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8-27 13:22
[의방집성(醫方集成)] 자연고《經驗方》 - 장군정통환《審視瑤函》
|
|
글쓴이 :
admin
조회 : 9,757
|
자연고(紫連膏)《經驗方》
조성 ≒ 紫草(자초)30, 黃連(황연)15, 麻油(마유)1000毫升.
紫草放入油中 小火熬枯去渣, 再加入黃連面, 黃蠟適量, 攪勻冷凝卽成.
- 調搽患處, 日 2~3 次.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安撫退斑(안무퇴반)
주치 : 白膩(백니,進行期), 尿布皮炎(뇨포피염), 擦爛紅斑(찰란홍반) I~II度燙傷(탕
상) 等.
자옥잠고(紫玉簪膏)《瘍醫大全》
조성 ≒ 五倍子(오배자), 紫玉簪葉(자옥잠엽), 乳香(유향), 沒葯(몰약), 河豚眼睛
(하돈안정), 血竭(혈갈), 兒茶(아차), 麻油(마유), 東丹(동단).
자웅사황산(雌雄四黃散)《外科正宗》
조성 ≒ 石黃(석황), 雄黃(웅황), 硫黃(유황), 雌黃(자황), 白附子(백부자), 川槿
皮(천근피).
자원탕(紫菀湯) 해장자원탕(海藏紫菀湯)《證治准繩》
조성 ≒ 자원(紫菀), 인삼(人蔘), 운령(云苓), 감초(甘草), 아교(阿膠), 지모(知母), 패
모(貝母), 오미자(五味子), 길경(桔梗).
주치 : 로열(勞熱).- 오랜 기침(久嗽), 기침하면서 담과 피를 토하고(咳血吐痰), 호흡
이 얕 고 약하며 말할 때 기운이 부족하고 말하기 싫어하며(少氣懶言),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차 오르는 듯한(胸脇逆滿) 등 증상을 다스린다.
☞ 勞熱 1) 각종 만성소모성질병 중에서 나타나는 발열현상을 말한다. 예를 들면
오로칠상(五勞七傷)에서 나타나는 허열(虛熱)이다.
2) 중기부족(中氣不足)에 의하여 폐기(肺氣)가 허약하고 약간 일만해도
쉬 피로(疲勞)하며 저열(低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자원탕(紫菀湯)《婦人良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자원(紫菀), 상피(桑皮), 길경(桔梗), 죽여(竹茹), 자감초(炙甘草),행인(杏仁),
천동(天冬), 백밀(白蜜).-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자수(子嗽).- 임신해수(姙娠咳嗽) 인건구조(咽乾口燥) 설홍소태(舌紅少苔) 맥
세삭(脈細數)
자원탕(紫菀湯)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紫菀茸(자원용), 白芷(백지), 人蔘(인삼), 黃芪(황기), 地骨皮(지골피), 杏仁(
행인), 桑白皮(상백피), 甘草(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作一貼(좌작일첩)하
여 生薑(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고 水煎服(수전복)한
다.
주치 : 六乙年(육을년) 從革(종혁)의 紀(기)
歲金(세금)이 不及(불급)하고 炎火(염화)가 盛行(성행)하여 사암들의 疾病(질
병)은 肩, 背(견,배)가 무겁고, 재채기를 하며, 咳喘(해천)하고, 血便(혈변)이
注下(주하)하는 것을 다스린다.
자음강화환 (滋陰降火丸)《入門》補益劑(보익제)
조성 ≒ 熟地黃(숙지황) 二兩(이량), 黃柏(황백) 一兩半(일량반), 知母(지모),
枸杞子(구기자), 蓮肉(연육), 茯神(복신), 人蔘(인삼) 各一兩(각일량)을
作末(작말)하고, 地黃(지황)을 술에 쪄서 膏(고)를 만들어 梧子大(오자
대)만한 丸(환)을 지어 白湯(백탕)에 100환을 呑下(탄하)한다.
주치 : 陰虛(음허)한 症(증)을 補(보)하는데 사용한다. - 東醫寶鑑(동의보감)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丹心(단심)》-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熟地黃(숙지황) 二兩(이량),牛膝(우슬),山葯(산약) 各一兩半(각일량반),
杜仲(두중), 巴戟(파극), 山茱萸(산수유), 肉蓗蓉(육종용), 五味子(오미
자), 白茯苓(백복령), 茴香(회향), 遠志(원지) 各一兩(각일량), 石菖蒲
(석창포), 枸杞子(구기자) 各五錢(각오전)을 作末(작말)하고 棗肉(조육)
을 쪄서 蜜(밀)을 넣고 梧子大(오자대)로 和丸(화환)하여 鹽湯(염탕) 혹
은 溫酒(온주)로 70~90환을 呑下(탄하)한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心(심), 腎(신)을 補(보)한다.
☆☆☆ 이 약을 加味虎潛丸(가미호잠환)과 소로 間服(간복)하면 이른바 陰(음)
을 補(보)하고 陽(양)을 和(화)하게 하며 血(혈)을 낳고 精(정)을 더하며
肌膚(기부)를 붉게 하고 筋骨(근골)을 壯(장)하게 하며 性味(성미)가 맑
으나 寒(한)하지 않고, 溫(온)하면 熱(열)하지 않으니 造化(조화)의 精微(
정미)한 法(법)을 通達(통달)하지 못한 者(자)에게는 이것을 이야기 할
수 없다
자음보폐탕(滋陰補肺湯)《醫方集成》
조성 ≒ 天門冬(천문동), 麥門冬(맥문동), 黃精(황정), 枸杞子(구기자) 各10, 知
母(지모), 황금(黃芩) 各8, 熟地黃(숙지황)12, 山葯(산약)10, 肉蓗蓉(육
종용)15, 炙黃芪(자황기)10, 炙甘草(자감초)8.
위의 약을 1첩 양으로 하여 10 첩을 水煎服(수전복)하는데 再湯(재탕)
까지 해서 15일간 복용한다.
주치 : 肺燥(폐조), 氣道乾燥(기도건조), 睡眠(수면)중에 无呼吸症(무호흡증)으
로 마스크를 사용하는 경우 肺(폐)및 氣道乾燥(기도건조) 현상이 일어나
熟眠(숙면)이 불가능하고, 呼吸(호흡)이 짧고 무력하며 특히 吸氣(흡기)
가 약하고 胸部壓迫感(흉부압박감)이 생기는 것을 다스린다.
자음억항탕(滋陰抑抗湯)《中國醫葯學報》1990 ; 6 ; 43
조성 ≒ 炒當歸(초당귀), 赤芍(적작), 白芍(백작), 淮山葯(회산약), 山茱肉(산수
육), 丹皮(단피), 生地黃(생지황) 各10, 甘草(감초)6, 鉤藤(구등)15.
月經乾凈后 開始服葯, 每日 1 劑, 水煎 分二次服. 至排卵后 上方 加 川斷
(천단), 菟絲子(토사자), 鹿角片(녹각편, 先煮) 各 10 克, 續服 7 劑.
【宜忌】服葯期間 采用 避孕套 ; 戒烟酒, 防感冒.
치법 : 자음양혈(滋陰養血), 장신화비(壯腎和脾).
주치 : 부녀(婦女) 항정자(抗精子) 면역성(免疫性) 불잉증(不孕症), 증속(證屬)
음허화왕자(陰虛火旺者).
加减
① 습열을 겸한 사람(兼濕熱者) :
加 패장초(敗醬草), 의이인(薏苡仁) 각15
벽옥산(碧玉散)(包煎)10.
② 비위가 박약한 사람(兼脾胃薄弱者) :
去 당귀(當歸), 숙지(熟地),
加 초백출(炒白朮)10, 사인(砂仁)
(后下)3, 외목향(煨木香)5.
③ 심간이 울화한 사람(兼心肝鬱火者) :
加 시호(柴胡)5, 흑산치(黑山梔),합환피(合歡皮) 各9,녹악매(綠萼梅)3.
자음윤조탕(滋陰潤燥湯)《廣西中醫葯》보양제(補陽劑)
조성 ≒ 여정자(女貞子), 한련초(旱蓮草), 하수오(何首烏) 각30, 구기자(枸杞子),
파극천(巴戟天, 或 淫羊藿)各15, 맥동(麥冬), 산수육(山茱肉) 各12, 진피
(陣皮)3. 水煎, 分 2 次溫服, 每天 1 劑, 6 天爲 1 療程.
치법 : 자윤신정(滋潤腎精), 화기윤규(化氣潤竅)
주치 : 부녀(婦女) 대하과소(帶下過少) 성욕부족(性欲不足).
【臨證擧例】: 用本方治療 帶下 過少者 38 例, 年齡 26~51歲, 均已婚, 脾胃素虛 大
便溏爛者, 將何首烏量 减至 15克, 酌加 白朮 6 克, 或砂仁 3 克; 陰虛
有熱 出現五心煩熱 脈細數者 加 黃柏 知母 各3.
治療結果: 痊愈 28例, 好轉 8例, 无效 2 例.
자음제습탕(滋陰除濕湯)《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당귀(當歸), 천궁(川芎), 백작(白芍), 숙지(熟地)) 가(加)
택사(澤瀉), 생강(生姜), 지골피(地骨皮), 시호(柴胡), 황금(黃芩), 진피(
陣皮), 감초(甘草), 지모(知母), 패모(貝母).- 수전복(水煎服)
효용 : 자음제습(滋陰除濕), 화담통락(化痰通絡).
주치 : 자담(子痰).- 고환종괴(睾丸腫塊) 병변부분(病變部分) 화농(化膿), 설홍(
舌紅) 맥세삭(脈細數). - 초기(初起) 부고결핵(附睾結核).
자음제습탕(滋陰除濕湯)《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生地(생지), 玄參(현삼), 當歸(당귀), 丹參(단삼), 茯苓(복령),澤瀉(택사),
白鮮皮(백선피), 蛇床子(사상자).
자음지황탕(滋陰地黃湯)《万病回春》
조성 ≒ 熟地(숙지), 山茱肉(산수육), 山葯(산약), 白芍(백작), 當歸(당귀), 川芎(
천궁), 丹皮(단피), 澤瀉(택사), 茯苓(복령), 菖蒲(창포), 遠志(원지), 黃
柏(황백).
자음팔물탕(滋陰八物湯)《外科正宗》卷九
조성 ≒ 川芎(천궁), 當歸(당귀), 赤芍(적작), 生地(생지), 牡丹皮(모단피), 天花
粉(천화분), 甘草節(감초절) 各3, 澤瀉(택사)1.5.
水 300 毫升, 燈芯 20 克, 煎至 240 毫升, 食前服.
효용 : 活血托里(활혈탁리).
주치 : 懸癰初起(현옹초기), 狀如蓮子(상여연자), 紅赤漸腫(홍적점종), 悠悠作痛
(유유작통) 者.
현옹(懸癰) :
① 회음부(會陰部)에 생긴 옹(癰)을 말하는 것으로 해저옹(海底癰)이라고
도 한다. 대부분 정지울결(情志鬱結), 삼음휴손(三陰虧損), 습열옹체(
濕熱壅滯)에 의하여 발생된다. 회음부(會陰部)는 조직이 조밀하지 않
고(疏松) 또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잘 아물지 않음으로 창루(瘡漏)를
이룬다.
② 상악부(上顎部)에 생긴 옹(癰)을 말한다. 이는 자색포도와 같고 혀는
내밀고 거두어들이는 운동이 곤난(困難)하며 코피가 나고, 때로는 한
열(寒熱, 惡寒發熱)이 난다. 이는 대부분 풍열내결(風熱內結), 위화상
승(胃火上升)에 의하여 생긴다.
【加减】便閉(변폐) : 加 大黃(대황) 6 克.
자제경험대조탕(自制經驗大棗湯)《陳素庵婦科補解》卷三
조성 ≒ 麥冬(맥동)3, 石菖蒲(석창포)1.8, 浮小麥(부소맥)30, 棗仁(조인)4.5,
茯神(복신)4.5, 天冬(천동)3, 柏子仁(백자인)9, 大棗(대조)10枚, 甘
草(감초)1.8, 白芍(백작)3, 玄參(현삼)15, 黃芩(황금)3, 竹茹(죽여)3,
當歸(당귀)3.- 水煎服
효용 : 養陰淸心(양음청심)
주치 : 姙娠臟燥(임신장조)
자조양영탕(滋燥養營湯)《症因脈治》
조성 ≒ 당귀(當歸), 생지황(生地黃), 백작(白芍), 진교(秦艽), 황금(黃芩), 형개
(荊芥), 모단피(牡丹皮), 서각(犀角), 감초(甘草).
효용 : 청열윤조(淸熱潤燥), 자음양혈(滋陰養血).
주치 : 위증(痿證) - 조사범폐증(燥邪犯肺證)
자조양영탕(滋燥養營湯)《證治准繩》
조성 ≒ 當歸(당귀), 生地(생지), 熟地(숙지), 白芍(백작), 秦艽(진교),黃芩(황금),
防風(방풍), 甘草(감초).
자조양영탕(滋燥養營湯)《醫方集解》치조제(治燥劑)
조성 ≒ 당귀(當歸), 백작(白芍), 생지황(生地黃), 방풍(防風), 대엽진교(大葉秦
艽), 황금(黃芩), 감초(甘草).
주치 : 화열상음(火熱傷陰)적 풍비(風秘).- 피부건조(皮膚乾燥) 조갑고고(爪甲枯
槁) 혹 혈허장조(血虛腸燥) 대변불통(大便不通).
자주환(磁朱丸)《千金方》안신제(安神劑)
조성 ≒ 자석(磁石), 주사(朱砂), 신곡(神曲, 六曲).
주치 :. 1) 심신불교(心腎不交) 심양편항(心陽偏亢) 자(者).- 자각적인 심장박동과 불
안을 느끼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心悸失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어두워
지고(耳鳴耳聾), 눈에는 불꽃이 날으는(視物昏花) 증 증상을 다스린다.
2) 심계정충(心悸怔忡) -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合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和劑局方》
3) 圓翳內障(원예내장)
4) 이명이농(耳鳴耳聾) - 간양상항증(肝陽上亢證
자초고(紫草膏)《中醫外科學》
조성 ≒ 紫草(자초), 當歸(당귀), 紅花(홍화), 生地黃(생지황), 生大黃(생대황), 白芷(
백지), 黃柏(황백), 冰片(빙편), 黃蠟(황랍), 麻油(마유).
자초목통탕(紫草木通湯)《經驗方》
조성 ≒ 紫草(자초), 生薏仁(생의인), 赤小豆(적소두) 各15, 茯苓皮(복령피), 焦
山梔(초산치), 茵陣(인진), 車前子(차전자), 車前草(차전초), 生地(생지)
各10, 木通(목통), 紅花(홍화), 甘草(감초) 各6.
자초쾌반탕(紫草快斑湯)《張氏醫通》해표제(解表劑)
조성 ≒ 자초(紫草), 선의(蟬衣), 감초(甘草), 목통(木通), 작약(芍葯).
주치 : 혈열발반(血熱發斑).- 반진은은(斑疹隱隱) 불출(不出),색자흑(色紫黑) 등.
자초유(紫草油)《瘍醫大全》
조성 ≒ 白芷(백지), 뇨羊花(뇨양화), 山柰(산내), 大茴香(대회향), 靑皮(청피), 草烏
(초오), 靈仙(령선), 甘松(감송), 小茴香(소회향), 大黃(대황), 獨活(독활),乾
蟾(건섬), 亂頭發(난두발).
자초유(紫草油)《經驗方》
조성 ≒ 紫草(자초)100, 黃芩(황금)50, 麻油(마유)450.
將葯放入油中, 小火熬枯去渣, 濾過備用.- 外涂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凉血退斑(양혈퇴반).
주치 : 尿布皮炎(뇨포피염) 嬰兒濕疹(영아습진) 等.
자초홍화음(紫草紅花飮)《中醫兒科學》
조성 ≒ 자초근(紫草根), 서홍화(西紅花), 연교(連翹), 은화(銀花), 황련(黃連),
절패모(浙貝母), 비파엽(枇杷葉), 판람근(板藍根), 죽엽(竹葉), 목통(木
通), 감초(甘草).
자췌음(滋膵飮)(湯)《衷中參西彔》치조제(治燥劑)
조성 ≒ 산수유(山茱肉), 생지(生地), 황기(黃芪), 회서여(懷薯蕷, 山葯), 저이장(猪胰
臟).
주치 : 소갈(消渴).- 구갈다음(口渴多飮) 기핍무력(氣乏无力) 맥홍무력(脈洪无力).
자하고(紫霞膏)《外科正宗》
조성 ≒ 乳香(유향), 銅綠(동록).
자하차환(紫河車丸) (河車丸)《醫學心悟》영아제(嬰兒劑)
조성 ≒ 자하차(紫河車), 복신(茯神), 복령(茯苓), 원지(遠志), 인삼(人蔘), 단삼(丹
參).
주치 : 전간(癲癎) 정기허약(正氣虛弱) 구복가근(久服可根) 치전간(治癲癎).
자하차환(紫河車丸)《證治准繩》
조성 ≒ 河車(하차), 猪茯苓(저복령), 茯神(복신), 遠志(원지), 人參(인삼), 丹參(단
삼).
자혈백보환(滋血百補丸)《丹心(단심)》-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熟地黃(숙지황), 菟絲子(토사자) 各四兩(각사량), 當歸(당귀), 酒炒杜仲
(주초두중) 各二兩(각이량), 知母(지모), 鹽酒炒黃柏(염주초황백) 各一
兩(각일량), 沉香(침향) 五錢(오전)을 作末(작말)하고 酒糊(주호)로 빚
어서 梧子大(오자대) 크기로 和丸(화환)하여 鹽湯(염탕)으로 70환을 呑
下(탄하)한다.
주치 : 虛勞(허로)를 다스리고 血氣(혈기)를 補(보)하며 陰(음)을 滋養(자양)한
다.
자혈탕(滋血湯)《證治准繩》경산제(經産劑)
조성 ≒ 사물탕(四物湯, 熟地黃 當歸 川芎 白芍), 인삼(人蔘), 황기(黃芪),복령(茯苓),
회산약(懷山葯).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월경과소(月經過少) 인혈허자(因血虛者).- 월경량소(月經量少) 혹(或) 점적즉
정(点滴卽淨) 색담무괴(色淡无塊) 두운안화(頭暈眼花) 심계정충(心悸怔冲)
면색위황(面色萎黃) 소복공추(小腹空墜) 설담홍(舌淡紅) 맥세(脈細).
자혈탕(滋血湯)《婦人大全良方》卷二
조성 ≒ 當歸(당귀), 川芎(천궁), 芍葯(작약), 人蔘(인삼), 麥門冬(맥문동), 牡丹皮(모
단피), 阿膠(아교) 各60, 琥珀(호박, 別硏)22.5, 炒酸棗仁(초산조인), 甘草(감
초) 各30, 半夏曲(반하곡)45, 桂心(계심)30.- 上爲粗末 每服 9 克, 用水 150
毫升, 加 生姜 3片, 煎至 100 毫升, 去滓溫服, 1 日 3 次.
치법 : 滋養營血(자양영혈)
주치 : 부인의 각종 허증(婦人諸虛), 血海久冷(혈해구냉). 虛煩不寧(허번불영), 悲傷
欲哭(비복욕곡) 月經漸稀(월경점희), 卽將絶經(즉장절경).
자화전(子花煎)《魯府禁方》옹양제(癰瘍劑)
조성 : 괴실(槐實)15, 천산갑(穿山甲)(微炒)9.
无灰黃酒 250毫升, 水 250毫升, 煎至 250毫升, 空心熱服.
치법 : 淸熱凉血(청열량혈), 燥濕斂瘡(조습렴창).
주치 : 梅毒(매독) - 魚口瘡(어구창).
작약감초부자대황탕(芍葯甘草附子大黃湯)《類聚方廣義》
조성 ≒ 작약(芍葯), 감초(甘草), 부자(附子), 대황(大黃).
작약감초부자탕(芍葯甘草附子湯)《傷寒論》온리제(溫里劑)
조성 ≒ 작약(芍葯), 감초(甘草), 부자(附子).
주치 : 한출후(汗出后) 음양양허(陰陽兩虛).- 태양표증(太陽表證) 발한(發汗)
병불해(病不解), 반오한(反惡寒), 각련급(脚攣急) 등증을 다스린다.
작약감초탕(芍葯甘草湯)《傷寒論》
조성 ≒ 작약(芍葯), 감초(甘草).
작약감초탕(芍葯甘草湯)《傷寒論》화해제(和解劑)
조성 ≒ 작약(芍葯), 감초(甘草) 各30.
用水 1000 毫升, 煎至 500 毫升, 去滓, 分 2 次溫服.
치법 : 유간서근(柔肝舒筋), 화혈지통(和血止痛).
주치 1) 간혈부족(肝血不足), 근맥구련(筋脈拘攣)의 통경(痛經).
2) 음혈허손(陰血虛損) 혈불양근(血不養筋).- 각련급(脚攣急) 태박백(苔薄
白) 맥세무력(脈細无力) 등 변증의거(辨證依据)
3) 부인(婦人) 성교음통(性交陰痛),증속(證屬) 음혈이 돌지 않아(陰血不濡)
경락이 구애를 받아 경련을 일으키는 사람(經絡拘攣者).
4) 복통(腹痛) - 소장기체증(小腸氣滯證)
合 신정오수유탕(新定吳茱萸湯)《금궤익(金匱翼)》
【臨證擧例】《北京中醫》1983 ; 1 : 33
본방 加 현호색(玄胡索), 향부(香附) 월경전 1 日 혹은 곧바로 월경이
시작되는 날 달여서 먹기 시작하는데, 매일 1 제(劑)씩 연 3日간 복용
한다.
통경(痛經) 16 例를 치료한 결과 치유(治愈) 14 例.
작약탕(芍葯湯)《醫學六書》청열제(淸熱劑)
조성 ≒ 작약(芍葯), 당귀(當歸), 삼황(三黃, 대황(大黃), 황금(黃芩), 황련(黃連)), 육
계(肉桂), 감초(甘草), 목향(木香), 빈낭(檳榔).
주치 : 습열리(濕熱痢).- 이질설사의 색이 붉은데 그 후말에 희색액체가 나온다(下痢
赤白) 배가 아프며 변감이 급하며(腹痛里急), 태니미황(苔膩微黃).
작약탕(芍葯湯)《素問病機氣宜保命集》청열제(淸熱劑)
조성 ≒ 작약(芍葯), 황금(黃芩), 황연(黃連), 당귀(當歸), 목향(木香), 빈낭(檳榔), 육
계(肉桂), 대황(大黃), 감초(甘草).
효능 : 조기도체(調氣導滯), 청화습열(淸化濕熱).
주치 : 복통(腹痛) - 대장습열증(大腸濕熱證).
잠시탕(蚕矢湯)《霍亂論》거습제(祛濕劑)
조성 ≒ 잠사(蚕砂), 통초(通草), 목과(木瓜), 의이인(薏苡仁), 대두황권(大豆黃卷),
황련(黃連), 반하(半夏), 황금(黃芩), 오수유(吳茱萸), 치자(梔子).
주치 : 곽란(霍亂).- 토사복통(吐瀉腹痛), 설태황후이건(舌苔黃厚而乾), 맥유삭(脈濡
數).
장군정통환(將軍定痛丸)《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천마(天麻), 황금(黃芩), 백지(白芷), 백강잠(白僵蠶), 길경(桔梗), 박하
(薄荷), 대황(大黃), 진피(陣皮), 반하(半夏), 청몽석(靑礞石).
주치 : 녹풍내장(綠風內障)
풍이 담화를 움직여(痰火動風) 위로 두면의 7규를 조체(上阻淸竅)한 녹풍
내장(綠風內障) - 발병이 몹시 급하며(發病急劇), 두통이 나는데 마치 머
리를 쪼개는 것 같고(頭痛如劈), 눈알이 빠져나가려는 뜻 붓고 아프며(眼
球脹痛欲脫), 그 통증이 눈자위에까지 미치고(連及目眶), 시력은 급강(視
力急降)하며 눈두덩이 가 적나라하게 붉거나(抱輪紅赤) 혹은 흰자위가 혼
탁하게 붉고(白睛混赤) 통통하게 붓는다(浮腫), 흑정(黑睛)은 안개가 자
욱하게 낀 것처럼 혼탁하고(呈霧狀混濁), 눈돈자는 산대하며(瞳神散大)
동자 안으로 녹색을 띄고(瞳內呈綠色), 눈알은 단단하게 변하며(眼球變硬
), 몸에선 열이 나고 얼굴은 붉으며(身熱面赤), 움직이면 어지럽고(動則
眩暈), 속은 메스껍고 구토가 나며(惡心嘔吐), 오줌색이 붉고 대변은 단
단하며(溲赤便結), 설질이 붉고(舌質紅) 태는 누런 것이 미끈거리며(苔
黃膩), 맥은 길고 가야금 줄을 누른 뜻하며 한번 호흡하는 동안에 5번 이
상 뛰는 빠른 맥이다(脈弦滑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