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0-08 16:10
[약물치료] 통경(痛經) menorrhalgia. (de) Menstruationsschmerzen.
|
|
글쓴이 :
admin
조회 : 29,392
|
통경(痛經) menorrhalgia. (de) Menstruationsschmerzen.
통경이란 부녀자가 행경전후(行經前后) 혹은 행경기간(行經期間) 안에 출현하는 주기성 소복동통(小腹疼痛) 혹은 그 통증이 허리와 엉덩이의 꼬리뼈에 이르는 것이다(痛引腰骶).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정신을 잃고 혼궐(昏厥)하는 부녀자가 있어서 통경(痛經)이라 부르며 또는 경행복통(經行腹痛)이라고도 한다.
본병은 주로 청년 부녀에게서 비교적 많이 볼 수 있는 상견병(常見病)중에 하나이로서 그 임상표현은 행경(行俓) 첫날과 둘째 날 혹은 경전(經前) 하루나 이틀 전에 아랫배가 아픈 소복동통(小腹疼痛)이 발작하는 것이다. 한편 소수의 부녀자는 경기(經期)가 지난 후에 발병하는 경우가 있다.
동통(疼痛)은 배 전체를 잡아 뜯는 것 같고 혹은 허리와 엉덩이가 아프며, 따라서 외음(外陰, 性器)이 아프고, 항문(肛門)이 떨어져 나가는 듯이 아프며(墜痛),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嘔吐)하며, 소변을 자주보고, 변비 혹은 설사(腹瀉)를 하며, 심한 경우에는 그 통증을 참기 어렵게 되고, 얼굴색이 창백해지고, 식은땀을 줄줄 흘리며, 사지(四肢)가 말단으로부터 차가워져 울라오고 어지러워 쓰러질 지경이 되는 허탈증상(虛脫症狀)이 된다.
주요한 이유는
⑴ 실증(實證) : 경혈(經血)의 운행(運行)이 잘 소통되지 않기 때문이다(不暢).
① 기혈(氣血)이 잘 소통(疏通)되지 않는 불창(不暢)한 자는 실증(實證)
에 속하는데 그 병인은 평소에 정서가 불안정한 생활로 인하여 정지
가 실조(情志失調)됨으로 해서 기체혈어(氣滯血瘀)로 된 것이며,
② 행경기(行經期)에 한사(寒邪)의 침습(接受)을 받은 것이 포맥(胞脈)에
응결(凝結)된 대문이고,
③ 습열(濕熱)이 충임맥(冲任脈)을 험하게 가로 막은 탓이며,
④ 간화(肝火)가 울결(鬱結)되어 어혈(瘀血)과 열(熱)이 험난한 상태가
되는 등이다.
⑵ 허증(虛證) : 혈허(血虛)로 인하여 경맥이 실양(失養)되었기 때문이다.
① 혈(血)이 부족하여 포맥(胞脈)을 유양(有養)하지 못하는 자는 허증
(虛症)에 속한다. 그 병인은 간신(肝腎)이 허손(虛損)되어 충임맥(冲
任脈)을 실양(失養)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② 비위(脾胃)가 허약(虛弱)하므로 기혈(氣血)을 생화(生化)하는 기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③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함으로 포맥(胞脈)이 온후(溫煦)하지 못하고
한냉(寒冷)하기 때문이다.
치료(治療)에서는 충임(冲任)을 조리(調理)하는 것을 위주로 해서, 실증(實症)은 통법(通法)을 사용하고, 허증(虛症)은 보법(補法)을 위주로 한다.
1. 변증요점(辨證要点)
1) 동통시간(疼痛時間)
일반적인 설에 의하면 통증이 월경 전 또는 경기(經期) 중에 있는 것은 실증(實
症)이고, 통증이 경기(經期)가 지난 후에 오는 것은 허증(虛症)에 속한다고 한다.
2) 월경색질(月經色質)
월경 량이 적고 색이 어두우며, 끈적끈적하게 걸고 핏덩어리가 섞인 것은 실(實)
이고, 량이 적고 색이 담담하며, 질이 엷은 것은 대부분 허(虛)에 속한다.
3) 동통성질(疼痛性質)
동통의 성질이 일반적으로 꼬는 뜻이 아픈 교통(絞痛), 잡아당기는 듯이 아픈 체
통(掣痛), 바늘로 찌르는 듯이 아픈 자통(刺痛), 칼로 찧거나 불로 지지는 듯이
아픈 작통(灼痛)과 함께 손을 대면 통증이 심한 것 들은 실(實)에 속하고, 통증이
은은하게 아픈 은통(隱痛), 떨어져 나가는 듯이 아픈 추통(墜痛), 쉬지 안고 계속
적으로 아픈 면면작통(綿綿作痛) 손으로 누르거나 안으면 통증이 감소되고 편해
지는 것은 허(虛)에 속한다.
아랫배가 차고 아프며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감소되는 것은 한증(寒症)에 속하
고, 칼로 찧는 듯, 불로 지지는 듯이 아프며, 따뜻하게 해주면 통증이 더욱 극심
해지는 것은 열증(熱症)에 속한다.
배가 심히 부르면 따라서 아프고(脹甚于痛), 아프다가 멈추기를 반복하는 것은
기체(氣滯)이고, 통증이 심해지며 배가 부르고(痛甚于脹), 지속적으로 아픈 것은
혈어(血瘀)에 속한다.
4) 동통부위(疼痛部位)
통증(痛症)이 소복(少腹, 사타구니) 한쪽 혹은 양쪽에 있는 경우는 기체(氣滯)에
속하고, 통증(痛症)이 소복(小腹, 배꼽 아래, 아랫배)에 있는 경우는 혈어(血瘀)에
속하며 병은 포궁(胞宮)에 있다.
소복(小腹)이 빈 것 같이 아프며, 그 통증이 허리와 잔등으로 이어진 요배통(腰背
痛)은 병이 신(腎)에 있다.
2. 변증시치(辨證施治)
1) 기체혈어(氣滯血瘀)
證狀 : 원경이 있기 전 혹은 경기(經期) 중에 아랫배에 창통(脹痛)이 있
고, 손을 대면 더욱 아프며, 월경 량이 적고, 혹은 월경이 잘 나
오지 않으며, 경색(經色)이 어둡고 덩어리가 진 혈괴(血塊)가 섞
여 있고, 혈괴(血塊)가 나온 후 통증이 감경(減輕)한다. 혹은 가
슴과 옆구리 및 유방에 동통이 있을 수 있고, 설질이 검푸르며
어둡고, 혀는 변두리와 혀끝에 어점(瘀点)이 생기고, 맥(脈)은 가
라앉아서 힘을 주어야 잡히는 것이 현악기(絃樂器)의 줄을 누르
는 뜻 한 침현(沉弦)한 맥이다.
治法 : 리기활혈(理氣活血), 거어지통(祛瘀止痛)
方葯 : 격하축어탕(膈下逐瘀湯) ≒ 도인(桃仁), 적작(赤芍), 천궁(川芎),
오령지(五靈脂), 향부(香附), 단피(丹皮), 오약(烏葯),
연호색(延胡索), 홍화(紅花), 지각(枳殼), 감초(甘草),
당귀(當歸).
加减 ① 기체(偏于氣滯) : 중용(重用) 지각(枳殼), 오약(烏葯), 향부(香附).
- 가강(加强) 행기지통(行氣止痛)
② 혈어(偏于血瘀) : 중용(重用) 도인(桃仁), 홍화(紅花), 오령지(五
靈脂), 연호색(延胡索). - 가강(加强) 활혈거어(活血祛瘀)
③ 흉민식소(兼胸悶食少) : 加 백출(白朮), 복령(茯苓), 진피(陳皮).
- 리기건비(理氣健脾)
④ 통심(痛甚) 오심구토(惡心嘔吐) : 반하(半夏), 생강(生姜).
- 화위강역(和胃降逆)
⑤ 경행(經行) 3~4일 복통이 극열하고, 상한 고기와 같은 물질이
나간 후 통증이 완화 되는 부녀자, 막성통경(膜性痛經)으로 어
혈중증(瘀血重症)
화막탕(化膜湯) ≒ 혈갈(血竭), 산사(山楂), 유기노(劉寄奴), 적작
(赤芍), 청피(靑皮), 숙군(熟軍) 포강(炮姜),
삼칠(三七). - 화막행체(化膜行滯), 산어지통
(散瘀止痛)
2) 한응포맥(寒凝胞脈)
證狀 : 경전(經前) 혹은 경기(經期) 중에 아랫배(小腹)에 냉통(冷痛)이 있
고, 손을 대면 통증이 더욱 심해지며(拒按), 따뜻하게 해주면 통
증이 감소되며, 경량(經量)이 적고, 경색은 어둡고 덩어리진 혈괴
(血塊)가 있다. 혹은 경색이 팥을 삶은 물과 같고(黑豆汁), 설변
은 자색(紫色)이고, 설태는 엷고 희며 혹은 약간 끈끈하며, 맥은
힘을 주어야 집이며 꼬인 줄을 누르는 것 같이 유력한 침긴(沉
緊)한 맥이거나 혹은 가볍게 누르면 잡히지 않고 힘을 주어야 잡
히는 가라않은 맥이 느린 침지(沉遲)한 맥이다.
治法 : 온산한습(溫散寒濕), 화어지통(化瘀止痛)
方葯 :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 가미(加味) ≒ 소회향(小茴香), 건강(乾
姜), 연호색(延胡索), 몰약(沒葯), 당귀(當歸), 천궁(川
芎), 육계(肉桂), 적작(赤芍), 포황(蒲黃), 오령지(五靈
脂)., 창출(蒼朮), 복령(茯苓).
加减 ① 한사(寒邪)가 응결(凝結)되어 경락을 폐소(閉所)함으로 통증이
심한 경우 : 加 포부자(炮附子) - 온양행혈(溫陽行血)
② 요통(腰痛)을 겸한 경우 : 加 두중(杜仲), 구척(狗脊), 천속단(川
續斷). - 장요슬(壯腰膝)
3) 습열온결(濕熱蘊結)
證狀 : 경전(經前)에 소복이 부어 오른 듯하며 아프고(小腹脹痛), 손으로
누르면 더욱 통증이 심해지고(拒按), 혹 통증이 허리와 엉덩이로
이어 지며, 혹 배가 아픈 것이 칼로 찧는 뜻 불로 지지는 뜻 하
거나 혹은 밑에서 불을 사르는 뜻한 통증이 수반 되고, 월경색은
붉고 어두우며, 질이 끈끈하고 혈괴(血塊)가 있다. 혹 대하(帶下)
가 있을 수 있고, 끈끈한 황색이 냄새가 고약하다. 혀는 붉고 태
는 황색이거나 혹은 황색에 미끈미끈하며, 맥이 길고 가야금 줄
을 누르는 것 같으면서 원활하고 순조로우며 한번 호흡하는 사이
에 5번 이상 뛰는 현활(弦滑)하며 삭(數)한 맥이다.
治法 : 청열제습(淸熱除濕), 화어지통(化瘀止痛).
方葯 :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 가미(加味) ≒ 생지(生地), 당귀(當歸), 백
작(白芍), 천궁(川芎), 산치(山梔), 황연(黃連), 황(黃
柏)., 단피(丹皮), 향부(香附), 연교(連翹), 춘근피(椿根
皮).
加减 ① 발열(發熱) : 加 은화(銀花), 시호(柴胡), - 청열(淸熱)
② 복통(腹痛)이 있고 혈괴(血塊)가 있는 경우 : 加 홍등(紅藤), 아
출(莪朮), 별갑(鱉甲). - 활혈산어(活血散瘀)
③ 대하(帶下)가 있고 더러운 냄새가 나는 경우 : 加 패장초(敗醬
草), 차전자(車前子). - 해독이습(解毒利濕)
4) 어열교조(瘀熱交阻)
證狀 : 경전(經前) 혹 경기(經期)에 소복창통(小腹脹痛)이 있고, 경량(經
量)이 혹 많거나, 혹은 적으며, 자홍색에 혈괴(血塊)가 있고, 유방
이 붓고 아프며(乳房脹痛), 마음이 괴롭고 화를 잘 내며(心煩易
怒), 입이 쓰고 목구멍이 마르며(口苦咽乾), 설질이 붉고 어두우
며 어반(瘀斑)이 있고, 설태는 누렇고, 맥은 가야금 줄을 누르는
것 같고 빠른 현삭(弦數)한 맥이다.
治法 : 청열사화(淸熱瀉火), 축어지통(逐瘀止痛)
方葯 : 생혈청열방(生血淸熱方) 가미(加味) ≒ 당귀(當歸), 천궁(川芎), 적
작(赤芍), 생지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도인(桃
仁), 홍화(紅花), 목향(木香), 향부(香附), 원호(元胡),
감초(甘草)., 황연(黃連), 하고초(夏枯草).
加减 ① 월경후기(月經后期)로 늦어지는 경우
加 우슬(牛膝), 익모초(益母草),- 활혈통경(活血通經)
5) 간신허손(肝腎虛損)
證狀 : 월경 후 아랫배가 은은히 아픈 소복은통(小腹隱痛)이 허리와 엉
덩이부위로 시큰시큰 쑤시며 아픈 요저산통(腰骶酸痛)으로 이어
지며, 사지가 연약무력해지고, 경량이 적고 색이 담담하며, 설질
이 담담하고, 맥이 힘을 주어야 집이며 비교적 똑똑하나 실같이
가는 침세(沉細)한 맥이다.
治法 : 익신양간지통(益腎養肝止痛)
方葯 : 조간탕(調肝湯) ≒ 당귀(當歸), 백작(白芍), 산수유(山茱萸), 파극
천(巴戟天), 아교(阿膠), 산약(山葯), 감초(甘草).
加减 ① 통증이 허리와 엉덩이 꼬리리 부위에 미치는 경우
加 속단(續斷), 두중(杜仲), - 보간신(補肝腎) 장근골(壯筋骨) 지
요통(止腰痛).
② 소복(少腹) 양쪽, 혹은 양쪽 옆구리가 간기(肝氣)가 울결됨으로
아픈 경우. - 加 천련자(川楝子), 연호색(延胡索).
- 소간해울(疏肝解鬱).
③ 기허(氣虛) : 加 당삼(黨參), 황기(黃芪). - 보원기(補元氣)
④ 밤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 : 加 익지인(益智仁), 상표소(桑螵
蛸). - 온신양(溫腎陽), 고정기(固精氣).
⑤ 조열(潮熱)이 있고 얼굴 양쪽 광대뼈 부위가 붉은 경우
加 지골피(地骨皮), 별갑(鱉甲), 청호(靑蒿).
- 익음제허열(益陰除虛熱)
⑥ 음손급양(陰損及陽)으로 사지(四肢)가 차고 추위가 두려운(肢冷
畏寒) 신양(腎陽)이 부족한 경우 : 선모(仙茅), 보골지(補骨脂),
애엽(艾葉), 육계(肉桂). - 온신장양(溫腎壯陽)
⑦ 양쪽 눈이 건조하고 깔깔한 삽통(澁痛)이 있는 경우
- 加 구기자(枸杞子), 사원자(沙苑子). - 익정명목(益精明目)
6) 기혈허약(氣血虛弱)
證狀 : 월경이 늦어지고 혹은 경행이 끝난 후에 아랫배가 살살 아프고
(小腹綿綿作痛) 감싸 안으면 통증이 경감하며, 월경 량이 적고,
색이 담담하고 묽으며(色淡質稀), 얼굴색은 시들어 누렇게 뜨고
(面色萎黃), 정신은 지치고 피로하며(精神疲倦), 가슴이 두군 거
리고 때로는 두렵고 불안하며 숨이 차고(心悸氣短), 혀의 색이
담홍색에 맥은 가늘고 똑똑하지만 약한 세약(細弱) 맥이다.
治法 : 보기보혈지통(補氣補血止痛)
方葯 : 삼재대보환(三才大補丸) ≒ 인삼(人蔘), 백출(白朮), 두중(杜仲),
숙지(熟地), 당귀(當歸), 천궁(川芎), 향부(香附), 황기
(黃芪), 애엽(艾葉), 보골지(補骨脂), 아교(阿膠), 산약
(山葯), 백작(白芍).
加减 ① 혈허(血虛)가 비교적 심한 경우 : 加 대조(大棗), 계혈등(鷄血藤)
산조인(酸棗仁).- 보혈행혈(補血行血), 양심안신(養心安神)
② 겸신허(兼腎虛) : 加 속단(續斷), 상기생(桑寄生).
- 보신장요슬(補腎壯腰膝)
③ 기혈(氣血)이 허(虛)해서 추운 경우 : 加 량강(良姜), 육계(肉桂).
- 온양산한(溫陽散寒).
④ 손발이 차고, 추위가 두려운 경우 : 加 계지(桂枝).
- 온통경맥(溫通經脈).
⑤ 기혈이 허약해서 기체(氣滯)가 되서 월경이 끝난 후 여혈이 남
게되어 통증이 멈추지 않는 경우
팔진탕(八珍湯) 가미(加味)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
苓), 숙지(숙地),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
(白芍), 생강(生姜), 대조(大棗), 자감초(炙甘草).,
加 향부(香附), 목향(木香). - 익혈양혈(益血養
血), 조기지통(調氣止痛).
7) 비위허한(脾胃虛寒)
證狀 : 월경기(月經期)로부터 월경 후에 아랫배(小腹)로부터 위완부(胃脘
部)에 동통이 있고, 따뜻하게 해주거나 안아주면 통증이 감소되
며, 월경 량은 많고 경색은 담담하며 혈괴(血塊)가 있다.
수반해서 맑은 물을 구토하고, 대변은 물같이 묽은 당박(溏薄)한
변을 보며, 사지(四肢)가 서늘하게 차갑고, 소식(小食)하며 배는
그득하고, 정신이 피로하고 힘이 없으며 고달프다(神疲乏力) 혀
는 담담하고 태는 희며, 맥은 힘을 주어야 집이고 실같이 가늘지
만 똑똑한 침세(沉細)한 맥이거나 혹은 힘을 주어야 집이는 맥이
한번 호흡하는 사이에 4번 뛰는 느린 침완(沉緩)한 맥이다.
治法 : 온중산한(溫中散寒), 건비화위지통(健脾和胃止痛)
方葯 : 리중환(理中丸) 가미(加味) ≒ 인삼(人蔘), 건강(乾姜), 자감초(炙
甘草), 백출(白朮)., 고량강(高良薑), 포강(炮姜),
향부(香附).
加减 ① 한사(寒邪)가 심하여 토(吐)하고 설사(泄瀉) 하는 경우
加 부자(附子). - 중기((脾胃)를 따뜻하게 하게(溫中散寒)함을
증강(增强)시켜서 양기를 통하게 하여 통증을
멈추게 한다(通陽止痛).
② 겸하여 담습(痰濕)으로 인하여 위완부(胃脘部)가 그득하고 답답
하고, 월경량은 적고 잘 소통되지 않는 경우
加 이진탕(二陳湯) ≒ 반하(半夏), 진피(陳皮), 복령(茯苓), 생강
(生姜).- 습을 말려서 담을 줄이고(燥濕
化痰) 기를 통하게 하여 중초를 조화롭게
한다(理氣和中).
3. 류증감별(類證鑒別)
통경(痛經)과 복통(腹痛)은 상호 분별해야 한다. 복통증(腹痛證)은 여러 종류의 질병
에 의한 것임을 볼 수 있다. 어떤 질병에 의해 복통이 나타난 때에 한편 경기(經期)
가 시작되거나 혹은 경기(經期) 복통이 있게 되면 통증은 더욱 가중된다.
통경(痛經)은 월경주기 마다 발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동통은 일반적으로 복기
(腹肌)가 긴장하는 일이 없고, 뛸 뜻이 아픈(跳痛) 것도 아니며, 발열(發熱)하는 현상
도 없이 대체로 진발성(陳發性)이고, 경혈(經血) 배출이 유창(流暢)할 때는 동통도 언제
나 완해(緩解)된다. 월경이 끝난 후 경혈(經血)은 소실된다.
기타 원인에 의한 복통은 주기성 발작적 특징이 없으며, 질병에 상응하는 증상인 체징
(体徵)이 수반되는 것이다.
4. 경험방(經驗方)
1) 기체혈어형(氣滯血瘀型) 통경(痛經)
남과체(南瓜蒂)1매(枚), 홍화(紅花)5g. - 물에 2 번달인 후 찌꺼기를 버리고, 이
약물에 홍당(紅糖, 조청)32g 을 넣고, 월경이 오기 2일 전에 복용한다.
2) 기체혈어형(氣滯血瘀型) 통경(痛經)
감송(甘松), 잠사(蚕沙) 各10g, 려지핵(荔枝核)12g, 산사(山楂), 청귤엽(靑橘葉) 各
6g, 물에 달여 경전(經前) 3일부터 매일 1제, 계속 5일간 5제를 복용한다.
3) 기체혈어형(氣滯血瘀型) 통경(痛經)
症狀 : 생리초전 혹은 행경기에 소복(小腹, 아랫배)이 창만해지면서 동통이 저골
(骶骨, 꼬리뼈)쪽으로 뚫고 나가는 듯 아프다. 동통의 성격이 고양이가 발
톱으로 할퀴는 듯 살을 찢어내는 듯하며 하복부와 사타구니 전체가 문어
지는 듯 아프다. 혹 유방(乳房)은 생리 1주전부터 창만해 지고 동통이 시
작되는 수가 있다.
治法 : 양혈(養血), 활혈(活血), 축어(逐瘀)
方葯 :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 ≒ 도인(桃仁)6~8g, 홍화(紅花)4~6g, 숙지황(熟
地黃)10g, 백작(白芍)10g, 당귀(當歸)12g, 천
궁(川芎)8g. - 수전삼복(水煎三服)
用法 : 월경 3일전에 이상의 6가지 약을 물 800㎖에 1시간 달여 3등분해서 하루
에 3번 복용한다. 3일째는 첫날과 둘째 날 것을 모아 재탕하는 방법으로
복용하는데 통증이 없으면 복용을 중단 한다. 파혈축어제(破血逐瘀劑)를
과용하면 경량(經量)이 많아질 수 있음으로 유의 한다.
4) 한응포맥형(한응포맥型) 통경(痛經)
포황(蒲黃), 오령지(五靈脂) 各15g, 육계(肉桂)9g. 을 함께 곱게 갈아서 매번 3g
씩 천연수(白開水)로 매일 3회 복용한다. - 월경 전 3~5일부터 복용을 시작하여
월경이 끝날 때까지 복용한다.
5) 한응포맥형(寒凝胞脈型) 통경(痛經)
익모초(益母草)30g, 건강(乾姜)15g, 호초(胡椒)1.5g. - 매일 1제(劑)을 물로 두
번 끌인 것을 모아서 다시 2등분으로 나누어 2번 복용한다. - 경전(經前) 3~5
일전에 시작해서 월경이 끝날 때까지 복용한다.
6) 허한형(虛寒型) 통경(痛經)
애엽(艾葉)12g, 홍당(紅糖, 조청)30g, 향부(香附)12g, 생강3편(片). - 매일 1제
(劑)를 2번달인 것을 모아 둘로 나누어서 경기(經期) 중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7) 혈허형(血虛型) 통경(痛經)
계혈등(鷄血藤)30g, 당귀(當歸)20g, 홍당(紅糖, 조청)30g, 황주(黃酒) 적당량.
매일 1제를 2번 달인 것을 모아 둘로 나누어서 월경이 끝난 후에 복용한다.
5. 연구보고(硏究報告)
1) 南通市中醫學院婦科 ․ 江蘇中醫雜志, 1985, 6 ⑹ : 6
통경(痛經) 환자의 변증분형(辨證分型)에 대한 약물치료 105개의 임상 견해
⑴ 기체혈어형(氣滯血瘀型)
用葯 : 불수산(佛手散) ≒ 아출(莪朮)10g, 전당귀(全當歸), 대천궁
(大川芎), 로로통(路路通), 오약(烏葯),
자향부(炙香附)各12g.
외한(畏寒) : 加 육계(肉桂) 혹 건강(乾姜), 소회향(小茴香).
⑵ 한응기체형(寒凝氣滯型)
用葯 : 강부이중탕(姜附理中湯) ≒ 포강(炮姜), 오수유(吳茱萸), 소
회향(小茴香), 계지(桂枝) 各6g, 천궁(川芎), 백
출(白朮) 各10g, 향부(香附), 당귀(當歸), 자석
영(紫石英), 선령비(仙靈脾) 各12g.
흉민핍력(胸悶乏力) 태백후니(苔白厚膩) : 加 창출(蒼朮),
후박(厚朴).
복통거안(腹痛拒按) 혈괴(血塊): 加 홍화(紅花), 택란(澤蘭).
⑶ 기혈허약형(氣血虛弱型)
用葯 : 삼기사물탕(參芪四物湯) ≒ 당삼(黨參), 황기(黃芪) 各15g,
당귀(當歸), 천궁(川芎) 各10g, 백작(白芍), 숙지
(熟地), 향부(香附), 원호(元胡), 황정(黃精), 선
령비(仙靈脾) 各15g.
경행량소(經行量少) : 加 익모초(益母草), 애엽(艾葉).
한심(寒甚) : 加 육계(肉桂), 오수유(吳茱萸).
월경이 오기전 5~6일부터 복약을 시작한 105예의 치료 결과
치유(治愈) 16예, 현저한 효과 57예, 호전 18예, 무효 14예로서
총유효율 86.7%
2) 趙洪斌(조홍빈) ․ 吉林中醫葯 1984, ⑹ : 34
통경환자 84명에 대한 중의(中醫) 변증(辨證)과 치료(治療)에 대한 임상분석
⑴ 혈어한응(血瘀寒凝)
用葯 : 통경탕(痛經湯) ≒ 당귀(當歸), 창출(蒼朮), 진피(陳皮), 사인
(砂仁), 반하(半夏), 곽향(藿香), 강황(姜黃), 유향(乳
香), 몰약(沒葯), 원호(元胡), 우슬(牛膝), 감초(甘草).
혹 소복축어탕(少腹逐瘀湯)
⑵ 간울기체형(肝鬱氣滯型) 用葯 : 가미소요탕(加味逍遙湯), 혹 통경탕(痛經湯).
⑶ 기혈허한형(氣血虛寒型) 用葯 : 온담탕(溫膽湯),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혹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
⑷ 혈어실열형(血瘀實熱型) 用葯 : 통경탕(痛經湯) 加 당귀미(當歸尾), 삼능(三棱),
아출(莪朮), 단피(丹皮), 오령지(五靈脂), 포황(蒲黃).
결과 : 치료 84예 중에 전유(痊愈) 70예, 호전(好轉) 11예, 무효(无效) 3예.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