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1-27 15:28
[연구] 전증(癲證) - 간질병(癎疾病) epilepsia, (de) Epilepsie
|
|
글쓴이 :
admin
조회 : 10,148
|
연구(硏究)
전증(癲證) - 간질병(癎疾病) epilepsia, (de) Epilepsie
1) 고영한(高永漢) 等 北京中醫 學院學報 1991, 4 ⑷ : 17~18
식풍정간환(息風定癇丸)으로 전간(癲癇) 환자 120명을 치료한 총 결과보고
⑴ 양간(陽癇) - 선조(先兆) 정서파동(情緖波動)
1 호방 ≒ 담남성(膽南星), 천마(天麻), 법반하(法半夏), 지용(地龍), 청목향(靑木
香), 곽향(藿香), 진피(陳皮), 천축황(天竺黃), 침향(沉香), 천패모(川貝
母), 생지황(生地黃), 청몽석(靑礞石), 백반(白礬), 이축(二丑), 전갈(全
蝎), 구등(鉤藤), 석창포(石菖蒲), 복신(茯神), 단삼(丹參), 해부석(海浮
石), 빙편(氷片), 호박분(琥珀粉), 강즙(姜汁).
⑵ 음간(陰癇)
2 호방 ≒ 1 호방 去 빙편(氷片), 대황(大黃), 이축(二丑)., 加 황기(黃芪), 당귀
(當歸), 자하차(紫河車), 녹용(鹿茸), 황정(黃精), 강향(降香), 단향(檀
香), 오초사(烏梢蛇), 천오두(川烏頭).
⑶ 어간(瘀癇) - 뇌외상(腦外傷) 혹 출생시에 상처받은 산상사(産傷史)가 있는 환자.
3 호방 ≒ 1 호방 减去 백반(白礬), 빙편(氷片)., 加 천궁(川芎), 홍화(紅花), 계혈
등(鷄血藤), 우슬(牛膝).
밀환(蜜丸)을 만들어 매번 6~18g씩 매일 2회 복용한다. 소아는 약량
을 감량한다.
전간(癲癎)이 지속상태에 있는 환자로 항전간(抗癲癇)과 진정(鎭靜)
및 지경(止痙)을 위해 서의약(西醫葯)을 복용하는 환자는 증상이 완해
된 후에 본약을 복용케 하였으며, 담배, 술과 자극성음식을 금하게 하
고, 정신자격(精神刺激, 스트레스)을 피하고, 성생활을 금기하도록 하
였다.
치료 경과 56 ~ 183일이 지난 후
현효(顯效) : 발작 정지 > 2년 76예
유효(有效) : 발작 정지 < 2년 41예 - 발작 감소
무효(无效) : 3예
2) 염효성(閻孝誠) 小兒癲癇證治 第 1 版,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4, 185~193
중국 중의연구원 서원의원(西苑醫院) 아과전간연구소조(兒科癲癇硏究小組)와 기초
의학연구소(基礎醫學硏究所) 생리연구실(生理硏究室) 합작(合作)
아과명의(兒科名醫) 조심파(趙心波)의 경험방(經驗方) 화간지추이호(化癇止抽二号)
≒ 청몽석(靑礞石), 지용(地龍), 구등(鉤藤), 천마(天麻), 도인(桃仁), 홍화(紅花), 법
반하(法半夏), 전갈(全蝎), 담남성(膽南星), 이축(二丑), 백반(白礬), 침향(沉香),
생대황(生大黃), 인공우황(人工牛黃).
동물을 이용하여 다종의 실험연구를 진행시킨 것이다.
실험결과 : 화간지추이호(化癇止抽二号)는 근본적으로 발병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있으며 비교적 전간성(癲癇性) 방전(放電)과 확산(擴散)을 억제하는 좋은 효
과가 있다는 것을 획득(獲得)하였다.
3) 양금안(楊金安) 中醫雜志 1989, 30 ⑼ : 15
전간(癲癇)이 지속상태(持續狀態)에 있는 8명의 환자에 대하여 침자치료를 채용한
보고이다.
취(取) : 사투(四透), 사관(四關), 인중(人中), 백회(百會), 용천(湧泉), 십선(十宣),
간사(間使), 신문(神門), 관원(關元), 풍륭(豊隆), 인당(印堂), 풍지(風池),
삼음교(三陰交) 등혈
십선(十宣)은 점자(点刺)해서 방혈(防血)하고, 기타 혈(其他穴)은 모두 사
법(瀉法)으로 시치(施治)하였으며 완해(緩解)한 후에는 평보평사(平補平
瀉)하였다.
8명의 환자 중에 병정(病程) 제일 오래된 자는 7년이고 제일 짧은 환자는 1개월이었
으며 1회 발작시간이 제일 긴 것이 2시간 동안이었다.
치료결과 ① 8예 모두 2~10분간 내공제(內控制) 증상(症狀)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2~5분간 공제자(控制者) 5예, 6~10분간 공제자(控制者) 3
예이다.
② 치료 후 수방(隨訪) 2년 동안 재발(復發)하지 않은 환자가 3예었고
③ 1예가 수방(隨訪) 8년 재발(復發)하지 않았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