(치료법) 등을 決定(결정)해야 한다.
6. 김명욱임상경험집방
症狀 : 心臟性浮腫(심장성부종) - 全身浮腫(전신부종), 呼吸困難(호흡곤난), 胃脘部閉塞
感(위완부폐색감), 食欲不振(식욕부진) 消化不良(소화불량), 脈沉遲結代(맥침지
결대)
加味桂苓朮甘湯(가미계령출감탕)
≒ 白朮(백출)35, 茯苓(복령)35, 桂枝(계지), 炙甘草(자감초) 各15,
藿香(곽향), 砂仁(사인), 大腹皮(대복피), 陳皮(진피), 木香(목향)
各7.5, 燈心(등심)5, 生姜(생강)5片, 大棗(대조)3枚.
症狀 : 心臟性浮腫(심장성부종) - 全身浮腫(전신부종), 腹脹(복창), 不可飮食(불가음식),
氣逆噯氣(기역애기), 二便不利(이변불리), 脈沉細无力(맥침세무력)
加味胃苓湯(가미위령탕)
≒ 蒼朮(창출)15, 陳皮(진피), 澤瀉(택사), 白朮(백출), 茯苓(복령), 桂枝 (계지), 木瓜(목과), 厚朴(후박), 猪苓(저령) 各10, 神曲(신곡),檳榔(빈
랑), 山楂(산사),砂仁(사인),香附(향부,生姜炒),大腹皮(대복피) 各7.5,
炙甘草(자감초)3.5, 燈心(등심), 生姜(생강) 各2.5
症狀 : 心臟性浮腫(심장성부종) - 全身浮腫(전신부종), 腰痛(요통), 尿黃(뇨황), 胃脘部
不舒(위완부불서), 呼吸困難(호흡곤난), 腹部拒按(복부거안), 脈緩滑(맥완활).
加味實脾散(가미실비산)
≒ 茯苓(복령)20, 白朮(백출)20, 厚朴(후박), 半夏(반하),大腹皮(대복피) 各15, 陳皮(진피), 草豆寇(초두구), 木香(목향), 木瓜(목과),炮附子(포
부자), 炮乾姜(포건강), 澤瀉(택사), 車前(차전) 各10, 甘草(감초)5,
燈芯(등심)2.5
症狀 : 心臟性浮腫(심장성부종) - 全身浮腫(전신부종), 呼吸困難(호흡곤난), 痰多(담다),
咳嗽(해수), 消化不良(소화불량), 脈實(맥실), 元氣微衰弱(원기미쇠약).
變劑心氣飮(변제심기음)
≒ 半夏(반하), 茯苓(복령) 各22.5, 桑白皮(상백피)15, 桂枝(계지), 木通 (목통), 吳茱萸(오수유)(炮) 各10, 甘草(감초)7.5, 檳榔(빈랑),鱉甲(별
갑) 各5, 蘇子(소자), 枳實(지실) 各2.5
症狀 : 慢性腎臟炎(만성신장염), 尿毒症(뇨독증) - 心悸(심계), 不寐(불매), 精神乏力(정
신핍력), 小便不利(소변불리), 身腫(신종), 手足冷(수족냉), 脈細數无力(맥세삭무
력) - 病勢危急(병세위급)
眞武湯(진무탕)
≒ 茯苓(복령)30, 白芍(백작), 生姜(생강), 白朮(백출), 人參(인삼) 各15, 炮
附子(포부자)10, 炒棗仁(초조인), 麥冬(맥동) 各7.5, 五味子(오미자)2.5
7. 임상 (臨床)
1) 浮腫(부종) : 냉이(薺菜) 米粥을 긇여 服用
2) 四肢浮腫(사지부종) - 中脘痰停(중완담정)에 의한 浮腫(부종)
茯苓丸(복령환)
≒ 半夏(반하)60, 茯苓(복령)30, 枳殼(지각)15, 朴硝(박초)7.5
3) 일신실종(一身悉腫)
風水兼裏熱(풍수겸리열) - 發熱(발열), 汗出(한출) 혹 无汗(무한), 惡風(오풍),脈浮(맥
부)
越婢湯(월비탕)《金匱要略》解表劑(해표제)
≒ 石膏(석고)18, 麻黃(마황)9, 甘草(감초)5,生姜(생강)9,大棗(대조)5~15매(枚).
4) 寒濕困脾(한습곤비).- 浮腫泄瀉(부종설사).
胃苓湯(위령탕)《丹溪心法》祛濕劑(거습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