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0-09 16:48
[약물치료] 치매(痴呆) dementia, (de) Dementia,
 글쓴이 : admin
조회 : 13,381  
치매(痴呆) athymia, dementia, moria
              (de) Dementia, Schwachsinn

치매란 미련하고, 어리석고 조잡한 매사우분(呆傻愚笨) 증상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일종에 정신질환(精神疾患)이다. 표정은 미련하고 어리석어 보이는 매체(呆滯)한 모습이고,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지 못하며(无所用心), 일상적인 사무를 스스로 처리할 수 없고, 심지어 외부로부터 위태로움이 닥쳐도 저어(抵御)할만한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주요한 임상표현이다.
경(輕)한 환자는 정신과 정서가 싱겁고 조용하며(神情淡漠), 말이 적고, 건망증이 심하
                      며, 지둔(遲鈍)하다.
중(重)한 환자는 하루 종일 말이 없거나 혹은 입으로 중얼(조잘) 거리고(口中喃喃) 혹은
                      말의 선후가 뒤 바뀌고(言辭顚倒), 혹은 갑자기 웃다가 돌연 울고(忽笑
                      忽哭), 혹은 식욕이 없으며 수일간 먹지 못해도 배고픔을 모른다.
본병은 유년(幼年) 시기에 기병(起病)하여 점차 성장하면서 백치(白痴)가 되는 경우의 환자는 매년 점차 몸이 약해져서(年邁体衰) 정혈이 부족하게 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매사자(呆傻者)가 되거나, 혹은 정신적 충격으로 정서상에 상처를 받아 기(氣)가 울체되어(情傷氣鬱) 정신과 의식이 어리석어 빠지게 된 신식매체(神識呆滯)의 경우가 있다. 또 이외에 외상(外傷), 중독(中毒)으로 치매환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주요한 병리기제(病機)는 품부부족(禀賦不足), 간신휴허(肝腎虧虛), 기체혈어(氣滯血瘀)
                                  담탁조규(痰濁阻竅) 등을 들 수 있겠고
치료(治療)에 관해서는
⑴ 선천적인 품부부족(禀賦不足)은 양혈자음(養血滋陰)해서 보신전정(補腎塡精)하고
⑵ 늙어서 신이 쇠약(年老腎衰)해 짐으로 간신에 정혈이 부족하고, 골수가 비어서 공허
    (髓海空虛)하게 되면 따라서 심혈이 부족하게 됨으로 신지(神志)를 유양할 수 없게
    되는데(心神失養) 이런 자는 익정양혈(益精陽血)하여 자보간신(滋補肝腎)하도록 한다
⑶ 기(氣)가 울체된 환자는 기(氣)를 행(行)하게 하여 간기를 펴게 하고(舒肝理氣)
⑷ 혈(血)이 어체(瘀滯)된 환자는 혈을 움직여서 어를 제거(活血化瘀)하며
⑸ 담(痰)이 응결(凝結)된 환자는 비장(脾臟)을 튼튼히 해서 담을 제거(健脾祛痰)한다.
⑹ 만약 외상(外傷)이나 중독(中毒)에 의한 경우는 원인에 따라 대처한다.

1. 변증요점(辨證要点)
    1) 발병연령(發病年齡)
                    유아치매는 대부분 선천적으로 품부(稟賦)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혹 유
                                    년(幼年)에 큰 병을 앓았거나, 혹은 출생할 때 뇌수(腦髓)에
                                    손상을 받은 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노연치매는 기억력이 확실하게 감퇴되거나 상실(喪失)된다. 정신과 정
                                    서활동이 느리고 둔해지며(神情遲鈍), 심한 경우는 발음이
                                    맑지 못하고, 횡설수설 말의 앞뒤가 맞지 않으며(言无論次),
                                    최종에 이르면 일상생활을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
                                    하게 된다. 대다수의 환자가 간신부족(肝腎不足)과 유관된
                                    다.
    2) 질병신구(疾病新久)
                    구병(久病) : 오래된 병은 대부분 고질(痼疾)에 속하는 것으로 발병이
                                      완만(緩慢)하고, 유인(誘因)이 불확실하며, 회복이 비교적
                                      어렵다(恢復較難).
                    신병(神病) : 발병한지 얼마 안 되는 새로운 병은 대부분 정서변화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발병(起病突然)하는 경우로서 증상이
                                      비교적 호전적이긴 하지만 더디게 서서히 풀린다(緩解較快).
                    외상(外傷) 혹은 중독(中毒)으로 인한 기병(起病) 환자는 대부분 점차적
                                            으로 정상을 갖출 수 있게 된다(逐漸恢復).
 
2. 류증감별(類證鑒別)
    치매(痴呆)와 전증(癲證), 간증(癇證), 장조(臟躁)는 감별해야 한다.
    1) 전증(癲證) : 정신이 억울하고(精神抑鬱), 표정은 싱겁고 조용하며(表情淡漠), 게
                          으르고 미련해보이며 침묵하고(沉黙遲呆), 횡설수설 앞뒤 말이 일치
                          하지 않는(言无論次)것이 특징이다. 푹 꺼져 있거나 조금 기(氣)가
                          살아있는 듯하며(沒有或僅有) 지능저하는 경미하다(輕微的智能低下).
        치매(痴呆) : 정신 표현이 어리석어 빠지고(神表呆滯), 지능저하(智能低下)를 위주
                          로 하는 것이 주요표현이다.
       
    2) 간증(癇證) : 발작성적 정신상태의 이상(神態異常)을 표현하는 일종의 질환이다.
                          발작할 때 그 전형적인 표현은 갑자기 뒤집어져(突然昏仆), 인사불
                          성(不省人事)이 되고, 양쪽 눈을 위로 치켜뜨며(兩目上視), 거품을
                          토하고(嘔吐涎沫), 사지를 잡어 뽑기나 하듯 쭉 뻗고(四肢抽畜) 입
                          안에 마치 쌓였던 5가지 소리가 나오는 듯 하는(口中如作五畜之聲)
                          발작성을 위주로 하는 질환이다. 이렇게 뚜렷하게 정신을 잃었다가
                          곧 깨어나는데(神昏片刻卽醒) 깨어난 후에는 언제 무슨 일이 있었
                          느냐는 뜻 평상으로 돌아온다(醒后復如常態). 반복해서 발작하며(可
                          反復發作), 발작기간 지능저하(智能低下)는 불확실 하다.
        치매(痴呆) : 점진성(漸進性)이며 발작성(發作性)이 아니다. 또 치매는 지능저하
                          (智能低下)를 위주(爲主)로 하는 질환이다.
   
    3) 장조(臟躁) : 장조의 발병은 대다수가 정신적 인소와 관계된다. 돌발성을 드러내
                          며(呈突發性), 대부분 여성에게서 볼 수 있는 질환으로, 주요 표현은
                          기쁘고, 슬픔에 마음을 상하면 울고 싶어 하며(喜悲傷欲哭), 수시로
                          기지개를 켜며 하품을 하고(數欠伸) 마치 귀신에게 홀린 것 같으며
                          (如神靈所作), 다만 스스로 자제할 수 있기를 바란다(但尙可自制),
                          발작하지 않을 때는(不發作時), 평상시 상태로 돌아온다(復如常態).
                          지력장애도 없다(无智力障碍), 마치 치매(痴呆)와 같은 미련하고 어
                          리석어 보이며 조잡한(呆傻愚笨), 지력저하(智力低下)와는 자연 부동
                          (自然不同)하다.

3. 변증시치(辨證施治)
    1) 품부부족(禀賦不足)
                    症狀 : 유아에게 치매가 발병(自幼發病)하면, 발육이 더디어지고(發育遲
                              緩), 대부분 기형이 되는 수가 있다(多有畸形). 두개골이 지나치
                              게 적거나(頭顱偏小), 양쪽 눈의 간격이 비교적 좁다(眼裂較窄),
                              정수리에 있는 신문이 더디 닫치며(囟門遲閉), 신체와 뼈가 연약
                              하다(骨軟体弱).
                              성년이 된 후에는 표정이 딱딱하게 굳고 어리석게 보이며(表情呆
                              板), 반응이 느리고 둔하며, 말로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지 못하
                              고(詞不達意), 기억력이 모자라며, 지혜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사
                              람이 된다.
                              엄중한 사람은 스스로 생활이 불가능하게 된다. 혀는 담박하고
                              어두우며(舌淡黯), 태는 엷고 희거나 혹은 희고 미끈미끈(白膩)하
                              다.
                    治法 : 건비익신(健脾益腎), 전보뇌수(塡補腦髓)
                    方葯 : 칠복음(七福飮) 가미(加味) ≒ 인삼(人蔘), 당귀(當歸), 숙지(熟地),
                                                  백출(白朮), 자감초(炙甘草), 원지(遠志), 산조인(酸
                                                  棗仁)., 녹각교(廘角膠), 구판교(龜板膠), 아교(阿
                                                  膠), 석창포(石菖蒲).
                      加减 ① 언행에 조리가 없고(言行不經), 마음이 답답하고 괴롭우며 오줌
                                색이 붉으며(心煩溲赤), 맥현세삭(脈弦細數)한 환자는 신정이 부
                                족하여(腎精不足) 신수(腎水)가 심화(心火)를 견제하지 못한 탓
                                으로 심화(心火)가 홀로 항성(亢盛)하게 된 것이다. 이런 때에는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加 연자심(蓮子心), 석창포(石菖蒲), 황
                                                  연(黃連). 으로 청심개규(淸心開竅) 토록 한다.
                            ② 만약 담열이 심장을 움직이고(痰熱扰心) 담이 많고, 잠을 이루
                                지 못하며, 혀가 붉고 태는 누렇고 끈끈한(舌紅苔黃膩) 환자는
                                청심곤담환(淸心滾痰丸) ≒ 대황(大黃), 황금(黃芩), 청몽석(靑礞
                                                                      石), 수우각(水牛角), 조각(皂角), 주
                                                                      사(朱砂), 침향(沉香), 사향(麝香).
    2) 간신휴허(肝腎虧虛)
                    症狀 : 표정이 딱딱하게 굳고 어리석어 보이며(表情呆板), 혼이 나간 사
                              람처럼 거동을 하고(擧動不靈), 어리석게 웃고만 있거나(傻笑傻
                              笑), 친한 사람과 먼 사람을 가리지 못하며(親疏不分), 눈이 앗
                              찔 하고 머리가 어지러우며(頭暈目眩), 청력이 감퇴되고(聽力减
                              退), 허리가 시큰거리고, 무릎이 연하며(腰膝酸軟), 손바닥과 발바
                              닥에 열이 나고(手足心熱), 혀는 붉고 태는 적으며(舌紅少苔), 맥
                              세삭(脈細數) 혹 침약(沉弱)하다.
                      治法 : 자보간신(滋補肝腎), 양혈식풍(養血息風)
                      方葯 : 익신영심탕(益腎寧心湯) ≒ 숙지(熟地), 생지(生地), 산약(山葯),
                                              산수육(山茱肉), 복령(茯苓), 택사(澤瀉), 당삼(黨參),
                                              황기(黃芪), 원지(遠志), 산조인(酸棗仁), 오미자(五味
                                              子), 석창포(石菖蒲), 용골(龍骨), 구판(龜板).
                      加减 ① 간기가 울결 되어 화(火)가 되면(肝鬱化火), 간과 심에 혈과 진
                                  액이 열화(熱火)로 손상을 받게(灼傷肝血心液)되면, 마음이 괴롭
                                  고 조급하고 성급해 진다(心煩躁動)., 한 말을 세 네 번 되 뇌이
                                  며(言語顚三倒四), 끝임 없이 쉬지 않고 웃고 노래하며(哥笑不
                                  休) 심지어 추잡한 행위로 변하며(反喜汚移) 혹은 타고난 재나
                                  탄을 먹는다. 이런 경우에는
                                  당귀(當歸), 백작(白芍) : 양혈소간(養血疏肝)
                                  단삼(丹參), 맥동(麥冬), 화분(花粉): 자양심위음액(滋養心胃陰液
                                  시호(柴胡) : 해울소간(解鬱疏肝)
                                  백자인(柏子仁), 복신(茯神), 산조인(棗仁) : 양심안신(養心安神)
    3) 혈어기체(血瘀氣滯)
                    症狀 : 대부분 출생할 때 두개골에 외상을 받은 일이 있다(多有産傷及頭
                              顱外傷史). 정신과 정서가 싱겁고 조용하다(神情淡漠), 반응이 느
                              리고 둔하며(反應遲鈍), 말수가 적고(寡言少語), 잠자다가 잘 놀
                              라며(睡中易驚) 혹은 망령된 생각에 잠을 이루지 못하고(妄思不
                              寐), 양 눈으로 정신없이 뚫어지게 응시하며(双目凝視无神), 설질
                              이 검붉고  어두우며(舌質紫黯) 어혈반점으로 얼룩져 있고(유어
                              점어반(有瘀点瘀斑), 태는 열고 희며(苔薄白), 맥현세혹삽(脈弦細
                              或澁)하다.
                    治法 : 활혈행기(活血行氣), 통규건뇌(通竅健腦)
                    方葯 : 통규활혈탕(通竅活血湯) 가감(加减) ≒ 사향(麝香), 도인(桃仁), 홍
                                              화(紅花), 천궁(川芎), 적작(赤芍)., 울금(鬱金), 석창포
                                                (石菖蒲), 지실(枳實).
                    加减 : 통규활혈탕(通竅活血湯) 去 노총(老葱), 생강(生姜), 대조(大棗).
                                                              加 울금(鬱金), 석창포(菖蒲), 지실(枳實).
                              ① 오랜 병으로 기혈이 부족한 경우
                                  加 당귀(當歸), 생지(生地), 당삼(黨參), 황기(黃芪). - 보익기혈
                              ② 오랜 병으로 어혈(瘀血)이 사열(邪熱)이 된 경우는 항상 간위(肝
                                  胃)에 화사(火邪)가 역행(逆行)하게 됨으로 두통(頭痛), 속이 울
                                  렁거리는 메스꺼움(惡心)이 있게 된다. 이런 때에는 加 구등(鉤
                                  藤), 국화(菊花), 하고초(夏枯草), 죽여(竹茹). 하여 청간화위(淸
                                  肝和胃) 시킨다.
    4) 담탁조규(痰濁阻竅)
                    症狀 : 하루 종일 말이 없고(終日不語), 어리석고 우둔한 표정을 하고(表
                              情呆鈍), 음식을 먹으려하지 않는다. 물도 역시 마실 생각이 없으
                              며, 혹은 갑자기 웃다가 돌연 곡을 하고(忽笑忽哭), 가래와 침이
                              입안에 많고(口多痰涎), 가슴과 위완부가 체한 것같이 답답하며
                              (胸脘痞悶), 설담태백니(舌淡苔白膩), 맥활(脈滑)하다.
                    治法 : 건비조습(健脾燥濕), 활담개규(豁痰開竅)
                    方葯 : 세심탕(洗心湯) 가미(加味) ≒ 인삼(人蔘), 복령(茯苓), 산조인(酸
                                                  棗仁), 반하(半夏), 진피(陳皮), 신곡(神曲), 감초(甘
                                                  草), 포부자(炮附子),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加减 ① 노년 치매로 설태가 누렇고 끈끈하며, 음식 생각이 없고(不思飮
                                食), 중초(中焦)에 담열(痰熱)이 쌓여 있는 환자는 온담탕(溫膽
                                湯)에 담열(痰熱)을 제거(除去)하는 약물을 가미(加味)하고, 다시
                                보법(補法)을 사용한다.

4. 경험방(經驗方)
    1) 치매(痴呆) - 선천(先天) 품부부족(禀賦不足), 간신휴손(肝腎虧損)
        보신방(補腎方) ≒ 녹각분(鹿角分)6g(冲), 숙지(熟地)20g, 신곡(神曲)4.5g, 생용골
                                  (生龍骨)30g, 석창포(石菖蒲)9g, 자원지(炙遠志)3g, 단삼(丹
                                  參), 자구판(炙龜板) 各15g, 구기자(枸杞子)9g, 익지인(益智
                                  仁)6g. - 수전복(水煎服), 하루 1제, 3 개월 1 료정
    2) 치매(痴呆) - 기혈양허(氣血兩虛) 겸 담울(痰鬱) 환자
        소심탕(蘇心湯) ≒ 백작(白芍), 포부자(炮附子), 생조인(生棗仁), 오수유(吳茱萸),
                                황연(黃連), 당귀(當歸), 인삼(人蔘), 복령(茯苓), 반하(半夏),
                                치자(梔子), 시호(柴胡). - 수전복(水煎服) 하루 2회.
    3) 치매(痴呆) - 위상담미심규(胃傷痰迷心竅) 환자
        계심구위탕(啓心救胃湯) ≒ 인삼(人蔘), 복령(茯苓), 백개자(白芥子), 석창포(石菖
                                            蒲), 신곡(神曲), 반하(半夏), 남성(南星), 황련(黃連),
                                            감초(甘草), 지각(枳殼).- 수전복(水煎服) 하루 2회
    4) 치매(痴呆) - 목울토쇠(木鬱土衰) 중초담적(中焦痰積) 불화자(不化者)
        환신지성탕(還神至聖湯)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신(茯神), 생조인(生棗仁),
                                            광목향(廣木香), 천남성(天南星), 형개(荊芥), 감초(甘
                                            草), 고량강(高良薑), 포부자(炮附子), 지각(枳殼), 석
                                            창포(石菖蒲).
    5) 치매(痴呆) - 소아(小兒) 지능발육(智能發育) 지완(遲緩)
        익지령(益智靈) ≒ 홍삼(紅蔘), 백삼(白參) 各1.5g, 용안육(龍眼肉), 복령(茯苓) 各
                                  10g, 오미자(五味子)3g, 산약(山葯)15g.- 과립충제(顆粒冲劑)
                                  매법 15~20g, 매일 2~3회, 3개월 1료정.
5. 연구보고(硏究報告)
    1) 왕열(王烈) 等  新中醫 1984 : ⑷ : 27
        대뇌발육부전(大腦發育不全) 아동 70명의 환자에 대한 변증치료(辨證治療)
        변증분위(辨證分爲) 삼형(三型)
        1) 간신부족형(肝腎不足型) : 상기생(桑寄生), 상심자(桑椹子), 오가피(五加皮), 목
                                                과(木瓜), 신근초(伸筋草) 各 10g, 당귀(當歸), 상지
                                                (桑枝), 음양곽(淫羊藿) 各7.5g.- 증상에 따라서 약
                                                을 가감(隨症加减)하였다.
        2) 심신부족형(心腎不足型) : 당귀(當歸), 복신(茯神), 익지인(益智仁) 各 10g, 석
                                                창포(石菖蒲), 원지(遠志), 흑지마(黑芝麻) 各7.5g.
                                                - 수증가감(隨症加减)
        3) 혼합형(混合型) : 상술안 약물을 종합해서 방약을 결정하였다.
            복약(服葯) 20일을 1 료정으로 하고, 료정간 간격을 10일로 하여 제 2료정을 진
            행하였으며 병행하여 이침(耳針)과 혈위주사(穴位主射)를 배합하였다.
            결과(結果) : 23예가 확실한 효과를 보았고, 37예가 유효하였다.
            총유효율 85.7%

    2) 왕지란(王志蘭) 等 中醫雜志 1989, 30 ⑾ : 44
        치료(治療) : 정신발육지체(精神發育遲滯) 아동 76명
        용약(用葯) : 익뇌편(益腦片) ≒ 당삼(黨參), 백출(白朮), 복령(茯苓), 숙지(熟地),
                                                  산수육(山茱肉), 택사(澤瀉), 당귀(當歸), 황기(黃
                                                  芪), 석창포(石菖蒲), 원지(遠志) 各10g, 진주모
                                                  (珍珠母)15g.- 이상의 약으로 18 편(片)을 만들
                                                  어서 매번 3편을 복용, 매일 3회
                                                  총유효율(總有效率) : 40.8%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