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08-01 11:49
글쓴이 :
admin
조회 : 10,978
|
第一節 解表葯(해표약)
1) 風寒表實證(풍한표실증)의 요약은 麻黃(마황)이다.
⑴ 麻黃(마황) Ephedrae Herba
① 發汗(발한), 平喘(평천), 利水(이수) 등 3 가지 공효를 가진 약이다.
② 外感風寒(외감풍한) 表實證(표실증)으로 오한이 중하고, 발열이 경하며,
땀이 없고, 咳嗽(해수)와 氣喘(기천)에 사용한다.
③ 水腫病(수종병)에 表證(표증)을 겸한 경우 사용한다.
④ 惡寒重(오한중), 發熱輕(발열경)과 같은 表證(표증)에 咳喘(해천)이 있을 때
사용한다.
⑤ 肺(폐)의 鬱熱(울열)로 인한 기침과 천식(咳喘)에 麻黃(마황)과 石膏(석고),
Gypsum Fibrosum - 를 배합한다.
2) 땀을 많이 흘릴 때 收澁止汗(수삽지한) 약으로 麻黃根(마황근)을 사용한다.
3) 四肢(사지)가 차고 처리고 아프며, 氣血循環(기혈순환)이 잘 안될 때 桂枝(계지)를
사용한다.
⑵ 桂枝(계지) Cinnamomi Ramulus
① 惡寒發熱(오한발열), 表虛有汗(표허유한)에 사용하고
② 惡風發熱(오풍발열), 表虛有汗(표허유한)에 사용하며
③ 胸痺疼痛(흉비동통)에 溫通陽氣(온통양기)를 위하여 사용하고,
④ 痛經(통경)과 閉經(폐경)의 원인이 寒滯血脈(한체혈맥)과 經寒瘀滯(경한어체)
로 인한 것을 치료하며
⑤ 胸痺疼痛(흉비동통)에 사용하고
⑥ 寒滯血脈(한체혈맥) 經寒瘀滯(경한어체)로 痛經(통경)에 최적이며
⑦ 通陽功效(통양공효), 又有溫經(우유온경), 發汗解表(발한해표)에 사용
⑧ 水濕(수습)의 邪氣(사기)로 막혀 陽氣(양기)가 불통할 때 사용한다.
⑨ 調和營衛(조화영위) 表虛有汗(표허유한)에는 桂枝(계지)와 白灼(백작,
Paeoniae Alba Radix)을 배함한다.
4) 行氣寬中(행기관중)에 능하고, 發汗解表(발한해표)에 능한 약 紫蘇(자소)
⑶ 紫蘇(자소) Perillae Folium / - Fructus
① 紫蘇(자소)의 功效(공효)는 發汗解表(발한해표)와 安胎(안태)이다.
② 外感風寒(외감풍한)에 感受(감수)되어 가슴에 氣滯(기체)가 생긴 자는
우선적으로 紫蘇(자소)를 써야 한다.
③ 外感風寒(외감풍한)으로 脾胃氣滯(비위기체)자에게는 우선적으로 사용
하여야 한다.
④ 安胎(안태)를 겸하여 解表(해표)시킬 수 있는 약이다.
5) 暑濕(서습)에 感受(감수)되어 發熱(발열), 惡寒(오한), 吐瀉(토사)에 가장
맞당한 약은 ⑷ 香薷(향유, Moslae Herba)이다.
6) 風寒濕邪(풍한습사)의 침습을 받으므로서 肢節疼痛(지절동통), 肩背酸痛(견배산통)
의 上半身疼痛(상반신동통)을 위주로 하는데 가장 좋은 약은 羌活(강활)이다.
⑸ 羌活(강활) - Notopterygii Rhizoma et Radix
① 風寒頭痛(풍한두통)을 치료한다.
7) 祛風解表(거풍해표) 가장 맞당한 약은 防風(방풍)이다.
⑹ 防風(방풍) - Sacoshnikoviae Radix
① 祛風解表(거풍해표)하는 공효가 荊芥(형개, Schizonetae Flos)도 같다
② “風家潤葯(풍가윤약)”이라 하며 또 祛風止痙(거풍지경)에 좋은 약이다
8) 祛風止痛(거풍지통)하는 약으로 陽明頭痛(양명두통)에 좋은 약은 白芷(백지)이다.
⑺ 白芷(백지) - Angelicae Dahurivae Radix
① 消腫排膿(소종배농)에 능하고 또 宣通鼻竅(선통비규)에도 능하다.
② 風寒(풍한)을 感受(감수)받은 前額疼痛(전액동통, 전두통)에 유효하다
③ 陽明頭痛(양명두통)에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약이다.
9) 風寒(풍한)의 사기에 감수된 感冒(감기)에 겸하여 胃寒嘔吐(위한구토)를 하는 환자
에게는 ⑻ 生薑(생강, Zingiberis Rhizoma)을 쓴다.
10) 무더운 여름에 麻黃證(마황증) 환자에게 적합한 약은 香薷(향유)이다.
麻黃證(마황증)이란 風寒感冒(풍한감모) 表實證(표실증)으로 그 증상이 惡寒輕(오
한경), 發熱重(발열중), 땀이 없고, 맥이 浮緊(부긴)한 증상을 해제 시키는 효능이 있
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므로 마황의 성미는 맵고, 더운약이며, 發汗(발한)과 解
表(해표)하는 그 성능이 매우 강하므로 무더운 여름철이나 남방의 더운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사용에 신중하였다. 그래서 증상은 같은데 기후가 합당하지 못한 여름감기
(暑濕感冒(서습감모)에는 香薷(향유)를 써 왔다. 이 약은 오한발열에 땀이 없고, 복
통과 구토 및 설사를 하는 증상을 다스리며 임상에서 발한, 해열, 이뇨, 소염하는 효
능을 활용해서 水腫(수종) 및 肝(간)의 熱火(열화)를 식히는데 쓴다. 민간에서는 약
초 전체(全草)를 浴湯料(욕탕료)로 사용한다.
⑼ 香薷(향유) - Moslae Herba "夏日麻黃(하일마황)“
- 發汗(발한)시켜서 表邪(표사)를 해제하고 또한 中焦(脾胃)를 조화롭게 하여 濕
(습)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11) 体表(체표)에 갇혀있는 風熱(풍열)을 疏散(소산)시키고 또한 咽喉(인후)를 통하게
하며, 皮下(피하)에 疹(진)이 發疹(발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透疹(투진)시키는 공
효가 있는 약은 薄荷(박하)이다.
⑽ 薄荷(박하) - Menthae Herba
① 風熱(풍열)을 疏散(소산)하고 또 한편 肝氣(간기)가 鬱滯(울체)된 것을
解疏(해소)시켜 준다.
② 風熱(풍열)의 침습으로 頭痛(두통), 눈이 붉고(目赤), 咽喉(인후)가 不利(불리)
한데 가장 적합한 약이다.
③ 風熱(풍열)을 疏散(소산)하여, 머리와 눈을 맑게(淸利頭目)하고, 咽喉(인후)
를 통하게 하는 약이다.
12) 疏風(소풍)하고 熱(열)을 내리게(淸熱)해서, 肝(간)을 맑게 하고, 눈을 밝게 하는 약
은 ⑾ 桑葉(상엽, Mori Folium)이다.
13) 風熱(풍열)을 疏散(소산)하고, 肝(간)의 陽氣(양기)를 내려 陰(음)과 수평이 되게하
는 약은 ⑿ 菊花(국화, Chrysanthemi Flos)이다.
14) 風邪(풍사)를 제거하여 痙攣(경련)를 멈추게 하고, 또한 翳障(예장, 內障)을 물리쳐
서 눈을 맑게 하는 약으로는 ⒀ 蟬衣(선의, 蟬退)이다.
15) 表邪(표사)를 해제하여 熱(열)을 흘러 나가게 하고, 또한 肝氣(간기)가 鬱滯(울체)
된 것을 통하게 하는 데는 柴胡(시호)를 사용한다.
⒁ 柴胡(시호) - Bupleuri Radix
外邪(외사)를 感受(감수)하여 寒邪(한사)와 熱邪(열사)가 왕래함에 따라서
옆구리 갈비뼈 부위인 脇肋(협늑)이 불러올라 아픈 脹痛(창통)을 다스린다.
16) 外感病(외감병)으로 몸에 열이 있으나, 땀은 없고, 두통이 있고 agr이 뻣뻣한 項强
(항강) 증에는 우선적으로 葛根(갈근)을 쓴다.
⒂ 葛根(갈근) - Puerariae Radix
- 陽氣(양기)를 끌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 表證(표증)과 겸하여 口渴(구갈)과 목이 뻣뻣한 項强(항강)을 다스린다.
17) 外感風寒(외감풍한)의 邪氣(사기)로 頭痛(두통)과 몸이 몹시 아플 때는 辛夷(신이)
를 사용한다. -⒃ Magnoliae Flos
18) 表邪(표사)를 해제하며, 또한 止血(지혈)하는 약은 荊芥(형개)이다.
⒄ 荊芥(형개) - Schizonetae Herba
19) 淸熱(청열)하고 解毒(해독)하며, 痲疹(마진)을 透疹(투진)시키는 약은 升麻
⒅ (승마)이다. - Cimicifugae Rhizoma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