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7-01 13:11
[동의기초학(東醫基礎學)] 第五章三節 經絡(경락)의 循行部位(순행부위)
 글쓴이 : admin
조회 : 23,000  
新東醫學基礎論講座(신동의학기초론강좌)


第五章三節 經絡(경락)의 순행부위

1)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
    穴名(혈명) : 中府 → 小商 11個穴
                      中府(중부, 募(모)), 云門(운문), 天府(천부), 俠白(협백), 尺澤(척택), 孔最
                      (공최, 郄(극)), 列缺(열결, 格(낙)), 經渠(경거), 太淵(태연, 原), 魚際(어
                      제), 少商(소상).
    循行(순행) : 人体(인체)의 上肢(상지) 內側(내측) 앞쪽에 있다.
                      ① 中焦(중초, 胃部(위부))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내려가 大腸(대장)에 연
                      락되고 되돌아 올라와서 胃上口(위상구, 賁門(분문))을 따라 ② 膈肌(격
                      기)를 뚫고 지나서 肺(폐)에 들어가 肺臟(폐장)에 속한다. ③ 肺系(폐계,
                      氣管(기관), 喉(후))에서 옆으로 겨드랑이로 나와서(中腑(중부), 云門(운
                      문)) ④ 팔아래로 향하여 윗팔의 內側(내측)을 따라 手少陰(수소음), 手厥
                      陰(수궐음) 앞쪽으로(天府(천부), 俠白(협백))해서 ⑤ 팔급 오금에 내려와
                      (尺澤(척택)) 아래팔 내측 橈骨(요골)을 따라(孔最(공최))계속 내려오다가
                      ⑥ 寸口(촌구) 요동맥이 뛰는 곳에 진입되어 經渠(경거), 太淵(태연)을 거
                      쳐 大魚際(대어제)를 향하여 魚際穴(어제혈)을 따라 大指橈側(대지요측)
                      끝에(少商(소상))에 나온다.
    支脈(지맥) : ⑦ 팔목뒤에서 列缺(열결) 식지내측(橈側(요측))으로 향하여 끝에 나와서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에 접속한다.
    病候(병후) : ① 手太陰經(수태음경)의 病理變化(병리변화)는 폐가 꽉 막힌 감(氣閉(기
                          폐), 숨이 차는 감(氣短(기단)), 기침(咳嗽(해수), 쇄골 위 오목한 곳(缺
                          盆穴(결분혈)의 疼痛(동통), 가슴이 답답하며(胸悶), 視覺(시각)이 모호
                          하고, 아래 팔이 冷(냉)하며 저리고 疼痛(동통)이 생긴다.
                      ② 手太陰經(수태음경)에 속하는 腧穴(수혈)은 肺(폐)와 관계되는 病證(병
                          증)을 主治(주치)한다. 예를 들면 기침, 氣上逆(기상역), 숨이 가쁘고
                          호흡이 거칠고, 마음이 煩躁(번조)롭고 불안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팔
                          내측 앞 가변(변두리)을 따라 經脈(경맥)이 지나가는 곳에 疼痛(동통)
                          혹 厥冷(궐냉), 손바닥에 열나는(手心熱(수심열)) 등이다.
                      ③ 手太陰經(수태음경)에 흐르는 氣(기)가 왕성하여 남음이 있으면 實證
                          (실증)이다. 어깨, 등어리가 아프고(肩背痛(견배통)), 風寒(풍한)에 傷
                          (상)하면 자연히 땀이 나며, 小便(소변)의 횟수는 많으나 量(량)은 적
                          고, 숨을 입과 코로 천천히 내쉰다.
                      ④ 手太陰經(수태음경)에 흐르는 氣(기)가 虛(허)하면 虛證(허증)인데 어
                          깨 등어리가 아프며(肩背痛(견배통)), 춥고 한기가 들며 숨이 가쁘고
                          (氣短(기단) 急(급)하며, 小便色(소변색)이 변한다.

2)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
    穴名(혈명) : 商陽 → 迎香 20個穴
                      商陽(상양), 二間(이간), 三間(삼간), 合谷(합곡), 陽溪(양계), 偏歷(편력),
                      溫溜(온유), 下廉(하렴), 上廉(상렴), 手三里(수삼리), 曲池(곡지), 肘髎(주
                      료), 手五里(수오리), 臂臑(비노), 肩髃(견우), 巨骨(거골), 天鼎(천정), 扶
                      突(부돌), 口禾髎(구화료), 迎香(영향).
    循行(순행) : 주요 분포는 人体(인체)의 上肢(상지) 外側(외측) 앞쪽이다.
                      ① 食指(식지) 끝(商陽(상양)에서 시작되어 食指(식지) 橈側(요측) 옆(二
                      間(이간), 三間(삼간))을 따라 第一二掌骨(제일이장골)사이 合谷(합곡)을
                      나와서 ② 두 힘줄 사이에 진입하여 陽溪(양계)아래 팔 橈側(요측, 偏歷(편
                      력), 溫溜(온유), 下廉(하렴), 上廉(상렴), 手五里(수오리))를 따라 ③ 팔굽
                      외측에 진입되어 (曲池(곡지), 肘髎(주료)), 윗팔 외측 앞쪽에 手五里(수오
                      리), 臂臑(비노)를 지나 ④ 어깨에 올라와서 肩峰(견봉) 부위의 앞면에 肩
                      髃(견우), 巨骨(거골)을 지나서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의 秉風(병풍)
                      에 交會(교회)하고 나와서 계속 위로 향하여 督脈(독맥)의 大椎(대추)에서
                      交會(교회)되고 ⑤ 아래로 쇄골 오목한 곳 缺盆(결분)으로 내려와서 ⑥ 肺
                      (폐)에 絡(락)하고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大腸(대장)에 屬(속)한다.
    支脈(지맥) : ⑦ 缺盆(결분)에서 목옆까지 상행하여 天鼎(천정), 扶突(부돌)과 面部 아래
                      뺨 을 통과하여 아래 잇몸을 거쳐서 입 주위를 끼고 地倉(지창)에 會(회)하
                      는데 왼쪽 경맥은 오른쪽으로, 오른쪽 經脈(경맥)은 왼쪽으로 향하여 콧구
                      멍 옆 和髎(화료), 迎香(영향)에 이르러서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과 接
                      (접)한다. ⑧ 이외에 手陽明大腸經(수양명대장경)은 足陽明胃經(족양명위
                      경)의 上巨虛(상거허)와 脈氣(맥기)가 통한다.
    病候(병후) : ① 手陽明經(수양명경)에 病理變化(병리변화)가 생기면 齒痛(치통)이 생기
                          며, 목이 붓는다.
                    ② 본경의 腧穴(수혈)은 津(진) 방면에 발생된 병증을 主治(주치) 하는데
                        눈이 노랗고, 입이 마르며,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거나 코피가 나며,
                        목구멍이 아프고 어깨와 윗팔 통증 및 식지동통으로 인한 식지 활동장애
                        등이다.
                    ③ 본경의 氣(기)가 盛(성)하면 實證(실증)인데 경맥이 지나가는 부위에 熱                     
                        (열)이 나며 붓는다.
                    ④ 본경의 氣(기)가 虛(허)하면 추워서 떨며 용이하게 復溫(복온)되지 않는
                        다.

3)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
    穴名 : 承泣 → 廬兌 45個穴
            承泣(승읍), 四白(사백), 巨髎(거료), 地倉(지창), 大迎(대영), 頰車(협거), 下關
            (하관), 頭維(두유), 人迎(인영), 水突(수돌), 氣舍(기사), 缺盆(결분), 氣戶(기
            호), 庫房(고방), 屋翳(옥예), 𥊹窗(응창), 乳中(유중), 乳根(유근), 不容(불용), 承
            滿(승만), 梁門(양문), 關門(관문), 太乙(태을), 滑肉門(활육문), 天樞(천추), 外陵
            (외능), 大巨(대거), 水道(수도), 歸來(귀래), 氣冲(기충), 髀關(비관), 伏兎(복
            토), 陰市(음시), 梁丘(양구), 犢鼻(독비),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條口
            (조구), 下巨虛(하거허), 豊隆(풍륭), 解溪(해계), 冲陽(충양), 陷谷(함곡), 內庭
            (내정), 廬兌(려태).
    循行 : 족양명위경의 주요 분포는 頭面(두면), 胸部(흉부) 第二側線(제이측선) 및 下肢
            外側(하지외측) 앞면이다.
            ① 코옆(迎香(영향, 會) ② 코 뿌리에서 옆으로 交會(교회)하여 足太陽膀胱經(족
            태양방광경)에 이르고 睛明(정명)에 會(회)하여서 ③ 아래로 향하여 코 외측을
            따라 承泣(승읍), 四白(사백)을 거쳐 윗 치아에 들어가서 (巨髎(거료)), 되돌아 나
            와 구각에 있는 地倉(지창)을 끼고 입주위를 돌아 위로 향하여 人中泃(인중구)에
            서 交會(교회)되고, 아래로 향하여 턱의 오목한 承漿(승장)에서 다시 교회되어 되
            돌아서 아래턱 뒤 하방을 따라(大迎(대영)) 내려가고, 또 아래뺨각에 頰車(협거)
            를 따라 위로 향하여 귀앞 下關(하관)에 도달하며 顴弓上緣(관궁상연)을 지나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上關(상관), 懸厘(현리), 懸顱(현로), 頷厭(함염)) ④
            頭角(두각)의 髮際(발제)에 있는 頭維(두유)를 따라 이마 정중에서 神庭(신정)에
            이르러 會(회) 한다.
    支脈 ⑴ : ⑤ 大迎(대영)에서 아래로 향하여 경동맥(人迎(인영))을 경과하여, 목구멍(食
                道)을 따라 水突(수돌), 氣舍(기사)를 거쳐 ⑥ 缺盆(결분)에 들어가서(쇄골위
                오목한 곳) ⑦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胃(위)에 속하고 上脘(상완), 中脘
                (중완)에 會(회)하여 脾(비)에 絡(락)한다.
    외행의 主干(주간)은 缺盆(결분)에서부터 아래로 향하여 乳中(유중)을 경과하며(氣戶
                                (기호), 庫房(고방), 屋翳(옥예), 𥊹窗(응창), 乳中(유중), 乳根(유
                                근)) 아래로 배꼽 양옆으로 내려가서(不容(불용), 承滿(승만), 梁
                                門(량문), 太乙(태을), 滑肉門(활육문), 天樞(천추), 外陵(외능),
                                大巨(대거), 水道(수도), 歸來(귀래)) 氣街(기가, 鼠蹊部(서혜부)
                                氣冲穴(기충혈))에 진입된다.
    支脈 ⑵ : ⑨ 胃口(위구)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배속울 따라 ⑩ 鼠蹊部(서혜부) 동맥부위
                에서 前者(전자)와 회합되어 여기서부터 아래로 내려가서 髖關節(관관절) 앞
                髀關(비관)을 경과하여 股四頭肌(고사두기) 높은 곳 伏兎(복토), 陰市(음시),
                梁丘(량구)에 이르러 아래로 향하여 膝蓋骨(슬개골) 犢鼻(독비)에 와서 ⑪ 脛
                骨(경골) 외측을 따라 足三里(족삼리), 上巨虛(상거허), 條口(조구), 下巨虛
                (하거허)를 거쳐 발등에 내려와서 解溪(해계), 冲陽(충양)을 지나 中趾內側(중
                지내측) 발가락 사이에 진입되어 陷谷(함곡), 內庭(내정)을 지나 둘째 발가락
                끝에 있는 廬兌(려태)로 나온다.
    支脈 ⑶ : ⑫ 膝下三寸(슬하삼촌) 足三里(족삼리)에서 갈라져 中趾外側(중지외측) 발가
                락 사이에 진입되어 중지 끝에 나온다 다른 한 支脈(지맥)은 ⑬ 발등 冲陽(충
                양)에서 갈라져 엄지발가락 사이에 들어가서 엄지발가락 끝에 나온 후 足太陰
                脾經(족태음비경)과 접한다.
    病候 : ① 足陽明經(족양명경)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惡寒(오한)이 나서 떠는 증세, 하품
                을 자주하며, 안면 즉 이마 중간이 검은색을 띠며, 때로는 타인과 불빛을 싫어
                하고, 경황 스럽고, 심장이 두근거리며, 문을 닫고 방안에 혼자 있으며, 창문을
                막아 놓고 잠자고, 엄중할 때는 옷을 벗고 노래부르며, 높은 데로 뛰어다닌다.
                딸꾹질(呃逆(애역)하며 배가 부르고, 小腿(소퇴)가 차고 저리며, 시큰시큰한
                酸痛(산통)등의 증상이 있다.
            ② 본경수혈의 주치는 血(혈) 방면에 유관되는 병증의 발생인데 發狂(발광), 虐疾
                (학질), 溫熱病(온열병), 自汗(자한), 鼻塞流涕(비색류체), 衄血(뉵혈, 코피),
                口麻痹(구마비), 口瘡(구창), 咽喉腫痛(인후종통), 咽喉炎(인후염), 腹部脹滿
                (복부창만), 膝關節痛(슬관절통), 胸痛(흉통), 乳房痛(유방통), 사타구니 통증,
                대퇴앞, 小腿外側(소퇴외측) 足背(발등) 등이 모두 아프며 中趾(중지)를 움직
                이지 못하는 증상이다.
            ③ 본경의 氣(기)가 盛(성)하면 實證(실증)인데 신체앞면이 모두 열이 나고 胃
                (위)의 消化功能(소화공능)이 왕성하여 배가 잘 고프며 소변이 누런색이다(尿
                黃(뇨황).
            ④ 분경의 氣(기)가 虛(허)하면 虛證(허증)인데 신체앞면이 모두 차갑고 추워서
                떨며 胃部位(위부위)에 寒氣(한기)가 들어 배부른 감을 느낀다.

4)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
    穴名 : 隱白 → 大包 21個穴
            隱白(은백), 大都(대도), 太白(태백), 公孫(공손), 商丘(상구), 三陰交(삼음교), 漏
            谷(루곡), 地機(지기), 陰陵泉(음능천), 血海(혈해), 箕門(기문), 冲門(충문), 府舍
            (부사), 腹結(복결), 大橫(대횡), 腹哀(복애), 食竇(식두), 天溪(천계), 胸鄕(흉
            향), 周榮(주영), 大包(대포).
    循行 : 胸部(흉부) 第三側線(제삼측선)과 下肢內側(하지내측)의 前緣(전연)에 분포되였
            다.
            ① 大趾(대지)끝 隱白(은백)에서 시작되어 大趾(대지) 내측 赤白肉際(적백육제)
            를 따라 第一蹠骨頭(제일척골두)에 大都穴(대도혈)을 경과한 후 ② 위로 향하여
            太白(태백), 公孫(공손)을 지나 내측 복사뼈 앞 商丘穴(상구혈)을 지나서 ③ 小腿
            (소퇴) 내측을 따라 올라간 후 三陰交(삼음교), 漏谷(루곡)을 거쳐 脛骨(경골) 뒤
            를 따라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앞에 交出(교출)되어 地機(지기), 陰陵泉(음능
            천)을 지나 ④ 膝股(슬고) 내측 앞에 올라와서 血海(혈해), 箕門(기문)을 지난다.
            ⑤ 腹部(복부)에 진입되고 冲門(충문), 府舍(부사), 腹結(복결), 大橫(대횡)을 거
            치는 사이에 任脈(임맥)의 中極(중극)과 關元(관원)에 會(회)하며, ⑥ 脾(비)에
            屬(속)하고, 胃(위)에 絡(락)하며 ⑦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食道(식도) 옆을
            끼고 食竇(식두), 天溪(천계), 胸鄕(흉향), 周榮(주영) 大包(대포)에 絡(락)하고
            手太陰肺經(수태음폐경)의 中府穴(중부혈)에 會(회) 하며 ⑧ 舌根(설근)에 연계
            되어 혀 아래에 퍼진다.
    支脈 : ⑨ 胃(위)에서 분출되어 橫膈(횡격)을 지나서 心(심)에 도달하여 手少陰心經(수
            소음심경)에 接(접)한다.
    病候 : ① 足太陰經(족태음경)에 병리변화가 발생되면 舌根(설근)이 영활하지 못하고,
                食后(식후)에 곧 토하고  胃(위)가 아프며 脹滿(창만)하며 트림을 잘하고 전신
                이 무겁고 힘이 없다.
            ② 본경 수혈은 脾(비) 방면에 관계되는 병증을 주치 하는데 舌根痛(설근통), 身
                体(신체) 運動不利(운동불리), 飮食不思(음식불사) 등의 증상이다. 心胸煩悶
                (심흉번민), 명치아래 급통, 대변이 무른(便溏) 증상, 泄瀉(설사), 小便不通(소
                변불통), 黃疸(황달), 不眠(불면), 大腿(대퇴)와 小腿(소퇴) 내측이 붓고, 冷
                (냉)하며, 엄지발가락을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다.

5)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
    穴名 : 極泉 → 少沖 9個穴
            極泉(극천), 靑靈(청령), 小海(소해),  靈道(령도), 通里(통리), 陰郄(음극), 神門
            (신문), 少府(소부), 少冲(소충).
    循行 : 上肢內側(상지내측) 后緣(후연)에 분포되였다.
            ① 心臟(심장)에서 시작되어 기타 臟(장)과 상호 연계된 系列(계열)에 속하며
            ② 아 래로 橫膈膜(횡격막)을 지나서 ③ 小腸(소장)에 락한다.
    支脈 : ④ 心系(심계)에서 상행하여 肺(폐)에 도달한 후 아래로 향하여 겨드랑이로 나와
            서 極泉(극천) ⑤ 上臂(상비, 上腕(상완)) 내측 后緣(후연)을 따라 手太陰(수태
            음), 手厥 陰(수궐음)의 뒤 靑靈穴(청령혈)로 가며 ⑥ 아래로 팔굽 少海穴(소해
            혈)에 와서 下臂(하비, 下腕(하완)) 내측 후연을 따라 靈道(령도), 通里(통리), 陰
            郄(음극), 神門(신문)으로 이어져서 ⑦ 손바닥 뒤에 腕豆骨(완두골)에 도달하여
            손바닥 후변 少府穴(소부혈)에 진입된후 새끼손가락의 橈側(요측)을 따라 말단
            少冲穴(소충혈)에 나와서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과 접한다.
  病后 : ①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의 병리변화는 咽部(인부)가 마르고 心臟(심장)에 통
                증이 생기고, 입이 마르며 물을 많이 마시는 증상과 또 下腕(하완)이 차고 저리
                며 시큰시큰한 통증(酸痛)이 생기는 등 한다.
            ② 본경수혈은 心(심)에 유관되는 병증을 주치한다. 즉 눈이 누렇고 가슴과 그 옆
                구리에 동통(胸脇痛(흉협통)이 생기고, 팔내측 후변의 통증 혹은 차거운 증상,
                손바닥에 열이 나며 뜨거운 증상 등이다.

6)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
    穴名 : 少澤 → 聽宮 19個穴
            少澤(소택), 前谷(전곡), 后溪(후계), 腕骨(완골), 陽谷(양곡), 養老(양노), 支正
            (지정), 小海(소해), 肩貞(견정), 臑兪(노유), 天宗(천종), 秉風(병풍), 曲垣(곡
            원), 肩外兪(견외유), 肩中兪(견중유), 天窗(천창), 天容(천용), 觀髎(관료), 聽宮
            (청궁).
    循行 : 주요분포는 上肢外側(상지외측) 后緣(후연)에 있다.
            ① 새끼손가락 외측 끝 少澤穴(소택혈)에서 시작되어 손바닥 尺側(척측)을 따라
            前谷(전곡), 后溪(후계)을 거쳐 팔목을 향하여 腕骨(완골), 陽谷(양곡)에 이른다.
            尺骨小頭(척골소두)의 養老穴(양노혈)에 나와서 곧게 올라와 척골하면 支正(지
            정)을 따라 ② 팝굽내측 肱骨內上髁(굉골내상과)와 尺骨鷹嘴(척골응취)사이 少
            海(소해)에 나와서 위로 향하여 上腕(상완) 外后側(외후측)을 따라 ③ 견관절의
            肩貞(견정),  臑兪(노유)에 나오고 肩胛(견갑)을 돌아서 天宗(천종), 秉風(병풍),
            曲垣(곡원)에 이르러 아깨 위에 교회 된 후 肩外兪(견외유), 肩中兪(견중유)를 거
            치는 동안 膀胱經(방광경)의 附分穴(부분혈)과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④ 缺盆(결분)에 진입되어 心(심)에 絡(락)하고, 식도를 따라 橫膈膜
            (횡격막)을 통과하여 胃(위)에 도달한 후 任脈(임맥)의 上脘(상완), 中脘(중완)에
            會(회)하고 小腸經(소장경)에 속한다.
    支脈 : ⑤ 쇄골에서 위로 목옆을 따라 天窗(천창), 天容(천용)을 거쳐 뺨의 觀髎(관료)를
            향하여 뻗어나간 후 눈 외각에서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瞳子髎(동자료)에 會
            (회)하고 뒤로 향하여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의 和髎(화료)에 會(회)한 후
            聽宮(청궁)을 거쳐 귀속에 진입된다.
    病候 : ① 手太陽經(수태양경)의 病理變化(병리변화)는 咽喉痛(인후통), 턱이 부어서 돌
                리지 못하고, 어깨가 땡기는 동통, 上腕(상완)이 끊어지는 뜻한 疼痛(동통)이
                있다.
            ② 본경수혈은 液(액) 방면에 유관되는 병증 발생을 주치한다. 예를 들면 耳聾(이               
                농), 目黃(목황), 面頰浮種(면협부종), 목과 아래 뺨의 동통, 肩胛(견갑), 下腕
                外側(하완외측) 后面(후면)의 痛症(통증)이다.

7)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
    穴名 : 晴明 → 至陰 69個穴
            睛明(정명), 攢竹(찬죽), 眉冲(미충), 曲差(곡차), 五處(오처), 承光(승광), 通天
            (통천), 絡却(락각), 玉枕(옥침), 天柱(천주), 大杼(대저), 風門(풍문), 肺兪(폐
            수),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 督兪(독수), 膈兪(격수), 膵兪(췌수,舊 胃管下
            兪), 肝兪(간수), 膽兪(담수), 脾兪(비수), 胃兪(위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
            수), 氣海兪(기해수), 大腸兪(대장수), 關元兪(관원수), 小腸兪(소장수), 膀胱兪
            (방광수), 中膂兪(중려수), 白環兪(백환수), 上髎(상료), 次髎(차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會陽(회양), 承扶(승부), 殷門(은문), 浮郄(부극), 委陽(위양).,-  附分
            (부분), 魄戶(백호), 膏肓(고황), 神堂(신당), 譩譆(의희), 膈關(격관), 膽管(담관,
            新), 魂門(혼문), 陽綱(양강), 意舍(의사), 胃倉(위창), 肓門(황문), 志室(지실),
            胞肓(포황), 秩邊(질변), 合陽(합양), 承筋(승근), 承山(승산), 飛 揚(비양), 跗陽
            (부양), 崑崙(곤륜), 仆參(복삼), 申脈(신맥), 金門(금문), 京骨(경골), 束骨(속
            골), 足通谷(족통곡), 至陰(지음).
    循行 : 주로 허리와 등어리 제일, 제이측선 및 下肢外側(하지외측) 后緣(후연)에 분포되
            었다.
            ① 內眼角(내안각) 睛明穴(정명혈)에서 시작되어 이마로 올라와 攢竹(찬죽), 眉
            冲(미충), 曲差(곡차)를 지나면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頭臨泣(두림읍)에
            會(회)하고, 五處(오처), 承光(승광), 通天(통천)을 거친 뒤에 정수리에 督脈(독
            맥) 百會穴(백회혈)에 교회된다.
    支脈 : ② 정수리에서 분출되어 耳上角(이상각)에 도달하게 되는데 여기에 분포된 足少
            陽膵經(족소양췌경)의 曲鬢(곡빈), 率谷(솔곡), 浮白(부백), 頭竅陰(두규음), 完
            骨穴(완골혈)을 만나게 된다.
    直行을 하는 주간은 ③ 정수리에서 안으로 腦(뇌)에 들어가 絡(락)하며 한편 絡却            (락
            각), 玉枕(옥침)을 지나서 독맥의 腦戶(뇌호)와 風府穴(풍부혈)에 會(회)한다. 다
            시목(后頭髮際) 위에 있는 天柱(천주)에서 나와 두 갈래로 갈라져 하행하는데
            ④-㉠  그 한 갈래는 肩胛內側(견갑내측)을 따라 척추를 옆으로 끼고 督脈(독맥)
                      의 大椎(대추)와 陶道穴(도도혈)에 會(회)하고, 大杼(대저), 風門(풍문),
            肺兪(폐수), 厥陰兪(궐음수), 心兪(심수), 督兪(독수), 膈兪(격수), 膵兪(췌수)를
            지나서 허리(腰)를 향하여 肝兪(간수), 脾兪(비수), 胃兪(위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에 이르러 척추 옆 근육에 진입한 후 ⑤ 腎(신에 絡(락) 하고 膀胱(방
            광)에 屬(속)하며 이어서 氣海兪(기해수), 大腸兪(대장수), 關元兪(관원수), 小腸
            兪(소장수) 膀胱兪(방광수), 中膂兪(중려수), 白環兪(백환수)에 이르게 된다. ⑥
            허리에서 갈라진 한 갈래는 척추 옆을 끼고 엉덩이를 지나 上髎(상료), 次髎(차
            료), 中髎(중료), 下髎(하료), 會陽(회양), 承扶(승부)에 이르는 동안 엉덩이를 지
            나 殷門(은문)을 거쳐 오금에 있는 委中穴(위중혈)에 이르게 된다.그리고 위에서
            ④-㉡ 天柱穴(천주혈)에서 나와 갈라진 다른 한 支脈은 肩胛內側(견갑내측)으로
                    분리 하행하여 肩胛(견갑)을 통과하여 附分(부분), 魄戶(백호), 膏肓(고황),
            神堂(신당), 譩譆(의희), 膈關(격관), 膽管(담관), 魂門(혼문), 陽綱(양강), 意舍
            (의사), 胃倉(위창), 肓門(황문), 志室(지실), 胞肓(포황), 秩邊(질변)에 이르는 한
            편 ⑧ 髖關節(관관절)을 지나면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還跳穴(환도혈)에
            會(회)하고, 大腿外側面(대퇴외측면)을 따라 하행하면서 浮郄(부극) 委陽(위양)
            을 거쳐서 오금에 있는 委中穴(위중혈)에서 회합되고 ⑨ 그 아래로 腓腸肌(비장
            기)를 통과하면서 合陽(합양), 承筋(승근), 承山(승산)을 거쳐 外下方으로 飛揚
            (비양), 跗陽(부양)으로 해서 외측복사뼈의 후방 崑崙(곤륜)에 나와서 ⑩ 第五跖
            骨(제오척골) 粗隆(조륭)을 따라 仆參(복삼), 申脈(신맥), 金門(금문), 京骨(경골)
            을 지나 새끼발가락 외측에 束骨(속골), 足通谷(족통곡), 至陰(지음)에 도달하여
            아래로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에 接(접)한다.
    病后 : ① 足太陽經(족태양경)의 병리변화는 머리가 무겁고 아프며, 눈알이 빠지는 듯
                한 증상, 목이 당기고, 척추와 등어리 통증, 허리가 끊어지는 듯한 痛症(통증),
                髖關節(관관절) 屈伸不利(굴신불리), 오금이 얼어붙는 감각, 腓腸肌(비장기)
                가 터지는 듯한 통증, 발목 외측이 冷(냉)하고 麻木(마목), 疼痛(동통) 등이다.
            ② 본경수혈은 筋(근) 방면에 발생한 병증을 주치한다. 痔疾(치질), 虐疾(학질),
                發狂(발광), 精神病(정신병), 癎疾病(간질병), 頂頭痛(정두통), 項强痛(항강
                통), 目暗(목암), 流淚(유루), 鼻塞(비색) 혹은 콧물이 많거나(涕多), 衄血(뉵
                혈, 코피), 목 뒤에 선골 미골부위, 무릎, 腓腸肌(비장기), 발의 모든 통증, 새끼
                발가락 운동장애 등을 다스린다.

8) 足少陰腎經(족소음신경)
    穴名 : 湧泉 → 兪府 27個穴
            湧泉(용천), 然谷(연곡), 太溪(태계), 大鍾(대종), 水泉(수천), 照海(조해), 復溜
            (복류), 交信(교신), 筑賓(축빈), 陰谷(음곡), 橫骨(횡골), 大赫(대혁), 氣穴(기
            혈), 四滿(사만), 中注(중주), 肓兪(황유), 商曲(상곡), 石關(석관), 陰道(음도),
            腹通谷(복통곡), 幽門(유문), 步廊(보랑), 神封(신봉), 靈墟(령허), 彧中(욱중), 兪
            府(유부).
    循行 : 주로 하지내측 후연 및 가슴 복부 第一側線(제일측선)에 분포되었다.
            ① 足小趾(족소지) 말단에서 시작하여 ② 비스틈히 발바닥 중심 湧泉(용천)에 내
            려 와서 舟狀骨(주상골) 쪽으로 나와 然谷(연곡), 照海(조해), 水泉穴(수천혈)을
            따라 내측 복사뼈 뒤 太溪(태계)를 따라 가고 分支(분지)는 발꿈치에 大鍾(대종)
            에 진입되어 ③ 위로 小腿(소퇴) 내측으로 향하여 復溜(복류), 交信(교신)을 거쳐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三陰交穴(삼음교혈)에 會(회)하고 오금 내측을 향해
            筑賓(축빈)을 지나 오금의 陰谷(음곡)에 이른 뒤에 大腿(대퇴) 내측 뒷면에 올라
            와서 ④ 脊柱(척주)를 통과하여 督脈(독맥)의 長强(장강)에 會(회)하고 腎(신)에
            속하며 膀胱(방광)에 絡(락)한다. 橫骨(횡골), 大赫(대혁), 氣穴(기혈), 四滿(사
            만), 中注(중주), 肓兪(황수)를 지나는 동안에 任脈(임맥)의 關元(관원), 中極穴
            (중극혈)에 會(회)한다.
    직행 맥은 ⑤ 腎(신)에서 앞을 향하여 商曲(상곡), 石關(석관), 陰都(음도), 腹通谷(복통
            곡), 幽門穴(유문혈)을 지나 肝(간)과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肺(폐)에 진입
            되고 步廊(보랑), 神封(신봉), 靈墟(령허), 神藏(신장), 彧中(욱중), 輸府(수부)에
            이른다. ⑥ 喉部(후부)를 따라 혀뿌리 옆 廉泉(렴천)을 통과한다.
    支脈 : ⑦ 肺(폐)에서 나와 心(심)에 絡(락)하고 가슴에 流注(유주)되어 手厥陰心包經
            (수궐음심포경)과 接(접)한다.
    病候 : ① 足少陰經(족소음경)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배는 고프나 음식생각이 없고, 얼굴
                색이 마치 석탄  같이 검으며, 기침하면서 가래와 피가 섞인 담을 토하고, 숨이
                차서  앉지 못하며, 두 눈은 잘 보이지 않고, 마음이 공중에 뜬 감이며 불안하
                고, 腎氣 (신기)가 虛(허)하면 恐怖感(공포감)을 느끼며 가슴이 두근거려 마치
                누가 붙잡는 감이 들어, 두렵고 불안하다. 또 骨病(골병)도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厥冷(궐냉), 麻木(마목), 酸痛(산통) 등이다.
            ② 本經穴(본경혈)은 腎臟(신장)방면의 病證(병증)을 主治(주치) 한다. 예를 들면
                입안에 熱(열)이 나고 혀가 마르며, 咽部(인부)가 붙고, 숨이 차고, 咽喉(인후)
                가 마르고 아픈 증상 마음이 번거롭고, 가슴이 아픈 증상, 黃疸(황달), 泄瀉(설
                사), 脊柱(척주) 大腿內側(대퇴내측) 后面(후면)의 痛證(통증)과 맥이 없고 厥
                冷(궐냉)한 증상, 눕기 좋아하는 증상, 발바닥에 열나며 아푼 증상이다.

9) 手厥陰膈經(수궐음격경)
    穴名 : 天池 → 中衝  9 個穴
            天地(천지), 天泉(천천), 曲澤(곡택), 郄門(극문), 間使(간사), 內關(내관), 大陵
            (대능), 勞宮(노궁), 中冲(중충).
    循行 : 주로 上肢內側(상지내측)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가슴속에서 시작되어 낮게 나온 후 膈(격)에 속하며 膈肌(격기)를 통과하여 가
                슴, 上腹部(상복부), 下腹部(하복부)를 지나서 三焦(삼초)에 絡(락)한다.
    支脈 : ② 胸部內側(흉부내측)을 따라 옆구리에 나와서 ③ 겨드랑이 아래 三寸(삼촌) 天
            池穴 (천지혈)에 이르러 다시 위로 겨드랑이 위로 향하여 ④ 팔내측을 따라 天泉
            穴(천천혈)을 지나 手太陰經(수태음경)과 手少陰經(수소음경) 사이로 ⑤ 팔 중간
            에 진입되어 팔오금 曲澤(곡택)을 지나 아래팔로 향하여 橈側腕骨肌腱(요측완골
            기건)과 掌長肌腱(장장기건) 사이로 지나서 郄門(극문), 間使(간사), 內關(내관)
            大陵(대능)을 지나 ⑥ 손바닥에 들어가서 勞宮穴(노궁혈)에 이른후 中指橈側(중
            지요측)을 따라 말단 中冲穴(중충혈)에 나온다.
    支脈 : ⑦ 손바닥에서 갈라져 무명지를 따라 말단에 나와서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
            경)에 접한다.
    病候 : ① 手厥陰經(수궐음경)에 病理變化(병리변화)가 발생하면, 心中熱(심중열), 아래
                팔과 팔굽이 땡기며 쫄아들고, 겨드랑이가 붙고 심지어 胸中滿悶(흉중만민),
                心悸不寧(심계불령), 얼굴이 붉고, 눈이 누렇고, 웃음을 끊지 못하는 증상이
                다.
            ② 본경수혈은 血脈(혈맥) 방면에 관계되는 病證(병증)을 主治(주치) 한다. 예를
                들면 心胸煩悶(심흉번민), 心痛(심통), 手心熱(수심열) 등이다.

10)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
      穴名 : 關衝 → 絲竹空 23個穴
              關冲(관충), 液門(액문), 中渚(중저), 陽池(양지), 外關(외관), 支泃(지구), 會宗
              (회종),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 天井(천정), 淸冷淵(청냉연), 消濼(소락),
              臑會(노회), 肩髎(견료), 天髎(천료), 天牖(천유), 翳風(예풍), 瘈脈(계맥), 顱息
              (로식), 角孫(각손), 耳門(이문), 耳和髎(이화료), 絲竹空(사죽공).
    循行 : 주로 上肢外側(상지외측)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无名指(무명지) 말단 關冲穴(관충혈)에서 시작되어 작은 손가락과 무명지사
              이에 있는 液門穴(액문혈)에 올라와 ② 손등을 따라 中渚(중저)를 거쳐 腕骨(완
              골)의 陽池穴(양지혈)에 이르러 尺骨(척골)과 橈骨(요골) 두 뼈 사이에 나와서
              위로 향하여 外關(외관), 支泃(지구), 會宗(회종), 三陽絡(삼양락), 四瀆(사독)을
              지나 ③ 팔굽의 天井穴(천정혈)을 통과한 후 上臂外側(상비외측)을 따라 淸冷淵
              (청냉연), 消濼(소락), 臑會(노회)를 거쳐 위로 어깨를 통과하여 肩髎穴(견료혈)
              에 이르러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후면에서 天髎穴(천료혈)에 이르는 사이에서
              ④ 手太陽小腸經(수태양소장경)의 秉風穴(병풍혈)과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肩井穴(견정혈),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⑤ 足陽明胃經(족
              양명위경)의 缺盆穴(결분혈)에 진입되어 膻中(전중)에 분포되고, 흩어져서 膈
              (격)에 絡(락)하며 ⑥ 橫膈(횡격)을 통과 하여 광범하게 上中下(상중하) 三焦(삼
              초)에 屬(속)한다.
    支脈 : ⑦ 膻中(전중)에서 상행하여 쇄골 위 오목한 곳 缺盆穴(결분혈)에 나와서 ⑧ 목
              옆으로 향하여 귀 뒤에 연계되는 天牖(천유), 翳風(예풍), 瘈脈(계맥), 顱息(로
              식)을지나 ⑨ 귀 위 角孫(각손)에 올라와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頷厭(함염),
              懸厘(현리), 上關(상관)에 會(회)하고 아래로 굽혀져서 뺨과 눈 아래에 觀髎(관
              료)에 나온다.
    支脈 : ⑩ 뒤 귀에서 귀속에 들어가며 다시 귀 앞에 나와 耳門(이문)에서 足少陽膵經(족
              소양췌경)의 聽會穴(청회혈)과 會(회)하고 和髎(화료), 上關(상관)앞을 경과하
              여 눈 외각의 絲竹空(사죽공)에서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의 瞳子髎(동자료)에
              會(회)하며 接(접)한다.
    病候 : ① 手少陽經(수소양경)에 병리변화가 생기면 耳聾(이농), 耳鳴(이명), 목구멍이
                  붓고, 咽喉痛症(인후통증)이다.
              ② 본경의 수혈은 氣(기)와 관계되는 病證(병증)의 발생을 주치한다. 예를 들면
                  땀이 흐르는 증상, 눈 외각의 통증, 뺨이 붓는 증상, 귀 뒤, 어깨, 팔, 팔굽 외
                  측에 발생하는 모든 통증, 小指(소지)와 无名指(무명지) 활동장애 등이다.

11) 足少陽膵經(족소양췌경)
      穴名 : 瞳子髎 → 足竅陰 44個穴
              瞳子髎(동자료), 聽會(청회), 上關(상관), 頷厭(함염), 懸顱(현로), 懸厘(현리),
              曲鬢 (곡빈), 率谷(솔곡), 天冲(천충), 浮白(부백), 頭竅陰(두규음), 完骨(완골),
              本神(본신), 陽白(양백), 頭臨泣(두림읍), 目窗(목창), 正營(정영), 承靈(승령),
              腦空(뇌공), 風池(풍지), 肩井(견정), 淵腋(연액), 日月(일월), 京門(경문), 帶脈
              (대맥), 五樞(오추), 維道(유도), 巨髎(거료), 還跳(환도), 風市(풍시), 中瀆(중
              독), 膝陽關(슬양관), 陽陵泉(양능천), 陽交(양교), 外丘(외구), 光明(광명), 陽
              輔(양보), 懸鍾(현종), 丘墟(구허), 足臨泣(족림읍), 地五會(지오회), 俠溪(협
              계), 足竅陰(족규음).
    循行 : 주로 下肢外側(하지외측)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눈 외각 瞳子髎(동자료)에서 시작되어 이마각에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頭維穴(두유혈)에 會(회)하고 頷厭(함염), 懸厘(현리), 曲鬢(곡빈)을 지나 手少
              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의 禾髎穴(화료), 角孫穴(각손혈)에 會(회)하고 다시 率
              谷(솔곡)에서 귀 뒤를 따라 天冲(천충), 浮白(부백), 頭竅陰(두규음), 完骨(완골)
              에 내려온 뒤 되돌아 앞이마 발제에서 本神穴(본신혈)과 아마에 陽白穴(양백혈)
              에 도달한 뒤 다시 되돌아 頭臨泣(두림읍), 目窗(목창), 正營(정영) 承靈(승령)
              腦空(뇌공), 風池穴(풍지혈)에 이르러 목 옆을 따라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
              경) 앞 天牖穴(천유혈)을 지나서 ② 어깨 위로 내려와 후퇴한 후 督脈(독맥)의
              大椎穴(대추혈)에 會(회)하고,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에 교차되어 나온 뒤
              에 肩井(견정)을 지나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의 秉風(병풍)에 會(회)하고
              ③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缺盆穴(결분혈)에 진입된다.
    支脈 : ④ 귀뒤 完骨穴(완골혈)에서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의 翳風穴(예풍혈)에
                  會(회)하고 귀속에 진입되었다가 눈 외각에 이른다.
    支脈 : ⑤ 눈 외각에서 갈라져서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大迎穴(대영혈)에 내려와서
              手少陽三焦經(수소양삼초경)에 회합되어 눈 아래에 이르러서 ⑥ 아래로 足陽明
              胃經(족양명위경)의 頰車穴(협거혈)을 지나고 頸部(경부)를 지나며 하행하여 ⑦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缺盆穴(결분혈)에 회합된다. 여기서부터 아래로 가슴
              에 이른 후 橫膈(횡격)에 續(속)하고 肝(간)에 絡(락)하며, 옆구리를 따라 내려와
              서 사타구니의 氣街(기가)에 이르러서 陰毛(음모)를 돌아 ⑧ 옆으로 髖關節(관
              관절)에 진입된다.
    직행주간 : ⑨ 缺盆穴(결분혈)에서 겨드랑이 淵腋穴(연액혈)로 내려와서 手厥陰膈經
              (수궐음격경)의 天池穴(천지혈)에 會(회)하고 ⑩ 胸側(흉측)을 따라 옆구리의 日
            月(일월), 京門(경문)을 지나서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의 章門穴(장문혈)에 會
              (회)하고 아래로 帶脈(대맥)을 지나 五樞(오추), 維道(유도)를 거쳐 髖關節部(관
            관절부)에 회합되고, 足太陽膀胱經(족태양방광경)의 上髎(상료), 下髎穴(하료혈)
            에 會(회)한 후 還跳穴(환도혈)에 이른다. ⑪ 여기서 아래로 향하여 대퇴 외측을
            따라 風市(풍시), 中瀆(중독)을 지나 무릎 외측 膝陽關(슬양관)에 나와서 아래로
            腓骨頭(비골두) 앞 陽陵泉(양능천)을 지나 계속 내려와 陽交(양교), 外丘(외구),
            光明(광명), 陽輔(양보), 懸鍾(현종)을 거쳐 腓骨下端(비골하단)의 외측 복사뼈
            (外踝) 앞 丘墟穴(구허혈)에 나와서 ⑫ 발등을 따라 足臨泣(족림읍), 地五會(지오
            회), 俠溪穴(협계혈)에 이르러 第四趾(제사지) 外側(외측) 足竅陰(족규음)에 진
            입된다.
    支脈 : ⑬ 발등에서 분출되어 큰 발가락 사이에 진입되어 第一二跖骨(제일이척골) 사이
              를 따라 발가락 끝에 나와서 되돌아 발톱을 통과한 후 발가락 위로 나와서 足厥
              陰肝經(족궐음간경)과 接(접)한다.
    病候 : ① 足少陽經(족소양경)에 병리변화가 발생하면 입안이 쓰고, 한숨을 잘 쉬며, 가
                  슴과 옆구리통증으로 돌아눕지 못하고, 심지어 얼굴에 먼지 낀 것 같고, 신체
                  의 피부는 윤기가 없으며, 무릎 외측에 열이 나기도 하고, 또 足少陽經(족소
                  양경) 부분의 하지가 차(冷)고 저리며 시큰거리는 통증이 발생한다.
              ② 본경 수혈은 骨(골) 방면에 발생된 병증을 주치 하는데 예를 들면 頭痛(두통),               
                  偏頭痛(편두통), 눈외각 통증, 缺盆穴(결분혈)이 붓고 아픈 증상, 겨드랑이가
                  붓는 증상, 식은 땀 흘리는 증상, 추워서 떨고, 虐疾(학질), 가슴 옆구리 대퇴
                  무릎 외측 소퇴의 동통, 외측 복사뼈 및 각 관절의 시큼한 통증, 새끼발가락,
                  无名趾(무명지) 활동장애 이다.

12)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
      穴名 : 大敦 → 期門 14個穴
              大敦(대돈), 行間(행간), 太冲(태충), 中封(중봉), 蠡泃(려구), 中都(중도), 膝關
              (슬관), 曲泉(곡천), 陰包(음포), 足五里(족오리), 陰廉(음렴), 急脈(급맥), 章門
              (장문), 期門(기문).
    循行 : 주로 下肢內側(하지내측)의 중간에 분포되었다.
              ① 엄지발가락 위의  毫毛部(호모부)에 大敦穴(대돈혈)에서 시작되어 발등 내측
              을 따라 行間(행간), 太冲(태충)을 지나 위로 향하여 내측 복사뼈(內踝)로부터
              一寸(일촌) 쯤 전면쪽에 자리하고 있는 中封穴(중봉혈)에 이르러 小腿內側(소퇴
              내측)으로 상행하여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三陰交(삼음교)에 會(회)하고 蠡
              泃(려구), 中都(중도), 膝關(슬관)을 지나서, 내측 복사뼈 위 八寸(팔촌)에서 足
              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뒤로 교차된 후 계속 상행하여 ② 무릎오금 내측 曲泉
              (곡천)을 지나 상행한 후 大腿內側(대퇴내측)을 따라 陰包(음포), 足五里(족오
              리), 陰廉(음렴)을 거쳐서 ③ 陰毛(음모)에 진입되고 陰部(음부)를 돌아 急脈(급
              맥)으로 나와서 ④ 하복부에 이르러 足太陰脾經(족태음비경)의 冲門(충문), 府
              舍穴(부사혈)과 任脈(임맥)의 曲骨(곡골), 中極(중극), 關元穴(관원혈)에 會(회)
              하고 胃(위) 옆을 끼고 肝(간)에 屬(속)하며 膵(췌)에 絡(락)하고 章門(장문), 期
              門(기문)에 도달하여 ⑤ 위로 향해서 膈肌(격기)를 통과하고 옆구리에 분포되며
              ⑥ 氣管(기관)을 따라 위로 목에 진입되고 鼻咽部(비인부)와 目系(목계)를 연접
              하며 眼球后(안구후)의 脈絡(맥락)에 ⑦ 상행되어 이마에 나온 후 督脈(독맥)과
              정수리에서 交會(교회)된다.
    支脈 : ⑧ 目系에서 아래로 뺨을 향한 후 입술을 감돈다.
    支脈 : ⑨ 肝(간)에서 갈라져 膈肌(격기)를 통과한 후 肺(폐)에 流注(류주)되며 手太陰
                  經(수태음경)과 상호 연접한다.
    病候 : ① 足厥陰經(족궐음경)에 病理變化(병리변화)가 발생되면 허리의 통증으로 屈伸
                  (굴신)하지 못하고, 남자는 小腸疝氣(소장산기)가 생기며, 여자는 아랫배가
                  붓고 엄중한 환자는 목구멍이 마르며, 얼굴에 먼지 낀 듯하고 얼굴색은 어둡
                  다(晦黯).
              ② 본경의 輸穴(수혈)은 肝(간)에 관계되는 병증을 主治(주치) 하는데 가슴이 꽉
                  찬감(胸滿), 嘔逆(구역), 대변이 묽으며(便溏), 消化不良(소화불량), 遺尿(유
                  뇨), 疝氣(산기), 小便不利(소변불리) 등 증상이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