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7-09 14:04
[의방집성(醫方集成)] 십진탕《攝生衆妙方》 - 액화승정탕《山東中醫學院學報》
|
|
글쓴이 :
admin
조회 : 9,482
|
십진탕(十珍湯)《攝生衆妙方》
조성 ≒ 人蔘(인삼), 白朮(백출), 當歸(당귀, 酒浸), 黃芪(황기, 蜜炙), 肉蓗蓉(육종용,
酒洗) 各3, 白茯苓(백복령), 白芍葯(백작약), 熟地黃(숙지황), 麥門冬(맥문동
,去心) 各2.4, 陣皮(진피), 半夏(반하, 姜汁浸, 水洗 7次), 肉桂(육계,去粗皮),
五味子(오미자), 砂仁(사인), 川芎(천궁) 各2.1, 木香(목향), 炙甘草(자감초),
煅龍骨(단용골), 煅牡蠣(단모려) 各1.5.
上爲粗末. 用水 400 毫升, 加 生姜 3 片, 大棗 2 个, 煎至 320 毫升, 早晨服;
滓再煎 至晩服.
효용 : 익기건비(益氣健脾), 온신보정(溫腎補精).
주치 : 불육증(不育症)
십회산(十灰散)《十葯神書》
조성 ≒ 대계(大薊), 소계(小薊), 하엽(荷葉), 측백엽(側柏葉), 백모근(白茅根), 천초
근(茜草根), 치자(梔子), 대황(大黃), 모단피(牡丹皮), 종려피(棕櫚皮).
주치 1) 혈열망행(血熱妄行)의 실혈(失血).- 구혈(嘔血) 토혈(吐血) 각혈(咯血) 혈색
선홍(血色鮮紅) 졸연폭기(卒然暴起) 맥삭이유력(脈數而有力)
2) 吐血(토혈) - 心胃火盛證(심위화성증)
3) 撞擊傷目(당격상목) - 止血用(지혈용)
십회산(十灰散)《新書(신서)》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大薊(대계), 小薊(소계), 荷葉(하엽), 柏葉(백엽), 茅根(모근), 茜根(천근), 大
黃(대황), 梔子(치자), 棕櫚皮(종려피), 牡丹皮(모단피)를 各等分(각등분)한
것을 불에 태우되 과소하지 않도록(燒存性)하여 火毒(화독)을 제거하고 細
末(세말)한 것 五錢(오전)을 生藕汁(생우즙), 生蘿萭汁(생나우즙)에 松煙墨
(송연묵)을 갈은 것 半椀(반완, 주발(그릇)의 절반)으로 調服(조복)하면 곧
멎는다.
주치 : 虛勞(허로)에 心, 肺(심,폐)가 損(손)하여 크게 吐血(토혈)하는 症(증)과, 咯血
(각혈), 唾血(타혈)이 멎지 않는 증을 다스린다.
만약 이 약을 먹고도 효과가 없으면 花蕊石散(화예석산)을 사용한다.
ㅇ
아교계자황탕(阿膠鷄子黃湯)《通俗傷寒論》치풍제(治風劑)
조성 ≒ 아교(阿膠), 계자황(鷄子黃), 백작(白芍), 감초(甘草), 복신(茯神), 생
지황(生地黃), 석결명(石決明), 생모려(生牡蠣), 쌍구등(雙鉤藤), 락
석등(絡石藤).- 除阿膠 鷄子黃 二味外, 用水煮汁 去渣, 納膠烊盡, 再
入鷄子黃 攪令相得, 溫服.
주치 : 1) 열작진음(熱灼眞陰) 소치적(所致的) 간풍(肝風) - 근맥구급(筋脈拘
急) 수족연동(手足蠕動) 설강소태(舌絳少苔) 맥세삭(脈細數).
아교산(阿膠散), 보폐아교산(補肺阿膠散)《小兒葯證直訣》보익제(補益劑)
조성 ≒ 아교(阿膠), 마두령(馬兜鈴), 우방자(牛蒡子), 감초(甘草), 나미(糯米), 행인
(杏仁)
주치 : 폐음허(肺陰虛).- 기침(咳嗽), 담중대혈(痰中帶血), 구건(口乾), 설홍소태(舌紅
少苔),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며 한 번 호흡(一息)하는 사이에 5 번이상
뛰는 세삭맥(細數脈) 등 증을 다스린다.
아교양혈탕(阿膠養血湯)《中醫婦科治療學》경산제(經産劑)
조성 ≒ 아교(阿膠), 상기생(桑寄生), 생지황(生地黃), 사삼(沙蔘), 맥문동(麥門
冬), 한련초(旱蓮草), 여정자(女貞子). - 칠미조성(七味組成)
주치 : 음허(陰虛) 혈허(血虛).- 면색백(面色白) 혹(或) 위황(萎黃) 기부불영(肌
膚不榮) 구순급조갑담백(口唇及爪甲淡白) 두운안화(頭暈眼花) 심계소매
(心悸少寐) 번조불안(煩躁不安) 혹 오심번열(五心煩熱) 대변건결(大便乾
結).
아교황금탕(阿膠黃芩湯)《通俗傷寒論》치조제(治燥劑)
조성 ≒ 아교(阿膠), 청자금(靑子芩), 생백작(生白芍), 생감초(生甘草), 감자초
(甘蔗稍), 선차전자(鮮車前子), 첨행인(甛杏仁), 상백피(桑白皮).
주치 : 추조(秋燥) 폐조장열(肺燥腸熱) 락상해혈(絡傷咳血).- 초기(初起) 후양건
해(喉痒乾咳) 단칙(斷則) 해심이담점대혈(咳甚而痰粘帶血) 흉협견통(胸
脇牽痛) 복부작열(腹部灼熱) 대변설사(大便泄瀉) 설홍(舌紅) 태박황이건
(苔薄黃而乾) 맥삭(脈 數).
아단자유(鴉蛋子油)《中醫外科學》
조성 ≒ 鴉蛋子(아단자).
아동산(牙疼散)《中醫耳鼻喉科學》구치제(口齒劑)
조성 ≒ 필발(蓽茇), 고량강(高良姜), 천초(川椒), 세신(細辛), 백지(白芷), 매빙편(梅
冰片), 박하(薄荷), 웅황(雄黃).
주치 : 우치아통(齲齒牙痛)
아문암질방(兒門暗疾方)《石室秘彔》
조성 ≒ 當歸(당귀), 茯苓(복령) 各15, 梔子(치자), 白芍(백작) 各9, 柴胡(시호)3,
楝樹根(연수근)1.5. - 水煎服
효용 : 평간거습(平肝祛濕).
주치 : 부인아문지(婦人兒門之) 내암질(內暗疾) 무론유무화풍습(无論有无火 風
濕), 불필문(不必問) 기약하양(其若何痒) 약하통(若何痛) 약하종(若何腫)
약하란(若何爛), 인부인수괴(因婦人羞愧) 이불긍진언자(而不肯盡言者),
지가의회(止可意會) 이묵사지야(而黙思之也).
加减 - 有痰 : 加 백개자(白芥子) 3.
有火 : 加 황금(黃芩) 3.
有寒 : 加 육계(肉桂) 3.
아위고(阿魏膏)《景岳全書》(阿魏消痞膏) 소도제(消道劑)
조성 ≒ 선장양두첨(先將兩頭尖), 홍화(紅花), 관계(官桂), 적작(赤芍), 천산갑(穿山
甲), 강활(羌活), 독활(獨活), 천마(天麻),백지(白芷),생지(生地),대황(大黃),
현삼(玄參), 괴지(槐枝) 유지(有志), 도지(桃枝) 각반양(各半兩), 대별자(大
鱉子) 십매(十枚), 용(用) 마유(麻油) 이근사량(二斤四兩), 작고거사(炸枯去
渣), 입난발일단(入亂發一團), 재전(再煎), 발화입장단(發化入樟丹), 재조입
(再調入) 망초분(芒硝粉), 아위분(阿魏粉), 소합향유(蘇合香油) 유향분(乳香
粉),몰약분(沒葯粉) 각오전(各五錢),사향분(麝香粉) 삼전(三錢),수고(收膏),
탄성고약(攤成膏葯) 환처(患處).
효용 : 거풍활혈(祛風活血), 소종지통(消腫止痛), 화비산결(化痞散結).
주치 : 오적육취(五積六聚), 일절비괴(一切痞塊).
오적(五積) : 적(積)이란 흉복강내에 덩어리가 있는 병증을 말한다. 《內經 ․
56난》에서는 그의 발병병기, 부위, 형태 등을 5장으로 구분 하
였다. 예를 들면 심의 적을 복량(伏梁)아라 하고, 간의 적을 비기(肥氣)라 하
며, 비의 적을 비기(痞氣)라 하고, 폐의 적을 식분(息賁)이라 하며, 신의 적을
분돈(奔豚)이라 하였는데 이것을 한 마디로 오적(五積)이라 한다.
원문에서 오적에 대하여 서술한 각종 증상에는 간과 비의 종대 및 흉복강의
종괴(腫塊), 적액(積液), 농양(膿瘍) 등 병변이 포괄되어 있다. 그러나 구체적
이고 실용적인 치료법이 약하므로 오적에 대한 명칭은 현대에선 적게 쓰이고
있다.
아위환(阿魏丸)《濟生方》
조성 ≒ 木香(목향), 檳榔(빈낭), 胡椒(호초), 阿魏(아위).
아장풍선약수(鵝掌風癬葯水)《中醫外科學》
조성 ≒ 百部(백부), 蛇床子(사상자), 硫黃(유황), 土槿皮(토근피), 白砒(백비),
斑蝥(반모), 白國樟(백국장), 輕粉(경분), 米醋(미초).
아장풍연화제(鵝掌風軟化劑)《中醫外科學》
조성 ≒ 生川烏(생천오), 百部(백부), 白鮮皮(백선피), 威靈仙(위령선), 猪牙皂(
저아조).
아장풍지양분(鵝掌風止痒粉)《中醫外科學》
조성 ≒ 樟腦(장뇌), 硼砂(붕사), 枯礬(고반), 冰片(빙편), 雄黃(웅황).
아장풍침포방(鵝掌風浸泡方)《上海方》
조성 ≒ 大楓子仁(대풍자인), 烟膏(연고), 花椒(화초), 五加皮(오가피), 皂莢(조
협), 地骨皮(지골피), 龍衣(용의), 明礬(명반), 鮮鳳仙花(선봉선화), 米
醋(미초).
아장풍침포방(鵝掌風浸泡方)《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대풍자육(大風子肉), 화초(花椒), 선봉선화(鮮鳳仙花) 各9, 토근피(土
槿皮), 조협(皂莢)15, 지골피(地骨皮)6, 곽향엽(藿香葉)18,백반(白礬)
12, 미초(米醋)1000.- 구미조성(九味組成).
장약(將葯) 침입미초내(浸入米醋內)24小時, 전비대온(煎沸待溫), 격
일(隔日) 장약즙(將葯汁) 전비대온(煎沸待溫)재침(再浸), 공침(共浸)
삼사천(三四天),침포후(浸泡后) 칠천(七天) 불의용(不宜用) 함수(鹹
水), 비조수(肥皂水) 세수(洗手, 足), 여유군열(如有皸裂)
효용 : 살충지양(殺虫止痒)
주치 : 수족선(手足癬)
아차산(兒茶散)《瘍醫大全》
조성 ≒ 銅綠(동록), 兒茶(아차).
아황고(鵝黃膏)《外科正宗》
조성 ≒ 煅石膏(단석고), 炒黃柏(초황백), 輕粉(경분).
아황산(鵝黃散)《外科正宗》
조성 ≒ 黃柏(황백), 輕粉(경분), 綠豆粉(녹두분), 滑石(활석).
아황산(鵝黃散)《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黃柏(황백), 煅石膏(단석고) 各等分(각등분).
《保嬰易知彔》本方有 珍珠粉(진주분)
細末. 瘡面濕者 乾扑之, 瘡面乾者 猪膽汁 調搽.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生肌長肉(생기장육).
주치 : 父母(부모) 梅毒遺傳(매독유전), 小兒初生无皮(소아초생무피).
아황산(鵝黃散)《外科正宗》
조성 ≒ 煅石膏(단석고), 炒黃柏(초황백), 輕粉(경분) 各等分(각등분). 硏爲細末(연위
세말) 乾摻爛處(건섬란처), 每天(매천) 2~3 次.
효용 : 淸熱提毒(청열제독)
주치 : 梅毒(매독) 潰爛成片(궤란성편), 膿穢多而疼甚者(농예다이동심자).
안궁우황환(安宮牛黃丸)《溫病條辨》개규제(開竅劑)
조성 ≒ 우황(牛黃), 울금(鬱芩), 서각(犀角), 황련(黃連), 주사(朱砂),치자(梔子),
웅황(雄黃), 황금(黃芩)각30,진주(珍珠)15,빙편(冰片),사향(麝香) 각7.5,
금박(金箔).
효용 : 청열개규(淸熱開竅), 활담해독(滑痰解毒), 청심해독(淸心解毒), 선규안신
(宣竅安神).
주치 1) 온열병(溫熱病) 병사(病邪)가 심포(心包)에 내함(內陷)하고, 담열(痰熱)
이 심규(心竅)를 옹폐(壅閉)함으로써 고열번조(高熱煩躁), 신혼섬어(神
昏譫語), 지궐(肢厥), 혹 혼궤불어(昏憒不語), 설건(舌蹇), 설색선강(舌
色鮮絳), 맥세삭(脈細數) 그리고 중풍혼미(中風昏迷)와 소아경궐(小兒
驚厥)에서 사열(邪熱)이 내폐(內閉)된 자를 주치(主治)한다.
2) 서온(暑溫) - ⑴ 서온열입영분증(暑溫熱入營分證)
合 청영탕(淸營湯)《溫病條辨》으로 송복(送服)
⑵ 열입혈분증(熱入血分證)
3) 풍온(風溫) - 역전심포증(逆傳心包證, 熱陷心包證)
葉天士說 - “溫邪上受, 首先犯肺, 逆傳心包.”
4) 疔瘡走黃(정창주황) 및 瘡瘍(창양), 神昏譫語(신혼섬어), 狂躁(광조), 痙
厥之熱盛者(경궐지열성자).
5) 突起睛高(돌기정고)
안노탕(安老湯)《傳靑主女科》
조성 ≒ 人參(인삼), 黃芪(황기), 白朮(백출), 當歸(당귀),熟地(숙지), 山茱萸(산수유),
阿膠(아교), 黑芥穗(흑개수), 香附(향부), 木耳炭(목이탄), 甘草(감초).
안신정지환(安神定志丸)《醫學心悟》☞ 원지환(遠志丸)《濟生方》안신제(安神劑)
조성 ≒ 복신(茯神), 복령(茯苓), 인삼(人蔘),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용치(
龍齒), 주사(朱砂).
효용 : 보기익지(補氣益志) 이장간담(而壯肝膽).
주치 1) 수면불안(睡眠不安), 꿈을 꾸다가 놀래어 뛰어 일어나고 무섭고 두려워
하는자(夢中驚跳怵惕者)를 다스린다.
2) 불매(不寐) - 담기허증(膽氣虛證)
안신탕(安神湯)《仙拈集》卷二
조성 ≒ 人參(인삼)3, 石蓮肉(석연육)12, 蓮須(연수)3, 麥冬(맥동) 茯神(복신) 芡實(
검실) 各6, 甘草(감초)3.- 水煎 溫服
효용 : 養心安神(양심안신)
주치 : 遺精(유정) 혹 早泄(조설).
안신탕(安神湯)《東垣․東醫寶鑑》
조성 ≒ 黃芪(황기)一錢半, 羌活(강활), 酒浸黃柏(주침황백)各一錢, 柴胡(시호), 升
麻(승마), 生地黃(생지황), 並酒浸知母(병주침지모) 各五分, 防風(방풍) 二
分半, 生甘草(생감초), 炙甘草(자감초) 各二分. - 水煎(수전)하되 두어 번 긇
은 뒤에 川芎(천궁), 蔓荊子(만형자) 各三分을 加入(가입)하여 다시 달여 반
쯤 되거든 식후에 溫服(온복) 한다.
주치 : 氣血(기혈)이 虛(허)하고 火(화)가 있으며 頭痛(두통), 頭旋(두선),眼黑(안흑)
等症(등증)에 사용한다.
안신환(安神丸)《小兒葯證直訣》영아제(嬰兒劑)
조성 ≒ 맥동(麥冬), 주사(朱砂), 용뇌빙편(龍腦冰片), 한수석(寒水石), 마아초(馬牙
硝), 산약(山葯), 운령(云苓), 감초(甘草). -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경공경궐(驚恐痙厥).- 면색시청시적(面色時靑時赤), 빈작경척(頻作驚惕), 심
칙경궐(甚則痙厥), 우유발열(偶有發熱), 대변색청(大便色靑), 맥삭이난(脈數
而亂).
안영산(安榮散)《陳素庵婦科補解》
조성 ≒ 柴胡(시호)6, 當歸(당귀), 白芍(백작), 生地(생지),熟地(숙지),黃芩(황금)各9,
知母(지모), 杜仲(두중), 川斷(천단), 山葯(산약), 麥冬(맥동) 各6, 荊芥(형개)
3, 金銀花(금은화)12.- 上爲末 水煎服
효용 : 양혈청열(養血淸熱), 산풍소종(散風消腫).
주치 : 임신(姙娠) 음호종통(陰戶腫痛) 유궐음풍열(由厥陰風熱) 성교과다(性交過多)
유상자문(有傷子門), 혹 비리교접(非理交接) 소치(所致).
안주관농방(眼珠灌膿方)《韋文貴眼科臨床經驗選》
조성 ≒ 생금문(生錦紋), 지실(枳實), 은화(銀花), 루인(蔞仁), 치인(梔仁), 황금
(黃芩), 생석고(生石膏), 하고초(夏枯草), 천화분(天花粉), 원명분(元明
粉), 죽엽(竹葉).
안주관농방(眼珠灌膿方)《中醫眼科學講義》1964 年, 치목제(治目劑)
조성 ≒ 죽엽(竹葉), 석고(石膏), 괄루(栝樓), 황금(黃芩), 망초(芒硝, 玄明粉), 대
황(大黃), 하고초(夏枯草), 천화분(天花粉), 지실(枳實), 치자(梔子), 은
화(銀花).
주치 : 리열치성(裏熱熾盛)지 응지예(凝脂翳).- 응지대편(凝脂大片) 황액상충(黃
液上冲) 백정홍적(白睛紅赤) 옹종(壅腫), 포검홍종(胞瞼紅腫) 수명난정(
羞明難睜) 열루빈유(熱泪頻流) 치다색황(眵多色黃) 혹황록(或黃綠) 발열
구갈(發熱口渴) 수적변비(溲赤便秘) 설홍태황후(舌紅苔黃厚) 맥삭이유력
(脈數而有力)
안충탕(安冲湯)《醫學衷中參西彔》경산제(經産劑)
조성 ≒ 용골(龍骨), 모려(牡蠣), 해표소(海螵蛸), 백출(白朮), 황기(黃芪),생지(生地),
백작(白芍), 천초(茜草), 속단(續斷).- 구미조성(九味組成)
주치 : 월경다차구(月經多且久).- 경래량다(經來量多), 권태핍력(倦怠乏力), 기단나
언(氣短懶言), 심계소매(心悸少寐), 설홍태황(舌紅苔黃), 맥활삭무력(脈滑數
无力).
안태음(安胎飮)《素庵医要》경산제(經産劑)
조성 ≒ 팔진탕(八珍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숙지(熟地)) 거(去) 감초(甘草), 가(加) 황기(黃芪),
천속단(川續斷), 지유(地楡), 모려(牡蠣), 황금(黃芩),애엽(艾葉),향부(香附).
- 십사미조성(十四味組成)
주치 : 임신(姙娠) 기혈양허(氣血兩虛).- 태동불안(胎動不安) 소복추창(小腹墜脹) 혹
태루하혈(胎漏下血).
안태화기음(安胎和氣飮)《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당귀(當歸), 천궁(川芎), 생지황(生地黃), 백작(白芍)) 가
(加) 황금(黃芩), 백출(白朮), 사인(砂仁).- 칠미약(七味葯) 조성(組成)
주치 : 잉부(孕婦) 질부손상(跌仆損傷).
애부난궁환(艾附暖宮丸)《仁齋直指方》
조성 ≒ 애엽(艾葉), 향부(香附), 당귀(當歸), 황기(黃芪), 오수유(吳茱萸), 천궁
(川芎), 백작(白芍), 지황(地黃), 관계(官桂), 속단(續斷).
애전환(艾煎丸)《邯鄲遺稿》경산제(經産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숙지(熟地), 백작(白芍), 당귀(當歸), 천궁(川芎)) 加 애엽(艾
葉), 인삼(人蔘), 오수유(吳茱萸), 창포(菖蒲), 귤홍(橘紅).- 구미조성(九味組
成)
주치 : 경수후기(經水后期) 인우허한(因于虛寒).- 경수후기(經水后期) 색담량소(色淡
量少), 면색창백(面色蒼白), 파냉희난(怕冷喜暖),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지
(脈沉遲) 혹(或) 미세(微細).
액정전(液精煎)《浙江中醫學院學報》
조성 ≒ 仙靈脾(선령비)15, 五加皮(오가피)10, 車前子(차전자)30, 川牛膝(천우슬)15,
赤芍(적작)10, 黃柏(황백)10, 天花粉(천화분)20, 山茱肉(산수육)15, 五味子
(오미자)15, 准山葯(준산약)20. - 每日一劑, 水煎, 分三次服. 30 天爲 1 療程.
효용 : 익신전정(益腎塡精), 활혈거어(活血祛瘀), 청열이습(淸熱利濕).
주치 : 정액(精液) 불액화증(不液化症).
加减 - 습성(濕盛) : 加 비해(萆薢).
열심(熱甚) : 加 重用 황백(黃柏)
구병혈어(久病血瘀) : 加 단삼(丹參)
기혈양허(氣血兩虛) : 加 당귀(當歸), 당삼(黨參), 생황기(生黃芪).
【臨證擧例】報道 因精液不液化 而致不育症 33 例, 婚齡 1~6 年, 均爲 排出精液后 1
小時 未液化. 其中 精液中 白細胞大于 5 个/HP 者 13 例(39.4%) 前列腺
液 檢査 白細胞大于 15 个/HP 者 9 例(27.3%).
治療結果 : 痊愈 17 例(51.52%), 有效 15 例(45.45%), 无效 1例(3.03%),
悤有效率 爲 96.9%.
액향산(腋香散)《中醫外科學》
조성 ≒ 密陀僧(밀타승), 生龍骨(생용골), 紅粉(홍분), 冰片(빙편), 木香(목향).
액화속사탕(液化續嗣湯)《北京中醫》1989. 4 : 23
조성 ≒ 知母(지모)12, 黃柏(황백)6, 生地(생지), 熟地(숙지) 各12, 仙茅(선모)10,
仙靈脾(선령비)18, 丹皮(단피)15, 丹參(단삼)20, 麥冬(맥동)12, 天花粉(
천화분)12, 玄參(현삼)9, 赤芍(적작), 白芍(백작)各9, 南瓜子(남과자)30,
枸杞子(구기자)10, 車前子(차전자,包煎)10.
- 水煎服. 每日 1 劑, 5 周爲 1 療程.
효용 : 자신양음(滋腎養陰), 활혈청열(活血淸熱).
주치 : 정액불액화증(精液不液化症)
加减
① 한성(寒盛) : 加 포부자(炮附子), 녹각교(廘角膠), 파극천(巴戟天)
② 습성(濕盛) : 加 택사(澤瀉), 복령(茯苓)
③ 습열호결(濕熱互結) : 加 금은화(金銀花), 포공영(蒲公英), 통초(通草),
활석(滑石).
④ 구병혈어(久病血瘀) : 加 홍화(紅花), 단삼(丹參) 용량 60g까지.
⑤ 정허(正虛) 기혈양휴(氣血兩虧) : 加 당귀(當歸), 당삼(黨參), 황기(黃
芪), 오미자(五味子), 토사자(菟絲子) 등.
【臨證擧例】用本方 加减治療 30 例, 痊愈 11 例, 有效 17 例,
總有效律 93.3 %.
액화승정탕(液化升精湯)《山東中醫學院學報》1984. 2 : 29
조성 ≒ 丹皮(단피), 地骨皮(지골피), 赤芍(적작), 白芍(백작) 各9,生地(생지)12,
麥冬(맥동)15, 玄參(현삼)12, 生牡蠣(생모려)30, 浙貝母(절패모), 枸杞
子(구기자) 各12, 丹參(단삼)15, 山茱肉(산수육)9, 金銀花(금은화)18,
連翹(연교)9, 夏枯草(하고초)12, 柴胡(시호),艾葉(애엽),茯苓(복령)各9,
仙靈脾(선령비)12.
水煎服. 每日 1 劑, 服 3 天停 1 天, 共服 24 劑爲 1 療程.
효용 : 청열해울(淸熱解鬱), 활혈화정(活血化精)
주치 : 남성불육증(男性不育症)
【臨證擧例治】
治療 精液不化 精子總數减少及精子成活率 降低之 男性不育症 30 例.
結果 : 女方受孕者 18 例; 精液化驗 全部正常, 但女方尙未受孕者 6 例 ;
无效者 6例. 總有效律爲 80 %(受孕率 60%), 无效率 20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