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6-10-21 13:13
[동의임상회찬(東醫臨床滙纂)] 식욕부진 (食欲不振)
|
|
글쓴이 :
admin
조회 : 11,522
|
식욕부진 (食欲不振)
1. 配伍葯(배오약)
1) 木香(목향)(后下)10 + 檳榔(빈랑)12 = 食欲不振(식욕부진) - 胃腸積滯(위장적체), 脘
腹脹滿(완복창만), 疼痛(동통), 大便不暢(대변불창),
甚則(심칙) 大便乾燥(대변건조) 等症
2) 續斷(속단)12 + 黃精(황정)15 = 食欲不振(식욕부진), 疲乏无力(피핍무력) - 肝腎不足(간신부족), 精血虧損(정혈휴손) 以致
2. 臨床(임상)
1) 脾胃虛弱(비위허약)으로 인한 證(증) : 食欲不振(식욕부진), 或胸脘痞悶(혹완복비민),
嘔吐泄瀉(구토설사)
治 : 健脾(건비), 益氣(익기), 和胃(화위).
方 : 異功散(이공산)《小兒葯直訣》
≒ 四君子湯(사군자탕) 加 陳皮(진피)
: 人參(인삼)10, 白朮(백출), 茯苓(복령) 各9, 炙甘草(자감초)6, 陳皮(진피)
9., 生姜(생강)5片, 大棗(대조)2枚. - 食前溫服(식전온복)
2) 食欲不振(식욕부진)을 解消(해소)하는 處方(처방) - 辨證施治
⑴ 氣虛(기허)하여 食欲不振(식욕부진)할 때 疲勞(피로)를 解消(해소)시키면서 입맛
이 나게 하고 잔병치레를 없애며 氣虛(기허)한 까닭에 잘 생기는 微熱(미열)을 없
앤다.
方 : 경옥이수탕 ≒ 生地黃(생지황)6, 白茯苓(백복령), 人參(인삼),麥門冬(맥문동),
天門冬(천문동), 枸杞子(구기자) 各4, 白蜜(백밀)8.
白蜜(백밀)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약을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이 약물에 白蜜(백밀)을 타서 먹는다.
⑵ 脾胃(비위)와 肺(폐), 腎臟(신장)의 機能(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食欲不振(식욕
부진)이 된 때 쓰여 지는 처방이다.
① 脾胃(비위)가 弱(약)해 속이 항상 더부룩하고, ② 鱂(장)이 弱(약)해 代辨(대변)
이 순조롭지 못하며 腸鳴(장명)이 있고, ③ 손발이 저리거나 몸이 야위고 ④ 마른
기침이 자주 나며 ⑤ 머리카락이 잘 빠지고 ⑥ 힘이 없고 无氣力(무기력)하며 疲勞
(피로)과 倦怠(권태)를 느끼며 聲低(성저) ⑦ 머리가 항상 무겁고 맑지 못하며 ⑧
안색이 누렇고 창백하며(晄白), ⑨ 精神力(정신력), 集中力(집중력) 등이 저하 ⑩
微熱(미열)을 좀 느낄 때
方 : 氣歸補身湯(기귀보신탕)
≒ 黃芪(황기)6, 人參(인삼), 白朮(백출), 山葯(산약),山茱萸(산수유),
五味子(오미자), 當歸(당귀), 熟地黃(숙지황) 各4, 石菖蒲(석창포),
益智仁(익지인), 甘草(감초)4, 陳皮(진피), 升麻(승마), 肉桂(육계),
柴胡(시호), 乾姜(건강) 各2, 大棗(대조)2枚.
-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먹는다.
⑶ 늦봄이나 초여름에 걸쳐 주하병이라고 불리는 여름 타는 병에 시달리면서 食欲(식
욕)이 떨어지고 머리가 무겁고 눈앞이 아른거리며 다리가 힘 없고 손발이 화끈거
리며 口苦(구고), 舌乾(설건), 精神疲勞(정신피로), 全身无力(전신무력), 자꾸 누어
자고 싶고, 胸悶(흉민), 消瘦(소수)일 때
方 : 三歸益元湯(삼귀익원탕)
≒ 當歸(당귀), 白芍(백작), 熟地(숙지) 各4, 茯苓(복령), 麥冬(맥동),
陳皮(진피), 知母(지모), 黃柏(황백) 各3, 人參(인삼), 甘草(감초)
各2, 五味子(오미자)10粒(립), 粳米(갱미)1撮(촬), 大棗(대조)1枚.
-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면 마신다.
⑷ 食欲(식욕)이 없고 消化(소화)가 안 되며 오래 泄瀉(설사)한후 虛弱狀態(허약상태)
에 있을 때
方 : 參苓白朮散(삼령백출산)
≒ 人參(인삼), 茯苓(복령), 白朮(백출), 山葯(산약), 甘草(감초) 各11,
薏苡仁(의이인), 蓮肉(연육), 桔梗(길경), 砂仁(사인), 白萹豆(백편
두)6.
- 물 500cc로 끓여 반으로 줄인 후 마신다.
⑸ 精神(정신)을 맑게 하고 元氣(원기)를 補(보)하며 脾胃(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飮
食(음식)을 잘 먹게(食欲增進) 하며 虛損(허손)된 것을 補(보)하고 살찌게 하며 濕
熱(습열)을 없앤다.
方 : 九仙王道糕(구선왕도고)
≒ 蓮肉(연육), 炒山葯(초산약), 白茯苓(백복령), 薏苡仁(의이인) 各
160, 炒麥芽(초맥아), 炒扁豆(초편두), 芡仁(검인) 各80, 蛇床子(
사상자)40, 白雪糖(백설당)760.
- 위의 葯劑(약제)를 가루 내어 쌀가루(粳米粉) 5되와 함께 설기를
만들어 햇볕에 말린 다음 수시로 미음에 타 먹는다.
3. 민방 (民方)
1) 食欲不振(식욕부진)
① 半夏瀉心湯(반하사심탕)
≒ 半夏(반하), 人參(인삼), 甘草(감초), 黃芩(황금), 黃連(황련), 乾姜(건
강), 大棗(대조).
② 平胃散(평위산)
≒ 蒼朮(창출), 厚朴(후박), 陳皮(진피), 大棗(대조), 甘草(감초), 乾姜(건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