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01-21 14:23
글쓴이 :
admin
 조회 : 12,103
|
개규제 (開竅劑)
개규제(開竅劑)란 방향개규약물(方香開竅葯物)을 위주로 구성하여 개규성신작용(開竅醒神作用)을 하게 하여 신혼규폐증(神昏竅閉證)을 치료하는 방제를 말하는 것이다.
신혼규폐증(神昏竅閉證)은 또 허실(虛實)로 분류한다.
실증(實證)은 폐증(閉證)이라 부르며, 흔히 사기(邪氣)가 옹성(壅盛)하여 심규(心竅)를 가로 막음으로써 생기는 것이다.
폐증(閉證)은 임상에서 열폐(熱閉)와 한폐(寒閉)로 분류한다.
① 열폐(熱閉)는 온사(溫邪)로 인한 열독(熱毒)이 심포(心臟)에 내함 한 결과이며, 치료
(治療)는 청열(淸熱)하여 개규(開竅)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양개(凉開)라고도 한
다.
② 한폐(寒閉)는 한사(寒邪)나 혹은 기울(氣鬱)로 인하여 탁담(濁痰)이 심규(心竅)를 가리
므로 발생하는 병증이므로 치료에서는 온통(溫通)케 하여 개규(開竅)한다. 그래서 온
개(溫開)라고 하는 것이다.
개규제(開竅劑)의 사용은 우선 병증(病證)의 허실(虛實)을 분별하여야 한다.
가령 사기(邪氣)가 성(盛)하여 기(氣)가 실(實)하고, 입을 굳게 다물며(口噤), 양손 주먹을 굳게 쥐고(兩手握固), 맥상(脈象)이 유력하게 나타나면 개규제(開竅劑)를 사용한다.
유의해야 할점
① 땀을 흘리며 사지가 차고(汗出肢冷), 기가 약하고 오줌을 싸며(氣微遺尿), 눈을 감고 입을 벌리
는(口開目合) 탈증(脫證)에 대해서는 정신이 혼미하게 됨으로 개규제를 사용해서는 결과가 좋
이 않다.
② 양명부실증(陽明腑實證)으로 정신이 혼미하고 헛소리하는 환자에 대해서는 한하법(寒下法)으
로 치료하는 것이 좋으므로 개규제를 사용하는 것이 역시 좋지 않다.
양명부실증(陽明腑實證)이 되면 사기(邪氣)가 심포(心臟)에 함입(陷入)된 증상을 겸유하고 있
음으로 병증(病證)의 완급(緩急)에 따라서 우선적으로 미리 열리게(開竅) 하거나 혹은 한하제
(寒下劑)를 투여하고, 혹은 개규(開竅)와 공하제(攻下劑)를 병용하는 등 병증에 적합하게 사용
하도록 해야 한다.
③ 이밖에 개규제(開竅劑) 중에 신산(辛散)한 방향개규약물(方香開竅葯物)은 빠져 나가게 하는 것
이 좋다. 오래 복용하면 원기(元氣)가 상하기 쉬우므로 임상에서는 구급(救急)에 주로 사용하
고 병이 나으면 즉시 중지한다.
주의(注意) : ① 장복(久服)할 수 없다.
② 이런 종류의 방제는 흔히 환제(丸劑), 산제(散劑) 혹은 주사제(注射劑)가 많고 열
(熱)을 가하여 달이는 것은 좋지 않으며, 약성이 휘발성이므로 열(熱)을 가하면 치
료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1) 양개제(凉開劑)
⑴ 槪念 : 양개법(凉開法)은 온사(溫邪)의 열독(熱毒)이 심포(心臟)에 들어간 열폐증(熱閉證)
에 적용된다. 증상으로는 고열(高熱), 정신(精神)이 혼미(昏迷)하고, 헛소리를 치며,
심한 경우에는 경궐(痙厥)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밖에 중풍(中風), 담궐(痰厥)과 예탁(穢濁)의 기(氣)를 받아 갑자기 졸도하거나, 증상(證
狀)에 열(熱)이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된다.
⑵ 常用葯
방향개규약(芳香開竅葯) : 사향(麝香), 빙편(氷片), 울금(鬱金) 등으로 이들을 배합하여 청열
사화(淸熱瀉火), 양혈해독(凉血解毒) 하는 약(葯)을 위주로 방제를 구성한다.
⑶ 葯의 歸經
肝經 : 울금(鬱金).
心經 : 사향(麝香), 빙편(氷片), 울금(鬱金).
脾經 : 사향(麝香), 빙편(氷片).
肺經 : 빙편(氷片), 울금(鬱金).
⑷ 代表方 : 안궁우황환(安宮牛黃丸), 자설단(紫雪丹), 지보단(至寶丹) 등이다.
주의 : 이 장은 방제의 편제를 따라 수록 했을 뿐이다. 이 약들을 제조한다는 것은 상당한
공정과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므로 의사들도 성약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
다. 일반인들이 방제를 보고 약을 만든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특히 위험하다.
때문에 의사의 진단을 따라야 할 것이다.
① 安宮牛黃丸 ≒ 우황(牛黃), 울금(鬱金), 서각(犀角), 황금(黃芩), 황련(黃連), 산치
자(山梔子), 주사(朱砂), 웅황(雄黃) 各30, 매편(梅片), 사향(麝香)
各7.5, 진주(珍珠)15, 금박의(金箔衣).
效用 : 청열개규(淸熱開竅), 활담해독(豁痰解毒)
主治 : 온열병(溫熱病) - 열사(熱邪)가 심포(心臟)에 내함(內陷)하고, 담
열(痰熱)이 심규(心竅)를 덮고 가로 막음(壅閉) 으로써 고열이 나고
진액이 말라 괴로우며(高熱煩燥), 정신이 흐려지고 헛소리 치며(神
昏譫語) 그리고 중풍으로 혼미(中風昏迷) 해지거나 소아경궐(小兒驚
厥)에서 나타나는 사열(邪熱)이 내폐(內閉)된 환자를 주치한다.
② 紫雪丹 ≒ 석고(石膏), 한수석(寒水石), 활석(滑石), 자석(磁石) 各1.5kg, 서각설
(犀角屑), 영양각설(羚羊角屑) 各150, 청목향(靑木香), 침향(沉香) 各
150, 현삼(玄參), 승마(升麻) 各500, 자감초(炙甘草)240, 정향(香)30,
박초(朴硝, 芒硝)5kg, 초석(硝石)96, 사향(麝香)1.5, 주사(朱砂)90, 황금
(黃金)3.1kg.
效能 : 청열개규(淸熱開竅), 진경안신(鎭痙安神)
主治 : 온열병(溫熱病), - 열사(熱邪)가 심포(心臟)에 함입(陷入)되어 고열번조
(高熱煩燥), 정신이 흐려지고 헛소리를 치며(神昏譫語), 힘줄이 당기는
경련이 일고(痙厥), 목이 마르며 입술이 타며(口渴脣焦), 소변색이 붉고
대변이 막히고(尿赤便閉) 그리고 소아(小兒)의 열성경궐(熱盛驚厥) 등
을 다스린다.
③ 至寶丹 ≒ 생오서설(生烏犀屑 ; 硏), 주사(朱砂), 웅황(雄黃), 생대모설(生玳瑁屑
: 바닷 거북), 호박(琥珀) 各30, 사향(麝香) 용뇌(龍腦) 各7.5, 금박(金
箔).
效用 : 청열개규(淸熱開竅), 화탁해독(化濁解毒)
主治 : 서열병(中暑), 중풍(中風)과 온병담열(溫病痰熱)의 내폐(內閉)로 정신이
흐려지고 헛소리 하며(神昏譫語), 몸에 열이 나고 조급하고 괴로워하며
(身熱煩躁), 가래가 끓고 숨소리가 거칠며(痰盛氣粗), 혀는 붉고 태는 더
럽게 누런 기름때가 낀 것 같으며(舌紅苔黃垢膩) 맥활삭(脈滑數)과 소아
(小兒)의 경궐(驚厥)이 담열내폐(痰熱內閉)에 속한 환자 등을 주로 치료
한다.
2) 온개제(溫開劑)
⑴ 槪念 : 온개법(溫開法)은 중풍(中風), 중한(中寒), 담궐(痰厥)등의 한폐증(寒閉證)에 적용되
며, 증상으로는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고(突然昏倒), 어금니를 굳게 다물고(牙關
緊閉), 정신이 맑지 않고 말을 하지 않으며(神昏不語), 태백(苔白), 맥지(脈遲) 등으로 나타
난다.
⑵ 常用葯
방향개규약(芳香開竅葯) : 소합향(蘇合香), 사향(麝香), 빙편(氷片) 등의 신온행기약물(辛溫
行氣葯物)을 위주로 배합해서 구성된 방제이다.
⑶ 葯의 歸經
心經 : 소합향(蘇合香), 사향(麝香), 빙편(氷片).
脾經 : 소합향(蘇合香), 사향(麝香), 빙편(氷片).
肺經 : 빙편(氷片).
⑷ 代表方 : 소합향환(蔬合香丸), 자금정(紫金錠) 등이 있다.
① 蔬合香丸 ≒ 백출(白朮), 청목향(靑木香), 오서설(烏犀屑), 초향부자(炒香附子), 주사(朱
砂), 외가려륵(煨訶黎勒), 백단향(白檀香), 안식향(安息香), 침향(沉香), 사
향(麝香), 정향(丁香), 필발(篳撥) 各60, 용뇌(龍腦), 소합(蘇合), 향유(香油)
各30, 훈륙향(薰陸香, 乳香)30.
效用 : 방향개규(芳香開竅), 행기지통(行氣止痛)
主治 : 중풍(中風), 중기(中氣) 혹은 유행성 장려(瘴癘, 악성 瘧疾)의 기(氣)를 받아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며(突然昏倒), 어금니를 굳게 다물며(牙關緊閉),
인사불성(人事不省)이 된 것과 혹은 한(寒)을 받아 기가 막히게(氣閉) 되고
갑자기 심장과 복부가 아프고(心腹猝痛), 심하면 정신을 잃게(昏厥) 된는 것
혹은 가래가 막혀 숨쉬기 어렵고(痰壅氣阻), 갑지기 정신을 잃고 쓰러지는
(突然昏倒) 등을 주치한다.
② 紫金錠 ≒ 산자고(山慈菇)90, 홍대극(紅大戟)45, 천금자상(千金子霜)30, 오배자(五倍子)
90, 사향(麝香)9, 웅황(雄黃)30, 주사(朱砂)30.
效用 : 화담개규(化痰開竅), 벽예해독(闢穢解毒), 소종지통(消腫止痛)
主治 : 더럽고 불결한 가래가(穢惡痰濁) 사기(邪氣)를 받아 완복이 그득하고 답답하면
서 아프고(脘腹脹悶疼痛), 구토설사(嘔吐泄瀉)하거나, 소아담궐(小兒痰厥) 등
과 피부의 정창절종(疔瘡癤腫) 등을 다스린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