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6-29 12:49
[의방집성(醫方集成)] 선기탕《女科准繩》 - 세양매창방《醫學入門》
|
|
글쓴이 :
admin
조회 : 9,986
|
선기탕(先期湯)《女科准繩》경산제(經産劑)
조성 ≒ 황금(黃芩), 황연(黃連), 향부(香附), 지모(知母), 황백(黃柏) 가(加) 교애탕(膠
艾湯, 건생지(乾生地),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애엽(艾葉),감초(甘
草), 아교(阿膠)). 십이미조성(十二味組成)
주치 : 월경선기(月經先期).- 량다색자(量多色紫) 심번구갈(心煩口渴) 소변황(小便黃)
대변비(大便秘) 설홍(舌紅) 태황(苔黃) 맥홍삭(脈洪數).
선기탕(選奇湯)《回春․東醫寶鑑》
조성 ≒ 羌活(강활), 防風(방풍), 製半夏(제반하) 各二錢, 酒片芩(주편금)一錢半, 甘草(
감초) 一錢, 薑三片(강삼편). - 水煎服(수전복).
주치 : 眉棱骨痛(미능골통)을 다스린다.
선독발표탕(宣毒發表湯)《醫宗金鑑》
조성 ≒ 승마(升麻), 갈근(葛根), 전호(前胡), 길경(桔梗), 지각(枳殼), 형개(荊芥),
방풍(防風), 박하(薄荷), 목통(木通), 연교(連翹), 우방자(牛蒡子), 죽엽(竹
葉), 감초(甘草).
선독발표탕(宣毒發表湯)《痘疹仁端彔》영아제(嬰兒劑)
조성 ≒ 감초(甘草), 형개(荊芥), 방풍(防風), 목통(木通), 죽엽(竹葉), 박하(薄荷),
승마(升麻), 갈근(葛根), 전호(前胡), 지각(枳殼), 연교(連翹), 길경(桔梗),
행인(杏仁), 서점자(鼠粘子). - 십사미조성(十四味組成)
주치 : 마진(麻疹) 인(因) 풍한외속(風寒外束) 난이투발(難以透發).- 마진초기(麻疹
初起) 욕출불출(欲出不出) 파냉발열(怕冷發熱).
선명환(宣明丸)《審視瑤函》
조성 ≒ 적작(赤芍), 당귀미(當歸尾), 황련(黃連), 대황(大黃), 생지황(生地黃), 박하(薄
荷), 천궁(川芎), 황금(黃芩).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婦人良方》《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은화(銀花), 천산갑(穿山甲), 조각자(皂角刺), 당귀미(當歸尾), 감초(甘草),
적작(赤芍), 유향(乳香), 몰약(沒葯), 천화분(天花粉), 진피(陣皮), 방풍(防
風), 패모(貝母), 백지(白芷).- 수전복(水煎服)
효용 : 소종산결(消腫散結), 활혈거어(活血祛瘀).
주치 : 1) 창양종독(瘡瘍腫毒) 초기(初起).- 환부(患部) 홍종흔통(紅腫焮痛) 설태박
백(舌苔薄白) 혹미황(或微黃), 맥삭이유력(脈數而有力).
2) 옹저종양(癰疽腫瘍) 복강염증(腹腔炎症) 포괴(包塊) 等.
선백승기탕(宣白承氣湯)《溫病條辨》공축제(攻逐劑) = 사하제(瀉下劑)
조성 ≒ 석고(石膏), 대황(大黃), 행인(杏仁), 과루피(瓜蔞皮).
효용 : 의선청통강(宜宣淸通降)
주치 1) 담열조폐(痰熱阻肺) 부유열결(腑有熱結).- 조열(潮熱) 변비(便秘) 천촉(喘
促) 불령(不寧) 담연옹성(痰涎壅盛) 맥우촌실대(脈右寸實大) 설태황니(舌
苔黃膩)
2) 천촉(喘促) - 열입기분증(熱入氣分證)
선복대자탕(旋復代赭湯)《傷寒論》리기제(理氣劑)
조성 ≒ 선복화(旋復花), 대자석(代赭石), 인삼(人蔘), 반하(半夏), 감초(甘草), 생강
(生姜), 대조(大棗).
효용 : 보허강역(補虛降逆).
주치 1) 위기허약(胃氣虛弱) 담탁내조(痰濁內阻).- 심하비경(心下痞硬) 희기불제
(噫氣不除).
역치(亦治) : 기역불강(氣逆不降) 반위(反胃) 토연말(吐涎沫).
2) 애기(噯氣) - 위기허증(胃氣虛證).
선복화탕(旋復花湯)《金匱要略》리혈제(理血劑)
조성 ≒ 선복화(旋復花), 총경(葱莖), 신강(新絳).
주치 : 흉협비민(胸脇痞悶) 동통(疼痛) 욕추도흉부(欲捶蹈胸部) 납소(納少), 범오(泛
惡)
선비탕(宣痺湯)《溫病條辨》거습제(祛濕劑)
조성 ≒ 방기(防己), 행인(杏仁), 활석(滑石), 연교(連翹), 치자(梔子), 의이인(薏苡仁),
반하(半夏), 잠사(蚕砂), 적소두피(赤小豆皮).
효용 : 청열통락(淸熱通絡), 거풍이습(祛風利濕).
주치 : 습열비증(濕熱痹證).- 골절번통(骨節煩痛), 소변단적(小便短赤), 설태황니(舌苔
黃膩).
선약수이호(癬葯水二号)《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土槿皮(토근피), 千金子(천금자), 斑蝥(반모), 高粱酒(고량주).
선약수일호(癬葯水一号)《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羊蹄根(양제근), 土槿皮(토근피), 制川烏(제천오), 檳榔(빈낭), 百部(백부),
海桐皮(해동피), 苦參(고삼), 蛇床子(사상자), 千金子(천금자), 地膚子(지
부자), 香木鱉(향목별), 蛇衣(사의), 大楓子(대풍자), 蜈蚣末(오공말), 白信
(백신), 斑蝥(반모).
선울통경탕(宣鬱痛經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
1) 조성 ≒ 시호(柴胡), 향부(香附), 당귀(當歸), 백작(白芍), 울금(鬱芩), 백개자(白芥
子), 황금(黃芩), 치자(梔子), 감초(甘草), 모단피(牡丹皮).
- 십미조성(十味組成)
주치 : 이노(易怒) 태황(苔黃) 맥현삭(脈弦數)
2) 조성 ≒ 酒炒白芍(주초백작), 酒洗當歸(주세당귀),丹皮(단피) 各15, 炒山梔(초산치)
9, 白芥子(백개자,炒,硏), 柴胡(시호), 酒炒香附(주초향부), 醋炒川鬱金(초
초천울금), 酒炒黃芩(주초황금) 生甘草(생감초) 各3. - 水煎服, 連服 4 劑.
효용 : 소간설화(疏肝泄火), 리기조경(理氣調經).
주치 : 부녀(婦女) 경전복통(經前腹痛), 소복위심(少腹爲甚), 경래(經來) 다자흑어
괴자(多紫黑瘀塊者).
또한(又可用于)- 간화내울(肝火內鬱) 어혈정적지불잉증(瘀血停積之不孕症)
【臨證擧例】《湖北中醫雜志》1988 ; 2 : 22
본방가감(本方加减) 치료불잉증(治療不孕症) 15 例.
경량다(經量多) : 加 한련초(旱蓮草), 아교(阿膠).
대하다(帶下多) : 加 산약(山葯).
요통심(腰痛甚) : 加 천단(川斷).
- 水煎 3 次, 取葯汁 450 毫升, 早中晩 各服 1 次, 月經來之前 3
~5 日, 連服 3 劑, 連續 3 个月 經調期 爲 1 療程.
結果 : 1 个療程 受孕者 3 例, 2 个療程 受孕者 4 例, 3 个療程 受孕者 6
例 4 个療程 受孕者 2 例.
선주(癬酒)《外科證治全生集》
조성 ≒ 白槿皮(백근피), 南星(남성), 檳榔(빈낭), 樟腦(장뇌), 生木鱉(생목별),斑蝥(반모),
蟾酥(섬소)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古今醫鑒》☆☆☆
조성 ≒ 人蔘(인삼)24, 白朮(백출, 麩炒)30, 茯苓(복령)30, 甘草(감초)12, 川芎(천
궁)30, 當歸(당귀)36, 生地(생지, 酒洗)30, 白芍(백작)24,砂仁(사인,炒)21,
香附(향부)21, 陣皮(진피)18, 牛膝(우슬, 酒炒)24, 半夏(반하, 湯泡)21, 丹
皮(단피)21.
上爲粗末, 平均分作 10 劑. 每劑 加 生姜 3 片, 水 300 毫升煎, 空腹時服;
滓再煎, 臨臥時服. 經未行 先服 5 劑, 此葯盡卽效. 如无他病, 按原方服之;
如有他病, 按以下 加减辨證服之, 經脈調和, 卽當姙孕
효용 : 건비익기(健脾益氣), 서간양혈(舒肝養血), 구사(求嗣).
가감
① 자궁구냉불잉子(宮久冷不孕) : 加 건강(乾姜), 육계(肉桂) 各15.,
② 여냉심(如冷甚) : 구단전(灸丹田)
③ 자궁태열(子宮太熱) : 加 황백(黃柏), 지모(知母), 시호(柴胡) 各18.
④ 백대(白帶) 백음(白淫) 백탁시하(白濁時下) : 加 백지(白芷)30, 승마(升麻)15, 或
倍 반하(半夏).
⑤ 기불류통자(氣不流通者) : 加 목향(木香)
⑥ 평소 허로도한(平素 虛勞盜汗) 혹오한발열(或惡寒發熱) :
加 황기(黃芪), 육계(肉桂),
加 아교(阿膠), 패모(貝母) 各12.
⑦ 노열(勞熱) 혈고(血枯) : 加 시호(柴胡), 별갑(鱉甲).,
⑧ 노심(勞甚) 요배동통자(腰背疼痛者) : 灸 고황혈(膏肓穴) 7 壯.
⑨ 음식감소(飮食减少) : 倍 백출(白朮), 진피(陳皮),
加 후박(厚朴), 신곡(神曲, 炒) 各15.
⑩ 비인담성(肥人痰盛) 미색자궁(迷塞子宮) : 加 남성(南星), 삼릉(三稜) 各18.
⑪ 경수장행(經水將行) 소복작통자(小腹作痛者) : 加 도인(桃仁) 홍화(紅花)各12
미효(未效) : 去 인삼(人參), 加 오령지(五靈脂)(半炒, 半生用), 유향(乳香)9.
⑫ 요퇴통자(腰腿痛者) : 加 두중(杜仲)36, 강활(羌活)9, 도인(桃仁)2.
⑬ 경행후작동자(經行后作疼者) : 加 숙지황(熟地黃), 당귀(當歸) 오미자(五味子)
⑭ 복하유비자(腹下有痞者) :
去 우슬(牛膝),
加 삼릉(三稜), 아출(莪朮) 各18, 도인(桃仁), 지실(枳實) 各15.,
前 5 劑 : 加 빈랑(檳榔)15.
⑮ 腹有 鬼胎者 狀如懷胎, 非眞胎 :
宜用 도인(桃仁), 건칠(乾漆), 육계(肉桂), 사향(麝香), 수은(水銀)之類 丸葯以去
之 再服本葯 以后經調
⑯ 경수선기(經水先期而至者) : 加 황금(黃芩)15, 초포황(炒蒲黃)15.
⑰ 경수후기(經水后期而至者) : 加 건강(乾姜), 모단피(牡丹皮) 各15.
⑱ 경수붕루불지자(經水崩漏不止者) :
加 연봉각탄(蓮蓬殼炭)15, 백지(白芷)24, 저골두탄(猪骨頭炭)18, 숙애(熟艾)9,
황금(黃芩)15.
⑲ 평일유(平日有) 풍한습(기風寒濕氣) 동통(疼痛) :
加 진교(秦艽)9, 강활(羌活)21, 유향(乳香), 몰약(沒葯) 各15, 或加 창출(蒼朮).
⑳ 유열동통(有熱疼痛) : 加 황백(黃柏)
㉑ 심복동통(心腹疼痛) : 加 대복피(大腹皮), 목향(木香) 各9, 빈랑(檳榔)15.
㉒ 소변삽소(小便澁少) 불통(不通) :
加 저령(豬苓), 택사(澤瀉).- 역불선다복(亦不宜多服), 공설신기(恐泄腎氣).
㉓ 실여(室女) 경맥삽체(經脈澁滯) 불통자(不通者) : 加 유기노(劉寄奴)18,
㉕ 불응(不應) : 加 위모(衛矛)(卽 귀전익(鬼箭翼)9.
선천대조환(先天大造丸)《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청염(靑鹽), 회우슬(懷牛膝), 원지(遠
志), 선모(仙茅), 파극천(巴戟天), 자하차(紫河車), 파고지(破故紙), 골쇄보
(骨碎補), 정향(丁香), 목향(木香), 하수오(何首烏), 육종용(肉蓗蓉), 구기
자(枸杞子), 봉밀(蜂蜜).- 이십이미조성(二十二味組成)
주치 : 류담(流痰) 혹(或) 창양구불수구(瘡瘍久不收口).- 궤후농수청희(潰后膿水淸
稀) 구이불유(久而不愈) 점성루(漸成漏).
선천대조환(先天大造丸)《醫宗金鑑》
조성 ≒ 人參(인삼), 土炒白朮(토초백출), 當歸身(당귀신), 白茯苓(백복령), 菟絲子
(토사자), 枸杞(구기), 黃精(황정), 牛膝(우슬) 各60, 炒補骨脂(초보골지),
微炒骨碎補(미초골쇄보), 巴戟肉(파극육), 遠志(원지) 各30, 廣木香(광목
향), 靑鹽(청염) 各15, 丁香(정향)9.
- 以上共硏細末, 熟地(숙지)12, 酒煮搗膏(주자도고) 仙茅浸去赤汁(선모침
거적즙) 蒸熟去皮(증숙거피) 搗膏(도고); 何首烏去皮(하수오거피), 黑豆
同煮(흑두동자), 去豆搗膏(거두도고),; 肉蓗蓉(육종용), 去鱗幷內膜(거린
병내막), 酒浸搗膏(주침도고); 各60.
紫河車(자하차) 1具 白酒煮爛(백주자란), 搗膏(도고). 將葯末與膏 共合一
處(장약말여고 공합일처),煉蜜(연밀)爲梧子大丸(위오자대환) 每天 70 丸,
空腹時(공복시) 溫酒(온주) 或 開水送下(개수송하).
효용 : 補氣血(보기혈) 壯筋骨(장근골)
주치 : 流痰(류담) 潰后膿稀難斂(궤후농희난렴) 氣血兩虧(기혈양휴).
선청도탁탕(宣淸導濁湯)《溫病條辨》거습제(祛濕劑)
조성 ≒ 저령(猪苓), 복령(茯苓), 한수석(寒水石), 잠사(蚕砂), 조각자(皂角刺).
효용 : 도탁행체(導濁行滯) - 청화습탁(淸化濕濁), 선통기기(宣通氣機).
주치 : 습온(濕溫) 습조장도(濕阻腸道).- 신식여몽(神識如蒙) 소복경만(少腹硬滿)
대변불통(大便不通) 설태구니(舌苔垢膩).
습사(濕邪)가 기분(氣分)에 조체(阻滯)되어 결장(대장)에 대변이 가득차고
(少腹便滿), 대변불통(大便不通)하며 신지가 몽롱한 것 같고(神識如蒙) 설태
는 때가 끼어 더럽고 미끈미끈한(舌苔垢膩) 증상을 위주로 하는 것은 습열
(濕熱)이 장도(腸道)의 기기(氣機)를 비조(痹阻)하여서 전도(傳導)를 실상
(失常)시킨 소치(所致)에 속하는 것이다.
☆ 비록 습온병은 하법을 금한다는 설이 있지만(雖有(濕溫禁下之說), 만일 습
온에서 보는(若濕溫而見) 정신이 흐리고(神識如蒙), 소복이 그득하며 단단
하고(少腹硬滿), 설태는 두텁고 미끈거리며(舌苔厚膩), 대변이 불통하는 사
람(大便不通者)일지라도, 복부를 눌러서 아프지 않은(若按腹不痛) 것은 곧
장도에 똥이 말라 있는 것이 아니고(卽非燥屎), 이것은 장도에 습이 문제가
되어(乃濕阻腸道), 전도기능을 잃은 것으로서(傳導失司). 다만 병이 있으되
꺼려야할 필요는 없는 병이다(但有病則病當之 不泌顧忌).
선투막원탕(宣透膜原湯)《時病論》 ⇒ 뢰씨선투막원법(雷氏宣透膜原法)《時病論》
선화산(蟬花散)《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선태(蟬蛻), 국화(菊花), 백질려(白疾藜), 초결명(草決明), 차전자(車前子), 황
금(黃芩), 감초(甘草), 방풍(防風), 만형자(蔓荊子). 구미약(九味葯)
주치 : 폐간풍열(肺肝風熱)의 화예백함(花翳白陷).- 흑정사주(黑睛四周) 취기백예(驟
起白翳) 상여화판(狀如花瓣) 혹여(或如) 어린(魚鱗), 수명유루(羞明流泪) 홍적
동통(紅赤疼痛) 설홍태박황(舌紅苔薄黃) 맥삭(脈數)
설이장(雪梨漿)《溫病條辨》
조성 ≒ 설이(雪梨).
섬소합제(蟾酥合劑)《中醫外科臨床手冊》옹양제(癰瘍劑)
조성 ≒ 섬소(蟾酥, 酒化)이전(二錢), 고반(枯礬), 유향(乳香), 몰약(沒葯) 각일전(各
一錢), 웅황(雄黃, 雄精)이전(二錢), 사향(麝香)일전(一錢), 와우(蝸牛)이십일
개(二十一 个), 단한수석(煅寒水石), 동록(銅綠) 각일전(各一錢), 주사(朱砂)
삼전(三錢), 경분(輕粉)오분(五分), 녹반(綠礬), 붕사(硼砂), 혈갈(血竭), 정초
회(灯草灰), 단로감석(煅爐甘石). 전방구체(全方具體) 약물여하(葯物如下)
섬소(蟾酥), 웅황(雄黃), 동록(銅綠), 초록반(炒綠礬), 경분(輕粉),유향(乳香),
몰약(沒葯), 고반(枯礬), 건와우(乾蝸牛) 각삼극(各三克), 사향(麝香),주사(朱
砂), 단한수석(煅寒水石), 붕사(硼砂), 혈갈(血竭), 정초회(灯草灰), 단로감석
(煅爐甘石)1.5극(克). 각연세말(各硏細末) 화균(和勻),섬소(蟾酥),령이(另以),
소주화개(燒酒化開) 위호(爲糊), 서서화입(徐徐和入) 약말(葯末), 혼합연균(
混合硏勻) 쇄건(晒乾) 연성극세말(硏成極細末) 수저비용(收貯備用).
용법 : 재창양홍종초기시(在瘡瘍紅腫初起時) 용상약이(用上葯以) 소주조도환처(燒酒
調涂患處) 외부첩(外敷貼) 태을고(太乙膏). 지홍종소실(至紅腫消失) 부육여건
강조직(腐肉與健康組織) 기일열봉시(起一裂縫時) 개용(改用) 10% 섬소합제
(蟾酥合劑) 즉(卽) 상약일분(上葯一分) 단석고(煅石膏)구분(九分)). 지부육탈
락계단(至腐肉脫落階段) 재개용(再改用) 5% 섬소합제(蟾酥合劑)(즉(卽) 상약
(上葯)일분(一分), 단석고(煅石膏)구분(九分), 로감석(爐甘石)오분(五分), 해표
소(海螵蛸)오분(五分)). 역가용(亦可用) 취약기(吹葯器) 장약(將葯) 분입구강
(噴入口腔) 인후환처(咽喉患處).
효용 : 구독(驅毒), 소종(消腫), 화부(化腐).
주치 : 정창(疔瘡), 백후(白喉), 주마아감(走馬牙疳).
섬소환(蟾酥丸)(蟾酥膏)《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섬소(蟾酥, 酒化)6, 고반(枯礬), 담반(膽礬), 유향(制乳香), 몰약(制沒葯) 各3,
웅황(雄黃,雄精)6, 사향(麝香)3, 와우(蝸牛)21个, 단한수석(煅寒水石) 동록(銅
綠)3, 경분(輕粉)1.5, 주사(朱砂)9.
각위세말(各爲細末) 선장연란(先將硏爛) 와우(蝸牛), 가(加) 섬소(蟾酥), 재입
기타약말도균(再入其他葯末搗勻), 환여녹두대(丸如綠豆大) 역가주병(亦可做
餠) 조외용(條外用). 용시매복(用時每服) 3환(丸), 장총백작란(將葱白嚼爛) 포
약재내(包葯在內) 취열주일배송하(取熱酒一杯送下) 개피와상(盖被臥床) 출한
위효(出汗爲效). 약외용(若外用) 가장조삽입(可將條揷入) 창구중(瘡口中), 병
개첩(餠盖貼) 창구상(瘡口上).
효용 : 구독(驅毒), 발한(發汗).
주치 :. 1) 정독(疔毒) 등(等) 일절악창(一切惡瘡).
2) 정창초기(疔瘡初起) 내복치료(內服治療)
성소환(醒消丸)《外科證治全生集》
조성 ≒ 乳香(유향), 沒葯(몰약), 麝香(사향), 雄精(웅정).
성소환(醒消丸)《和劑局方》옹양제(癰瘍劑)
조성 ≒ 유향(乳香, 去油)30, 몰약(沒葯, 去油)30, 사향(麝香)4.5, 웅정(雄精)15.
先將 乳沒雄 三味, 各硏秤准, 再合麝香共硏 煮爛黃米飯30, 入葯末 搗爲丸 如萊
菔子大 晒乾, § 忌烘., 孕婦忌服 每次 3~6g, - 熱陳酒送服 或 溫開水送下 ; 兒
童減半; 嬰兒服 1/3. 一般連服 7 天后, 停葯 3 天.
按 :《外科證治全書》醒消丸 方中 麝香改爲 0.9g.
효용 : 화영통락(和營通絡) 소종지통(消腫止痛)
주치 1) 옹양초기(癰瘍初起).- 일절양성(一切陽性) 옹종(癰腫) 홍종흔통(紅腫焮痛) 미
성농(未成膿)
2) 류주(流注) 等證
성유탕(聖愈湯)《蘭室秘藏》보익제(補益劑)
조성 ≒ 인삼(人蔘)20, 황기(黃芪)18, 숙지황(熟地黃)20, 당귀(當歸)15, 천궁(川芎)8, 백
작(白芍)15.- 上爲粗末 加水 200 毫升, 煎至 100 毫升, 去滓 稍熱服 不拘時候.
효용 : 익기(益氣) 보혈(補血) 섭혈(攝血)
주치 : 1) 기혈양허자(氣血陽虛者).- 기혈허약(氣血虛弱)으로 섭혈(攝血)을 못하여 월경
기(月經期)를 매우 앞당기고 양다색담(量多色淡) 기질청희(其質淸稀) 소복공
추감(小腹空墜感), 사지무력(四肢无力) 심황(心慌) 기촉(氣促) 체권정신쇠약
(體倦精神衰弱) 설담태박(舌淡苔薄) 맥세이연(脈細而軟) 등의 증상을 다스린 다.
2) 경행신통(經行身痛) 겸견(兼見) 심계기촉(心悸氣促) 권태지연(倦怠肢軟) 납곡
불향(納谷不香) 설질담(舌質淡) 태박윤(苔薄潤) 맥세연(脈細軟) 증속(證屬) 기 혈부족(氣血不足) 근맥실양(筋脈失養) 者.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치목제(治目劑)
조성 ≒ 당귀미(當歸尾), 천궁(川芎), 적작(赤芍), 생지(生地), 황련(黃連), 황금(黃 芩), 치자(梔子), 석고(石膏), 연교(連翹), 방풍(防風), 형개(荊芥), 박하(薄
荷), 만형자(蔓荊子), 강활(羌活), 백질려(白蒺藜), 감국(甘菊), 초결명(草
決明), 길경(桔梗), 감초(甘草) 各5. - 수전(水煎) 식후복용(食后服用).
주치 1) 결막염(結膜炎).
2) 간(肝)이 풍열(風熱)을 받으면 간혈(肝血)이 손상(損傷)되어 눈이 붉게 충
혈 되고 안구(眼球)에 동통(疼痛)이 느껴진다. 눈동자가 지나치게 피로할
때도 이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 쓰면 좋다.
加减 ㉮ 减 석고(石膏), 加 시호(柴胡) - 할 수 있다.
㉯ 충혈(充血)이 심할 때 : 초용담(草龍膽)
㉰ 두통(頭痛) : 加 백지(白芷).
㉱ 변비(便秘) 생리통(生理痛) : 加 대황(大黃)
세간산(洗肝散)《銀海精微》치목제(治目劑)
조성 ≒ 강활(羌活), 방풍(防風), 박하(薄荷), 대황(大黃), 치자(梔子), 당귀(當歸), 천궁
(川芎), 감초(甘草).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간경적열(肝經積熱)의 풍륜적두(風輪赤豆).- 적두돌기(赤豆突起) 적맥전포(赤脈
纏布) 삽통수명(澁痛羞明) 열루여탕(熱泪如湯) 설홍태황(舌紅苔黃) 맥현삭(脈弦
數)
세면약(洗面葯)《經驗方》
조성 ≒ 冬瓜仁(동과인)30, 天門冬(천문동)15, 蜂蜜(봉밀)適量.
硏細末, 煉蜜搓丸 如鴒蛋大, 備用.- 先用溫水洗淨 臉部皮膚 然后用葯丸輕涂之,
保留 3~5 分鍾后, 再用溫水洗滌.
효용 : 悅色除斑(열색제반), 攎膚養膚(로부양부).
주치 : 黃褐斑(황갈반), 雀斑(작반) 等.
세선방(洗癬方)《外科大成》
조성 ≒ 苦參(고삼), 黎蘆(여로), 草烏(초오), 皮硝(피초), 槐枝(괴지).
세양매창방(洗楊梅瘡方)《醫學入門》옹양제(癰瘍劑)
조성 ≒ 地骨皮(지골피), 荊芥(형개), 苦蔘(고삼), 細辛(세신) 各15.
水煎, 先薰后洗 遍身汗出爲好.
효용 : 淸熱燥濕(청열조습), 祛風解毒(거풍해독)
주치 : 梅毒(매독) - 楊梅瘡(양매창)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