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8-27 14:48
[의방집성(醫方集成)] 전열선증생환《北京中醫學院學報》 - 정풍병자《得効 ․東醫寶鑑》
|
|
글쓴이 :
admin
조회 : 9,399
|
전열선증생환(前列腺增生丸)《北京中醫學院學報》1986 ; 6 : 40
조성 ≒ 黃耆(황기)20, 莪朮(아출), 澤瀉(택사), 肉蓗蓉(육종용), 熟地(숙지) 各
15, 當歸(당귀), 穿山甲(천산갑), 知母(지모, 鹽炒), 黃柏(황백, 鹽炒),
仙靈脾(선령비) 各12, 木通(목통), 肉桂(육계), 地龍(지용) 各9.
水煎服. 每日一劑. 或制成蜜丸, 每丸重 9 克; 每服 1 丸, 1 日 3 次.
효용 : 溫補脾腎(온보비신), 活血化痰(활혈화담), 利尿通閉(이뇨통폐).
주치 : 前列腺增生症(전열선증생증).
症見(증견) 排尿困難(배뇨곤난) 尿頻(뇨빈) 尿線細(뇨선세) 甚者尿液淋
瀝(심자뇨액임력) 点滴而出(점저이출), 舌質暗(설질암), 脈
弦(맥현), 中醫辨證爲(중의변증위) 脾腎兩虛(비신양허) 氣
滯血瘀者(기체혈어자).
【加减】① 便秘者(변비자) : 酌加 生大黃(생대황), 芒硝(망초) 各6.
② 中氣不足(중기부족) 升運无力者(승운무력자) :
加 黨參(당삼), 白朮(백출) 各10.
전열선탕(前列腺湯)《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도인(桃仁)10, 홍화(紅花), 유향(乳香), 몰약(沒葯) 各4.5, 청피(靑皮)6, 단
삼(丹參)10, 백지(白芷)6, 택란(澤蘭)10, 적작(赤芍)10, 소회향(小茴香)3,
천련자(川楝子)6, 패장초(敗醬草)20, 포공영(蒲公英)20, 왕불유행(王不留
行)10.- 수전복(水煎服)
효용 : 활혈화어(活血化瘀) 행기도체(行氣導滯)
주치 : 만성전열선염(慢性前列腺炎).- 소복(小腹) 회음(會陰) 고환추창은통(睾丸墜
脹隱痛) 혹유 혈뇨(或有血尿) 혈정(血精) 설질유자점(舌質有紫点) 혹어반(
或瘀斑) 等 어체(瘀滯) 위주자(爲主者).
전열통보탕(前列通補湯)《江蘇中醫雜志》1990 ; 1 : 15
조성 ≒ 黃耆(황기), 海藻(해조) 各20, 黨參(당삼), 丹參(단삼) 各15, 枸杞子(구기
자), 菟絲子(토사자), 懷牛膝(회우슬), 澤瀉(택사) 各10, 白花蛇舌草(백
화사설초), 半枝蓮(반지련) 各30, 王不留行(왕불유행)12, 甘草(감초)5.
水煎, 分二次服. 每日一劑.
효용 : 淸熱活血(청열활혈), 補氣消結(보기소결).
주치 : 老年性(노년성) 前列腺增生(전열선증생)으로 排尿困難者(배뇨곤난자).
【臨床擧例】以本方 隨證加减 治療 17 例, 3 天后 排尿基本通暢者 6 例, 6 天后 排尿
基 本通暢者 9 例, 无效 2 例.
其中 13 例 追放 1 年, 有 1 例, 復發.
전유탕(轉愉湯)《辨證彔》卷十
조성 ≒ 人參(인삼)9, 甘草(감초)6, 小麥(소맥)15, 大棗(대조)10枚 白朮(백출)15, 茯
神(복 신)9.- 水煎服
효용 : 補土生金(보토생금), 潤肺安神(윤폐안신).
주치 : 婦人(부인) 因(인) 肺燥而致臟燥(폐조이치장조), 无故自悲(무고자비), 涕泣不
止(체읍불지).
전정재조환(塡精再造丸)《中國傳統性醫學》
조성 ≒ 紫河車(자하차)50, 熟地(숙지)120, 龜版(구판)60, 女貞子(여정자)60, 菟
絲子(토사자) 人參(인삼) 山茱肉(산수육) 各30, 狗鞭(구편, 酒蒸)2條, 巴
戟天(파극천)45, 煅牡蠣(단모려)100, 川椒(천초)15, 肉蓗蓉(육종용)50,
鹿茸(녹용)6, 五倍子(오배자)45, 紫石英(자석영)80, 桑螵蛸(상표소)60,
炙甘草(자감초)30, 沉香(침향)10.
- 上爲細末, 煉蜜爲丸. 每服 5 克, 1 日 2 次.
효용 : 補益腎精(보익신정), 兼助陽氣(겸조양기).
주치 : 男子(남자) 性慾減退(성욕감퇴), 多因(다인) 性器官(성기관) 發育不全(발
육부전) 或手淫(수음), 房勞過度(방로과도) 損傷腎精(손상신정) 者.
전충방(全虫方)《趙炳南臨床經驗集》
조성 ≒ 全虫(전충), 皂刺(조자), 猪牙皂角(저아조각), 刺蒺藜(자질려), 炒槐花(초괴
화), 威靈仙(위령선), 苦蔘(고삼), 白鮮皮(백선피), 黃柏(황백).
전통탕(前通湯)《江西中醫葯》1987 ; 6 : 22
조성 ≒ 生大黃(생대황), 赤芍(적작), 桃仁(도인), 炮山甲(포산갑) 各10, 桂枝(계지)6,
生甘草(생감초), 川牛膝(천우슬) 各9, 琥珀末(호박말)3.
水煎, 冲琥珀末 分 2 次服.
효용 : 活血化瘀(활혈화어), 軟堅消腫(연견소종), 利水通淋(이수통림)
주치 : 前列腺腫大(전열선종대), 小便淋澁不通(소변임삽불통), 舌紅(설홍), 有瘀点
(유어점), 脈弦滑(맥현활) 或洪大有力(혹홍대유력).
【臨證擧例】用本方治療 50 例,
尿常規檢査 見膿細胞者 : 加 瞿麥15, 丹皮10, 生山梔10, 柴胡10~15.
腎陰虛者 : 加 生地15, 黃柏10, 丹皮10.
腎陽虛者 : 加 淫羊藿15.
服葯 24小時內 癃閉不同程度减輕. 小便完全通利的 時間, 最早 3天, 最遲 7天.
38 例 經肛門指診 復査, 見腫大的 前列腺已 正常.
절류단(截流丹)《辨證彔》卷十一
조성 ≒ 茯苓(복령), 黑芥穗(흑개수), 車前子(차전자), 牛膝(우슬), 人蔘(인삼) 各9,
熟地(숙지), 白朮(백출) 各30, 蘄艾(기애)3, 肉桂(육계)0.9. - 水煎服
효용 : 健脾補腎(건비보신), 止血(지혈)
주치 : 婦人(부인) 一經交接(일경교접), 流血不止者(류혈불지자).
절몽단(絶夢丹)《辨證彔》卷八
조성 ≒ 人參(인삼), 茯神(복신), 白朮(백출), 菟絲子(토사자), 丹參(단삼),當歸(당귀),
蓮心(연심), 炒棗仁(초조인), 沙蔘(사삼) 各9, 麥冬(맥동), 芡實(검실), 山葯
(산약) 各15, 熟地(숙지), 玄參(현삼) 各30, 陣皮(진피)0.9, 北五味(북오미)3.
- 水煎服
효용 : 益氣養陰(익기양음), 寧心安神(영심안신).
주치 : 정신적으로 과도하게 애쓰게 되면(勞心過度) 腎火(신화)가 화를 따라 무도하
게 활동함으로(腎火隨火 奔越), 몽유증을 이루게 된다(致成夢遺之證). 이런
증상이 오래되면 정액이 멈추지 않고 흘러나오며(久則 滑脫不禁), 손만 대면
사정하며(五莖着被 精卽泄出) 음식이 감소(飮食减少)되고, 권태로 힘들어 넘
어지다(倦怠困頓).
절충음(折冲飮)《景岳全書》경산제(經産劑)
조성 ≒ 계지(桂枝), 백작(白芍), 원호(元胡), 우슬(牛膝), 홍화(紅花), 당귀(當歸), 천
궁(川 芎), 단피(丹皮).- 팔미조성(八味組成)
주치 : 혈어적통경(血瘀的痛經).- 소복구급(少腹拘急) 동통(疼痛), 경이유괴(硬而有
塊) 안지갱통(按之更痛) 경혈자암(經血紫黯) 유괴(有塊), 설자암(舌紫黯) 맥
침삽(脈沉澁)
점안진피전(点眼秦皮煎)《聖濟悤錄》치목제(治目劑)
조성 ≒ 秦皮(진피, 去粗皮)30, 黃連(황연, 去須)60, 升麻(승마)30, 細剉以水一升
(세좌이수일승) 煮取二合(자취이합) 澄淸一合半(징청일합반), 点眼(점
안).
주치 : 聚星障(취성장), 花翳白陷(화예백함).
접골단(接骨丹)(十寶散)《證治全生集》골상제(骨傷劑)
조성 ≒ 주사(朱砂), 사향(麝香), 용치(龍齒, 冰片), 당귀미(當歸尾), 유향(乳香), 몰약
(沒葯), 장홍화(藏紅花), 웅황(雄黃), 혈갈(血竭), 해아차(孩兒茶).
- 십미약(十味葯)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골단근절(骨斷筋折) 어종동통(瘀腫疼痛).
접골자금단(接骨紫金丹)《雜病源流犀燭》골상제(骨傷劑)
조성 ≒ 유향(乳香), 몰약(沒葯), 자연동(自然銅), 지별충(地鱉虫), 골쇄보(骨碎
補), 당귀미(當歸尾), 붕사(硼砂), 혈갈(血竭), 대황(大黃).- 구미약(九味
葯) 조성(組成)
주치 : 골절중기(骨折中期) 종창점소(腫脹漸消) 동통감경(疼痛减輕) 골상미접합
자(骨尙未接合者)
접진탕(接眞湯)《百代醫宗》온리제(溫裏劑)
조성 ≒ 침향(沉香), 당문자(當門子), 정향(丁香), 부자(附子).
주치 : 한통(寒痛).- 수족궐냉(手足厥冷), 배꼽주위의 배가 아프며(劑腹疼痛), 그 통
증이 마치 끊어질 듯이 아프고(痛極欲絶),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현(脈沉
弦).
정간환(定癎丸)《醫學心悟》
조성 ≒ 마황(麻黃), 천패모(川貝母), 담남성(膽南星), 강반하(姜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 복신(茯神), 단삼(丹參), 맥문동(麥門冬), 석창포(石菖蒲), 원지
(遠志), 전갈(全蝎), 강잠(姜蚕), 호박(琥珀), 주사(朱砂), 죽력(竹瀝), 강즙
(姜汁), 감초(甘草).
효용 : 척담식풍(滌痰熄風), 개규정간(開竅定癇).
주치 : 전간병(癲癎病) : 간증(癇證) 중에 출현하는 담탁내몽심포증(痰濁內蒙心包證)
의 그 임상표현은 항상 발작하기 전에는(發作前常有) 현운(眩暈), 흉민(胸悶),
핍력(乏力) 등의 증상이 있고, 발작시(發作時)에는 갑자기 비틀거리다 뒤집어
지며(突然跌仆), 정신의지가 맑지 못하고(神志不淸), 가래를 토하며 사지를
쭉 뻗거나(抽축吐痰), 혹은 짐승이 우는 소리를 내거나(吼叫) 혹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二便失禁) 등의 증상을 보이고 태백니(苔白膩)하며 맥은 현활
(脈弦滑)하다.
정경탕(定經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토사자(菟絲子, 酒炒), 백작(白芍, 酒炒), 당귀(當歸, 酒洗) 各30, 숙지(熟地),
산약(山葯) 各15, 복령(茯苓)9, 형개수(荊芥穗)6, 시호(柴胡)15.- 水煎服
효용 : 소간보신(疏肝補腎), 양혈조경(養血調經).
주치 : 1) 간울신허(肝鬱腎虛)적 월경병(月經病).- 경래선후무정기(經來先后无定期)
정신억울(精神抑鬱) 맥현(脈弦).
2) 간신기울(肝腎氣鬱) 경래계속(經來繼續) 혹전혹후(或前或后), 행이불창(行
而不暢) 유괴(有塊), 색정상(色正常) 소복창통(少腹脹痛), 혹유방창통(或乳
房脹痛) 연급양협(連及兩脇). 現用于 부인(婦人) 갱년기종합징(更年期綜合
徵) 속신허간울자(屬腎虛肝鬱者).
【臨床擧例】《中西醫結合雜志》1985 ; 8 : 501
用本方 治療 更年期綜合徵 37 例, 年齡 42~57 歲, 病程半年~6 年.
結果 : 顯效 18 例, 有效 19 例.
정계산(丁桂散)《中醫外科學》《臨診一得彔》옹양제(癰瘍劑)
조성 ≒ 정향(丁香), 육계(肉桂). - 이미조성(二味組成)
연극세말(硏極細末) 섬우고약(摻于膏葯) 혹(或) 유고내(油膏內) 부첩환처(敷
貼患處)
주치 : 일절(一切) 음증종양(陰證腫瘍)
정계산(丁桂散)《經驗方》
조성 ≒ 공정향(公丁香), 육계(肉桂) 各30. 共硏細末 摻膏葯 或油膏內 敷貼患部.
효용 : 온화담습(溫化痰濕), 산한지통(散寒止痛).
정골자금단(正骨紫金丹)《醫宗金鑑》골상제(骨傷劑)
조성 ≒ 당귀(當歸), 혈갈(血竭), 백작(白芍), 대금문(大錦紋, 大黃), 연육(蓮肉),
정향(丁香), 목향(木香), 장홍화(藏紅花), 모단피(牡丹皮), 운복령(云茯
苓), 감초(甘草), 해아차(孩兒茶).- 십이미(十二味) 조성(組成).
동변조하(童便調下) 혹(或) 황주조하(黃酒調下).
주치 : 질부타추(跌仆墮墜) 섬좌손상(閃挫損傷)의 동통(疼痛) 어혈응취(瘀血凝
聚).
정골탕약(正骨燙葯)《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투골초(透骨草), 골쇄보(骨碎補), 강활(羌活), 방풍(防風), 당귀(當歸), 홍
화(紅花), 유향(乳香), 몰약(沒葯), 천초(川椒), 천단(川斷), 백지(白芷), 목
과(木瓜).
십이미약(十二味葯) 조말(粗末) 장입포대중(裝入布袋中) 방입증롱내증열(
放入蒸籠內蒸熱) 부환처(敷患處).
주치 : 골절(骨折) 근상(筋傷) 탈위후(脫位后) 어혈작통(瘀血作痛) 근락구련(筋絡
拘攣).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入門》
조성 ≒ 人蔘(인삼), 藿香(곽향), 厚朴(후박), 黃芪(황기),白芷(백지),當歸(당귀),
熟地黃(숙지황), 川芎(천궁), 茯神(복신) 各七分(각칠분), 肉桂(육계),
五味子(오미자), 白朮(백출), 半夏(반하), 附子(부자), 丁香(정향), 木香
(목향), 乾姜(건강), 甘草(감초) 各四分(각사분)을 剉作一貼(좌작일첩)
하여 生姜(생강) 三片(삼편), 大棗(대조) 二枚(이매)를 넣어 水煎服(수
전복)한다.
주치 : 모든 虛(허)의 冷氣(냉기)를 다스린다.
정기산(正氣散)(加味不換金正氣散)《福建中醫葯雜志》거습제(祛濕劑)
조성 ≒ 평위산(平胃散, 후박(厚朴), 창출(蒼朮), 진피(陣皮), 감초(甘草)) 가(加) 곽향
(藿香), 초과(草果), 풍란(偑蘭), 반하(半夏),빈낭(檳榔),구절창포(九節菖蒲),
하엽(荷葉).
주치 : 냉장(冷瘴).- 한심열미(寒甚熱微) 혹 단한불열(但寒不熱) 혹 구토복사(嘔吐腹
瀉), 태백후니(苔白厚膩), 맥현(脈弦).
정기천향산(正氣天香散)《保命歌括》경산제(經産劑)
조성 ≒ 진피(陣皮), 오약(烏葯), 향부(香附), 애엽(艾葉), 건강(乾姜).
주치 : 부인(婦人) 일절제기작통(一切諸氣作痛).- 상충심흉(上冲心胸), 혹공축협
늑(或攻筑脇肋), 복중결괴(腹中結塊), 발칙자통(發則刺痛).
정력대조사폐탕(葶藶大棗瀉肺湯)《金匱要略》거담제(祛痰劑)
조성 ≒ 정력자(葶藶子), 대조(大棗).
주치 : 폐옹(肺癰) 형기구실자(形氣俱實者).- 천불득와(喘不得臥) 흉만흉통(
胸滿胸痛) 담탁옹색(痰濁壅塞).
정력환(葶藶丸)《小兒葯證直訣》
조성 ≒ 葶藶子(정력자) 黑牽牛子(흑견우자) 漢防己(한방기) 杏仁(행인).
정명산(定命散)《普濟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오공(蜈蚣) 오초사(烏梢蛇) 백화사(白花蛇).
주치 : 파상풍(破傷風).- 각궁반장(角弓反張), 추축(抽畜).
정백환(定魄丸)《東醫寶鑑》
조성 ≒ 人參(인삼), 琥珀(호박), 茯神(복신), 遠志(원지), 朱砂(주사), 天麻(천마), 石
菖蒲(석창포), 天門冬(천문동), 酸棗仁(산조인), 甘草(감초) 各等分.
右爲末 蜜丸皂子大 朱砂爲衣 每丸燈芯 薄荷煎湯化下
정부제(凈膚劑)《上海中醫葯雜志》
조성 ≒ 浮石(부석) 爐甘石(로감석).
정순탕(靜順湯(정순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白茯苓(백복령), 木瓜(목과) 各一錢二分半(각일전이분반), 炮附子(포부자),
牛膝(우슬) 各一錢(각일전), 防風(방풍), 訶子(가자), 炮姜(포강), 炙甘草(자
감초) 各七分半(각칠분반)을 剉(좌)하여 一貼(일첩)으로 水煎服(수전복)
주치 :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編(편) - 辰戌(진술)의
歲(세)의 경우를 참조
정씨비해분청음 (程氏萆解分淸飮) ⇒ 비해분청음 (萆薢分淸飮)
정양산(正陽散)《太平聖惠方》온리제(溫裏劑)
조성 ≒ 四逆湯(부자(附子) 건강(乾姜) 감초(甘草)) 가(加) 조협(皂莢) 사향(麝香).
주치 : 음독상한(陰毒傷寒).- 얼굴색이 프르고(面靑), 하품을 길게 하며(張口出氣, 長
太息), 심하부가 단단하고(心下硬), 몸에는 열이 없고(身不熱), 단지 이마에만
땀이 나며(只額上有汗), 번거롭게 갈증이 나고(煩渴), 혀는 검고 가래가 많다
(舌黑多唾), 팔다리가 모두 찬(四肢俱冷) 증상을 다스린다.
정양탕(正陽湯(정양탕) (三因) 東醫寶鑑(동의보감)
조성 ≒ 白薇(백미), 玄蔘(현삼), 川芎(천궁), 桑白皮(상백피), 當歸(당귀), 白芍葯(백
작약), 旋覆花(선복화), 炙甘草(자감초) 各一錢(각일전)을 剉(좌)하여 生薑(
생강) 五片(오편)을 넣고 水煎服(수전복)한다.
주치 : 六十歲運氣(육십세운기)의 主客(주객)과 民病(민병) 編(편) - 子午(자오)의 歲
(세) 경우를 참조
정용탕(正容湯)《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강활(羌活), 방풍(防風), 백부자(白附子), 번목과(番木瓜), 진구(秦艽), 담성
(膽星), 법반하(法半夏), 생강(生姜), 감초(甘草), 천충(天虫), 송절(松節).
주치 : 풍담조락(風痰阻絡)지 편시(偏視, 風牽偏視).- 안구돌연편사(眼球突然偏斜),
전동수조(轉動受阻), 시일위이(視一爲二), 평소식소납매(平素食少納呆), 완비
흉민(脘痞胸悶), 범토담연(泛吐痰涎), 설태후니(舌苔厚膩) 맥현활(脈弦滑).
정원음(貞元飮)《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숙지황(熟地黃) 자감초(炙甘草) 천당귀(川當歸).
주치 : 신불납기(腎不納氣).- 호흡이 촉박한 것이 마치 숨이차서 헐떡거리는 것과 같
고(氣短似喘), 호흡촉급(呼吸促急), 경계하여 목으로 올려 뱉지 못하고 안으
로 사켜 넘기지 못하며(提不能升咽不能降), 호흡도(氣管支)가 막히는(氣道噎
塞) 극히 위급하여질병세(勢劇垂急) 를 다스린다.
정유리중탕(丁萸理中湯)《醫宗金鑑》
조성 ≒ 丁香(정향), 吳萸(오유), 黨參(당삼), 白朮(백출), 乾姜(건강), 炙甘草(자
감초).
정지환(定志丸)《千金要方》안신제(安神劑)
조성 ≒ 창포(菖蒲) 원지(遠志) 인삼(人蔘) 복령(茯苓).
주치 : 심기부족(心氣不足) 심신부정(心神不定).- 정신적으로 지치고 계을러지며(精
神倦怠), 실면건망(失眠健忘), 잠을 잘 때 꿈이 많고(多夢), 놀래어 가슴이 두
근거이고(驚悸), 자각적으로 가슴이 심하게 두근 거리고 불안해 하며(怔忡),
우울한 생각과 정지가 억울하며(懮思抑鬱), 설담(舌淡), 맥은 실같이 가늘고
똑똑한 세맥(細脈)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정지환(定志丸)《雜病源流犀燭》안신제(安神劑)
조성 ≒ 창포(菖蒲), 원지(遠志), 인삼(人蔘), 복령(茯苓), 복신(茯神),정주사(凈朱砂),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주치 : 겁이 많고 화를 잘내며(心怯善怒), 밤에 잠자리에 누우면 불안한(夜臥不安) 등
증상을 다스린다.
정지환(定志丸)《審視瑤函》치목제(治目劑)
조성 ≒ 遠志(원지) 菖蒲(창포) 黨參(당삼) 茯神(복신).
주치 : 近視(근시)
정천탕(定喘湯)《攝生衆妙方》
조성 ≒ 백과(白果), 마황(麻黃), 상백피(桑白皮), 관동화(款冬花), 법반하(法半夏),
행인(杏仁), 소자(蘇子), 황금(黃芩), 감초(甘草).
효용 : 청열화담(淸熱化痰), 선폐강기(宣肺降氣).
주치 : 1) 풍한외속(風寒外束), 담열내온(痰熱內蘊)적 효천증(哮喘證).- 담다기급(痰
多氣急), 담조색황(痰稠色黃), 혹유표증(或有表證) 오한발열(惡寒發熱), 태
황(苔黃), 맥활삭(脈滑數).
2) 효증(哮證) - 담열옹폐증(痰熱壅肺證).
정침투격산(丁沉透膈散)《和劑局方》리기제(理氣劑)
조성 ≒ 정향(丁香), 침향(沉香), 인삼(人蔘), 백출(白朮), 신곡(神曲),맥아(麥芽),
백두구(白豆寇), 곽향(藿香), 반하(半夏), 사인(砂仁), 자감초(炙甘草),
청피(靑皮), 진피(陣皮), 초과(草果), 목향(木香), 향부(香附),후박(厚朴).
주치 : 중허유한(中虛有寒), 기체습조(氣滯濕阻) 반위(反胃).- 식후(食后) 완복창
만(脘腹脹滿), 조식모토(朝食暮吐) 모식조토(暮食朝吐), 토출(吐出) 숙곡
불화(宿谷不化), 토후(吐后) 즉각서적(卽刻舒適), 신피핍력(神疲乏力), 면
색소화(面色少華),설담태박(舌淡苔薄), 맥완이무력(脈緩而无力).
정토환(定吐丸)《醫宗金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정향(丁香), 반하(半夏), 갈미(蝎尾).
-삼미조성(三味組成) 전조육위환(煎棗肉爲丸
주치 : 경공토(驚恐吐).- 폭수경공지후(暴受驚恐之后) 구토청연(嘔吐淸涎) 면색홀청
홀백(面色忽靑忽白) 심신번란(心神煩亂) 수와불안(睡臥不安).
정통탕(定痛湯) 臨床經驗方(임상경험방)
조성 ≒ 炙甘草(자감초)35, 乾姜(건강)25, 白芍(백작)20, 桂心(계심)15,陳皮(진피)5,
草果(초과), 神曲(신곡)各5.
주치 : 十二指腸潰瘍(십이지장궤양)
정통화혈탕(定痛和血湯)《傷科補要》골상제(骨傷劑)
조성 ≒ 도인(桃仁), 홍화(紅花), 유향(乳香), 몰약(沒葯), 당귀(當歸), 오령지(五
靈脂), 진구(秦艽), 천속단(川續斷), 포황분(蒲黃粉).
- 구미약(九味葯) 수주각반전복(水酒各半煎服)
주치 : 질타손상(跌打損傷) 어혈동통(瘀血疼痛).- 통유정처(痛有定處), 자통거안
(刺痛拒按),국부유청자종괴(局部有靑紫腫塊), 설질자암(舌質紫暗), 맥세
삽(脈細澁).
정풍병자(定風餠子)《得効 ․東醫寶鑑》
조성 ≒ 川烏(천오), 川芎(천궁), 南星(남성), 半夏(반하), 乾姜(건강), 天麻(천마),
白茯苓(백복령), 白附子(백부자), 甘草(감초) 各等分, 生用(생용)을 作末(
작말)하고 薑汁糊(강즙호)에 芡實大(검실대)로 餠子(병자)를 만들어 朱砂
(주사)로 옷을 입혀서 每一餠(매일병)을 씹어서 薑湯(강탕)으로 送下(송하
)한다.
주치 : 痰厥頭痛(담궐두통)과 嘔吐(구토) 眩暈(현운)을 다스린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