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8-08 15:18
[약물치료] 변비(便秘) Costive, (de) Verstopfung
 글쓴이 : admin
조회 : 10,361  
변비(便秘) Costive,  (de) Verstopfung

병인병기(病因病機)
1) 평소에 양(陽)이 성(盛)한 체질은, 장(腸)과 위(胃)에 열(熱)이 있다. 즉 체소양성(體素
    陽盛)하고, 장위적열(腸胃積熱)한 것을 말하는데 이런 사람은 평소에 음식을 잘 먹으
    며 위(胃)에는 전혀 부담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과식(過食)하는 편이다.
    ⑴ 마음 내키는 대로 가리지 않고 술과 자극성 음식을 과식하게 되면 비위(脾胃)에 열
        이 쌓이게 되고(積熱) 따라서 진액(津液)을 소모(耗傷)시키므로 장도(腸道)가 건조
        해져서 변비(便秘)로 이어진다.
    ⑵ 병을 앓고 난 후 여열(餘熱)이 진액을 손상(損傷)시킴으로 역시 장도(腸道)가 건조
        (乾燥)해져서 변비(便秘)로 된다.
2) 정서(情緖)가 조화롭지 못하면 장부(臟腑)의 기화 기능(氣化機能)이 울체(鬱滯)되고 정
    서적으로 시름하며 근심 걱정하는 생각이 지나치게 됨으로 마음이 편안하지 못함으로
    장(腸)의 기능이 경직(硬直) 되거나 또는 일상적으로 운동량이 적고 앉아서 지내는 시
    간이 많으면 역시 장부의 기화 기능이 울체되고 따라서 장(腸)이 통강(通降) 기능을 잃
    게 됨으로 장도(腸道)에 음식물 찌꺼기(糟粨)가 전도를 상실하고 적체되어서 변비가 된
    다.
3) 기혈이 부족하고, 하초의 원기가 줄어드는(下元虧損) 경우는 대체로 병을 앓고 난 후 이
    거나, 산후(産後) 또는 체력이 쇠약한 노인 등에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사람이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또는 과분한 노동으로 몸을 상하게 되면 더욱 기(氣)와 혈
    (血)이 모두 부족하게 될 수박에 없다.
    기혈(氣血)이 장도(腸道)에 미치는 영향이란 기(氣) 가 부족하면 장(腸)의 연동작용(蠕
    動作用)역시 활발하지 못하게 됨으로 장도(腸道)에 있는 변(便)을 전도하는 힘이 무력
    해져서 변비(便秘)가 되고, 혈(血)이 부족하면 진액(津液)이 메말라 장도(腸道)가 건조
    하고 변(便)이 굳어져서 전도(傳導)하기가 곤란하게 됨으로 변비가 된다.
4) 평소에 몸이 허약한 사람은 대체로 양기(陽氣)가 부족한 음한(陰寒)의 체질인 경우이
    다. 대부분의 쇠약한 노인의 경우는 기혈(氣血)이 부족하고 또 기혈순환이 활발하지 못
    한 편이여서 비교적 몸과 수족이 모두 차다. 전신이 차가우면 장도(腸道)역시 차갑게 된
    다. 이와 같은 냉기(冷氣)의 특성은 잘 응고(凝固)한다. 때문에 이렇게 응고된 냉기가
    장도를 가로막고 있게 되면 양기(陽氣)가 막혀서 불통(不通)하게 됨으로 장도에서 진액
    이 소통되기 어렵게 됨으로 변비가 된다. 이런 변비를 가리켜서 냉비(冷秘)라고 부르는
    것이다.   

류증감별(類證鑒別)
1) 실증(實證) : 열비(熱秘)와 기비(氣秘)
2) 허증(虛證) : 기허(氣虛), 혈허(血虛)와 양허(陽虛).

1) 실증(實證)
    열비(熱秘) : 얼굴색이 붉은 편이고, 몸에 열이 나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입술에 종기, 
                      부스럼 등에 의한 창(瘡)이 생기고, 소변색이 붉고, 설태는 누렇고 건조하
                      며, 맥활실(脈滑實) 하다.
    기비(氣秘) : 트림을 자주하고(噯氣頻作),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체한 뜻 결리며(胸
                      脇痞滿),  배가 부르고 아프고(腹脹痛), 설태는 얇고 찐득찐득하며(苔薄
                      膩), 맥현(脈弦)하다.
2) 허증(虛證)
    기허(氣虛) : 얼굴색이 누렇게 뜨고(面色晄白), 정신은 피로하며 기력이 없어 보이고(神
                      疲氣怯), 변소에 가서 힘을 쓰고 파내려고 하지만 역부족 이다.(臨厠怒掙
                      乏力), 심한 경우는 땀이 나고 숨이 찬다(甚則汗出氣短) 그러나 대변은 건
                      조하거나 굳은 변이 아니다(大便幷不乾硬). 혀는 엷고 태는 없으며(舌嫩
                      苔薄), 맥허(脈虛)하다.
    혈허(血虛) : 얼굴색이 밝지 못하고(面色无華), 머리가 앗 찔 하며, 가슴이 두근 거린다
                      (頭眩心悸), 혀는 담담하고(舌淡) 맥세삽(脈細澁) 하다.
    양허(陽虛) : 소위 냉비라고 하는 것이다(謂之冷秘), 면색이 누렇게 뜨고(面色晄白), 오
                      줌색은 맑고 사지가 차며(尿淸肢冷), 따뜻한 것이 좋고, 서늘하면 두렵다
                      (喜熱惡凉), 태는 희고 윤기가 있으며(苔白潤), 맥침지(脈沉遲)하다.

변증론치(辨證論治)
1) 열비(熱秘)
          證狀 : 대변이 건조해져서 단단하고(大便乾結), 소변량이 적고 색이 붉고 진하며
                    (小便短赤), 얼굴색이 붉은 편이고 몸에는 열이 있다(面紅身熱). 배는 뜬뜬
                    하게 부르며서 아프고(腹脹腹痛), 구갈(口渴)이 있고, 입에서는 냄새가 나
                    며(口臭), 설질은 붉고(舌質紅), 설태는 누렇거나(苔黃), 혹은 누렇고 건조
                    하다(黃燥). 맥활실(脈滑實)하다.
          治法 : 청열(淸熱), 윤장(潤腸), 통변(通便).
          處方 : 마자인환(麻子仁丸) 加 망초(芒硝)
                    ≒  마자인(麻子仁)500g, 대황(大黃)500g, 행인(杏仁) 지실(枳實) 후박(厚
                        朴) 작약(芍葯) 各250g, 백밀(白蜜) 加 망초(芒硝)
2) 기비(氣秘)
          證狀 : 변비기 있고(便秘) 변을 보고 싶지만 변이 나오질 않고(欲便不得), 트림을
                    자주 하며(噯氣頻作), 흉부와 옆구리가 그득하고 결린다(胸脇痞滿), 배가
                    부르고 아프며(腹中脹痛), 음식량이 줄고(納食减少).  설태는 엷은데 기름
                    을 바른 듯 미끈하게 보인다.(舌苔薄膩), 맥현(脈弦) 하다.
          治法 : 기를 거스르지 않고 잘 풀리게 해서 엉킨 것을 통하게 한다(順氣導滯).
          處方 : 육마탕(六磨湯) ≒ 침향(沉香), 목향(木香), 빈낭(檳榔), 오약(烏葯), 지실
                                              (枳實), 대황(大黃).
3) 기허(氣虛)
          證狀 : 변비가 있고(便秘) 혹 변을 보아도 상쾌하지가 않다(或便不爽). 변소에 앉
                    아 아무리 애를 쓰고 파내 보려하지만 힘만 빠지고 소용이 없다(臨厠怒掙乏
                    力). 변을 파내고 나면 땀이 나고(掙則汗出), 숨이 찬다(氣短). 이렇게 변을
                    보고 나면 기진맥진 힘이 다 빠지고(便后乏力), 얼굴색은 누렇게 뜨며(面色
                    晄白),  정신은 피곤하고 기력이 없다(神疲氣怯), 설질은 얇고(舌質嫩), 태
                    는 엷다(苔薄), 맥허(脈虛)하다.
          治法 : 익기(益氣). 윤장(潤腸), 통변(通便)
          處方 : 황기탕(黃芪湯) 加 당삼(黨參), 백출(白朮) ≒ 황기(黃芪), 진피(陳皮), 마인
                                                                                  (麻仁), 백밀(白蜜).
4) 혈허(血虛)
          證狀 : 변비가 있고(便秘) 얼굴색이 밝지 못하며(面色无華) 혹은 창백하다(蒼白),
                    머리는 어지럽고 눈은 갑자기 캄캄하며 앗 찔 해 진다(頭暈目眩). 심장이 두
                    근거리고(心悸), 입술과 혀가 담담히 혈색이 없고(脣舌淡), 맥세삽(脈細澁)
                    하다.
          治法 : 생혈(生血)해서 건조한 것을 윤활하게 한다(養血潤燥).
          處方 ⑴ 경증(輕症)- 윤장환(潤腸丸) ≒ 당귀(當歸), 지황(地黃), 마인(麻仁), 지각
                                                                (枳殼), 도인(桃仁).
                                                            혹 대황(大黃) 당귀초(當歸梢) 강활(羌活) 各
                                                                15g, 도인(桃仁)30g, 마인(麻仁)37.5g.
                  ⑵ 중증(重症)- 윤장환(潤腸丸) 合 오인환(五仁丸)
                      오인환(五仁丸) ≒ 도인(桃仁)15g, 행인(杏仁)30g, 울이인(鬱李仁)3, 송
                                                자인3, 백자인(柏子仁)3.75, 진피(陳皮)(別途硏末)
                                                120g
5) 양허(陽虛) : 냉비(冷秘)
          證狀 : 대변을 보기가 난처하다(大便難澁), 대변이 건조하지 않은데도(不乾), 배출
                    이 곤란하기만 하다(但排出困難), 소변색은 맑고 량이 많은 편이며(小便淸
                    長), 얼굴색이 누렇게 뜨고(面色晄白), 팔 다리가 차며(四肢不溫), 배가 차
                    고 아프다(腹中冷痛), 따뜻한 것을 대어 주면 좋아 한다(喜溫喜按), 허리와
                    무릎이 저리고 차가우며(腰膝痠冷), 혀는 담담하고, 태는 희다(舌淡苔白)
                    맥침지(脈沉遲).
          治法 : 온양통변(溫陽通便)
          處方 : 제천전(濟川煎) ≒  당귀(當歸)9~15g, 우슬(牛膝)6g, 육종용(酒洗肉蓗蓉)
                                              6~9g, 택사(澤瀉)4.5g, 승마(升麻)1.5g,~3g, 지각(枳
                                              殼)3g.
6) 기타(其他)
    ⑴ 습관성변비(習慣性便秘)
                        處方 ≒ 하수오(何首烏)20g, 생지(生地)20g, 여정자(女貞子)15, 백작
                                  (白灼)10g, 초결명(草決明)10g, 육종용(肉蓗蓉)10, 백밀(白
                                  蜜)100g. - 수전복(水煎服)
    ⑵ 산후변비(産后便秘)
                    處方 ≒ 생수오(生首烏)15g, 도인(桃仁)10g, 당귀(當歸)10g, 천궁(川芎)
                                6g, 생지(生地) 숙지(熟知) 당삼(黨參) 백출(白朮) 복령(茯笭) 백
                                작(白灼) 各10g, 감초(甘草)5g, 백밀(白蜜)60g. - 수전복(水煎服)
    ⑶ 단방료법(單方療法)
        ① 원명분(元明粉, 망초(芒硝))6~10 충복(冲服)
        ② 생수오(生首烏)20g, - 수전복(水煎服) - 윤장통변(潤腸通便)
        ③ 초결명(草決明)60g, - 수전이복(水煎二服) - 습관성변비(習慣性便秘)
        ④ 번사엽(翻瀉葉)5~9g. (포복(泡服-끓는 물에 불러서) - (習慣性便秘)
            수술전장도처리제(手術前腸道處理劑),
            위, 십이지장궤양출혈(胃十二指腸潰瘍出血) 0.25g x 42次 / 담낭염(膽囊
            炎), 담석증(膽石症) 역시 동량(同量)을 사용하고, 급성이선염(急性胰腺炎)
            즉 급성췌장염(急性膵腸炎) 5g / 次, 수술후장공능회복(手術后腸功能恢復)
            1.5g / 次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