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0-10 16:19
[연구] 음양(陰痒) (de) vaginaler Juckreiz
 글쓴이 : admin
조회 : 10,995  
연구보고(硏究報告)

음양(陰痒) (de) vaginaler Juckreiz

    1) 이수락(李秀樂) 陜西中醫, 1993, 14 ⑹ : 276
        매화침(梅花針) 고자법(叩刺法)으로 35명의 외음소양(外陰瘙痒) 환자를 치료한 경
        과보고 이다.
        외음(外陰)을 소독한 후 매화침으로 환부에 경도의 출혈이 되도록 두드린다. 면
        (棉)으로 핏자국을 닦아 가면 두드리면 자극이 극에 달한 후에 편안해 진다.
        격일(隔日) 1 회. 치료 35예, 치유(治愈) 34예, 무효 1예(만성 담마진(蕁麻疹)).
        경자(輕者) 1회 치유, 중자(重者) 9회 치유, 평균(平均) 4회 치유(治愈).

        매화침(梅花針) 치료 외음소양
        ① 지통지양(止痛止痒)
        ② 국부충혈(局部充血), 수종(水腫), 염성분비물(炎性分泌物) 등이 나오도록 촉진
        ③ 메화침으로 두드린 자리에 약물이 잘 삼입(滲入)되어 치료효과를 높이고, 혈
            액순환을 개선하며, 신경(神經)을 영양(營養)시키고, 조직(組織)의 정상화를 촉직
            하며 조직의 재생능력을 높여 줌으로 지양(止痒)하고자 하는 최종목적에 도달하
            게 된다.
 
    2) 도홍(陶紅) 四川中醫 1991, 9 : 16
        도홍은 논술에 앞서 근래에 이르러 음양(陰痒)에 관한 중의학(中醫學)적 치료는
        내치법(內治法)과 외치법(外治法) 양종을 갈라놓을 없다는 것을 전제하고, 외치법
        은 간단하면서도 치료효과가 비교적 좋기 때문에 현재(目前) 많은 사람이 간단한
        외치법을 채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완고한 음양(陰痒)에 대한 치료에는 내치법과 배합이 거듭 요구되며, 이 방법은     
        좋은 치료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고 하였다.
        내치법(內治法)은 일반적인 임상에서 간경습열(肝經濕熱)과 간신음허(肝腎陰虛)의
        양형(兩型)으로 분류한다.
        ⑴ 간경습열형(肝經濕熱型)은 청열이습(淸熱利濕)하고 살충지양(殺虫止痒)해서
            ① 습(濕)이 편성(偏盛)한 환자에게는 비해승습탕(萆薢勝濕湯)을 사용하고,
            ② 열(熱)이 편성(偏盛)한 경우는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을 사용하는데 열독
                (熱毒)이 성하면 청열해독(淸熱解毒) 약물을 가중(加重)한다.
        ⑵ 간신음허형(肝腎陰虛型)은 자보간신(滋補肝腎)하고, 강화지양(降火止痒)하는         
            지백지황탕(知柏地黃湯) 가감(加减)을 사용한다.
            동시(同時)에 모두 황백(黃柏), 고삼(苦蔘), 백선피(白鮮皮), 학슬(鶴蝨), 백부(百
            部) 를 가미(加味)하여 살충지양(殺虫止痒)한다.
          【현대 약리연구】에서는 이 약들은 모두 적충(滴虫)과 매균(霉菌)등에 항균작용이
                                  있다고 표명하였다.
        외치법(外治法)은 주요하게 중약(中葯) 전탕훈세(煎湯熏洗) 혹은 충세(冲洗)가 있
        고, 산약(散葯)을 살포(撒布)하는 방법과 음도좌약(陰道坐葯)이 있다.
 
        비해삼습탕(萆薢滲濕湯)《瘍科心得集》거습제(祛濕劑)
                        조성 ≒ 비해(萆薢) 의이인(薏苡仁) 황백(黃柏) 적복령(赤茯苓) 목단피
                                  (牧丹皮) 택사(澤瀉) 활석(滑石) 통초(通草).
                        주치 : 습진(濕疹) 렴창(臁瘡).- 환부(患部) 삼출농수(滲出膿水) 교다
                                (較多), 소변단적(小便短赤) 설태황니(舌苔黃膩).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醫宗金鑑》청열제(淸熱劑)
                        조성 ≒ 용담초(龍膽草), 택사(澤瀉), 목통(木通), 차전자(車前子), 당
                                  귀(當歸), 생지(生地), 시호(柴胡),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
                                  초(甘草).
                        주치 : 간담실화(肝膽實火) 간경습열(肝經濕熱).- 눈이 붉고 엽구리가
                                아프며(협통목赤), 귀에서 소리가 들리며(耳聾), 이종(耳腫),
                                입에 쓴맛이 돌고 오줌색이 붉다(口苦溺赤), 설홍(舌紅), 태황
                                니(苔黃膩), 맥현삭(脈弦數).
                          ☞  역치(亦治) 부녀대하(婦女帶下) 병(病)이 간경습열하주(肝經濕
                                熱下注) 일때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