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7-10-17 12:27
[전승(傳承)] 오장병 (五臟病)
 글쓴이 : admin
조회 : 9,583  
오장병 (五臟病)

  1. 金匱要略(금궤요략)
      本篇(본편)은 五臟(오장)의 中風(중풍), 中寒(중한), 死臟(사장), 五臟病(오장병), 三焦病
      (삼초병) 및 積(적), 聚(취) 에 관해서 서술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中風(중풍), 中寒(중한)
      은 風寒(풍한)의 邪氣(사기)가 어떤 臟(장)에 滯留(체류)하는 것을 가리키고 있으나『傷
      寒論』의 中風(중풍), 傷寒傳經(상한전경)과는 다르고,半身不遂(반신불수)의 中風(중풍)
      과도 다르다.
      1) 五臟病(오장병)
          ⑴ 肺臟(폐장)
              ① 肺中風者 口燥而喘 身運而重 冒而腫脹.-(148)
                  肺(폐)가 風邪(풍사)에 侵襲(침습)을 받으면 수시로 목이 바싹 바싹 마르고 숨이
                  차서 기침하며 몸을 움직이려 해도 몸이 무겁고 자유롭지 못하다. 몸이 마구 붓
                  는 등 症狀(증상)이 나타난다.
              ② 肺中寒 吐濁涕.-(149)
                  肺(폐)가 寒邪(한사)에 侵襲(침습)을 받으면 濁(탁)한 痰(담)을 뱉는다.
              ③ 肺死臟 浮之虛 按之弱如葱葉 下無根者死.-(150)
                  肺死臟(폐사장)의 脈象(맥상)은 위로 떠있는 맥이나 속이 비었는데 손으로 누르
                  면 파잎과 같이 약하고 속이 空虛(공허)하여 가라앉는 것이 마치 뿌리가 없는 뜻
                  한데 이런 者(자)는 죽게 된다.
          ⑵ 肝臟(간장)
              ① 肝中風者 頭目瞤 兩脅痛 行常傴 令人嗜甘.-(151)
                  肝(간)이 風邪(풍사)의 侵襲(침습)을 받으면 痙攣(경련)으로 머리를 흔들거나
                  눈꺼풀을 떨며, 兩脇(양협)이 아픈 등 症狀(증상)을 나타내며 步行時(보행시)
                  허리를 구부리고 걷게 된다. 이런 자는 단 음식을 좋아한다.
              ② 肝中寒者 兩臂不擧 舌本燥 喜太息 胸中痛 不得轉側 食則吐而汗出也.-(152)
                  肝(간)이 風邪(풍사)의 侵襲(침습)을 받은 者(자)는 양팔을 들 수가 없으며 혀의
                  뿌리가 마르며, 한숨을 잘 쉬고, 胸部(흉부)가 아프며, 돌아누울 수 없고, 무엇이
                  던 먹으면 곧 吐하고, 땀을 흘린다.
              ③ 肝死臟 浮之弱 按之如索不來 或曲如蛇行者死.-(153)
                  肝死臟(간사장)의 脈象(맥상)은 가볍게 누르면 위로 뜬 맥이 힘이 없고, 힘주어
                  누르면 마치 꼬인 새끼줄을 짚듯이 든든한 것이 가는 맥만 있고 오는 맥이 없거
                  나 혹은 뱀이 기어가는 듯이 굽어진 脈象(맥상)은 死症(사증)이다.
              ④ 肝着 其人常欲蹈其胸上 先未苦時 但欲飮熱 旋復花湯主之.-(154)
                  肝着病(간착병) 患者(환자)는 他人(타인)이 자기 가슴을 세게 눌러주기를 바란
                  다. 이 환자는 병에 걸리기 전부터 역시 熱湯(열탕)같은 飮食物(음식물)을 마시
                  고자 하였다. 이런 종류의 病症(병증)은 仙復花湯(선복화탕)으로 다스린다.
                  仙復花湯(선복화탕) ≒ 旋覆花(선복화), 葱莖(총경), 新絳(신강).
          ⑶ 心臟(심장)
              ① 心中風者 翕翕發熱 不能起 心中饑 食卽嘔吐.(155)
                  心(심)이 寒邪(한사)의 侵襲(침습)을 받으면 患者(환자)는 發熱(발열)하고 일어
                  날 수 없어서 누워있게 되며, 空腹(공복)을 느끼지만 음식을 먹으면 즉시 吐(토)
                  해버린다.
              ② 心中寒者 其人苦病心如噉蒜狀 劇者心痛徹背 背痛徹心 譬如蠱注 其脈浮者 自吐
                  乃愈.-(156)
                  心(심)이 寒邪(한사)의 侵襲(침습)을 받으면 患者(환자)는 가슴이 몹시 괴로운
                  데 마치 마늘을 먹은 것처럼 불편하다. 病情(병정)이 무거우면 心(심)의 아픔이
                  등에 波及(파급)되고, 등의 아픔이 心(심)에 미치게 되는데 마치 蠱注病(고주병)
                  처럼 된다. 脈象(맥상)이 浮(부)한 患者(환자)는 스스로 吐(토)하고 따라서 治愈             
                  (치유)된다.
              ③ 心傷者 其人勞倦卽頭面赤而下重 心中痛而自煩發熱 當臍跳 其脈弦 此爲心臟傷
                  所致也.-(157)
                  지나치게 걱정하고 근심하거나 해서 心(심)이 傷(상)하면 患者(환자)는 勞動(노
                  동)으로 疲勞(피로)하면 얼굴이 붉어지기 쉽고, 肛門(항문)이 빠진 뜻한 느낌이
                  들며, 心(심)이 아프고 초조해서 沈着(침착)하지 못하고 發熱(발열)하며 배꼽 주
                  위가 動悸(동계)하고 脈象(맥상)은 弦(현)하다. 이것은 心臟(심장)이 傷(상)한
                  原因(원인)으로 일어나는 症狀(증상)이다.
              ④ 心死臟 浮之實 如麻豆 按之益躁疾者死.-(158)
                  心死臟(심사장)의 脈象(맥상)은 가볍게 누르기만 하여도 脈(맥)이 힘차게 손가
                  락에 느껴지며 마치 麻痘(마두)와 같은 것이 속이 막혀서 돌고 도는 듯 짚인다.
                  좀더 힘주어 누르면 脈象(맥상)이 躁急(조급)하게 뛰면서 몹시 빠르게 흐르는
                  것을 느끼게 된다. 이것은 死症(사증)이다.
              ⑤ 邪哭使魂魄不安者 血氣少也 血氣少者屬於心 心氣虛者 其人則畏合目欲眠 夢遠
                    行而精神離散 魂魄妄行 陰氣衰者爲癲 陽氣衰者爲狂.-(159)
                    患者(환자)가 슬피 울며, 鬼神(귀신)에 들린 것처럼 마음이 들떠서 沈着(침착) 
                    하지 못한 것은 血氣(혈기)가 적기 때문이다. 血氣(혈기)가 적은 것은 心(심)의
                    疾患(질환)으로서 心氣(심기)가 虛(허)한 사람은 언제나 깜짝깜짝 놀라며 눈을
                    감고 잠들고자 하나 잠을 잘 수가 없고, 꿈에 어딘가 멀리 가 있는 꿈을 꾸고,
                    精神(정신)이 分散(분산)되어 기분이 침착하지 못하다. 陰氣(음기)가 衰(쇠)해
                    있는 경우에는 癲病(전병)이 되고 陽氣(양기)가 衰(쇠)해 있는 경우에는 狂病
                    (광병)이 된다.
          ⑷ 脾臟(비장)
              ① 脾中風者 翕翕發熱 形如醉人 腹中煩重 皮目瞤瞤而短氣-(160)
                  脾(비)가 風邪(풍사)에 侵襲(침습)을 받으면 全身(전신)에 熱(열)이 나고 마치
                  술에 취한 것처럼 되며 腹部(복부)가 묵직한 것이 부담스럽고 피부 또는 눈꺼풀
                  이  부들부들 떨리며 숨이 차는 등 症狀(증상)이 나타난다.
              ② 脾死臟 浮之大堅 按之如覆杯潔潔 狀如搖者死-(161)
                  脾死臟(비사장)의 脈象(맥상)은 가볍게 누르면 大(대)하고 堅(견)하지만,  힘주
                  어 누르면 脈(맥)이 사라지고, 마치 뒤집어놓은 잔과 같으며, 속이 비어 있다.
                  다만 寸口脈(촌구맥)이 上下(상하)로 팔딱팔딱 뛰며 沈着(침착)하지 않고 散亂
                  (산란)하며 뿌리 없는 脈搏(맥박)이 나타나는 경우는 死症(사증)이다.
              ③ 趺陽脈浮而澀 浮則胃氣强  澀則小便數  浮澀相搏  大便則堅  其脾爲約麻子仁丸
                  主之-(162)
                  患者(환자)의 足背(족배)의 趺陽脈(부양맥)이 浮(부)하며 澁(삽)하다.脈象(맥상)
                  이 浮(부)한 것은 胃氣(위기)가 强(강)하고 旺盛(왕성)한 것이며 脈象(맥상)이
                  澀(삽)한 것은 小便(소변)이 頻繁(빈번)해서 津液(진액)이 不足(부족)한 사실을
                  가리키고 있다. 浮脈(부맥)과 澁脈(삽맥)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은 大便(대변)이
                  굳어서 便秘(변비)가 되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은 脾(비)가 胃熱(위열)에
                  抑制(억제)되어서 胃(위)에 津液(진액)을 보낼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런 脾
                  約證(비약증)은 麻子仁丸(마자인환)으로 치료한다.
                  麻子仁丸(마자인환)
                            ≒ 麻子仁(마자인)二升(32g), 芍葯(작약)半斤(16g),枳實(지실)一斤(16g),
                                大黃(대황)一斤(32g), 厚朴(후박)一斤(20g), 杏仁(행인)一升(20g).
                  方解 : 이 處方(처방)은 腸(장)을 潤澤(윤택)하게 하여 氣(기)를 通(통)하게 하고
                            澀滯(삽체)를 이끌어 熱(열)을 排除(배제)한다. 熱(열)을 除去(제거)하여
                            津液(진액)을 回復(회복)시켜서 排便(배변)하도록 한다.
                § 實證(실증)에 適合(적합)하나 平素(평소)에 氣虛(기허)한 사람이나 老齡(노령)
                  으로 氣(기)와 血(혈)이 不足(부족)한 사람에게는 劇葯(극약)은 危險(위험)함으
                  로 使用(사용)해서는 안 된다.
          ⑸ 腎臟(신장)
              ① 腎着之病 其人身體重 腰中冷 如坐水中 形如水狀 反不渴 小便自利 飮食如故 病
                  屬下焦 身勞汗出 衣一作表裏冷濕 久久得之 腰以下冷痛 腹中如帶五千錢 甘薑苓
                  朮湯 主之-(163)
                  腎着(신착)이란 病症(병증)은 身体(신체)가 무겁고, 허리가 冷(냉)하며 마치 水
                  中(수중)에 앉아있는 듯하다. 外形(외형)을 보면 水氣病(수기병)과 類似(유사)
                  하나 水氣病(수기병)과는 달리 입은 마르지 않고, 小便(소변)은 잘 나오며, 飮食
                  (음식) 역시 平常(평상)과 같다. 이것은 下焦(하초)의 疾病(질병)이다.
                  身体(신체)를 움직이면 땀을 흘리기 때문에 衣服(의복)안에 몸은 濕(습)하고 冷
                  (냉)한데 이런 狀態(상태)로 오랜 시간 경과하므로 病(병)에 걸려서 허리 아래로
                  冷(냉)하고 아프며 腹部(복부)가 오천전의 동전으로 복대를 두른 양 무겁고 답
                  답하다. 이런 疾病(질병)은 甘草乾姜茯苓白朮湯(감초건강복령백출탕)으로 다스
                  린다.
                  甘姜苓朮湯(감강령출탕)
                                ≒ 甘草(감초)二兩, 白朮(백출)二兩, 乾姜(건강)四兩, 茯苓(복령)四兩.
                                    上四味(상사미)를 물 五升(오승)으로 달여 三升(삼승)으로 만들어
                                    따뜻하게 三回(삼회)로 나누어 服用(복용)한다.  ☆ 허리가 따뜻해
                                    진다.
                  方解 : 이 疾病(질병)은 寒濕(한습)이 腎(신)의 外部(외부)인 腰部(요부)를 侵襲
                            (침습)하므로써 發病(발병)한 것으로 腎臟(신장)자체의 病變(병변)은 아
                            니다. 處方(처방)에서는 乾姜(건강)으로 中氣(중기)를 따뜻이 해서 寒邪
                            (한사)를 分散(분산)시키고, 茯苓(복령), 白朮(백출), 甘草(감초)로 脾(비)
                            를 健康(건강)하게 해서 濕氣(습기)를 排除(배제)한다. 寒濕(한습)의 邪
                            氣(사기)가 退去(퇴거)하면 腰痛(요통)이나 身体(신체)의 무거움 등 諸症
                            (제증)이 自然(자연)히 사라지게 된다.
              ② 腎死臟 浮之堅 按之亂如轉丸 益下入尺中者死-(164)
                  腎死臟(신사장)의 脈象(맥상)은 가볍게 누르면 단단한 뜻 하나 세게 누르면 脈
                  搏(맥박)은 흐트러져서 구슬이 구르는 듯하다. 尺部(척부)의 脈象(맥상)이 몹시
                  흐트러짐을 느낀다면 이것은 死症(사증)이다.

              ※ 148 條에서 164 條까지는 五臟(오장)의 中風症(중풍증), 中寒症(중한증),眞臟脈
                  (진장맥) 및 五臟病(오장병)과 그 死症(사증)에 관해서 敍述(서술)하고 있는데
                  醫師(의사)가 外症(외증)을 診(진)하면 어떤 臟(장)의 疾病(질병)인지, 어떤 종
                  류의 邪氣(사기)의 侵襲(침습)을 받았는지 알 수 있으며, 어떤 臟(장)의 死症(사
                  증)인지는 어떤 脈象(맥상)인지에 따라 判斷(판단)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가운데
                  脾(비)에는 中寒症(중한증)이 記載(기재)되어있지 않으며,腎(신)에는 中風證(중
                  풍증), 中寒症(중한증)을 缺(결)하고 있다. 또 心病(심병)에는 心傷(심상), 心虛(
                  심허)가 있고, 肝病(간병)과 腎病(신병)에는 肝着(간착), 腎着(신착)이, 脾(비)에
                  는 脾約(비약)이 있으나 原文(원문)에서는 肺病(폐병)이 缺(결)해 있다.

          ⑹ 三焦(삼초)
              ① 問曰 三焦竭部 上焦竭善噫 何謂也, 師曰 上焦受中焦 氣未和 不能消穀 故能噫耳
                  下焦竭 卽遺溺失便 其氣不和, 不能自禁制 不須治 久則愈 -(165)
                  三焦(삼초)의 氣(기)가 다하면 各部(각부)의 作用(작용)을 發揮(발휘)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면 上焦(상초)의 氣(기)가 枯竭(고갈)된 사람은 트림을 수
                  시로 하게 되는데 이것은 어떤 이유입니까? 하고 물었던 바 先生(선생)이 답하
                  기를 上焦(상초)는 中焦(중초)의 氣(기)를 받는데 胃氣(위기)가 調和(조화)롭지
                  못하므로 飮食物(음식물)을 消化(소화)할 수 없으며 그런고로 水谷(수곡)의 氣
                  (기)가 上逆하게 되어 트림을 수시로 하게 되는 것입니다. 下焦(하초)의 氣(기)
                  가 枯竭(고갈)되면 大小便(대소변)을 흘리게 되는 것은 下焦(하초)의 氣(기)가
                  不和(불화)한 탓으로 스스로 抑制(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下焦
                  (하초)를 治療(치료)하지 않아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上焦(상초)의 氣(기)
                  가 調和(조화)되면 자연히 治愈(치유)됩니다.(土生金 → 金生水)
              ② 師曰 熱在上焦者 因咳爲肺痿, 熱在中焦者 則爲堅, 熱在下焦者 則尿血亦令淋秘
                  不通 大腸有寒者 多驚溏 有熱者 便腸垢, 小腸有寒者 其人下重便血 有熱者必痔
                    -(166)
                  先生(선생)이 말하기를 熱邪(열사)가 上焦(상초)에 있으면 기침이 오래 持續(지
                  속)되기 때문에 肺痿(폐위)가 된다. 熱邪(열사)가 中焦(중초)에 있으면 大便(대
                  변)이 단단히 굳어지기 쉽다. 또 熱邪(열사)가 下焦(하초)에 있으면 피가 섞인
                  小便(소변)을 보게 되고, 小便(소변)이 순조롭게 나오지 못하고 방울져 떨어지
                  면서 鈍痛(둔통)이 있거나 便秘(변비)를 하는 경우도 있다. 大腸(대장)에 寒邪
                  (한사)가 있으면 오리똥 같은 水樣便(수양변)을 보게 되고, 大腸(대장)에 熱(열)
                  이 있으면 粘液便(점액변)이 나온다. 小腸(소장)에 寒邪(한사)가 있으면 肛門(항
                  문)이 묵직하게 처지는 감이 들고 血便(혈변)을 보게 된다. 또한 小腸(소장)에
                  熱(열)이 있으면 熱(열)이 下降(하강)하므로 반드시 痔疾(치질)이 된다.

      2) 五臟虛熱(오장허열)
          ⑴ 退五臟虛熱 四時加減柴胡飮子方.
              五臟(오장)에 虛熱(허열)을 除去(제거)하는 柴胡飮子(시호음자)의 四季節(사계절)
              加減方(가감방)
              柴胡飮子(시호음자)
                        ≒ 柴胡(시호), 羌活(강활), 防風(방풍), 赤芍(적작), 桔梗(길경), 荊芥(형개),
                            生地(생지), 甘草(감초).
              四時加減柴胡飮子(사시가감시호음자)
              ① 冬季(동계) 三個月(삼개월)은
                                    柴胡(시호)八分, 白朮(백출)八分, 陳皮(진피)五分, 大腹檳榔(대복빈
                                    낭)四枚, 生姜(생강)五分, 桔梗(길경)七分을 加味한다.
              ② 春季(춘계) 三個月(삼개월)은
                                  加 枳實(지실), 减 白朮(백출). - 合計 六味.
              ③ 夏季(하계) 三個月(삼개월)은
                                  加 枳實(지실), 生姜(생강), 甘草(감초). - 合計 八味.
              ④ 秋季(추계) 三個月(삼개월)은
                                  加 陳皮(진피)三分. - 合計 八味
                    ㈀ 以上의 葯物을 썰어서 三等分하고, 그중 一等分을 물 三升으로 달여 二升에
                        서 取한 것을 三回로 나누어 溫服한다. 每 服用間隔은 사람이 4~5 里를 걷
                        는 程度의 時間을 둔다. 手足에 血液循環이 나쁜 경우 : 加 甘草 微量
                    ㈁ 一等分을 다시 三等分하여 각각의 等分量을 물 一升으로 달여 七合으로 만
                        들어서 溫服한다.
                    ㈂ 三回의 滓를 모아서 모두 함께 다시 한 번 달여 服用한다. 도합 四服이 된다.

      3) 積聚(적취)
          ⑴ 問曰 病有積 有聚 有穀氣 何謂也, 師曰 積者臟病也, 終不移, 聚者腑病也 發作有時
              展轉痛移 爲可治, 穀氣者 脅下痛 按之則愈 復發 爲穀氣 諸積大法 脈來細而附骨者
              乃積也. 寸口 積在胸中, 微出寸口 積在喉中, 關上 積在臍旁, 上關上 積在心下, 微下
              關 積在少腹, 尺中 積在氣衝, 脈出左 積在左, 脈出右 積在右, 脈兩出 積在中央. 各
              以其部處之.
              무엇을 積(적), 聚(취), 穀氣(곡기)라고 말합니까? 하고 물었더니 先生(선생)이 답
              하기를 積(적)은 五臟(오장)의 疾病(질병)이며 始終(시종) 發病(발병)한 곳에서 移
              動(이동)하지 않는다. 聚(취)는 六腑(육부)의 疾病(질병)이며 때때로 아픈 部位(부
              위)가 移動(이동)된다. 聚(취)는 積(적)에 비해 治愈(치유)가 잘된다. 穀氣(곡기)라
              고 하는 病症(병증)인데 患者(환자)는 脇下(협하)가 아프고, 손으로 누르면 아픔이
              사라지지만 다시 발작한다. 이것이 穀氣病(곡기병)이다. 모든 積病(적병)을 診斷(
              진단)하는 診脈法(진맥법)은 이러하다. 脈象(맥상)이 매우 沉細(침세)하여 뼈에 이
              를 만큼 세게 눌러야 겨우 찿을 수 있는 것이 積病(적병)이다. 寸口(촌구)의 脈(맥)
              이 細沈(세침)인 경우에는 積(적)이 胸中(흉중)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脈象(맥상)이 細沈(세침)하며 寸口(촌구)위에 약간 나와 있는 것은 積(적)이 喉中
              (후중)에 있음을 짐작케 한다.關部(관부)의 脈象(맥상)이 細沈(세침)한 것은 積(적)
              이 배꼽부위에 있는 것을 예견케 하며, 脈象(맥상)이 細沈(세침)하며 關上(관상)에
              서 약간 나와 있는 것은 積(적)이 心下(심하)에 있음을 예견케 하고, 脈象(맥상)이
              沉細(침세)하며 關下(관하)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것은 積(적)이 少腹(소복)에 있
              음을 예견케 하며, 尺部(척부)의 脈象(맥상)이 細沈(세침)한 것은 積(적)이 氣冲(기
              충)에 있는 證據(증거)이고, 左手(좌수)에 沉細(침세)한 脈象(맥상)은 積(적)이 身
              体(신체)의 左半身(좌반신)에 있으며, 右手(우수)에 沉細(침세)한 脈象(맥상)은 積
              (적)이 身体(신체)의 右半身(우반신)에 있다는 것을 짐작케 한다. 또 兩手(양수)에
              同時(동시)에 細沈(세침)한 脈象(맥상)이 나타나는 것은 積(적)이 身体(신체)의 中
              央(중앙)에 있음을 알리는 것이다. 治療(치료)에 臨(임)해서는 積(적)의 所在處(소
              재처)에 따라 적절한 處方(처방)을 세워야 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