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9-14 14:05
[의방집성(醫方集成)] 청혈수독환《實用性病學》 - 충화탕《外科准繩》
|
|
글쓴이 :
admin
조회 : 10,186
|
청혈수독환(淸血搜毒丸)《實用性病學》
조성 ≒ 血竭花(혈갈화), 廣木香(광목향), 靑木香(청목향), 丁香(정향), 兒茶(아
차), 巴豆霜(파두상).
청혈양음탕(淸血養陰湯)《婦科臨床手冊》
조성 ≒ 生地(생지), 丹皮(단피), 白芍(백작), 玄參(현삼), 黃柏(황백), 女貞子(여
정자), 旱蓮草(한련초).
청호고(靑蒿膏)《經驗方》
조성 ≒ 靑蒿(청호)20, 凡士林(범사림)80.
將靑蒿演劇細末, 加入溫凡士林溶液中, 攪勻, 冷凝成膏.- 外涂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주치 : 日光性皮炎(일광성피염), 慢性(만성) 盤狀紅斑(반상홍반) 狼瘡(낭창) 等.
청호별갑탕(靑蒿鱉甲湯)《溫病條辨》청열제(淸熱劑)
조성 ≒ 청호(靑蒿), 별갑(鱉甲),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모단피(牡丹皮).
- 水煎服
효용 : 양음청열(養陰淸熱)
주치 : 1) 온병(溫病)의 사기(邪氣)가 음분(陰分)에 숨어들어, 밤에는 덥고 아침
에는 선선하며(夜熱早凉), 몸에 열이 물러나면 땀이 없고(熱退无汗),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은 가늘고 빠르게 흐른다(脈細數).
2) 습온사류음분증(濕溫邪留陰分證)
증견반진(曾見斑疹), 혼궐(昏厥). 증세완해후(證勢緩解后), 증견(症見)
야열조량(夜熱早凉) 열퇴무한(熱退无汗) 맥세삭자(脈細數者) 속여사
체류음분(屬余邪滯留陰分)
3) 창양(瘡瘍) 항루(肛瘻) 항주농종(肛周膿腫) 급복증(急腹症) 등 속우(屬
于) 음허내열(陰虛內熱) 者.
청혼산(淸魂散)《濟生方》《丹溪心法》경산제(經産劑)
조성 ≒ 택란엽(澤蘭葉), 인삼(人蔘), 감초(甘草), 형개(荊芥), 천궁(川芎).
주치 : 산후혼운(産后昏暈) 산후(産后) 정력피핍(精力疲乏), 두운안화(頭暈眼花) 혼
미(昏迷) 불지인사(不知人事) 설담소태(舌淡少苔) 맥허약(脈虛弱)
청화소단탕(淸火消丹湯)《外科秘彔》
조성 ≒ 生地(생지), 丹皮(단피), 甘草(감초), 玄參(현삼), 牛膝(우슬),赤芍(적작),
花粉(화분).
주치 : 丹毒(단독) - 胎熱證(태열증)
청화용골탕(靑花龍骨湯)《雜病源流犀燭》卷十八
조성 ≒ 龜版(구판)30, 桑螵蛸殼(상표소각), 靑花龍骨(청화용골, 水飛) 各9, 抱木
茯神(포목복신)12, 人參(인삼), 當歸(당귀) 各3.- 水煎服
효용 : 養心益神(양심익신), 固精安神(고정안신).
주치 : 色慾勞傷(색욕노상) 同房早泄(동방조설) 陽不內依(양불내의) 欲寐卽成
(욕매즉성) 心動震悸(심동진계) 氣因精奪(기인정탈).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古今醫鑒》
조성 ≒ 대황(大黃), 몽석(礞石), 청대(靑黛), 침향(沉香), 황금(黃芩),황연(黃連),
치자(梔子), 남성(南星), 반하(半夏), 백출(白朮), 지실(枳實), 백개자(白
芥子), 연교(連翹), 천화분(天花粉), 진피(陣皮), 복령(茯苓), 신곡(神曲),
패모(貝母), 현명분(玄明粉), 강즙(姜汁), 죽력(竹瀝).
효용 : 청기화담(淸氣化痰)
주치 : 중풍(中風) - 간풍내동증(肝風內動證)
청황산(靑黃散)《産寶諸方》
조성 ≒ 靑黛(청대), 雄黃(웅황).
체기산(体氣散)《仙拈集》卷四
조성 ≒ 綠礬(녹반)9, 輕粉(경분)3.
上爲末, 醋調涂
주치 : 狐臭(호취), 滯氣(체기)
초매탕(椒梅湯)《김명옥․임상경험방》
조성 ≒ 羌活(강활), 鬱金(울금), 烏梅(오매), 苦楝皮(고련피) 各25, 茜草(천초), 枳殼
(지각), 肉桂(육계), 芒硝(망초) 各12.5.
便結(변결) : 加 大黃(대황)10.
嘔吐(구토) : 加 蘆根(노근)7.5.
身熱(신열) : 加 黃芩(황금), 黃連(황련).
주치 : 膽道蛔虫症(담도회충증)
症狀 : 신열(身熱), 변결(便結), 구토(嘔吐), 맥실유력(脈實有力)
초목괄루탕(椒目栝樓湯)《醫醇剩義》거담제(祛痰劑)
조성 ≒ 천초목(川椒目), 괄루인(栝樓仁), 정력자(葶藶子), 상백피(桑白皮), 질려
(蒺藜). 생강(生姜), 반하(半夏), 진피(陣皮), 복령(茯苓),자소자(紫蘇子).
주치 : 현음(懸飮) 음정흉협(飮停胸脇)- 해타인통(咳唾引痛) 호흡곤란(呼吸困難)
해역 기천식촉불능평와(咳逆氣喘息促不能平臥), 병측(病側) 늑간창만(肋
間脹滿) 맥침현(脈沉弦) 혹 현활(弦滑).
초석반석산(硝石礬石散)《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초석(硝石), 반석(礬石), (대맥(大麥)).
주치 : 흑달(黑疸) 겸유(兼有) 어혈습열(瘀血濕熱).- 신황(身黃) 액흑(額黑) 족하
열(足下熱) 변흑시당(便黑時溏) 소복만(少腹滿) 방광급(膀胱急).
초애환(椒艾丸)《千金方》
조성 ≒ 촉초(蜀椒), 숙애(熟艾), 건강(乾姜), 적석지(赤石脂), 오매(烏梅),황련(黃連).
효용 : 온보비신(溫補脾腎), 지리고탈(止痢固脫).
주치 1) 이질(痢疾) - 비신양허증(脾腎陽虛證)
초포방(醋泡方)《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荊芥(형개), 防風(방풍), 紅花(홍화), 地骨皮(지골피), 皂角(조각) 大楓子(대
풍자), 明礬(명반).
초환단(草還丹)《證治准繩》
조성 ≒ 地骨皮(지골피), 생지황(生地黃), 菟絲子(토사자), 牛膝(우슬), 遠志(원지),
石菖蒲(석창포)
촉칠산(蜀漆散)《金匱要略》화해제(和解劑)
조성 ≒ 촉칠(蜀漆), 용골(龍骨), 운모(云母).
주치 : 빈학(牝虐).- 학질(虐疾) 한다열소(寒多熱少).
촉황체탕(促黃体湯)《中西醫結合雜志》1988 ; 2 : 101
조성 ≒ 肉蓗蓉(육종용), 杜仲(두중), 益智仁(익지인), 紫石英(자석영) 各10, 菟絲
子(토사자), 淮山葯(회산약), 蓮肉(연육) 各15. - 水煎服
효용 : 補益腎氣(보익신기).
주치 : 황체공능저하(黃体功能低下)에 의한 不孕(불잉), 혹은 폐경(或閉經).
【實驗硏究】對垂体-卵巢軸功能的 影響以孕酮(P), 和促黃体激素(LH) 含量爲指標, 觀
察 本方水煎劑(生葯 1.7克/毫升) 對假孕大鼠垂体-卵巢功能 軸功能的 影響, 發現實
驗組 D4, D13 血漿 P 水平與 對照組 非常接近, 而 D6, D9 則顯著高于 對照組, 揭示
本方能進一步 提高黃体分泌 P 高峰期水平, 且能延長 P 分泌期時間, 但不能延長 黃体
壽命. 此外 實驗組 血漿 LH 水平也 顯著升高, 而卵巢 垂体前葉 重量指數和 黃体數 在
兩組間 无明顯差異. 所以 黃体功能增强 除受本方直接作用外, 還可能與垂体分泌 LH
增加有一定聯系. 表明 本方在 黃体功能 興盛期 能直接 或間接作用于卵巢, 提高和 支
持其功能, 但不乾扰 生理性的 黃体衰退.
총귀탑종탕(葱歸溻腫湯)《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총두(葱頭)7枚, 당귀(當歸) 독활(獨活) 백지(白芷) 감초(甘草) 各9.
수전(水煎) 여거사(濾去渣) 면백첨탕열(棉帛沾湯熱) 세환처(洗患處)
효용 : 소도주리(疏導腠理) 통조혈맥(通調血脈)
주치 : 옹저초기(癰疽初起).- 홍종불심(紅腫不甚) 미성농(未成膿).
총백칠미음(葱白七味飮)《外台秘要》해표제(解表劑)
조성 ≒ 총백(葱白), 생강(生姜), 맥동(麥冬), 생지황(生地黃), 두시(豆豉), 건갈
(乾渴), 천양수(千揚水).
주치 : 병후(病后) 음혈휴허(陰血虧虛) 혹 실혈지후(失血之后) 복감외사(復感外
邪). - 두통(頭痛) 발열(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무한(无汗) 맥부(脈浮).
총시길경탕(葱豉桔梗湯)《通俗傷寒論》해표제(解表劑)
조성 ≒ 총백(葱白), 두시(豆豉), 길경(桔梗), 박하(薄荷),죽엽(竹葉),산치(山梔),
감초(甘草),연교(連翹).
주치 : 풍온초기(風溫初起).- 두통발열(頭痛發熱) 미오풍한(微惡風寒) 무한(无
汗) 혹 유한불다(有汗不多) 심번(心煩) 구갈(口渴) 해수(咳嗽) 인통(咽痛)
맥부삭(脈浮數)
총시탕(葱豉湯)《肘后方》해표제(解表劑)
조성 ≒ 총백(葱白) 두시(豆豉).
- 수전돈복(水煎頓服)하고 땀을 흘린다. 만약에 땀이 나지않으면 다시 복용
하되 갈근(葛根)과 승마(升麻)를 가미(加味)한다. 그래도 땀이 없으면 전약
을 모두 다시 달이되 여기에 또 마황(麻黃)을 가미(加味)하여 복용한다.
주치 : 외감초기(外感初起).- 오한발열(惡寒發熱) 무한(无汗) 두통(頭痛) 비색(鼻塞)
맥부(脈浮) 등증을 다스린다.
촬풍산(撮風散)《證治准繩》영아제(嬰兒劑)
조성 ≒ 사향(麝香), 오공(蜈蚣), 주사(朱砂), 쌍구등(雙鉤藤), 강잠(姜蚕), 전갈미(全
蝎尾) 육미조성(六味組成) 죽엽탕(竹葉湯) 송복(送服)
주치 : 소아급경(小兒急驚).- 구촬여낭(口撮如囊) 설강진청(舌强唇靑) 수족추축(手足
抽畜최생안태구명산(催生安胎救命散)《衛生家寶産科備要》
조성 ≒ 烏葯(오약), 前胡(전호), 菊花(국화), 蓬莪朮(봉아출), 當歸(당귀), 米醋(미
초).
최생음(催生飮)《濟陰綱目》경산제(經産劑)
조성 ≒ 천궁(川芎), 당귀(當歸), 지각(枳殼), 대복피(大腹皮), 백지(白芷).
주치 : 기체혈어(氣滯血瘀)적 난산(難産).- 면색자암(面色紫黯) 흉완창민(胸脘脹悶)
설질암홍(舌質黯紅) 맥현대지삭불균(脈弦大至數不勻)
최생입응산(催生立應散)《濟陰綱目》
조성 ≒ 車前子(차전자), 當歸(당귀), 冬葵子(동규자), 白芷(백지), 牛膝(우슬),
大腹皮(대복피), 枳殼(지각), 川芎(천궁), 白芍葯(백작약).
추기산(推氣散)《김명옥․임상경험방》
조성 ≒ 羌活(강활), 桂心(계심), 枳殼(지각) 各25, 茜草(천초), 烏梅肉(오매육), 檳榔
(빈랑) 各15, 木香(목향), 靑皮(청피),使君子肉(사군자육)各10,甘草(감초)5.
- 病勢重(병세중) 3帖, 輕(경) 2帖.
주치 : 膽道蛔虫症(담도회충증)
症狀 : 기가 상충(氣上冲)하며, 흉통(胸痛)이 나고, 위완이 창만(胃脘脹滿)하
며, 굶주려도 음식 생각이 없고(饑不思食), 발작하듯이 통증이 나는데
(發作的疼痛) 때로는 경하고 때로는 중하며(時輕時重), 회충을 토하며
(吐蛔) 그럴 때는 가슴이 답답하며 번민이 생기고(時有胸悶), 부정맥
이 나타난다(脈不定).
추석오정환(秋石五精丸)《必用(필용)》東醫寶鑑(동의보감) 補益劑(보익제)
조성 ≒ 蓮肉(연육) 六兩(육량), 白茯苓(백복령) 二兩(이량), 秋石(추석) 一兩(일
량), 川 椒(천초) 茴香(회향) 竝微炒(병미초) 各五錢(각오전)을 作末(작
말)하여 乳汁(유즙)으로 和丸(화환) 梧子大(오자대) 크기로 해서 溫酒(
온주) 혹은 米飮(미음)으로 50~70환을 呑下(탄하, 삼키다)한다.
주치 : 虛勞(허로)의 腎虛(신허), 陽衰(양쇠)를 다스린다.
추차산(推車散)《外科證治全書》
조성 ≒ 推車虫(추차충), (滾矢蜣螂(곤시강랑).
추충환(追虫丸)《證治准繩》
조성 ≒ 빈낭(檳榔), 뇌환(蕾芄), 목향(木香), 고련근피(苦楝根皮), 조각(皂角), 흑견우
자(黑牽 牛子), 인진(茵陣).
추충환(追虫丸)《證治准繩》구충제(驅虫劑)
조성 ≒ 빈낭(檳榔), 뇌환(蕾芄), 흑견우(黑牽牛), 목향(木香).
위말(爲末) 고련피(苦煉皮), 인진(茵陣), 조각(皂角), 전농즙(煎濃汁) 위환(爲
丸), 오갱사당수송복(五更砂糖水送服).
주치 : 요충병(蟯虫病)- 항문발양(肛門發痒) 야간우심(夜間尤甚) 항문주위(肛門周圍)
요충유동(蟯虫蠕動) 구병칙납감(久病則納减) 복통(腹痛) 복사(腹瀉) 형체소
수(形體消瘦).
추폐환(皺肺丸)《百一選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갈양폐(羯羊肺), 백석영(白石英), 종유분(鍾乳粉), 육계(肉桂), 행인(杏仁),
자원(紫菀), 관동화(款冬花), 인삼(人蔘), 오미자(五味子).
주치 : 폐창(肺脹), 폐신기허(肺腎氣虛) 자(者).- 호흡이 낮고 짧으며 계속 이어지기
어려웁고(呼吸淺短難續), 목소리가 겁먹은 듯이 주눅이 들어 낮고(聲低氣怯),
오래 기침을 하고(久嗽), 담다(痰多), 땀이 나고 몸이 추우며(形寒汗出), 가습
이 답답하고, 자각적으로 심장 박동을 느끼면 불안하고(胸悶心悸),설담(舌淡)
혹 자암(紫暗), 맥은 꾹눌러야 짚이며 실같이 가늘고 똑똑하나 무력한 침세무
력맥(沉細无力脈) 등 증상을 다스린다.
추풍산(追風散)《直指․東醫寶鑑》
조성 ≒ 炮川烏(포천오), 煅石膏(단석고), 炒白殭蠶(초백강잠), 川芎(천궁), 防風(방
풍), 荊芥(형개), 甘草(감초) 各五錢, 炮南星(포남성), 炮白附子(포백부자),
羌活(강활), 天麻(천마), 全蝎(전갈), 地龍(지용), 白芷(백지) 各二錢半, 炮
草烏(포초오), 沒葯(몰약), 乳香(유향), 雄黃(웅황) 各一錢二分半을 作末(작
말)하여 每半錢(매반전)을 入寐時(입매시)에 茶淸(다청) 혹은 溫酒(온주)로
調下(조하)한다.
주치 : 偏, 正頭痛(편,정두통) 및 面上(면상)의 游風(유풍)으로 벌레가 기는 것 같은
症(증) 즉 頭風(두풍) 을 다스린다.
추풍여성산(追風如聖散)《外科醫案》
조성 ≒ 細辛(세신), 防風(방풍), 薄荷(박하), 草烏(초오),川芎(천궁),白芷(백지),
蒼朮(창출), 雄黃(웅황).
추풍탕(抽風湯)《審視瑤函》
조성 ≒ 방풍(防風), 시호(柴胡), 세신(細辛), 길경(桔梗), 대황(大黃), 황금(黃芩), 차
전자(車前子), 원명분(元明粉).
추혈명목음(墜血明目飮)《審視瑤函》
조성 ≒ 세신(細辛), 인삼(人蔘), 적작(赤芍), 오미자(五味子), 천궁(川芎), 우슬
(牛膝), 석결명(石決明), 생지황(生地黃), 산약(山葯), 지모(知母), 백질
려(白疾藜), 당귀미(當歸尾), 방풍(防風).
축궁축어탕(縮宮逐瘀湯)《中醫症狀鑒別診斷學》
조성 ≒ 당귀(當歸), 천궁(川芎), 포황(蒲黃), 오령지(五靈脂), 당삼(黨參), 지각
(枳殼), 익모초(益母草).
축비산( 畜鼻散)《醫學心悟》개규제(開竅劑)
조성 ≒ 생반하(生半夏) 세신(細辛) 조각(皂角). - 가루내어 토구멍에 불어 넣는다.
주치 : 중풍(中風)으로 인사불성(人事不省)을 다스린다.
축비음(縮脾飮)《和劑局方》거서제(祛暑劑)
조성 ≒ 오매(烏梅) 감초(甘草) 사인(砂仁) 초과(草果) 편두(扁豆) 갈근(葛根).
주치 : 서습사기(暑濕邪氣)에 비위를 상하여(暑濕損傷脾胃), 구토설사(嘔吐泄瀉),
번조구갈(煩躁口渴) 등 증을 다스린다.
축사지신단(逐邪至神丹)《洞天奧旨》옹양제(癰瘍劑)
조성 ≒ 금은화(金銀花)120, 포공영(蒲公英) 당귀(當歸) 각(各)60, 인삼(人蔘),
생감초(生甘草) 30, 대황(大黃)15, 천화분(天花粉). - 수전복(水煎服)
효용 : 청열해독(淸熱解毒) 사실소옹(瀉實消癰)
주치 : 매독(梅毒) - 변독초기(便毒初起) 혹좌혹우(或左或右) 병치(幷治) 낭옹(囊
癰)
축어지붕탕(逐瘀止崩湯)《安徽中醫驗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삼칠(三七), 오적골(烏賊骨), 용골(龍骨), 모려(牡蠣), 당귀(當歸), 천궁
(川芎), 아교(阿膠), 애엽(艾葉), 단삼(丹參), 단피(丹皮), 몰약(沒葯), 오
령지(五靈脂).
주치 : 붕루하혈(崩漏下血).- 임리불단(淋漓不斷) 혹(或) 돌연하혈량다(突然下血
量多), 협유어괴(挾有瘀塊) 소복동통거안(小腹疼痛拒按) 설질암홍(舌質
黯紅) 유어점(有瘀点), 맥침삽(脈沉澁).
축어지혈탕(逐瘀止血湯)《傳靑主女科》경산제(經産劑)
조성 ≒ 대황(大黃), 당귀미(當歸尾), 적작(赤芍), 구판(龜版), 도인(桃仁), 지각
(枳殼), 생지황(生地黃), 단피(丹皮).
《方解》 생지(生地), 귀미(歸尾), 적작(赤芍) : 양혈활혈(養血活血)
도인(桃仁), 대황(大黃), 단피(丹皮) : 활혈거어(活血祛瘀)
지각(枳殼) : 행기산어(行氣散瘀).
구판(龜板) : 양음지혈(養陰止血).
치법 : 화어지혈(化瘀止血) - 활혈산어(活血散瘀), 양음지혈(養陰止血).
주치 : 경간기출혈(經間期出血) 량혹다혹소(量或多或少) 색자흑(色紫黑) 혹유
혈괴(或有血塊) 소복양측(少腹兩側) 창통(脹痛) 혹자통(或刺痛) 흉민번
조(胸悶煩躁) 설질암홍(舌質暗紅) 혹유자점(或有紫点) 맥세현(脈細弦).
축천환(縮泉丸)《婦人良方》《朱氏集驗方》고삽제(固澁劑)
又名 고진단(固眞丹)《魏氏家藏方》
조성 ≒ 천태오약(天台烏葯), 익지인(益智仁, 去皮, 炒), 산약(山葯) 各等分.
上爲末, 另用山葯炒黃爲末, 打糊, 和上葯末爲丸 如梧桐子大 晒乾. 每服 50
丸, 嚼茴香 20~30 粒, 鹽湯 或塩酒送下.
효용 : 온신지유(溫腎止遺) 고섭축뇨(固攝縮尿)
주치 : 1) 하원허냉(下元虛冷).- 소변빈삭(小便頻數) 혹 소아유뇨(小兒遺尿) 지냉형
한(肢冷形寒) 설담태백(舌淡苔白) 맥침지(脈沉遲)
2) 신경허한(腎經虛寒), 소변빈삭(小便頻數) 백탁(白濁) 몽유(夢遺) 조설(早
泄) 실정(失精)
축한탕경탕(逐寒蕩驚湯)《福幼編》
조상 ≒ 胡椒(호초) 炮姜(포강) 肉桂(육계) 丁香(정향) 灶心土(조심토).
춘근백피환(椿根白皮丸)《醫學入門》권팔(卷八)
조성 ≒ 椿根白皮(춘근백피)30, 黃柏(황백)90, 靑黛(청대)10, 乾姜(건강)10, 滑
石(활석)15, 蛤粉(합분)15, 神曲(신곡)15, 制南星(제남성)10, 法半夏(법
반하)10.
上爲末, 水泛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30~50 丸, 1 日 2 次.
효용 : 淸熱燥濕(청열조습), 滌痰瀉火(척담사화).
주치 : 女子失合)여자실합), 煩躁欲死(번조욕사), 와음과 음도 안이(外陰及 陰道
內), 참을 수 없도록 가렵고(瘙痒難耐), 쏫아지듯 백음이 나오다(白淫如
崩).
춘온탕(春溫湯)《辨證彔》보양제(補陽劑)
조성 ≒ 人蔘(인삼), 巴戟天(파극천), 白朮(백출), 杜仲(두중)各15, 破故紙(파고지)9,
肉桂(육계)3, 菟絲子(토사자)15. - 水煎服(수전복)
효용 : 補脾暖宮(보비난궁)
주치 : 婦人(부인) 下身冰冷(하체가 얼음장 같이 차다).
춘택탕(春澤湯)《證治要訣類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오령산(五苓散, 백출(白朮), 계지(桂枝), 저령(猪苓), 택사(澤瀉),복령(茯苓))
가(加) 인삼(人蔘).
주치 : 융폐기허자(癃閉氣虛者).- 소변불출(小便不出) 혹 량소이불창(量少而不暢)
정신피핍(精神 被乏) 기단(氣短) 어성저세(語聲低細) 소복추창(小腹墜脹) 태
박(苔薄) 맥세약무력(脈細弱无力).
출계초현단(朮桂草玄丹)《辨證彔》卷十一
조성 ≒ 白朮(백출)60, 肉桂(육계) 甘草(감초) 玄胡索(현호색) 各3.- 水煎服
효용 : 祛寒燥濕(거한조습).
주치 : 부인의 하초(婦人下焦)가 한습이 상쟁하고(寒濕相爭) 경수가 3 - 5일 전
에 오고(經水將來 三五日前)배꼽아래에 마치 칼로 째는 듯한 통증이 나
며(臍下疼痛 狀如刀刺), 한과 열이 교대로 일고(寒熱交作) 팥죽같은 물
이 흘러내리며 (下如黑豆汁) 오래 임신을하지 못해 자식이 없다(久无孕
育).
출부탕(朮附湯)《醫宗金鑑》온리제(溫裏劑)
조성 ≒ 백출(白朮), 부자(附子).
주치 : 한습상박(寒濕相搏).- 지체동통(肢體疼痛)
출부탕(朮附湯)《近效方》치풍제(治風劑)
조성 ≒ 백출(白朮), 부자(附子), 생강(生姜), 대조(大棗), 자감초(炙甘草).
주치 : 양허(陽虛) 협풍한(挾風寒)적 현운증(眩暈證).- 두목현운(頭目眩暈), 소체양
허(素體陽虛), 외감풍한(外感風寒).
충화고(冲和膏)《外科正宗》옹양제(癰瘍劑)
조성 ≒ 자형피(紫荊皮)150, 독활(獨活)90, 석창포(石菖蒲)45, 백지(白芷)30, 적작(
赤芍)60.- 오미조성(五味組成). 총즙(葱汁) 진주(陳酒) 조부환처(調敷患處).
효용 : 疏風(소풍) 消腫(소종) 活血祛寒(활혈거한)
주치 : 1) 옹저(癰疽) 발배(發背) 음양불화(陰陽不和) 냉열(冷熱) 불명(不明)- 옹저미
열(癰疽微熱) 미오한(微惡寒) 미적종(微赤腫) 맥삭이무력(脈數而无力).
2) 瘡瘍(창양) 陰陽不和(음양불화) 冷熱相凝(냉열상응)
충화탕(冲和湯)(中和湯)《外科准繩》옹양제(癰瘍劑)
조성 ≒ 사군자탕(四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가(加)
당귀(當歸), 황기(黃芪), 진피(陣皮), 조자(皂刺), 유향(乳香), 몰약(沒葯), 은
화(銀花), 천궁(川芎), 백지(白芷)., 수주(水酒) 각반(各半) 전복(煎服).
주치 : 반음반양적창양(半陰半陽的瘡瘍).- 환부(患部) 사궤불궤(似潰不潰), 만종무두
(漫腫无頭) 통이불심(痛而不甚) 종이불열(腫而不熱) 미홍색담(微紅色淡) 맥
허약(脈虛弱).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