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3-10-14 16:03
[探方(탐방)] 항강증(項强症) - 항암(抗癌) I
|
|
글쓴이 :
admin
 조회 : 12,191
|
항강증(項强症)
1. 參照文(참조문) : 비증(痹證)
2. 應用葯(응용약) ① 項强症(항강증)의 首選葯(수선약) : 葛根(갈근)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羌活(강활)6 + 獨活(독활)10 = 項背攣急(항배련급) - 風痹爲患(풍비위환)
4.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筋急項强(근급항강), 不可轉側(불가전측)
⑴ 項背强幾幾(항배강수수) - 風寒表實證(풍한표실증)
惡寒无汗(오한무한), 脈浮緊(맥부긴).
① 葛根(갈근), 麻黃(마황), 桂枝(계지), 芍葯(작약). . . . ≒ 葛根湯(갈근탕)
⑵ 舒筋活絡(서근활락)- 風濕痹證(풍습비증),筋脈拘攣(근맥구련),不可轉側(불가전측)
① 木瓜(목과) 加 乳香(유향), 沒葯(몰약), 生地(생지) ≒ 木瓜煎(목과전)
⑶ 風熱表證(풍열표증)
① 葛根解肌湯(갈근해기탕)
≒ 柴胡(시호)6, 葛根(갈근)9, 黃芩(황금)6, 甘草(감초), 姜黃(강황), 白
芷(백지) 各3, 芍葯(작약)6, 桔梗(길경)3. - 解肌淸熱(해기청열)
⑷ 傷寒太陽陽明合病(상한태양양명합병) 不下利而嘔逆(불하이이구역) - 發熱(발열),
惡寒(오한), 項背强幾幾(항배강수수), 緣緣面赤(연연면적), 額頭作痛(액두작통), 不
下利(부하리), 胃氣上逆(위기상역), 嘔吐(구토).
葛根加半夏湯(갈근가반하탕)《傷寒論》解表劑(해표제)
≒ 半夏(반하), 葛根(갈근), 桂枝(계지), 芍葯(작약), 生姜(생강), 甘草(감
초), 大棗(대조), 麻黃(마황)
항문출혈(肛門出血) ⇒ 치질(痔疾)
항암(抗癌)
1. 應用葯(응용약) : 겨우살이, 貴箭羽(귀전우, 화살나무), 長春花(장춘화), 疔瘡草(정창초),
좀작살나무, 죽대, 표고버석,
⑴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 淸熱利濕(청열이습), 解毒消癰(해독소옹).
⑵ 仙鶴草(선학초) : 收斂止血(수렴지혈) 解毒殺虫(해독살충),
⑶ 蟾穌(섬소) : 解毒止痛(해독지통), 開竅醒神(개규성신).
⑷ 羊蹄根(양제근, 소루장이) : 收斂(수렴), 健胃(건위), 消炎(소염), 消毒(소독).
⑸ 魚腥草(어성초) : 消熱解毒(소열해독), 利尿消腫(이뇨소종).
⑹ 龍葵(용규) : 淸熱解毒(청열해독),活血消腫(활혈소종),利尿(이뇨),祛痰止咳(거담지해).
⑺ 鬱金(울금) : 行氣解鬱(행기해울), 化瘀止痛(화어지통).
⑻ 敗醬草(패장초) : 淸熱解毒(청열해독), 消癰排膿(소옹배농), 祛瘀止痛(거어지통).
⑼ 薏苡仁(의이인) : 利水滲濕(이수삼습), 健脾(건비), 除痹止痛(제비지통), 淸熱排膿(청
열배농) - 胃癌(위암), 子宮經癌(자궁경암), 絨毛膜上皮癌(융모막상
피암) 등에 사용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癌治療要葯(암치료요약) : 겨우살이, 農吉利(농길리), 雷電桐(뇌전동), 石上粨(석상백,
長生不死草, 萬年松), 瓦松(와송, 바위솔). 椅梓(의재, 개오동
나무) 또는 梓白木(재백목, 노나무 또는 개오동나무), 地側
粨(지측백), 回陽草(회양초),
⑴ 款冬花(관동화) : 潤肺下氣(윤폐하기), 止咳化痰(지해화담).
⑵ 卷柏(권백) : 活血止血(활혈지혈).
⑶ 木通(목통) : 利水滲濕(이수삼습), 利尿通淋(이뇨통림).
⑷ 三白草(삼백초) : 淸熱利尿(청열이뇨), 解毒消腫(해독소종).
⑸ 女貞木(여정목) - 女貞子(여정자) : 補肝腎陰(보간신음), 烏須明目(오수명목).
⑹ 王瓜實(왕과실) - 鼻咽癌(비인암), 胃癌(위암), 腸癌(장암) 等.
⑺ 龍葵(용규, 까마중) - 淸熱解毒(청열해독), 活血消腫(활혈소종),祛痰止咳(거담지해),
利尿(이뇨). 食道癌(식도암), 胃癌(위암),腸癌(장암)등 消化器
癌(소화기암),肺癌(폐암), 惡性葡萄狀(악성포도상) 卵巢癌(란
소암), 絨毛膜癌(융모막암), 子宮經部癌(자궁경부암), 乳房癌
(유방암), 腹水癌(복수암)
⑻ 楡根皮(유근피) - 行氣(행기), 利尿(이뇨), 淸熱解毒(청열해독), 鎭咳(진해).
⑼ 茵蔯蒿(인진호) - 淸濕熱(청습열), 利膽退黃(이담퇴황),
⑽ 一葉草(일엽초) - 淸熱解毒(청열해독), 行氣活血(행기활혈), 利尿消腫(이뇨소종).
⑾ 蒲公英(포공영) : 淸熱解毒(청열해독), 利尿散結(이뇨산결), 瀉肝明目(사간명목), 健
胃利水(건위이수).
⑿ 黃連(황연) : 瀉火(사화), 解毒(해독), 淸熱(청열), 燥濕(조습) - 癌治療要葯(암치료
요약).
2) 癌細胞抑制要葯(암세포억제요약) : 梓白皮(재백피, 개오동나무),
3) 抗腫瘤作用(항종류작용) : 延命草(연명초),
⑴ 昆布(곤포) : 淸化熱痰(청화열담), 消痰軟堅(소담연견), 利水消腫(이수소종)
⑵ 補骨脂(보골지) : 補腎助陽(보신조양), 固精縮尿(고정축뇨), 暖脾止瀉(난비지사), 納
氣平喘(납기평천)
⑶ 土茯苓(토복령) : 淸熱除濕(청열제습), 解毒(해독), 通利關節(통리관절)
⑷ 海藻(해조) : 軟堅散結(연견산결), 消痰利水(소담이수).
4) 抗癌劑(항암제) : 寸簕七(촌늑칠, 금강제비꽃), 七葉膽(칠엽담, 돌외), 萬年松(만년송),
牡蒿(모호, 제비쑥), 미멱취, 분꽃(분두화), 蛇果草(사과초), 蛇苺(사
매), 솜양지꽃(翻白草), 송이버섯(松栮), 蠅毒草(승독초,파리풀), 여
지나무(리치), 좀작살나무, 죽대, 農吉利(농길리, 활나물)
⑴ 馬勃(마발) : 淸熱解毒(청열해독), 利咽止痛(이인지통).
⑵ 三棱(삼능) : 破血行氣(파혈행기), 消積止痛(소적지통).
⑶ 莪朮(아출) : 破瘀行氣(파어행기), 消積止痛(소적지통).
5) 癌治療劑(암치료제) 要葯(요약) : 마름,
⑴ 斑蝥(반모) : 破血消癥(파혈소징),
⑵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 淸熱解毒(청열해독), 解毒消癰(해독소옹).
⑶ 仙鶴草(선학초) : 收斂止血(수렴지혈) 解毒殺虫(해독살충),
6) 癌腫(암종)에 使用(사용)
⑴ 馬錢子(마전자) : 通絡散結(통락산결), 消腫定痛(소종정통). - 實驗(실험)
⑵ 蜈蚣(오공) - 熄風止痙(식풍지경), 攻毒散結(공독산결), 通絡止痛(통락지통).
7) 癌病鎭痛要葯(암병진통요약) : 王瓜根(왕과근) - 末期癌痛症除祛(말기암통증제거)에
有効(유효)
3. 相須配合(상수배합)과 症治(증치)
1) 三稜(삼릉)10 + 莪朮(아출)10 = 癌腫(암종) 諸症(제증)
4. 葯物治療方法(약물치료방법)
기타 抗癌葯(항암약) : 뱀딸기(蛇苺,蛇果草,疔瘡草),補骨脂(보골지),표고버섯(椎蕈(추심),
椎茸(추용), 香蕈(향심), 推移(추이)),
1) 鎭痛葯(진통약) : 王瓜根(왕과근)
⑴ 癌末期患者(암말기환자)의 痛症除祛(통증제거) 혹은 痛症减少(통증감소)에 效力
(효력)이 認定(인정)됐다. 乾王瓜根(건왕과근) 0.5~2g씩 씹어서 服用(복용)하였더
니 5~30分 후부터 30分에서 72 時間(시간) 鎭痛效果(진통효과)가 繼續(계속) 되였
다는 보고가 있다고(뉴스메이커 357호 2000.01.20.) 보도 되었다.
2) 天門冬(천문동) : 乳房癌(유방암), 肺癌(폐암), 食道癌(식도암), 胃癌(위암) 등에 化學
療法(화학료법)을 竝行(병행) 119名 환자 중에 短期治愈(단기치유)
48例, 顯著(현저)한 效果(효과) 25例, 若干效果(약간효과) 27例 无效
果(무효과) 19例 總有效率(총유효율) 84%
3) 蒲公英(포공영) : ⑴ 抗癌本草(항암본초)에 蒲公英(포공영)을 달인 물이 肺癌細胞(폐
암세포)에 抑制作用(억제작용)이 있다고 했고
⑵ 白血病(백혈병), 齒根癌(치근암), 子宮癌(자궁암), 胃癌(위암), 乳
腺癌(유선암) 鼻眼癌(비안암) 등에 蒲公英(포공영)을 活用(활용)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 민들레(蒲公英)은 金銀花(금은화, 忍冬藤)과 함께 쓰면 效果(효과)
가 더욱 높다.
4) 黃連(황련) : 癌治療(암치료) : 黃連(황련)에는 베르베린이라는 性分(성분)이 7~9%쯤
들어있는데베르베린은 組織培養(조직배양) 실험결과 細胞(세포)의 酸素
攝取(산소섭취)와 呼吸(호흡)을 抑制(억제)하면서 지방변성을 야기(惹起)
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베르베린 性分(성분)이 플라빈 酵素(효소)를 억
제하는데 癌細胞(암세포)에는 플라빈 酵素(효소)가 적게 들어 있어서 癌
細胞(암세포)는 正常(정상) 細胞(세포)보다 베르베린에 대한 感受性(감수
성)이 敏感(민감)하다.
方 : 黃連(황연) 달인 물을 JTC-26 癌細胞(암세포)를 배양기에 넣어 實驗(실험
)한 결과 抑制律(억제율)이 100%이며 사람의 正常的(정상적)인 細胞(세
포)를 抑制(억제)하는 比率(비율)도 100%였다.
5) 광나무 잎과 줄기 - 胃癌(위암), 肝癌(간암),食道癌(식도암) 等에 抗癌力(항암력)과 免
疫力(면역력)즉 白血球(백혈구)의 生存時間(생존시간)을 늘려주는 作用(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6) 農吉利(농길리) : 癌治療(암치료)에 外用(외용), 內服(내복), 注射劑(주사제) (50%,
100%, 1Amp. (2cc)로 사용되며, 腫瘍治療(종양치료)에는 生葯(생약)
을 3~4 个月(개월) 가량 매일 60~120g 使用한다.) 抗癌作用(마우
스육종 180, 白血病(백혈병) L615, 랫드의 W-alker 癌(암) 256에 대하
여 抑制作用(억제작용)), 皮膚癌(피부암), 子宮經癌(자궁경암), 陰經
癌(음경암), 乳腺癌(유선암), 胃癌(위암), 肝癌(간암), 食道癌(식도암),
肺癌(폐암) 및 慢性氣管支炎(만성기관지염)에 効果(효과)가 높다.
7) 마름 癌治療(암치료) : 各種癌(각종암) - 마름열매(菱實)60g, 율무 번행초 各30g, 등나
무 혹 9g. 水煎三服(수전삼복)., 마름나무 줄기도 效果(효과) 있다.
8) 仙鶴草(선학초)
⑴ 各種(각종) 腫瘍(종양) 痛症(통증)에 짚신나물(仙鶴草)120g을 1.5시간 水煎(수전)
하여 그 물을 蒸氣(증기)로 말린다. 이것을 6等分하여 일일량으로 4 시간마다 服用
(복용)하는데 15일간 계속한다. 특히 痛症(통증)이 심한 骨癌(골암), 肝癌(간암), 膵
臟癌(췌장암) 等에 효과가 있다.
⑵ 白血病(백혈병)을 除外(제외)한 모든 癌病(암병)
仙鶴草(선학초)60g 白英(백영)25g 檳榔(빈랑)9g 甘草(감초)3g를 달여 하루에 수시
로 服用(복용)한다.
9) 龍葵(용규, 까마중)
⑴ 抗癌(항암) : 食道癌(식도암), 胃癌(위암), 腸癌(장암) 등 消化器癌(소화기암), 肺癌
(폐암), 惡性葡萄狀(악성포도상) 卵巢癌(란소암),絨毛膜癌(융모막암),
子宮經部癌(자궁경부암), 乳房癌(유방암), 腹水癌(복수암)
⑵ 癌治療(암치료)
① 까마중(龍葵)에 짚신나물(仙鶴草), 오이 풀 等을 함께 쓰면 항암작용이 더욱 强
(강)해질 뿐만 아니라 짚신나물과 오이 풀의 澁味(삽미)를 减少(감소)시킨다.
② 중국에서 子宮經部癌(자궁경부암), 乳房癌(유방암), 胃癌(위암) 등을 龍葵(용규,
까마중)으로 治療(치료)하여 64.4%가 效果(효과)를 보았다. 한다.
③ 腹水癌(복수암, 암환자의 복수)을 减少(감소) 시키는데 현저한 효과를 보았다. 한
다.
10) 茵蔯蒿(인진호)
癌治療(암치료) : 發癌(발암) 곰팡이와 發癌毒物(발암독물)을 抑制(억제)하는 힘이 强(
강)하다. 發癌物質(발암물질)인 누른누룩곰팡이 누른누룩곰팡이균소
B1의 抑制律(억제율)이 100%에 이르렀다고 하며 茵陳(인진)을 달인
물의 癌細胞(암세포) 抑制律(억제율)은 21 % 이었다는 보고가 있다.
5. 癌病(암병)과 治療(치료)
1. 癌腫(암종) - 各種(각종)
① 露蜂房(로봉방) 加 全蝎(전갈), 僵蚕(강잠), 山慈菇(산자고) 등
② 마름열매(菱實)60g, 율무 번행초 各30g, 등나무 혹9g. 水煎三服(수전삼복)., 마름나
무 줄기도 效果(효과) 있다. ※ 마름열매(菱實) 그 껍질(皮)에 抗癌性分(항암성분)이
있다.
③ 胃癌(위암), 食道癌(식도암), 直腸癌(직장암) 등 각종 腫瘍(종양) 治療(치료)에 (30
~50g)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加 藤梨根(등리근),半邊蓮(반변련),夏枯草(하고초),
威靈仙(위령선), 蜈蚣(오공),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는 각종 腫瘍(종양)에 넓이 사
용한다.특히 消化器系(소화기계)와 淋巴系(임파계) 腫瘍(종양)에 잘 듣는다고 한다.
癌細胞(암세포)를 破壞(파괴)하고 白血球(백혈구)의 貪食作用(탐식작용)을 좋게 한
다.
④ 各種(각종) 腫瘍(종양)의 痛症(통증)에 짚신나물(仙鶴草)120g을 1.5시간 水煎(수전
)해서 그 물을 蒸氣(증기)로 말린다. 이것을 6等分하여 일일량으로 4 시간마다 服
用(복용)하는데 15일간 계속한다. 특히 痛症(통증)이 심한 骨癌(골암), 肝癌(간암),
膵臟癌(췌장암) 等에 효과가 있다.
⑤ 白血病(백혈병)을 除外(제외)한 모든 癌病(암병)
仙鶴草(선학초)60g, 白英(백영)25g, 檳榔(빈랑)9g, 甘草(감초)3g를 달여 하루에 수
시 服用(복용)한다.
⑥ 守宮(수궁) 單用(단용), 或加 昆布(곤포), 海藻(해조), 牡蠣(모려), 元參(원삼, 翻白
草根)
⑦ 까마중(龍葵)에 짚신나물(仙鶴草), 오이 풀 等을 함께 쓰면 항암작용이 더욱 强(강)
해질 뿐만 아니라 짚신나물과 오이 풀의 澁味(삽미)를 减少(감소)시킨다.
⑧ 癌治療(암치료) : 發癌(발암) 곰팡이와 發癌毒物(발암독물)을 抑制(억제)하는 힘이
强(강)하다. 發癌物質(발암물질)인 누른 누룩곰팡이, 누른 누룩곰팡이 균소 B1의
抑制律(억제율)이 100%에 이르렀다고 하며 茵陳(인진)을 달인물의 癌細胞(암세포)
抑制律(억제율)은 21 % 이었다는 보고가 있다.
2. 肝癌(간암)
應用葯(응용약) : 佛手(불수), 섬소(蟾穌), 仙鶴草(선학초),
① 疏散風熱(소산풍열), 辛凉解表(신량해표) : 木賊(목적),
② 破血消癥(파혈소징) : 斑蝥(반모) - 癥痂癌腫(징가암종)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木賊(목적) - 辛凉解表(신량해표), 斑蝥(반모) - 破血消癥(파혈소징),
① 鷄卵(계란)을 구멍을 낸 후 斑蝥(반모)를 頭(두), 足(족), 翅(시)를 버린 것을 1~3个
를 넣고 구은 후 斑蝥(반모)를 버리고 一日 1개씩 服用(복용)한다.
② 麝香埋藏(사향매장) 혹은 麝香注射液(사향주사액)
③ 溫莪朮(온아출) 揮發油制劑(휘발유제제)를 全身(전신)에 給葯(급약)하면 일정한 療
效(료효)를 보다.
④ ≒ 莪朮注射液(아출주사액)
瘤体(류체)에 注射爲主(주사위주) 每次(매차) 10~30ml(含生葯 20~60g),
其他葯物(기타약물)을 배합해서 煎劑(전제)로 內服(내복)할 수 있다.
⑤ 노나무((개오동나무 梓白皮) 줄기와 가지 根 모두 37.5g을 水煎朝晩服(수전조만복)
간암(肝癌) : 卷柏(권백, 부처손), 女貞木(여정목, 광나무), 龍葵(용규, 까마중), 仙鶴草
(선학초),
1) 까마중(龍葵) 60g, 남천잎 30g 水煎服
김명욱임상경험집방
症狀 : 肝癌 - 全身黃疸(전신황달)이 일어나고, 右側頰部(우측협부)로부터 胃脘部(위완
부)에 주먹만 한덩어리가 있으며 大便不利(대변불리), 尿黃(뇨황), 腹脹滿(복창
만), 氣逆上冲(기역상충), 消化不良(소화불량), 飮食无味(음식무미) 時有發熱(
시유발열) 口乾脣色靑(구건순색청) 脈弦微數(맥현미삭).
건황소괴탕 ≒ 柴胡(시호)25, 白芍(백작), 茵陳(인진) 各20, 鷄內金(계내금), 牡
蠣(모려), 鱉甲(별갑, 醋炒), 白朮(백출), 海藻(해조) 各15, 茯苓
(복령). 枳殼(지각) 各7.5, 乳香(유향). 沒葯(몰약). 山楂(산사).
神曲(신곡). 穿山甲(천산갑,炒) 各5.
- 10帖을 먹으면 덩어리가 3/5가량 消失된다.
臨床
肝癌을 預防하는데는 공진단(拱辰丹)이 효과적이다. 중국 원나라 명의였던 危亦林(위
역림)이 편찬한【世醫得效方】에 기재된 처방으로 특히 肝機能(간기능) 虛弱(허약)에
뛰어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전해 내려온다. 肝機能(간기능)이 虛弱(허약)하면 얼굴이
까칠해지면서 윤기도 없어지고 검은 빛을 띠게 되며 눈이 침침해지고 눈물이 흐르고
눈빛도 맑지 못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또 근육과 뼈마디가 아프거나 경직되며 경련과
같은 떨림 증상이 올 수도 있는데 심하면 머리가 멍해지면서 참을 수 없는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이를 頭暈症(두운증), 目眩症(목현증)이라고 하는데 이들 증상을 다스린
다.
拱辰丹(공진단)
≒ 鹿茸(녹용, 牛乳에 적셔서 프라이펜에 볶은 것), 當歸(당귀), 山茱萸(산수유)
各160, 麝香(사향)20.
이상의 약을 가루 낸 다음 밀가루에 술을 붓고 끓인 밀가루 풀로 반죽해서 0.3g
크기의 알약으로 만들어 두었다가 따끈한 술이나 소금을 약간 탄 물과 함께 70
~100알씩 복용한다. 湯劑(탕제)로 할 때는 麝香(사향)만은 가루 내고 기타 약
을 끓인 물에 타서 복용한다.
加减
① 약값 : 麝香(사향) 대용으로는 沉香(침향)이나 木香(목향)을 쓰면 가격은 조정
할 수 있다.
② 氣血不足(기혈부족) : 加 人參(인삼), 熟地黃(숙지황).
③ 身冷(신냉) : 加 桂皮(계피), 炮附子(포부자).
☆☆ 控辰丹(공진단)은 肝機能(간기능)이 虛弱(허약)한 증세를 다스릴 뿐 아니라 선천
적으로 약한 체질을 강화시키고 체내의 물과 불(陰陽)을 조화시켜 疾病(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3. 腹水癌(복수암)
應用葯(응용약) : 龍葵(용규, 까마중),
① 龍葵(용규)로 腹水癌(복수암, 암환자의 복수)을 减少(감소) 시키는데 현저한 효과를
보았다.
복수암(腹水癌) : 瓜蔞仁皮(열매껍질),瓜蔞根(天花粉),까마중(龍葵),鴉膽子(아담자) 1) 까마중(龍葵鮮品) 신선한 것 500g 水煎服(수전복)
4. 口腔癌(구강암)
1) 應用葯(응용약) :
① 木通(목통, 으름덩굴), 車前子(차전자) 各 0.027g, 斑蝥(반모) 0.015g, 活石粉(활
석분) 0.03g을 丸劑(환제)로 하여 一日 1~2丸 服用(복용)
2) 治療(치료)
⑴ 구강암(口腔癌)
① 1) 으름덩굴(木通) 車前子 各0.027g, 반묘0.015g, 滑石0.03g. 錠劑. 1日 1-2錠
5. 舌癌(설암)
1) 應用葯(응용약) ① 疏散風熱(소산풍열), 辛凉解表(신량해표) : 木賊(목적),
2)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 木賊(목적) - 辛凉解表(신량해표),
3) 治療(치료)
⑴ 설암(舌癌)
① 白礬(백반)과 銅綠(동록, 구리에 파란 녹)各 3g을 환부에 뿌리고 따뜻한 食醋
(식초)로 양치질한다.
6. 腸癌(장암)
1) 應用葯(응용약) : 蟾穌(섬소), 王瓜實(왕과실), 龍葵(용규, 까마중),
7. 膀胱癌(방광암)
방광상피조직종양(膀胱上皮組織腫瘍) : 가마중(龍葵),
1) 龍葵(용규, 까마중), 白英(백영) 各 30g 水煎服(수전복)
방광암(膀胱癌) : 山豆根(산두근),
1) 木通(목통), 牛膝(우슬), 生地黃(생지황),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
문동), 五味子(오미자), 黃柏(황백), 甘草(감초) 各 3g
8. 鼻癌(비암)
用葯(용약) : 佛手(불수),
비암(鼻癌) : 1) 부처손(卷柏),
2) 고백반 가루를 되지기름에 개어 솜에 싸서 곳 구멍에 넣는다.
9. 鼻咽癌(비인암)
應用葯(응용약) : 王瓜實(왕과실),
鴉膽子(아담자) - 淸熱解毒(청열해독), 腐蝕贅疣(부식췌우).
10. 消化器癌(소화기암) - 消化道腫瘤(소화도종류)
應用葯(응용약) : 佛手(불수), 八角茴香(팔각회향),
① 淸熱解毒(청열해독), 利水消腫(이수소종) : 半邊蓮(반변련),
② 疏肝理氣(소간리기), 散結(산결) : 八月札(팔월찰),
特秀效能(특수효능) 및 要葯(요약) : 瓦松(와송, 바위솔),
① 麝香埋藏(사향매장) 혹은 麝香注射液(사향주사액)
소화기암(消化器癌) : 부처손(卷柏), 까마중(龍葵)
1) 까마중(龍葵)全草 30g, 뱀딸기 15g 水煎服
2) 까마중(龍葵) 30g, 黃芩(황금) 60g, 지치根 15g, 水煎二服
11. 食道癌(식도암)
應用葯(응용약) : 龍葵(용규, 까마중),
① ☆ 菱實粉(능실분) 6g씩 蜜湯(밀탕) 혹은 水(수)로 服用(복용) 한다.
②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30~50g) 加 藤梨根(등리근), 半邊蓮(반변련), 夏枯草(하
고초), 威靈仙(위령선), 蜈蚣(오공)
③ 麝香埋藏(사향매장) 혹은 麝香注射液(사향주사액)
④ 守宮(수궁) 一首를 米(미)에 섞어 炒黃(초황)해서 細末(세말)로 만들어 2~3次 小量
(소량)을 黃酒(황주)로 送服(송복) 한다.
식도암(食道癌). 1) 麥門冬(맥문동), 부처손(卷柏), 광나무(女貞木), 까마중(龍葵)
2) 杏仁(행인), 茯苓(복령), 乾姜(건강), 甘草(감초). - 水煎服
3) 同 消化器癌(소화기암) 1). 2).
4) 馬寶(마보)0.9 + 沈香(침향)3 = 可試治(가시치) 食道癌(식도암)
諸症(제증)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