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6-28 13:48
[의방집성(醫方集成)] 생철락음《醫學心悟》 - 석창포탕《醫方一盤珠》卷七 引《石室秘彔》
|
|
글쓴이 :
admin
조회 : 10,675
|
생철락음(生鐵落飮)《醫學心悟》거담제(祛痰劑)
조성 ≒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冬), 패모(貝母), 담성(膽星), 귤홍(橘紅), 원지(
遠志), 석창포(石菖蒲), 연교(連翹), 복령(茯苓), 복신(茯神), 현삼(玄參), 구
등(鉤藤), 단삼(丹參), 주사(朱砂), 생철락(生鐵絡).
치법 : 청심척담(淸心滌痰), 진심사간(鎭心瀉肝).
주치 : 담옹내폐(痰壅內閉)지 전광(癲狂).- 경전발광(驚癲發狂) 희노무상(喜怒无常)
혹 정신억울(精神抑鬱) 표정담막(表情淡漠) 신지치매(神志痴呆) 어무논차(語
无論次) 불사음식(不思飮食) 설태후니(舌苔厚膩) 맥현활(脈弦滑).
역치(亦治) 후풍(喉風) 유아(乳蛾).
생포황탕(生蒲黃湯)《中醫眼科六經法要》치목제(治目劑)
조성 ≒ 생포황(生蒲黃), 한련초(旱蓮草),생지황(生地黃),형개탄(荊芥炭),단피(丹皮),
단삼(丹參), 천궁(川芎), 울금(鬱芩).
주치 : 허화상락(虛火傷絡)지 운무이정(云霧移睛).- 자각안전흑화비무(自覺眼前黑花
飛舞) 시력하강(視力下降) 유리체(琉璃體) 가견점상(可見点狀), 혹(或) 서상(
絮狀), 단괴상혼탁(團塊狀混濁) 안저유출혈(眼底有出血) 두운이명(頭暈耳鳴)
심번소매(心煩少寐) 구조인건(口燥咽乾) 설홍소태(舌紅少苔) 맥현세(脈弦細)
생혈보수탕(生血補髓湯)《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당귀(當歸), 천궁(川芎),백작(白芍),생지황(生地黃)) 가(加)
홍화(紅花), 황기(黃芪), 두중(杜仲), 속단(續斷), 오가피(五加皮), 회우슬(
懷牛膝).
주치 : 골절후기(骨折后期) 기허혈소(氣虛血少)자
생혈윤부탕(生血潤膚湯)《醫學正傳》
조성 ≒ 당귀(當歸), 숙지(熟地), 생지(生地), 황기(黃芪), 천동(天冬),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승마(升麻), 황금(黃芩), 도인(桃仁), 홍화(紅花), 과루인
(瓜蔞仁).
효용 : 양혈윤조(養血潤燥)
주치 : 백비(白疕) ; 머리에 발생한 부스럼.
생화가삼탕(生化加參湯)《傳靑主女科》
조성 ≒ 人參(인삼), 當歸(당귀), 川芎(천궁), 白朮(백출), 香附(향부).
생화탕(生化湯)《景岳全書》
조성≒ 포강(炮姜), 당귀(當歸), 천궁(川芎), 도인(桃仁), 감초(炙甘草), 동변(童便)
주(酒).
생화탕(生化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감초(甘草), 포강(炮姜), 도인(桃仁).
주치 : 산후오로불행(産后惡露不行).- 혹(或) 하지심소(下之甚少), 색자암(色紫黯) 소복
냉통거안(小腹冷痛拒按) 통처유괴(痛處有塊) 설자암(舌紫黯) 맥삽(脈澁).
서각산(犀角散)《證治准繩》
조성 ≒ 水牛角(수우각), 天麻(천마), 羌活(강활), 枳殼(지각), 防風(방풍), 黃芪(황기),
白疾藜(백질려), 黃芩(황금), 白鮮皮(백선피), 檳榔(빈낭), 甘草(감초), 烏蛇(오
사).
서각산(犀角散)《備急千金要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서각(犀角), 흑치(黑梔), 황련(黃連), 승마(升麻), 인진(茵陣).
주치 : 급황(急黃).- 황달(黃疸) 급속가심(急速加深), 몸과 눈의 색이 심황색(身目呈深黃
色) 고열구갈(高熱口渴) 소변심황(小便深黃), 배가 뺑뺑히 부르고
옆구리가 아프며(腹脹脇痛),마음이 번거롭고 조급하면 불안하고(煩躁不安), 혹
정신을 잃고 횡설수설(神昏譫語)하며, 혹은 토혈(吐血) 변혈(便血) 코피(衄血)를
흘리거나 몸에 반진(斑疹)이 돗는다.
☞ 역치(亦治) 풍습열비(風濕熱痺) 화화상진(化火傷津).- 관절홍종(關節紅腫), 동통
극열(疼痛劇烈), 입야우심(入夜尤甚), 장열번갈(壯熱煩渴), 설홍소진(舌紅少津),
맥현삭(脈弦數).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서각(犀角), 형개(荊芥), 방풍(防風), 금은화(金銀花), 생감초(生甘草), 우방
자(牛蒡子).- 육미조성(六味組成)
주치 : 제창(臍瘡).- 제부홍종열통(臍部紅腫熱痛), 심칙(甚則) 미란유농수(糜爛流膿
水), 오한장열(惡寒壯熱), 제곡번조(啼哭煩躁), 구건진홍(口乾唇紅),설홍(舌
紅) 중자(重者) 신혼추축(神昏抽畜).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千金方》청열제(淸熱劑)
조성 ≒ 서각(犀角, 水牛角), 생지황(生地黃), 모단피(牡丹皮), 작약(赤芍葯).
- 水煎服
효용 : 양혈(凉血) 청열해독(淸熱解毒)
주치 : 1) 혈에 열이 있으므로 인한 출혈(血熱妄行),- 토혈(吐血) 뇨혈(尿血) 변혈(
便血), 혈색선홍(血色鮮紅), 반색자흑(斑色紫黑), 실증고열(實證高熱)에
마음이 번거롭고 조급하며, 혀가 붉고 혓바늘이 돋았고, 맥삭유력(脈數有
力). 또는
온병열독심입혈분(溫病熱毒深入血分)으로 다견(多見) 하는 것은 반진자
흑 (斑疹紫黑), 토혈(吐血), 뉵혈(衄血), 변혈(便血) 혹은 한혈(汗血)하며,
신체작열(身体灼熱)하여, 조요불안(躁擾不安)해하고,설질자강(舌質紫絳)
하다, 이것은(此爲) 열독지사(熱毒之邪)가, 박혈망행(迫血妄行)하여, 작
상혈락(灼傷血絡)하고, 혈일맥외(血溢脈外) 즉 출혈한다.
2) 춘온(春溫) - 열입혈분증(熱入血分證)
3) 서온(暑溫) - 열입혈분증(熱入血分證)
⑴ 合 은교산(銀翹散)《溫病條辨)》
⑵ 合 신서단(神犀丹)《溫熱經緯》
4) 습온(濕溫)
⑴ 열입혈분증(熱入血分證)
加 연교(連翹), 자초(紫草), 천근(茜根), 은화(銀花) 등
청열양혈지혈(淸熱凉血止血)하고 하혈불지(下血不止)와 정기외탈(正
氣外脫)을 방지한다.
⑵ 습열화조(濕熱化燥)하여 하주대장(下走大腸)하면 두 가지(兩種)의 정
황(情况)이 나타나는데 그 중에 조사(燥邪)가 음락(陰絡)을 손상하면
열박혈행(熱迫血行)하므로 변혈(便血)이 있고, 대부분 번조(煩躁), 작
열(灼熱)하고 땀을 흘리지만 열이 사라지지 않으며(有汗不退), 목이 말
라 자주 성급하게 물을 마시고(煩躁渴飮), 색이 진한 소변을 적게 보는
(小溲短赤) 등 특징이 있다. 유독 열(熱)이 성한(偏盛) 사람은 혈색(血
色)이 대체로 깨끗하고(鮮), 유독 습(濕)이 중한(偏重) 사람은 혈색(血
色)이 대체로 어둡다(暗). 이것은 습열화조(濕熱化燥)가 깊이 영혈에
들어간(深入營血) 열독치성(熱毒熾盛)에 속하는 것으로 음락(陰絡)을
손상한 때문이다. 이는 청열양혈(淸熱凉血)을 위주로 치료함이 마땅하
다.
엽천사(葉天士)는 “入血就恐耗血動血(입혈취공모혈동혈), 直須凉血散
血(직수량혈산혈).”라 하였다.
열성자(熱盛者) : 加 현삼(玄參), 자초(紫草). 등류(等類)
습성자(濕盛者) : 加 곽향엽(藿香葉), 선창포(鮮菖蒲). 등품(等品)
만약 재발하여 하혈(下血), 설질(舌質)이 벗겨진 것 같이 반질반질한
것이 마치 감(柿)과 같은 사람이 먼저 하혈(下血)의 조짐(先兆)이 있으
면 역시 미리 준비했다가 졸라매어 두는 것이(未雨綢繆) 마땅하다
5) 창양(瘡瘍), 약진(葯疹), 홍반성낭창(紅斑性狼瘡), 소상(燒傷), 농독패혈증
(膿毒敗血症), 급복증(急腹症) 等, 열입영혈(熱入營血), 열독치성(熱毒熾
盛).
6) 口瘡(구창) - 心胃火盛證(심위화성증)
7) 化學性眼外傷(화학성안외상)
8) 습열화조(濕熱化燥)하여 하주대장(下走大腸)하면 두 가지(兩種)의 정황
(情况)이 나타나는데
하나는 조사(燥邪)가 음락(陰絡)을 손상하면 열박혈행(熱迫血行)하므로
변혈(便血)이 있고, 대부분 번조(煩躁), 작열(灼熱)하고 땀을 흘리지만 열
이 사라지지 않으며(有汗不退), 목이 말라 자주 성급하게 물을 마시고(煩
躁渴飮), 색이 진한 소변을 적게보는(小溲短赤) 등 특징이 있다. 유독 열(
熱)이 성한(偏盛) 사람은 혈색(血色)이 대체로 깨끗하고(鮮), 유독 습(濕) 이 중한(偏重) 사람은 혈색(血色)이 대체로 어둡다(暗).
이것은 습열화조(濕熱化燥)가 깊이 영혈에 들어간(深入營血) 열독치성(熱
毒熾盛)에 속하는 것으로 음락(陰絡)을 손상한 때문이다. 이는 청열양혈(
淸熱凉血)을 위주로 치료함이 마땅하다.
엽천사(葉天士)는 “入血就恐耗血動血(입혈취공모혈동혈), 直須凉血散血(
직수량혈산혈).”라 하였다.
열성자(熱盛者) : 加 현삼(玄參), 자초(紫草). 등류(等類)
습성자(濕盛者) : 加 곽향엽(藿香葉), 선창포(鮮菖蒲). 등품(等品)
만약 재발하여 하혈(下血)하며, 설질(舌質)이 벗겨진 것 같이 반질반질한
것이 마치 감(柿)과 같은 사람이 먼저 하혈(下血)의 조짐(先兆)이 있
으면 역시 미리 준비하여 졸라매어 두는 것이(未雨綢繆) 마땅하다.
서각해독음(犀角解毒飮)《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서각(犀角), 우방자(牛蒡子), 형개수(荊芥穗), 방풍(防風), 은화(銀花), 연교
(連翹), 천황련(川黃連), 생감초(生甘草), 적작(赤芍), 생지(生地). 등심(燈
芯) 위인(爲引).
주치 : 적유단(赤游丹).- 국부피부홍종(局部皮膚紅腫) 형여운편(形如云片) 흔열종
통(焮熱腫痛) 유주부정(游走不定) 발열오한(發熱惡寒) 번조다제(煩躁多啼)
설홍태황(舌紅苔黃).
서간궤견탕(舒肝潰堅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하고초(夏枯草), 진피(陣皮), 시호(柴胡), 당귀(當歸), 천궁(川芎), 향부(香
附), 백작(白芍), 정심(灯心), 홍화(紅花), 강잠(姜蚕), 강황(姜黃), 천산갑
(穿山甲), 석결명(石決明), 감초(甘草).
주치 : 라력(瘰癧).- 종괴견경(腫塊堅硬) 추지불이(推之不移) 불홍불열(不紅不熱)
정지불창(情志不暢) 번조울민(煩躁鬱悶).
서간활혈산(舒肝活血散)《遼寧中醫雜志》1988 ; 4 : 32
조성 ≒ 當歸尾(당귀미), 赤芍(적작), 丹參(단삼), 紅花(홍화), 枳實(지실), 柴胡(시
호), 陣皮(진피), 香附(향부), 靑皮(청피), 穿山甲(천산갑), 橘核(귤핵), 全
蝎(전갈), 土鱉虫(토별충), 姜蚕(강잠), 白花蛇(백화사) 各等分.
上爲細末. 裝入膠囊. 每次 5 克, 1 日 2 次. 1 月爲 1 療程,每療程間隔 10 天
효용 : 소간활혈(疏肝活血), 거어통락(祛瘀通絡) .
주치 : 음경경결(陰莖硬結), 증속간울기체(症屬肝鬱氣滯),혈어조락자(血瘀阻絡者).
증견 음경경결(症見陰莖硬結), 음부추창(陰部墜脹) 혹자통(或刺痛), 소변시
(小便時) 미각창통(微覺脹痛), 협창(脇脹), 혹 양강(陽强), 설유어점(舌有瘀
点), 맥현혹삽(脈弦或澁).
서과상(西瓜霜)《瘍醫大全》
조성 ≒ 西瓜(서과), 皮硝(피초).
서근탕(舒筋湯)《婦人良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강활(羌活), 해동피(海桐皮), 강황(姜黃), 백출(白朮), 감초(甘草), 당귀(當歸), 적작(赤芍).
주치 : 비증(痺證).- 외감풍한(外感風寒), 견비작통(肩臂作痛), 설담태백(舌淡苔白), 맥
부긴(脈浮緊)
서근탕(舒筋湯) 골상제(骨傷劑)
(一)《中醫傷科學》
조성 ≒ 강활(羌活), 목과(木瓜), 상기생(桑寄生), 골쇄보(骨碎補),오가피(五加皮),
당귀(當歸), 진피(陣皮), 신근초(伸筋草). 팔미약(八味葯)
주치 : 골절급관절(骨折及關節) 탈위후기(脫位后期) 혹(或) 연조직병변(軟組織病
變) 이치적(而致的) 근락구련동통(筋絡拘攣疼痛).
(二)《外傷科學》
조성 ≒ 당귀(當歸), 백작(白芍), 관근등(寬筋藤), 송절(松節), 강활(羌活), 방풍(防
風), 해동피(海桐皮), 강황(姜黃), 감초(甘草), 천속단(川續斷). - 십미약(
十味葯)
주치 : 골절급관절(骨折及關節) 탈위후기(脫位后期) 혹(或) 연조직병변(軟組織病
變) 이치적(而致的) 근락구련동통(筋絡拘攣疼痛).
서근탕(舒筋湯)《驗方》영아제(嬰兒劑)
조성 ≒ 天麻(천마), 何首烏(하수오), 木瓜(목과), 鉤藤(구등), 桂枝(계지), 海螵蛸(해표
소), 伸筋草(신근초), 麥芽(맥아).
서근환(舒筋丸)《劉壽山正骨經驗》골상제(骨傷劑)
조성 ≒ 유향(乳香), 몰약(沒葯), 생감초(生甘草), 마황(麻黃), 계지(桂枝), 제마전자(制
馬前子), 홍화(紅花), 혈갈(血竭), 초쉬자연동(醋淬自然銅), 방풍(防風), 찬지풍
(鑽地風), 강활(羌活), 독활(獨活), 회우슬(懷牛膝), 두중(杜仲), 목과(木瓜), 천
패모(川貝母).
-십칠미약(十七味葯)
주치 : 각종근상(各腫筋傷) 환냉비통(患冷痹痛)
서근활혈탕(舒筋活血湯)《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강활(羌活), 독활(獨活), 형개(荊芥), 방풍(防風), 홍화(紅花), 속단(續斷),
두중(杜仲), 당귀(當歸), 우슬(牛膝), 오가피(五加皮), 지각(枳殼), 청피(靑
皮).- 십이미약(十二味葯)
주치 : 연조직손상(軟組織損傷) 급(及) 골절탈위(骨折脫位) 후기(后期) 근육련통(
筋肉攣痛)자.
서여환(薯蕷丸)《金匱要略》보익제(補益劑)
조성 ≒ 산약(山葯, 薯蕷), 당귀(當歸), 건지황(乾地黃), 계지(桂枝), 신곡(神曲), 대두
(大豆), 황권(黃卷), 감초(甘草), 천궁(川芎), 맥문동(麥門冬), 작약(芍葯), 백출 (白朮), 행인(杏仁), 인삼(人蔘), 시호(柴胡), 길경(桔梗),복령(茯苓),아교(阿膠), 건강(乾姜), 백렴(白蘞), 방풍(防風), 대조(大棗).
효용 : 부정거사(扶正祛邪)
주치 : 허로(虛勞).- 사지핍력(四肢乏力)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캄캄하고 앗찔한 증상
(頭目眩暈), 마음이 번거롭고 풀리지 않아 답답한(心煩鬱悶), 식욕부진으로 몸이
야위고 쇠약하여지고(리수납감(羸瘦納减), 등과 허리의 골절들이 자주 아프고
(骨節腰背煩痛), 모든 풍기의 질환(風氣諸疾)을 다스린다.
서연원(瑞蓮元)《入門(입문)》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蒼朮(창출, 脾를 主한다) 一斤(일근)은 生用(생용)으로 한 四兩(사량)을,酒(주)
醋(초), 米汁(미즙)에 각각 四兩(사량)씩 浸(침)하고, 蓮肉(연육, 心을 主한다)
一斤(일근)을 皮(피)와 心(심)을 버리고 酒浸(주침)하여 軟(연)해지거든 猪肚(
저두, 돼지 위)에 넣어 무르녹게 삶아 내어서 焙乾(배건)하고(蓮肉(연육) 1근
이면 猪肚(저두) 2개를 써야한다.), 枸杞子(구기자, 肝을 主한다), 五味子(오미
자, 肺를 主한다), 破故紙(파고지, 胃를 主한다), 熟地黃(숙지황, 血을 主한다)
各二兩(각이량)을 作末(작말)하고, 前(전)에 猪肚(저두)를 찧어 膏(고)를 만든
뒤에 酒煎糊(주전호)에 梧子大(오자대)와 같이 和丸(화환)을 지어 술로 50~
7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 한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心(심)을 定(정)하고, 腎(신)을 따뜻하게 하며, 血(혈)을
낳고, 痰(담)을 化(화)한다.
서영삼즙음(犀羚三汁飮)《通俗傷寒論》
조성 ≒ 서각(犀角), 연교(連翹), 백미(白薇), 조각자(皂角刺), 영양각(羚羊角), 울금
(鬱芩), 천죽황(天竹黃), 모단피(牡丹皮), 죽력(竹瀝), 선석창포즙(鮮石菖
蒲汁), 생우즙(生藕汁).
효용 : 청열식풍(淸熱息風), 개규투락(開竅透絡).
주치 : 복서 열입영분증(伏暑熱入營分證)에서 경궐이 병행하여 발작한 환자(痙厥
幷發者)의 경우를 다스린다.
서지청락음(犀地淸絡飮)《通俗傷寒論》청열제(淸熱劑)
조성 ≒ 서각(犀角), 모단피(牡丹皮), 연교(連翹), 죽력(竹瀝), 생지황(生地黃), 적작
(赤芍), 도인(桃仁), 생강즙(生姜汁), 선창포즙(鮮菖蒲汁), 백모근(白茅根),
등심(燈芯).
효용 : 청영설열(淸營泄熱), 개규통어(開竅通瘀).
주치 : 열폐심포(熱閉心包) 혈락어체(血絡瘀滯).- 신혼섬어(神昏譫語), 발열야심(發
熱夜甚), 설강무태(舌絳无苔) 자회이윤(紫晦而潤).
서황산(犀黃散)《中醫眼科學講義》1964 年, 치목제(治目劑)
조성 ≒ 西月石粉(서월석분)15, 冰片(빙편)9, 麝香(사향)0.9, 犀黃(서황)1.2.
共硏極細末 瓷甁收貯 用時点于內眦.
주치 : 椒瘡(초창) 粟瘡(속창) 火疳(화감) 白澁症(백삽증) 聚星障(취성장) 赤膜下垂(적
막하수) 血翳包睛(혈예포정).
서황환(犀黃丸)(西黃丸)《外科證治全生》옹양제(癰瘍劑)
조성 ≒ 성소환(醒消丸) 감(减) 웅황(雄黃), 가(加) 서우황(犀牛黃).,
유향(乳香), 몰약(沒葯) 各30, 사향(麝香)4.5, 서우황(犀牛黃)0.9.
先將 乳香 沒葯 各硏細末, 再加 西黃 麝香共硏; 用煮爛黃米飯 30g,入葯粉搗和
爲丸 如萊菔子大. § 晒乾忌烘. 每天 3~9g, 溫開水 或陳酒送下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화영소종(和營消腫).
주치 : 1) 유암(乳岩), 라력(瘰癧), 담핵(痰核), 황현(黃痃), 류주(流注) 폐옹(肺癰), 소장
옹(小腸癰)
2) 痰核(담핵)
석결명산(石決明散)《普濟方》치목제(治目劑)
조성 ≒ 석결명(石決明), 대황(大黃), 치자(梔子), 맥문동(麥門冬), 적작(赤芍), 초결명
(草決明), 청상자(靑葙子), 목적(木賊), 형개(荊芥), 강활(羌活).
효용 : 청열평간(淸熱平肝), 산사명목지공(散邪明目之功).
주치 : 원예내장(圓翳內障)
간열이 상초를 요동시키어(肝熱上擾), 투명한 눈알이 혼탁해지고(晶珠混濁),
시력이 서서히 떨어지며(視力緩降), 눈이 껄끄럽고 머리가 아프며(頭痛目澁),
머리가 상쾌하지 못하고(頭昏不爽), 눈곱이 빈번하게 촛농처럼 많이 나오고
(眵多泪頻), 입 안이 쓰고 목이 마르며(口苦咽乾), 혀는 붉고 태는 누르며(舌
紅苔黃),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르는 뜻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
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弦數)
석고탕(石膏湯) (三黃石膏湯)《外台秘要》표리쌍해제(表裏雙解劑)
조성 ≒ 석고(石膏)30, 황금(黃芩), 황련(黃連), 황백(黃柏) 각6, 치자(梔子)9,마황(麻黃)
9, 두시(豆豉)9.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발한해표(發汗解表).
주치 : 상한(傷寒) 표증미해(表證未解)로 인하여, 리열이 이미 치성하며(里熱已成) 몸은
장열(壯熱)이 나지만 땀이 없고(壯熱无汗), 신체침수구급(身體沈垂拘急)하고 코
가 마르고 구갈이 나며(鼻乾口渴), 얼굴과 귀가 붉고(面紅耳赤), 마음이 번거롭
고 잠이 오지 않으며(煩躁不眠), 혹은 정신을 잃고 말을 횔설수설(神昏譫語)하기
도 하는데 맥은 순조롭고 원활하며 한 번 호흡하는 동안에 5 번 이상 맥박이 뛴
다(脈滑數).
☞ 도절암(陶節庵)《傷寒六書》“三黃石膏湯” 較本方增 姜, 棗, 茶.
주치 : 상한병(傷寒病)을 한토하법(汗吐下法)으로 오치(誤治)한 후에,삼초(三焦)
에 모두 열(熱)이 있고, 몸과 눈이 모두 아픈(身目俱痛) 증상을 다스린다.
석고해독탕(石膏解毒湯)《中醫外科學》
조성 ≒ 生石膏(생석고), 知母(지모), 丹皮(단피), 玄參(현삼), 赤芍(적작), 連翹(연
교), 銀花(은화), 大靑葉(대청엽), 白茅根(백모근).
석곡야광환(石斛夜光丸)《審視瑤函》《原機啓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석곡(石斛), 산약(山葯), 지각(枳殼), 감초(甘草), 인삼(人蔘), 복령(茯苓),
토자(菟絲子), 구기자(枸杞子), 주우슬(酒牛膝), 천문동(天門冬), 맥문동
(麥門冬),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육종용(肉蓗蓉), 방풍(防風),
국화(菊花), 서각(犀角), 영양각(羚羊角), 사원질려(沙苑蒺藜), 청상자(靑
葙子), 초결명(草決明), 행인(杏仁), 북오미(北五味), 황연(黃連), 천궁궁
(川芎窮),.
이십오미조성(二十五味 組成). 연밀위환(煉蜜爲丸) 온주(溫酒) 혹(或) 담
염탕(淡塩湯) 송복(送服).
주치 : 1) 圓翳內障(원예내장)
간신양휴(肝腎兩虧) 음허화왕(陰虛火旺) 중기부족(中氣不足)의 목병(目
病). 내장목암(內障目暗), 동신산대(瞳神散大), 시물혼화(視物昏花) ,복시
(復視), 허화목통(虛火目痛).
2)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눈이 어두워지는(鎭心明目) 것은 간신에
정혈이 모두 줄어들고(屬肝腎精血兩虧) 겸하여 양이 항성하고 풍이 일어
나는(兼陽亢動風) 것에 속하는 사람은 석곡야광환(石斛夜光丸)을 항상
첨가해서 복용한다(加常服).
석류산(錫類散)《金匱翼》이비제(耳鼻劑)
조성 ≒ 상아(象牙屑)15, 청대(靑黛)30, 인지갑(人指甲)1.5, 진주(珍珠)0.9, 빙편(冰片)
0.9 우황(牛黃)1.5. 벽전(壁錢).
각연세분(各硏細粉) 혼균성산(混勻成散).장약분(將葯粉) 취입환처(吹入患處).
효용 : 해독화부(解毒化腐)
주치 : 1) 난후단사(爛喉丹痧) - 란후사(爛喉痧) :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
풍열유아(風熱乳蛾) 아감(牙疳) 인후종통(咽喉腫痛) 구설미란(口舌糜爛).
2) - ⑴ 구창(口瘡) 구미(口糜) 인후미란(咽喉糜爛) 종통(腫痛).
⑵ 구창(口瘡) 외용약(外用葯) - 심위화성증(心胃火盛證).
석류산(錫類散)《溫熱經緯》영아제(嬰兒劑)
조성 ≒ 冰片(빙편), 人指甲(인지갑), 珍珠(진주), 牛黃(우황), 象牙屑(상아설), 靑黛(청
대), 壁蟢窠(벽희과).
석류피수세제(石榴皮水洗劑)《經驗方》
조성 ≒ 石榴皮(석류피)30, 五倍子(오배자), 威靈仙(위령선) 各15, 陣皮(진피)10.
水煎取汁, 濾過去渣 備用.- 濕敷 或溻洗
효용 : 水濕斂瘡(수습렴창)
주치 : 急性滲出(급성삼출), 糜爛性皮膚病(미란성피부병), 如浸淫瘡(침음창), 陰
蝕(음식), 陰囊濕痒(음낭습양) 等.
석위산(石葦散)《證治匯補》
조성 ≒ 석위(石葦), 동규자(冬葵子), 구맥(瞿麥), 활석(滑石), 차전자(車前子).
효능 : 청열이습(淸熱利濕), 통림배석(通淋排石).
주치 : 석림(石淋) - 방광습열증(膀胱濕熱證).
석위산(石葦散)《普濟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석위(石葦), 유백피(楡白皮), 차전자(車前子), 동규자(冬葵子), 목통(木通), 적
복령(赤茯苓), 구맥(瞿麥), 감초(甘草), 활석(滑石).
주치 : 석림(石淋).- 소복은통(小腹隱痛) 경중급통(莖中急痛) 수출사석(溲出砂石).
석창포원지산(石菖蒲遠志散)《》太陰人方-(唐宋明時期)
조성 ≒ 石菖蒲(석창포), 遠志(원지).
효용 : 肺(폐)의 眞氣(진기)를 깨우치고, 肺氣(폐기)를 調和(조화)시킨다.
주치 : 귀(耳)와 눈(眼)의 疾病(질병)을 治療(치료)한다.
【備考】《千金方》. 이제마의《동의수세보원》에서는 태음인의 졸중풍에 淸心
丸을 쓸 증후에 遠志와 石菖蒲를 가루내여 5g을 먹이고 皂角末 1.5g을
코에 불어 넣어 구급한다고 하였다.
석창포탕(石菖浦湯)《醫方一盤珠》卷七 引《石室秘彔》
조성 ≒ 柴胡(시호), 當歸(당귀), 白芥子(백개자) 各150, 白芍(백작), 甘草(감초), 石菖
蒲(석창포)各30, 桃仁(도인), 茯神(복신), 玄參(현삼) 各90.
- 水煎服. 如不肯服則强灌之 一劑卽愈.
【備考】按 : 本方原 无方名, 据《衛生鴻寶》
효용 : 화담개규(化痰開竅), 평간설열(平肝泄熱).
주치 : 화전병(花癲病).- 부인(婦人) 정지불수(情志不遂) 치간목고고(致肝木枯槁) 내
화치성(內火熾盛) 홀연전옹(忽然癲癰) 촌구맥현(寸口脈弦), 견남자칙포주불방
(見男子則抱住不放)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