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5-10-26 18:19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분강염 (盆腔炎), 분돈 (奔豚氣), 분자 (粉刺)
|
|
글쓴이 :
admin
 조회 : 17,199
|
분강염 (盆腔炎)
1. 配伍葯(배오약)
1) 乳香(유향)10 + 沒葯(몰약)10 = 急性(급성) 亞急性(아급성) 盆腔炎(분강염), 盆腔
膿腫(분강농종) - 證屬(증속) 火毒內盛(화독내성)
2. 臨床
1) 慢性盆腔炎(만성분강염) - 屬 瘀血內阻者(어혈내조자)
治 : 活血祛瘀(활혈거어), 溫經止痛(온경지통)
方 : 少腹逐瘀湯(소복축어탕)《醫林改錯》
2) 慢性盆腔炎(만성분강염) - 屬于 脾虛肝鬱(비허간울)
治 : 養血疏肝(양혈소간), 健脾利濕(건비이습)
方 : 當歸芍葯散(당귀작약산)《金匱要略》
3) 急性盆腔炎(급성분강염) - 屬 濕熱下注型(습열하주형)
治 : 淸利(청리) 肝膽濕熱(간담습열)
方 : 龍膽瀉肝湯(용담사간탕)《醫方集解》引《太平惠民和劑局方》
분돈 (奔豚氣)
1. 참조문(參照文)
1) 현벽(痃癖)과 구별 할 것
2. 金匱要略(금궤요략)
奔豚(분돈)은 賁豚(분돈)이라고도(賁은 빨리 달린다는 뜻)이라고도 적으며, 가장 빠른
것은 靈樞․邪氣臟腑病形篇』에 보인다. 豚(돈)은 㹠(돈)이라고도 적고,『難經․五十六難
』은 奔豚(분돈)을 五積(오적)의 하나로 들어「腎之積(신지적) 名曰奔豚(명왈분돈)」이
라 敍述(서술)하고 있다.
奔豚(분돈)의 發病(발병)은 肝經(간경)과 密接(밀접)한 關系(관계)가 있으며 發作(발작)
이 일어날 때에는 氣(기)의 덩어리가 上部(상부)로 치밀고 發作(발작)이 멈추면 氣(기)
의 덩어리는 消减(소감)해 버리므로 奔豚氣(분돈기)라고도 한다.
1) 師曰 病有奔豚 有吐膿 有驚怖 有火邪 此四部病皆從驚發得之.
선생이 말하기를 疾病(질병)가운데는 奔豚(분돈), 吐膿(토농), 驚怖(경포),火邪(화사)
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무서워 떠는 데에서 일어난다고 하였다.
2) 師曰 奔豚病從少腹起 上衝咽喉 發作欲死 復還止 皆從驚恐得之.
선생이 말하기를 奔豚病(분돈병)의 發作(발작)이 일어날 때에는 氣(기)가 小腹部(소
복부)에서 일어나 上方(상방)으로 치밀고 올라가 목구멍에 이르는 感(감)이 있으며,
발작이 일어날 때에는 患者(환자)는 마치 죽는 구나 여길 만큼 고통이 심하다. 그러나
발작이 지나가면 보통의 사람과 똑같이 된다. 이 疾病(질병)은 모두 무서워 떠는 등
精神的(정신적) 打擊(타격)에서 일어나는 것이다.
3) 奔豚氣上衝胸 腹痛 往來寒熱 奔豚湯 主之.
奔豚(분돈)의 발작이 일어날 때에는 上逆(상역)의 氣(기)가 胸部(흉부)까지 치밀어 올
라가고 동시에 腹痛(복통), 惡寒(오한)과 熱(열)이 차례로 나타나는 등 症狀(증상)이
있다. 이 경우에는 奔豚湯(분돈탕)으로 다스린다.
奔豚湯(분돈탕)
≒ 甘草(감초), 芎藭(궁궁), 當歸(당귀) 各二兩, 半夏(반하)四兩, 黃芩(황금) 二兩,
生葛(생갈)五兩, 芍葯(작약)二兩, 生薑(생강)四兩, 甘李根白皮(감이근백피, 桑
白皮)一升.
上九味를 물 二斗로 달여 五升에서 取하고, 晝三夜一 一升씩 溫服한다.
方解 ≡ 이 處方(처방)은 往來寒熱(왕래한열)이 없는 患者(환자)에게 사용해도 된다.
當歸(당귀), 芍葯(작약), 芎藭(궁궁) : 血(혈)을 中和(중화)하고 腹痛(복통)을
멈추게 한다.
黃芩(황금), 葛根(갈근) : 熱(열)을 除去(제거))한다.
生姜(생강), 半夏(반하) : 胃(위)를 튼튼하게 하고,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下降(하강)시키고
甘草(감초) : 胃氣(위기)를 調和(조화)시키고 초조감을 緩和(완화)시킨다.
李根皮(이근피) : 熱(열)을 내리고, 上逆(상역)의 氣(기)를 降下(강하)시키며, 奔豚氣(분돈기)를 治愈(치유)한다.
4) 發汗後 燒針令其汗 針處被寒 核起而赤者 必發奔豚 氣從少腹上至心 灸其核上各 一壯
與桂枝加桂湯 主之.
이 患者(환자)는 원래 太陽病(태양병)에 걸려 있는 者(자)다. 發汗后(발한후) 다시 燒
針(소침)으로 發汗(발한)시켰던바 이미 노출된 燒針(소침) 個所(개소)의 皮膚(피부)
를 통해 寒邪(한사)가 침입하여 皮膚(피부)가 빨갛게 부어올랐다. 이 경우에는 奔豚
症(분돈증)이 일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 중요한 症狀(증상)은 氣(기)가 小腹部(소
복부)에서 心窩部(심와부)로 치밀어 오른다. 治療方法(치료방법)으로는 붉은 核狀(핵
상)의 腫氣(종기) 위에 뜸을 一壯(일장)씩 뜨고 동시에 桂枝加桂湯(계지가계탕)으로
主治(주치)하도록 한다.
桂枝加桂湯(계지가계탕)
≒ 桂枝(계지)五兩, 芍葯(작약)三兩, 炙甘草(자감초)二兩, 生薑(생강)三兩, 大棗(대조)十二枚.
上五味(상오미)를 물 七升(칠승)에 넣고 약한 불로달여 三升(삼승)에서
去滓(거재)한후 一升(일승)씩 溫服(온복)한다.
方解 ≡ 이 處方(처방)은 寒性(한성)에 속하는 奔豚氣(분돈기)를 다스릴 수 있으나 燒
針(소침)으로 因(인)한 奔豚氣(분돈기)는 적용되지 않는다.
桂枝(계지) : 寒邪(한사)를 消散(소산,흩으고)하고,
甘草(감초), 大棗(대조) : 胃氣(위기)를 中和(중화)시키고, 초조감을 緩和(완
화,安神)시킨다.
生薑(생강) : 胃(위)를 健康(건강)하게 하며, 上逆(상역)하는 氣(기)를 降下(강
하)시키다.
5) 發汗候 臍下悸者 欲作奔豚 茯苓桂枝甘草大棗湯 主之.
發汗后(발한후), 患者(환자)가 臍下(제하)에 動悸(동계)를 느낀다면 그것은 奔豚 病(분돈병)이 곧 일어날 前兆(전조)이므로 茯苓桂枝甘草大棗湯(복령계지감초대조탕)
으로 다스려야 한다.
茯苓桂枝甘草大棗湯(복령계지감초대조탕)
≒ 茯苓(복령)半斤, 炙甘草(자감초)二兩, 大棗(대조)十五枚, 桂枝 (계지)四兩.
上四味(상사미) 가운데 우선 茯苓(복령)을 甘瀾水(감란수) 一斗
로 달여 八升(팔승)에서 取(취)하고, 나머지 葯物(약물)을 넣고
계속 달여 三升(삼승)에서 去滓(거재)한 다음 一升(일승)씩 一日
三回(일일삼회) 溫服(온복) 한다.
☆ 甘瀾水(감란수) 만드는 법 : 二斗(이두)의 물을 큰 동이(盆)에
넣고 쪽박으로 떠낸다. 水面(수면)에 거품이 무수히 생길 때까
지 몇 번이고 떠내어서 사용한다.
方解 ≡ 茯苓(복령), 桂枝(계지), 甘草(감초), 大棗(대조) : 上逆하는 氣 (기)를 降下(강하)시키며, 水氣(수기)를 下降(하강)시킨다.
甘瀾水(감란수) : 流通(유통)시켜서 澀滯(삽체)하지 않고, 水氣
(수기)를 下降(하강)시켜서 上逆(상역)을 막는다.
3. 임상 (臨床)
1) 분돈기(奔豚氣).- 기종소복상충우심(氣從少腹上冲于心) 심계불안(心悸不安)
방 : 계지가계탕(桂枝加桂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2) 분돈증(奔豚證).- 병자자각(病者自覺) 유기종소복(有氣從少腹) 상충인후(上冲咽喉)
발작욕사(發作欲死) 경계불령(驚悸不寧) 오문인성(惡聞人聲) 기환
칙지(氣還則止) 발작무시(發作无時) 맥현(脈弦).
방 : 분돈탕(奔豚湯)《金匱要略》리기제(理氣劑)
3) 허한성(虛寒性) 분돈증(奔豚證).- 자각유기종소복(自覺有氣從少腹), 상충인후(上冲咽
喉), 형한지냉(形寒肢冷), 맥현긴(脈弦緊), 설담태백(舌淡苔白).
방 : 분기탕(奔氣湯)《千金方》리기제(理氣劑)
4) 하초한허(下焦寒虛) 간기협한(肝氣挾寒) 상역소치(上逆所致)적 분돈기(奔豚氣)
병인자각(病人自覺) 기상충흉인(氣上冲胸咽) 형한지냉(形寒肢冷) 태백(苔白) 맥현긴
(脈弦緊).
방 : 분돈환(奔豚丸)《醫學心悟》리기제(理氣劑)
5) 상한(傷寒) 한후심양허(汗后心陽虛) 욕작분돈(欲作奔豚).- 발한후(發汗后) 기인(其人
) 제하계동(臍下悸動) 욕작분돈(欲作奔豚) 소변불리(小便不利)
방 : 복령계지감초대조탕(茯苓桂枝甘草大棗湯)《傷寒論》거담제(祛痰劑)
분자 (粉刺) : 중의외과(中醫外科) 속(屬) 피부병(皮膚病)
1. 참조문 (參照文)
1) 피부병(皮膚病) 參照
2) 여드름 參照
3) 좌창(痤瘡) 參照
2. 중의외과(中醫外科)
粉刺是發生于(분자시 발생우) 顔面(안면), 胸(흉), 背(배) 等處的(등처적) 一種毛囊(일종
모낭), 皮脂線的(피지선적) 慢性皮炎(만성피염). 西醫的(서의적) 痤瘡(좌창).
其特點是(기특점시) 多發性于(다발성우) 靑年男女(청년남여), 皮損丘疹如刺(피손구
진여자), 可擠出(가제출) 白色 碎米樣粉汁(백색 쇄미양분즙).
病因病機(병인병기)
素体陽熱偏盛(소체 양열편성) 加上靑春期 生機旺盛(가상청춘기 생기왕성), 營血日漸偏
熱(영혈일점편열), 血熱外癰(혈열외옹), 氣血鬱滯(기혈울체), 蘊阻肌膚(온저기부) 而發
本病(이발본병); 或因(혹인) 過食辛辣肥甘之品(과식신랄비감지품), 肺胃積熱(폐위적열)
循經上薰(순경상훈), 血隨熱行(혈수열행) 上壅于胸面(상옹우흉면). 若病程日久不愈(약
병정일구불유) 氣血鬱滯(기혈울체), 經脈失暢(경맥실창); 或肺胃積熱(혹 폐위적열) 久蘊
不解(구온불해) 化濕生痰(화습생담), 痰瘀互結(담어호결), 致使栗疹(치사율진) 日漸擴大
(일점확대) 或局部出現結節(혹 국부출현결절) 累累相連(루루상연).
診斷(진단)
多發于 靑春發育期男女(다발우 청춘발육기남녀). 常發于 顔面 上胸和 肩背 等, 皮脂發
達的 部位(상발우 안면, 상흉화 견배 등 피지발달적 부위).
初起(초기) 爲針頭 大小的毛囊性 丘疹(위침두 대소적피낭성 구진),有的爲 黑頭粉刺樣(유
적위 흑두분자양) 周圍紅色(주위홍색) 用手指擠壓 有小米或米粒大 黃白色脂栓排出(용수
지제압 유소미혹미립대 황백색 지전배출); 少數呈 灰白色的 小丘疹(소수정 회백색적 소
구진) 以后色紅 頂部發生 小膿疱(이후색홍 정부발생 소농포) 破潰后痊愈(파궤후전유),
遺留暫時 色素沉着 或輕度凹陷性 疤痕(유류잠시 색소침착혹경도료함성 파흔); 有的形成
結節(유적형성결절) 膿腫(농종), 囊腫及 疤痕(낭종급파흔) 等 多種形態的(다종형태적)
損害(손해), 甚至 破潰后 形成 多个 竇道和 疤痕(심지 파궤후 형성다개 두도화파흔), 嚴
重者(엄중자) 呈橘皮臉(정귤피검).
自覺輕微(자각경미) 瘙痒(소양), 或疼痛(혹동통), 病情纏綿(병정전면) 此起彼伏(차기피
복) 新疹不斷繼發(신진불단계발) 有的可(유적가) 遷延數年(천연수년) 或十余年(혹십여
년) 靑春期后(청춘기후) 可逐漸(가축점) 痊癒(전유).
辨證論治(변증론치)
1) 內治(내치)
⑴ 肺經風熱(폐경풍열)
症狀 : 鉤陳色紅(구진색홍), 或有痒痛(혹유양통), 舌紅(설홍) 苔薄黃(태박황) 脈浮
數(맥부삭)
治法 : 淸肺散風(청폐산풍)
方葯 : 枇杷淸肺飮(비파청폐음) 加减(가감)
≒ 黃連(황련),黃柏(황백), 人參(인삼). 甘草(감초),桑白皮(상백피),
枇杷葉(비파엽). - 水煎服(수전복)
⑵ 濕熱蘊結(습열온결)
症狀 : 皮疹紅腫疼痛(피진홍종동통) 或有膿疱(혹유농포), 口臭(구취), 便秘(변비),
尿黃(뇨황), 舌紅(설홍), 苔黃膩(태황니) 脈滑數(맥활삭).
治法 : 淸熱化濕(청열화습)
方葯 : 枇杷淸肺飮(비파청폐음) 合 黃連解毒湯(황연해독탕) 加减(가감)
黃連解毒湯(황련해독탕)
≒ 黃連(황련), 黃芩(황금), 黃柏(황백), 山梔子(산치자).
⑶ 痰濕凝結 : 皮疹結成囊腫 或有納呆 便溏 舌淡胖 苔薄 脈滑
治法 : 化痰健脾滲濕(화담건비삼습)
方葯 : 海藻玉壺湯(해조옥호탕) 合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加减
≒ 해조(海藻), 패모(貝母), 진피(陣皮), 곤포(昆布), 청피(靑皮), 천
궁(川芎), 당귀(當歸), 반하(半夏), 연교(連翹), 감초(甘草), 독활
(獨活), 해대(海帶).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 인삼(人蔘), 복령(茯苓), 백출(白朮),산약(山葯),초감초(炒甘草),
각1kg, 백편두(白萹豆)750, 길경(桔梗), 연자육(蓮子肉),사인(砂
仁), 의이인(薏苡仁) 각500, - 대조탕(大棗湯). - 조복(調服)
2) 外治
用 顚倒散洗劑(전도산세제) 或痤瘡洗劑(좌창세제)外搽(외차), 每天(매천)3~5 次 或
顚倒散(전도산) 用茶水(용차수), 혹 凉開水(량개수) 調涂(조도) 每天(매천) 1~2 次,
或 晩上涂搽(만상도차) 次晨洗凈(차신세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