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3-10-14 16:40
글쓴이 :
admin
 조회 : 12,041
|
12. 胃癌(위암)
特秀效能(특수효능) 및 要葯(요약)
1) 胃癌治療劑(위암치료제) : 南瓜子(남과자), 마름(菱實),木賊(목적) 辛凉解表(신량해표)
2) 癌治療要葯(암치료요약) : 瓦松(와송, 바위솔),
應用葯(응용약) : 王瓜實(왕과실), 龍葵(용규, 까마중),느릅나무 잔가지(楡根皮)와 과실,
薏苡仁(의이인), 一葉草(일엽초). 호박(南瓜(남과), 番瓜(번과), 金瓜
(금과), 倭瓜(왜과), 北瓜(북과), 金冬瓜(금동과), 番蒲(번포)라 한다.),
黃精(황정),
① 疏散風熱(소산풍열), 辛凉解表(신량해표) : 木賊(목적),
② 호박 : 補中益氣(보중익기), 消炎止痛(소염지통), 利尿(이뇨).
③ 滑精(활정) - 補脾潤肺(보비윤폐), 益氣養陰(익기양음).
① 菱實(능실, 마름)30个를 土器(토기)에 燙劑(탕제)로 久煎三四服(구전삼사복),
② 菱實粉(능실분) 6g씩 蜜湯(밀탕) 혹은 水(수)로 服用(복용) 한다.
③ 鷄卵(계란)을 구멍을 낸 후 斑蝥(반모)를 頭(두), 足(족), 翅(시)를 버린 것을 1~3个
를 넣고 구은후 斑蝥(반모)를 버리고 一日 1개씩 服用(복용)한다.
④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30~50g)
中國(중국) 남창시 人民病院(인민병원)에서 치료 81例 중에 臨床的完治(임상적완치)
15例, 顯著(현저) 한 效果(효과)를 본 것이 7例, 若干(약간) 效果(효과)를 본 것이 39
例 總有效率(총유효율)75.3% 이었다.
⑤ 麝香埋藏(사향매장) 혹은 麝香注射液(사향주사액)
常用葯(상용약)
1) 麥門冬(맥문동), 광나무(女貞木), 바위솔(와송(瓦松)), 까마중(龍葵),
2) 枯白礬(고백반) 9g을 가루내어 食醋(식초) 180g을 붓고 5分 끓여서 맑은 웃물을
服用
3) 마름열매(능실(菱實=水栗) 30个 湯劑(土器) 一日 3-4次 服用
4)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90g,白茅根(백모근)60g을 달여 설탕을加味 一日數次服用
5) 同 消化器癌(소화기암) 1). 2).
13. 賁門癌(분문암)
① 半夏丸(반하환).
위장암(胃腸癌) 1) 海藻(해조)15 + 昆布(곤포)15= 胃腸道(위장도),癌腫諸症(암종제증)
14. 乳房癌(유방암)
應用葯(응용약) : ☆ 瓜蔞(과루, 全瓜婁(전과루, 瓜蔞仁(과루인), 瓜蔞皮(과루피)), 佛手(불
수), 龍葵(용규, 까마중), 一葉草(일엽초), 八角茴香(팔각회향),
① 淸熱解毒(청열해독) 散結消腫(산결소종) : 土貝母(토패모),
② 疏肝理氣(소간리기), 散結(산결) : 八月札(팔월찰),
特秀效能(특수효능) 및 要葯(요약)
1) 乳癌治療要葯(유암치료요약) : 瓜蔞(과루)
症狀(증상) 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1) 淸熱解毒(청열해독)
① 牛黃(우황) 配 麝香(사향), 乳香(유향), 沒葯(몰약). . . ≒ 犀黃散(서황산)
② 瓜蔞(과루) 配 當歸(당귀), 硫黃(유황). 細末(세말) 水煎服(수전복) ≒ 神效瓜蔞散(신
효과루산)
유방암(乳房癌)
1) 부처손(卷柏), 까마중(龍葵),
2) 初期 - 瓜蔞仁(과루인)3个,生地黃(생지황)150g,土貝母(토패모),生香附子(생향부자),
牡蠣(모려) 各120g, 漏蘆(루로), 白芥子(백개자), 炒麥芽(초맥아) 各90g 穿山
甲(천산갑), 木通(목통), 川芎(천궁), 甘草(감초) 各30g.
粉劑(분제)로 만들어, 蒲公英 (포공영), 개나리열매(連翹) 各60g으로 煎湯(전
탕)을 하여, 丸劑(환제)를 6g씩 一 日 食后三服(식후 3복)한다.
유선암(乳腺癌)
1) 天門冬 100g을 시루에 푹 쪄서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먹거나 알약 또는 筋肉注射 或靜
脈注射葯을 만 들어 使用한다.
2) 天門冬을 짓쪟 外敷하면 腫物이 작아지고 물렁물렁 해 진다
15. 絨毛上皮癌(융모상피암)
應用葯(응용약) : 龍葵(용규, 까마중), 薏苡仁(의이인), 長春花(장춘화),
例 - 중산의학원에서 絨毛上皮癌(융모상피암)과 악성포상귀태 23例를
佛手(불수)로 治療(치료)한 결과 短期治愈(단기치유) 4例, 顯著(현저)한
효과 8例, 효과를 본 것이 5例, 无效果 5例 總有效律 73.9% 이었다고 하
며 化學療法(화학요법)을 같이 사용하니까 治療成積(치료성적)이 더욱
좋았다고 한다.
융모막암(絨毛膜癌) : 龍葵(용규, 까마중),
16. 淋巴腺腫瘍(임파선종양)
應用葯(응용약) :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30~50g), 長春花(장춘화),
⑴ 腫瘍(종양)
① 木通(목통, 으름덩굴),車前子(차전자) 各 0.027g,斑蝥(반모) 0.015g, 活石粉(활석분)
0.03g을 丸劑(환제)로 하여 一日 1~2丸 服用(복용)
② 淋巴腫(임파종)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中國 강소성 오현 동산인민병원에서 淋巴腫(임파종) 치료 23例 중에 完治(완치) 5例
, 效果(효과)를 본 것이 7例, 總有效率(총유효율) 82%에 이르고 白血病(백혈병)은
白血球(백혈구)의 貪食作用(탐식작용)을 좋게 한다 했다.
③ 惡性淋巴癌(악성임파암)
溫莪朮(온아출) 揮發油制劑(휘발유제제)를 全身(전신)에 給葯(급약)하면 일정한 療
效(료효)를 보다. 임파선종양(淋巴腺腫瘍) : 1) 口腔癌 葯과 同一
17. 子宮癌(자궁암)
應用葯(응용약) : 龍葵(용규, 까마중), 一葉草(일엽초),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用葯(용약)
1) 子宮癌治療葯(자궁암치료약) : 마름(菱實,)
① 菱實(능실)30个를 土器(토기)에 燙劑(탕제)로 久煎三四服(구전삼사복), 子宮癌(자궁
암)에는 口服(구복) 및 陰部(음부), 子宮(자궁)을 자주 洗滌(세척)한다.
② 菱實粉(능실분) 6g씩 蜜湯(밀탕) 혹은 水(수)로 服用(복용) 한다.
③ 天南星(천남성) 用量 15~30g - 燥濕化痰(조습화담) 散結(산결),祛風解痙(거풍해경)
鎭痙(진경)
外用(외용) 消腫止痛(소종지통)
자궁암(子宮癌) :
1) 마름열매(菱實(水栗))30个를 湯劑(탕제)(土器)로 一日 3-4次 服用(복용)하면 病院(병
원)에서 포기한 胃癌(위암), 子宮癌(자궁암) 患者(환자)도 希望(희망)을 가질 수 있다.
子宮癌(자궁암)에는 服用(복용)외에 陰部(음부)나 子宮(자궁)을 자주 씻어주면 좋다.
2) 杏仁(행인), 桃仁(도인), 大黃(대황), 거머리 等 水煎服(수전복)
자궁융모막상피암(子宮絨毛膜上皮癌) : 까마중(龍葵)
1) 早期手術后 - 까마중(龍葵) 45g, 수염가래 60g, 지치 45g 水煎服
⑴ 子宮經癌(자궁경암) 등 多種癌腫(다종암종)
應用葯(응용약) : 佛手(불수), 龍葵(용규, 까마중), 薏苡仁(의이인),
① 溫莪朮制劑(온아출제제) - 1% 莪朮油(아출유), 혹 1% 莪朮注射液(아출주
사액) 및 5% 莪朮醇(아출순), 혹 莪朮混合液(아출혼합액)을 위주로 配合
(배합)하여 局部(국부) 瘤体(류체)에 注射(주사) 및 靜脈(정맥) 혹은 動脈
(동맥)에 揷管給葯(삽관급약)하면 早期宮頸癌(조기궁경암) 治療(치료)에
比較的(비교적) 좋은 效果(효과)를 본다.
② ≒ 莪朮注射液(아출주사액)
瘤体(류체)에 注射爲主(주사위주) 每次(매차) 10~30ml(含生葯 20~60g),
其他葯物(기타약물)을 배합해서 煎劑(전제)로 內服(내복)할 수 있다.
③ 중국에서 子宮經部癌(자궁경부암),乳房癌(유방암),胃癌(위암) 등을 龍葵
(용규, 까마중)으로 治療(치료)하여 64.4%가 效果(효과)를 보았다.
자궁경부암(子宮經部癌) : 부처손(卷柏), 까마중(龍葵), 山豆根(산두근),
1) 杏仁炭을 솜에 싸서 子宮經에 넣는다.
2) 石菖蒲 補骨脂 炒同量 粉劑 6g을 石菖蒲 달인 물에 타서 하루 한 번씩 口服한다.
3) 까마중(龍葵) 30-60g(鮮品90-150g) 水煎三服
卵巢癌(란소암)
應用葯(응용약) : 龍葵(용규, 까마중), 난소암(卵巢癌) : 까마중(龍龍葵)
1) 惡性葡萄狀(악성포도상) 卵巢癌(난소암) - 龍葵(용규, 까마중),
① ≒ 莪朮注射液(아출주사액)
瘤体(류체)에 注射爲主(주사위주) 每次(매차) 10~30ml(含生葯 20~60g),
其他葯物(기타약물)을 배합해서 煎劑(전제)로 內服(내복)할 수 있다.
18. 直腸癌(직장암)
用葯(용약) : 半邊蓮(반변련),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佛手(불수),
① 半邊蓮(반변연) 加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②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30~50g) 加 藤梨根(등리근),半邊蓮(반변련),夏枯草(하고초),
威靈仙(위령선), 蜈蚣(오공)
治療(치료) 3例에서 完治(완치)와 顯著(현저)한 效果(효과)를 본 것이 각 1例 이었다.
③ 麝香埋藏(사향매장) 혹은 麝香注射液(사향주사액)
직장암(直腸癌) :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가마중(龍葵)
1)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까마중 인동덩굴 各60g, 수염가래 제비꽃
各15g, 湯劑(탕제) 一日 數次服用(수차복용)
2) 同 消化器癌(소화기암) 1), 2).
3) 半邊蓮(반변련)50g 加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19. 膵臟癌(췌장암)
⑴ 木通(목통, 으름덩굴), 車前子(차전자) 各 0.027g, 斑蝥(반모) 0.015g, 活石粉(활석분)
0.03g을 丸劑(환제)로 하여 一日 1~2丸 服用(복용)
⑵ 治療葯(치료약) : 仙鶴草(선학초),
1) 口腔癌 葯과 同一
2) 各種(각종) 腫瘍(종양)의 痛症(통증)에 짚신나물(仙鶴草)120g을 1.5시간 水煎(수전)
하여 그 물을 蒸氣(증기)로 말린다. 이것을 6等分하여 일일량으로 4 시간마다 服用(
복용)하는데 15일간 계속한다. 특히 痛症(통증)이 심한 骨癌(골암), 肝癌(간암), 膵
臟癌(췌장암) 等에 효과가 있다.
3) 白血病(백혈병)을 除外(제외)한 모든 癌病(암병)
仙鶴草(선학초)60g, 白英(백영)25g, 檳榔(빈랑)9g, 甘草(감초)3g를 달여 하루에 수
시로 服用(복용) 한다.
20. 肺癌(폐암)
應用葯(응용약) : 佛手(불수), 長春花(장춘화),
① 溫莪朮(온아출) 揮發油制劑(휘발유제제)를 全身(전신)에 給葯(급약)하여 일정한 療效
(료효)를 보다.
特秀功効(특수공효) 및 要葯(요약)
1) 肺癌的要葯(폐암적요약) : 紫菀(자원) - 潤肺下氣(윤폐하기), 祛痰止咳(거담지해).
臨床(임상)
1) 百合固金丸(백합고금환) 加味 魚腥草(어성초) : 肺癌(폐암) 中期患者(중기환자) 38例를
治療22例가 症狀(증상)이 好轉(호전)되어 病(병)이 더 이상 進展(진전)되지 않고 安靜
狀態(안정상태)에 이르렀다고 한다.
2) 중국 절강 중의학원 腫瘍硏究室(종양연구실)에서 患者(환자) 23例 - 魚腥草(어성초)와
佛甲草(불갑초) 等 葯(약)으로 치료 모두 1년 이상 生命(생명)을 維持(유지)했다 한다.
腫瘍腹水(종양복수) : 魚腥草(어성초) 30g 赤小豆(적소두)90g 水煎(수전) 2~3 服(복)
各種癌(각종암) : 魚腥草(어성초) 20~30g, 水(수) 400g을 달여 茶(차)로 수시 마신다.
폐암(肺癌)
1) 부처손(卷柏), 까마중(龍葵), 山豆根(早期),
2) 肺癌引起(폐암인기) 咳嗽(해수), 喘息(천식), 小兒肺炎(소아폐염) : 胡桃油(호도유)(米
1Kg에 水3Kg을 넣고 끌기 시작하면 胡桃肉(호도육) 2kg을 베주머니에 싸서 푹 잠기게
넣고 푹 삶아서 완전히 익힌 뒤 胡桃肉(호도육)을 太陽(태양)에 말리기를 3번을 하는데
반드시 매번 米(미)를 바꾸어야 한다.
이렇게 법제하여 毒性(독성)을 제거한 胡桃肉(호도육)을 볶아서 기름을 짠 것이어야 한
다.)
3) 百合固金丸(백합고금환) 加 魚腥草(어성초)
4) 炒紫菀根12, 知母(지모)12,杏仁(행인)9, 貝母(패모)9, 뽕나무 뿌리 속껍질15,茯苓(복령)
15, 甘草(감초)6, 人參(인삼)6, 苡仁(이인)24, 沙參(사삼)24. 一日三次 水煎服
5) 杏仁(행인), 蓮根(연근, 節部), 枇杷葉(비파엽), 黃芪(황기), 부들꽃, 沙參(사삼), 蜂蜜(봉
밀), 半枝蓮(반지련)
21. 皮膚癌(피부암)
應用葯(응용약) : 蟾穌(섬소)
22. 血癌(혈암) - 白血病(백혈병)
⑴ 應用葯(응용약) : 長春花(장춘화),
① 蟾穌(섬소) - 解毒止痛(해독지통), 開竅醒神(개규성신)
② 靑黛(청대) -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消腫(양혈소종)
⑵ 特秀效能(특수효능) 및 要葯(요약)
① 白血病要葯(백혈병요약) : 鴉膽子(아담자)- 淸熱解毒(청열해독),腐蝕贅疣(부식췌우)
② 白血球減少症(백혈구감소증) : ⓐ 魚腥草(어성초) - 消熱解毒(소열해독), 利尿消腫
(이뇨소종).
③ 백세포감소증(白細胞减少證) : ⓐ 靈芝(영지) - 安神健胃(안신건위), 補益氣血(보익
기혈)
⑶ 其他葯(기타약) : 1) 白細胞减少證(백세포감소증) : 靈芝(영지),
① 노나무(梓白皮(재백피), 개오동나무) 줄기와 가지 根 모두 37.5g을 水煎朝晩服(수전
조만복)
② 벌나무를 써야하나 稀貴하므로 노나무(개오동나무, 재백(梓白)를 쓴다.
노나무 2斤, 다슬기소두 1粖, 산머루덩굴 2斤. 久煎 食前朝晩服(식전조만복)
③ 急性淋巴性白血病(급성임파성백혈병), 慢性單球性白血病(만성단구성백혈병), 白血
球(백혈구) 增加(증가) 억제작용
⑷ 常用葯(상용약)
① 麥門冬(맥문동), 白花蛇舌草(백화사설초), 魚腥草(어성초), 三白草(삼백초), 벌나무,
개오동나무, 女貞木(여정목, 광나무)
② 白血病(백혈병)에는 벌나무를 써야하나 稀貴(희귀)하여 노나무(개오동나무)를 대신
쓴다. 노나무(梓白木) 2斤, 다슬기 소두 1粖, 산머루덩굴 2斤 식전, 煎湯(전탕), 朝,
晩服(조, 만복)
③ 天門冬(천문동)
⑸ 症狀(증상)과 治法(치법) 및 葯物配合(약물배합)
① 白血球(白細胞) : 血色素(혈색소)를 包含(포함)하지 않은 血液(혈액)의 有形性分(유
형성분)은 신선한 상태에서는 无色(무색)이고 강한 屈折性(굴절성)이 있다. 赤血球
(적혈구)와 달라서 核이 있고 아메바 모양 운동을 하며 앏은 毛細血管壁(모세혈관
벽)을 통하여 혈관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白血球는 각종 病源性微生物(병원성미생
물)들을 細胞体內(세포체내)에 넣어 소화시키는 貪食作用(탐식작용)이 있다. 이런
세포의 수는 혈액 내에 4~10x109/L 가량 들어있다. 白血球(백혈구)는 그 形質內(형
질내)에 있는 顆粒(과립)및 그 특성에 따라 顆粒性白血球(과립성백혈구)와 无顆粒
性白血球(무과립성백혈구)로 나눈다.
② 白血球過多症(백혈구과다증) : 末梢血液(말초혈액)의 白血球數(백혈구수)가
10x109/L 이상으로 많아진 것을 생리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으로 나눈다.
病理的(병리적) 白血球過多症(백혈구과다증) : 急性感染性疾病(급성감염성질병),
肺炎(폐염), 腹膜炎(복막염), 虫垂炎(충수염), 化膿性感染(화농성감염), 肝膿瘍(간농
양), 骨髓炎(골수염), 扁桃腺炎(편도선염) 등, 中毒症(중독증)(尿毒症(뇨독증), 糖尿
病性昏睡(당뇨병성혼수), 肝性昏睡(간성혼수), 癎疾(간질), 火傷(화상) 等), 急性出
血后(급성출혈후), 手術后(수술후), 심장동맥 血栓症(혈전증), 心筋梗塞(심근경색),
惡性腫瘍(악성종양), 急性溶血症(급성용혈증), 白血病(백혈병) 等이 있을 때에 나타
난다.
③ 白血病(백혈병) : 病的(병적)으로 未熟(미숙)한 白血球(백혈구)가 正常的(정상적)인
것보다 훨씬 많아져 전신의 각 組織(조직)에 침윤되는 病(병)으로써. 조혈계통의 惡
性腫瘍(악성종양)의 하나이다. 病的過程(병적과정)에 따라 急性(급성)과 慢性(만성)
으로 나누며 血液細胞(혈액세포)의 형태에 따라 顆粒形(과립형), 淋巴細胞形(임파
세포형), 單核細胞形(단핵세포형)으로 나눈다. 骨髓(골수)에는 미숙한 骨髓細胞(골
수세포)가 많다.
基本葯茶(기본약차) : 艾葉(애엽), 決明子(결명자), 蒲公英(포공영),楡根皮(유근피),
大薊(대계) 玄草(현초), 當歸(당귀) 各7g, 車前子(차전자), 白茯苓(백복령), 白朮(백
출), 枸杞子(구기자) 各4g,
人參(인삼)1.5, 표고버섯 8个, 赤小豆(적소두) 1/3 컵, 昆布(곤포)20. 大蒜(대산), 山
茱萸(산수유), 附子(부자).
23. 血小板滋生(혈소판자생)
⑴ 山茱萸(산수유) : 放射線(방사선) 治療(치료)로 血小板(혈소판) 破壞(파괴)를 滋生(자생
)시키는 데 有效(유효)하다.
24. 골암(骨癌) : 仙鶴草(선학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