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08-12 13:27
글쓴이 :
admin
조회 : 15,005
|
新東醫學基礎論(신동의학기초론)
陰陽六行論(음양육행론)
目次(목차)
第一章 一節 東醫學(동의학)의 형성과 발전
第一章 二節 唯物論(유물론) 氣(기)의 槪念(개념)
自然(자연)의 氣(기)
인체(人體)의 기(氣, 精)
形(형)과 神(신)의 不可分的(불가분적) 관계
第一章 三節 辨證論(변증론)
辨證觀念(변증관념) 整體觀念(정체관념)
第一章 四節 辨證論治(변증론치)
辨證(변증)이란
辨證論治(변증론치)란
證(증)이란
同病異治(동병이치)란
異病同治(이병동치)란
第二章 陰陽六行論(음양육행론)
第二章一節 陰陽學說(음양학설)
1 陰陽이란
陰陽(음양)의 特殊性(특수성)
陰陽轉化(음양전화)
2 음양(陰陽)의 활동(活動)
第二章二節 陰陽學說(음양학설) 東醫學應用(동의학응용)
1) 인체의 조직구조(人體的組織結構)에 대한 설명
2) 생리기능(生理功能)
3) 병리변화(病理變化)
⑴ 정기(正氣)와 사기(邪氣)를 음양학설(陰陽學說)에 의하여 설명한다면
⑵ 음양(陰陽)의 편성(偏盛), 편쇠(偏衰), 구허(俱虛), 전화(轉化), 이결(離決)
4) 질병진단(疾病診斷)과 치료(治療)의 응용(應用)
⑴ 진단(診斷), ⑵ 治療
음양학설(陰陽學說)로 질병 치료를 장악함에 있어서는
1) 치료원칙의 확정은 음양(陰陽)의 조화(調和)를 목적으로 한다.
2) 약물(葯物)의 성능(性能)에 대한 귀납(歸納)
第二章三節 六行學說(육행학설)
1) 舊槪念 : 五行(오행)의 槪念(개념)
2) 六行(육행)의 特性(특성) 및 屬性(속성)
⑴ 六行(육행)의 特性(특성)
⑵ 五行(오행)의 屬性(속성)
⑶ 五行(오행)의 運動法則(운동법칙)
3) 新槪念(신개념) - 陰陽六行論(음양육행론)
4) 六行(육행)과 自然界(자연계)의 事物(사물) 및
인체의 臟腑(장부)와 組織器官(조직기관) 도표
5) 육행에 의한 자연계와 인체의 도표 설명
第二章四節 六行學說(육행학설) 東醫學應用(동의학응용)
六行學說(육행학설) 東醫學應用(동의학응용)
⑴ 六行論(육행론)과 東醫學(동의학)
⑵ 六臟(육장)의 생리기능과 상호관계
① 六臟(육장)의 生理機能(생리기능)
② 육장간의 상호관계
⑶ 臟腑(장부)의 病理變化(병리변화)와 六行(육행)
① 相生關系(상생관계)의 傳變(전변)
② 相克關係(상극관계)
⑷ 診斷(진단)과 治療(치료)에 六行學說(육행학설) 응용
㈀ 相生關系(상생관계)의 傳變(전변)
㈁ 相克關係(상극관계)의 傳變(전변)
⑸ 針灸療法(침구료법)
⑹ 精神療法(정신료법)
第三章 臟象學說(장상학설)
第三章一節 六臟(육장)
1. 心(심)
1)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心(심)은 血脈(혈맥)을 주관한다.
⑵ 神志(신지)를 주관한다.
2) 心(심)의 在志(재지), 在液(재액), 在體(재체), 및 在竅(재규)
2. 肺臟(폐장)
1) 肺(폐)의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肺主氣(폐주기) ① 全身의 氣를 主管한다.
② 呼吸의 氣를 主管한다.
⑵ 宣發肅降(선발숙강) 기능
⑶ 通調水道(통조수도) 기능
⑷ 肺調百脈(폐조백맥)
⑸ 肺主治節(폐주치절)
2) 肺與 : 六志, 六液, 六体, 六竅的 關係
3. 脾臟(비장)
1)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運化機能(운화기능)을 주관한다. (脾主運化(비주운화)
㉠ 水穀(수곡)을 運化(운화) 시킨다.
㉡ 水濕(수습)을 운화 시킨다.
⑵ 血(혈)을 統率(통솔)하는 기능을 주관한다. 固攝作用(고섭작용)
㈀ 脾(비)는 氣血(기혈)을 産生(산생)시키는 源泉(원천)이다.
㈁ 脾氣(비기)는 혈을 統攝(통섭)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 脾(비)는 血(혈)을 淨化(정화)한다.
2) 六志는 思, 六液은 涎, 六体는 肌肉, 六竅는 口
4. 肝臟(간장)
1)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疏泄氣能(소설기능)을 주관한다(肝主疏泄)
① 氣機(기기)를 원활하게 조절한다.
② 血(혈)의 운행과 津液(진액)의 수송, 분포 및 대사 역시 기의 승강출입운동
에 의뢰된다.
③ 脾胃(비위)의 運化機能(운화기능)을 촉진한다.
④ 膽汁(담즙)의 分泌(분비)와 排泄(배설)
⑤ 情志(정지)를 조절한다.
⑵ 血(혈)을 貯藏(저장)하는 기능을 主管한다(肝主藏血)
① 血液(혈액)을 저장한다.
2) 六志는 怒, 六液은 淚, 六体는 筋, 六竅 目.
5. 腎臟(신장)
1)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精氣(정기)을 저장하고, 生長(생장), 發育(발육)과 生食(생식)을 주관한다.
⑵ 水液(수액)을 주관한다.
⑶ 氣(기)의 受納(수납)을 주관한다.
2) 腎(신)의 六志(육지), 六液(육액), 六体(육체), 六竅(육규)
6. 膈臟(격장)
1)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호흡기능을 추동한다.
⑵ 代謝作用(대사작용)
⑶ 保護作用(보호작용)
⑷ 推動作用(추동작용)
⑸ 傳化作用(전화작용)
① 水谷精微(수곡정미)를 傳化(전화)한다.
② 순환과 대사를 조절한다.
③ 나머지 糟粕(조박)은 大腸(대장)의 傳道作用(전도작용)에 의하여 대변으
로 화해서 肛門(항문)을 거처 체외로 排泄(배설)된다.
2) 膈(격)의 六志 六液 六體 六竅
第三章 臟象學說(장상학설)
第三章二節 六腑(육부)
1. 膵腸(췌장)
⑴ 해부학적 구조
⑵ 生理機能(생리기능)
① 食欲增進作用(식욕증진작용)
② 代謝作用(대사작용)
⑶ 病理變化(병리변화)
2. 胃(위)
1)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음식물의 受納(수납)과 腐熟(부숙)
① 受納(수납), ② 腐熟(부숙)
⑵ 通降作用(통강작용)
3. 小腸(소장)
1) 受盛(수성), 化物(화물) 기능
2) 泌別淸濁(비별청탁) 기능
4. 大腸(대장)
5. 膀胱(방광)
1) 生理機能(생리기능)
2) 病理變化(병리변화)
6. 三焦(삼초)
1) 三焦(삼초)의 생리기능
⑴ 모든 氣(기)를 주관하며, 전신의 氣機(기기)와 氣化(기화)를 주관한다.
⑵ 水液(수액)을 運行(운행)하는 통로이다.
⑶ 上焦(상초), 中焦(중초), 下焦(하초)의 부위 및 생리기능의 특점
第三章 臟象學說(장상학설)
第三章三節 奇恒之府(기항지부)
1. 腦(뇌), 2. 髓(수), 3.骨(골), 4. 脈(맥), 5. 膽(담), 6. 子宮(자궁)
부녀자의 월경기와 태아의 배태
⑴ 天癸(천계)의 작용
⑵ 冲脈(충맥) 및 任脈(임맥)의 작용
⑶ 心(심), 肝(간), 脾(비)의 작용
第三章 四節 臟(장)과 臟(장)의 관계
1) 心과 肺 , 2) 心과 脾, 3) 心과 肝, 4) 心과 腎, 5) 心과 膈, 6) 肺와 脾
7) 肺와 肝, 8) 肺와 腎, 9) 肺와 膈,, 10) 肝과 脾, 11) 肝과 腎, 12) 肝과 膈
13) 脾와 腎 , 14) 脾와 膈, 15) 腎과 膈
第三章五節 六腑간의 關系(관계)
第三章六節 臟과 腑의 關系
1) 心과 小腸, 2) 肺와 大腸, 3) 脾와 胃 , 4) 肝과 膵, 5) 腎과 膀胱 , 6) 膈과 三焦 第四章 氣, 血, 津液
第四章一節 氣 (인체의 기)
1) 氣(기)의 基本槪念(기본개념)
2) 氣(기)의 生成(생성)
3) 氣(기)의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推動作用(추동작용)
⑵ 溫煦作用(온후작용)
⑶ 防禦作用(방어작용)
⑷ 固攝作用(고섭작용)
⑸ 氣化作用(기화작용)
4) 氣(기)의 運動(운동)과 運動形態(운동형태)
⑴ 氣의 運動 , ⑵ 氣의 運動形態
5) 氣(기)의 分布(분포)와 分類(분류)
四氣(사기)의 構成(구성), 分布(분포)와 機能(기능)
⑴ 元氣(원기)
⑵ 宗氣(종기)
⑶ 營氣(영기)
⑷ 衛氣(위기)
第四章二節 血(혈)1) 血의 槪念2) 血의 生成 3) 血의 機能 4) 血의 運行
血液(혈액)과 六臟(육장)의 기능
第四章三節 津液(진액)
1) 津液(진액)의 槪念(개념)
2) 津液(진액)의 生成(생성)과 輸送分布(수송분포) 및 排泄(배설)
3) 津液(진액)의 機能(기능)
小結(소결)
⑴ 津液(진액)의 滋養(자양)과 潤滑(윤활) 기능
⑵ 血液形成(혈액형성)
⑶ 陰陽(음양)의 平行(평행)을 조절
⑷ 代謝物(대사물)을 排泄(배설)
⑸ 津液(진액)의 新陳代謝(신진대사) 失調(실조)
⑹ 津液(진액)의 病理變化(병리변화)에 따르는
① 津液(진액)이 부족한 경우
② 진액의 수송 및 분포와 배설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③ 全身證候(전신증후)④ 臟腑證候(장부증후)
第四章四節 氣血津液의 相互關係
1) 氣(기)와 血(혈)의 관계
⑴ 氣(기)가 血(혈)을 生成(생성)시킨다.
⑵ 氣(기)가 血(혈)을 運行(운행)시킨다.
⑶ 氣(기)가 血(혈)을 固攝(고섭)시킨다.
⑷ 血(혈)은 氣(기)의 母體(모체)이다.
2) 氣(기)와 津液(진액)과의 관계
⑴ 氣(기)가 津液(진액)을 生成(생성)시킨다.
⑵ 氣(기)는 津(진)을 運化(운화)시킨다.
⑶ 氣(기)는 津(진)을 固攝(고섭)하고, 津液(진액)이 氣(기)를 運載(운재)한다.
3) 血(혈)과 津液(진액)과의 관계
津液(진액)과 氣血(기혈)의 機能不調(기능불조)
진액과 기혈의 조화가 파괴되면 아래와 같은 각종
病理變化(병리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① 津液(진액)이 停滯(정체)되고 氣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② 氣(기)가 津液(진액)을 따라 逸脫(일탈)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③ 津液(진액)이 枯渴(고갈)되고 血(혈)이 燥熱(조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④ 津液(진액)의 缺如(결여)로 인하여 血瘀(혈어)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第五章 經絡學說(경락학설)
第五章一節 經絡(경락)의 개념과 경락계통의 구성
1) 經絡(경락)의 槪念(개념)
2) 經絡系統(경락계통)의 구성
⑴ 經絡系統(경락계통)은 經脈(경맥)과 絡脈(락맥)으로 구성되었다.
⑵ 經脈(경맥)은 正經(정경)과 奇經(기경)으로 나눈다.
① 正經(정경)
② 奇經(기경)
③《聖濟悤錄》에서는 正經(정경)과 奇經(기경)의 차이
⑶ 12 經別(경별)
⑷ 陽經(양경)의 經別(경별)
⑸ 陰經(음경)의 經別(경별)
⑹ 12 經別(경별)의 주요한 역할
⑺ 絡脈(락맥)은 經脈(경맥)의 分枝(분지)로서
別絡(별락), 浮絡(부락)과 孫絡(손락)으로 나눈다.
⑻ 經筋(경근)과 皮膚(피부)
3) 經絡學說(경락학설)과 針灸學(침구학)의 發展史(발전사)
經絡組成(경락조성)
經絡系統表(경락계통표)
第五章二節 經脈(경맥)
1) 名稱(명칭)
12 經脈 名稱 分類表
2) 走向(주향)과 交接(교접), 分布(분포), 表里(표리) 관계 및 流注(유주) 순서
⑴ 走向(주향)과 交接(교접)수족 음양경맥의 주행 방향과 교접규율의 설명도
⑵ 分布(분포)⑶ 表裏(표리) 관계 ⑷ 流注(유주) 순서
第五章三節 經絡(경락)의 순행부위
1)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2)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3)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4)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5)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6)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7)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8)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9) 手厥陰膈經(수궐음격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10)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11)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12)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穴名(혈명), 循行(순행), 支脈(지맥) 및 病候(병후)
第五章四節 奇經八脈
1) 督脈(독맥)
⑴ 穴名(혈명)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 ① 主干(주간), ② 后行分支(후행분지), ③ 前行分支(전행
분지) , ④ 下行分支(하행분지) ⑤ 交會(교회).
⑶ 機能(기능),
⑷ 小結(소결)
2) 任脈(임맥)
⑴ 穴名(혈명),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交會(교회), ⑶ 機能(기능),⑷ 小結(소결)
3) 衝脈(충맥)
⑴ 順行部位(순행부위), ⑵ 機能(기능), ⑶ 小結(소결)
4) 帶脈(대맥)
⑴ 穴名(혈명),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⑶ 機能(기능), ⑷ 小結(소결)
5) 陰蹺脈(음교맥), 陽蹺脈(양교맥)
⑴ 穴名(혈명),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⑶ 機能(기능), ⑷ 小結(소결)
6) 陰維脈(음유맥), 陽維脈(양유맥)
⑴ 穴名(혈명), ⑵ 順行部位(순행부위), ⑶ 機能(기능), ⑷ 小結(소결)
第五章五節 經別(경별), 別絡(별락), 經筋(경근), 皮部(피부)
1) 經別(경별) ⑴ 分布(분포), ⑵ 生理機能(생리기능), ⑶ 循行路線(순행로선)
2) 別絡(별락)
⑴ 生理機能(생리기능) , ⑵ 分布部位(분포부위)
3) 經筋(경근)
⑴ 生理機能(생리기능), ⑵ 分布部位(분포부위)
4) 皮部(피부)
第五章六節 經絡(경락)의 生理(생리) 및 經絡學說應用(경락학설응용)
1) 經絡(경락)의 生理機能(생리기능)
⑴ 表里上下(표리상하)를 所通(소통)하고 臟腑器官(장부기관)을 聯系(연계)
① 臟腑(장부)와 外部(외부), 肢節(지절) 사이를 聯系(연계)한다.
② 臟腑(장부)와 六官(육관), 九竅(구규)간의 聯系(연계)
③ 臟(장)과 腑(부)의 聯系(연계)④ 經脈(경맥)과 經脈(경맥) 사이를 聯系(연계)
한다.
⑵ 氣血(기혈)을 通行(통행)시켜서 臟腑組織(장부조직)을 資養(자양) 한다.
⑶ 感應(감응), 傳導(전도)
⑷ 機能(기능)의 均衡(균형)을 調節(조절)
2) 經絡學說(경락학설)의 應用(응용)
⑴ 病理變化(병리변화)⑵ 診斷(진단)과 治療(치료)
① 疾病診斷(질병진단)
② 臨床治療(임상치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