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9-30 13:33
[의방집성(醫方集成)] 평보진심단《和劑局方》 - 하차팔미환《幼幼集成》
|
|
글쓴이 :
admin
조회 : 13,922
|
평보진심단(平補鎭心丹)《和劑局方》안신제(安神劑)
조성 ≒ 인삼(人蔘),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복령(茯苓), 복신(茯神), 육계(肉桂)
숙지(熟地), 감초(甘草), 용치(龍齒), 산약(山葯), 차전자(車前子), 원지(遠
志), 산조인(酸棗仁), 주사(朱砂), 천동(天冬).
효능 : 양심익기(養心益氣), 장담진경(壯膽鎭驚) 위주(爲主), 칙심안담장(則心安膽
壯), 공구자실(恐懼自失), 경계불작(驚悸不作).
주치 1) 심허혈소(心虛血少).- 놀래어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며(驚悸), 손발을 떨
고(手足震顫), 밤에 잠자리에 누우면 불안한(夜臥不安) 등 증상을 다스린다.
2) 심계정충(心悸怔忡) - 심담불영증(心膽不寧證)
合 자주환(磁朱丸)《千金方》 加减
평양탕(平陽湯)《辨證彔》
조성 ≒ 玄參(현삼)90, 沙蔘(사삼)60, 山茱肉(산수육), 地骨皮(지골피), 丹皮(단피) 各30.
-水煎服
효용 : 자음설화(滋陰泄火), 청열연견(淸熱軟堅).
주치 : 남자(男子), 음쇠지극(陰衰之極), 강양불도(强陽不倒). 종일거양(終日擧陽), 절불
긍도(絶不肯倒) 연일여여합(然一與女合) 우입시설정(又立時泄精) 정설지후(精泄
之后) 수우흥기(隨又興起).
평위산(平胃散)《和劑局方》거습제(祛濕劑)
조성 ≒ 창출(蒼朮), 후박(厚朴), 진피(陣皮), 감초(甘草).
入門(입문) - 蒼朮(창출)二錢, 陳皮(진피)一錢四分, 厚朴(후박)一錢, 甘草(감
초)六分. 을 剉作(좌작)一貼(일첩)으로 하여 薑(강)三片, 棗(조)二枚를 엏고
水煎服(수전복)한다. 혹은 作末(작말)하여 姜棗湯(강조탕)에 二錢(이전)씩
點服(점복)한다.
효용 : 온비조습(溫脾燥濕) 및 삼담(滲淡).
주치 1) 습조비위(濕阻脾胃).- 완복창만(脘腹脹滿) 지체침중(肢體沈重) 태백후니(苔
白厚膩).
2) 설사(泄瀉) - 수습내생(水濕內生)에 의한 습곤비양증(濕困脾陽證)의 경증(輕
證)을 치료한다.
3) 東醫寶鑑(동의보감) - 脾胃(비위)의 不和(불화)와 飮食生覺(음식생각)이 없
는 症(증), 心腹脹痛(심복창통)과 嘔噦(구홰)惡心(오심)과 噫氣(희기). 呑酸(
탄산)과 面黃(면황), 肌瘦(기수)와 怠惰(태타), 嗜臥(기와) 그리고 自利(자리)
가 많고 혹은 癨亂(곽란), 五噎(오일), 八痞(팔비), 膈氣(격기), 反胃(반위) 等
症(등증)을 다스리는 葯(약)이다.
평천고본탕(平喘固本湯)《東京中醫學院附院驗方》거담제(祛痰劑)
조성 ≒ 소자(蘇子), 자석(磁石), 침향(沉香), 반하(半夏), 진피(陣皮), 오미자(五味子)
관동화(款冬花), 동충초(冬虫草), 호도육(胡桃肉), 감제(坎臍), 인삼(人蔘, 黨
參).
주치 : 폐창(肺脹) 폐신기허(肺腎氣虛).- 호흡천단난속(呼吸淺短難續) 성저기겁(聲低
氣怯) 심칙(甚則) 장구태견(張口抬肩) 의식불능평와(倚息不能平臥) 해수(咳嗽
담백여말(痰白如沫) 각토불리(咯吐不利) 흉민심계(胸悶心悸) 형한한출(形寒
汗出) 설담(舌淡) 혹 암자(暗紫), 맥침세삭무력(脈沉細數无力).
폐정산(閉精散)《杏苑生春》卷七
조성 ≒ 黃耆(황기), 遠志(원지), 人參(인삼), 當歸(당귀) 各3, 澤瀉(택사), 白芍(백작), 炙
甘草(자감초), 龍骨(용골) 各2.1.
上爲散. 水煎 空腹時溫服.
효용 : 補氣養心(보기양심), 澁精止遺(삽정지유).
주치 : 男子(남자) 小腹急痛(소복급통) 臨房失精(임방실정) 小便白濁(소변백탁).
폐진환(閉眞丸)《杏苑生春》
조성 ≒ 煅龍骨(단용골)30, 訶子(가자)5枚, 砂仁(사인)15, 朱砂(주사, 另硏, 一半爲衣)30.
上爲細末 面糊爲丸 如綠豆大. 每服 1 丸, 空腹時 用溫酒送下
효용 : 澁精止遺(삽정지유)
주치 : 婦人欲火不解(부인욕화불해) 白淫不止(백음불지) 小便余瀝不盡(소변여력불진);
兼治夢遺(겸치몽유).
포대환(布袋丸)《補要袖珍小兒方論》구충제(驅虫劑)
조성 ≒ 사군자탕(四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苓), 감초(甘草)) 가(加) 충이
(茺荑), 사군자(使君子), 야명사(夜明砂), 로회(蘆薈).
주치 : 소아충감(小兒虫疳).- 면황발초(面黃發焦) 지세복대(肢細腹大) 태권핍력(怠倦乏力
설담(舌淡) 맥약(脈弱).
포백찰제(布帛擦劑)《經驗方》
조성 ≒ 川槿皮(천근피), 枯礬(고반), 大黃(대황), 雄黃(웅황), 花粉(화분) 各5, 白芷(백
지)10, 檳榔(빈낭)7, 草烏(초오)8, 樟腦(장뇌)2, 大楓子(대풍자)15, 逍遙竹(소요
죽)10, 杏仁(행인) 胡黃連(호황연) 各6.
諸葯硏極細紛末, 用液体石蠟 或植物油 調成糊狀, 捏成鷄蛋大小, 約重 70 克, 然
後用 15 厘米x15 厘米的 漂白夏布包裹, 再用線將開放一端結扎 卽爲布帛擦劑
外擦皮損, 日 3 次; 劇痒, 皮膚肥厚 狀如苔蘚樣, 可略加力擦之; 若葯乾再 加少
量 油 繼續擦用.
효용 : 淸熱解毒(청열해독), 殺虫止痒(살충지양), 軟皮去屑(연피거설).
주치 : 播散性(파산성) 神經性皮炎(신경성피염), 慢性濕疹(만성습진) 痒疹和瘙痒病(양
진양진화소양병) 等.
포용환(抱龍丸)《小兒葯證直訣》《衛生寶鑑》영아제(嬰兒劑)
조성 ≒ 사향(麝香), 웅황(雄黃), 진사(辰砂), 천죽황(天竹黃), 담남성(膽南星).- 오미조성
(五味組成). 세말(細末) 전감초수위환(煎甘草水爲丸).
주치 : 소아급경(小兒急驚), 담열내옹(痰熱內壅).- 신열혼수(身熱昏睡) 호흡기조(呼吸氣
粗) 발경발궐(發驚發厥) 사지추축(四肢抽 ).
☞ 타방(他方) 우황포용환(牛黃抱龍丸)《明醫雜著》,
호박포용환(琥珀抱龍丸)《活幼心書》.
포회산(蒲灰散)《金匱要略》거습제(祛濕劑)
조성 ≒ 포회(浦灰), 활석(滑石).
주치 : 소변불리(小便不利), 인습열자(因濕熱者).
표소산(螵蛸散)《外科證治全書》
조성 ≒ 海螵蛸(해표소), 人中白(인중백).
표소환(螵蛸丸)《類證治裁》고삽제(固澁劑)
조성 ≒ 상표소(炙桑螵蛸)30个, 녹용(鹿茸, 酥炙), 자황기(炙黃芪) 各90, 단모려(煅牡蠣),
적석지(赤石脂), 인삼(人參) 各60, 연말(硏末), 산약(山葯), 호환(糊丸).
효용 : 온보신양(溫補腎陽), 고삽방광(固澁膀胱).
주치 : 하원허냉(下元虛冷) 소변실금(小便失禁).- 요슬냉통(腰膝冷痛) 양사불거(陽事不擧
지냉형한(肢冷形寒), 노인(老人) 소변실금(小便失禁).
풍유고(瘋油膏)《中醫外科臨床手冊》옹양제(癰瘍劑)
조성 ≒ 동단(東丹, 鉛丹, 黃丹)3, 주사(朱砂)3, 경분(輕粉)4.5. - 삼미조성(三味組成)
마유(麻油)120, 전미곤(煎微滾), 황랍(黃蠟)30, 재전(再煎),
以无黃沫爲度, 取起离火 再將葯末 漸漸投入 調勻成膏.- 涂擦患處 或加熱烘療法
療效更好.
효용 : 윤조(潤燥), 살충(殺虫), 지양(止痒).
주치 : 아장풍(鵝掌風), 우피선(牛皮癬). 만성습진(慢性濕疹)等 피부군열(皮膚皸裂), 피부
건조(皮膚乾燥) 양통(痒痛) 변증의거(辨證依据)
풍인탕(風引湯)《金匱要略》치풍제(治風劑)
조성 ≒ 적석지(赤石脂), 백석지(白石脂), 자석영(紫石英), 석고(石膏), 한수석(寒水石),
활석(滑石), 용골(龍骨), 모려(牡蠣), 대황(大黃), 계지(桂枝), 감초(甘草), 건강
(乾姜).
上十二味를 찧어서 거친 체(篩)로 쳐서 보관함에 넣고 세손가락으로 집을 수 있
는 量 만큼을 井華水 三升으로 끓이는데 三回 沸騰(비등) 시킨 후 一升씩 溫服한
다.
주치 1) 전간(癲癎) 풍탄(風癱).- 돌연부와(突然仆臥) 도지(倒地), 근맥구급(筋脈拘急) 양
목상시(兩目上視) 후중담명(喉中痰鳴) 신지불청(神志不淸) 설홍(舌紅) 태황니(苔
黃膩) 맥활(脈滑).
2) 成人의 風引, 小兒의 하루에 열 번 이상 일어나는 驚癇 등 고치기 어려운 疾病을
다스린다. 熱을 除祛하는 處方으로서 巢元方의《諸病源候論》에서는 風引湯은
脚氣에 效果가 있다고 記述하고 있다.
피고고(皮枯膏)《中醫外科學》옹양제(癰瘍劑)
조성 ≒ 피지고(皮脂膏), 가(加) 고반분(枯礬粉)110g
주치 : 습진(濕疹), 수습성자(水濕盛者).
피선수(皮癬水)《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土槿皮(토근피), 紫荊皮(자형피), 苦蔘(고삼), 苦楝根皮(고련근피), 生地楡(생지
유), 千金子(천금자), 斑蝥(반모), 蜈蚣(오공), 樟腦(장뇌).
피암정(皮癌凈)《河南省鹿邑縣人民衛生防治》옹양제(癰瘍劑)
조성 ≒ 홍비(紅砒)3, 대조(大棗)一枚, 지갑(指甲)1.5, 인발(人發)1.5, 함발면(鹹發面)30.
오미조성(五味組成). 홍비(紅砒) 연세말(硏細末), 재여지갑(再與指甲) 인발(人發)
동방입(同防入) 거핵(去核) 조내(棗內), 용함면포호(用鹹面包好), 방입(放入) 상
목탄중(桑木炭中) 단소(煅燒) 성회(成灰), 연세비용(硏細備用).
효용 : 거부해독(祛腐解毒).
주치 : 린상상피암(鱗狀上皮癌)
피염탕(皮炎湯)《朱仁康臨床經驗集》
조성 ≒ 生地(생지), 丹皮(단피), 赤芍(적작), 生石膏(생석고), 黃芩(황금), 銀花(은화), 連
翹(연교), 竹葉(죽엽), 甘草(감초).
피지고(皮脂膏)《中醫外科臨床手冊》《經驗方》옹양제(癰瘍劑)
조성 ≒ 연고(烟膏)60, 석고(石膏)60, 청대(靑黛)6, 황백(黃柏)6.
사미조성(四味組成). 약말(葯末)60g 가(加) 범사림(凡士林)240g 조균성고(調勻成
膏) 외도환처(外涂患處) 외차환처(外搽患處)
효용 : 청열(淸熱), 살충지양(殺虫止痒).
주치 1) 습진(濕疹). 피부정다형성피손(皮膚呈多形性皮損) 미만성분포(弥漫性分布) 극열
(劇烈) 양통(痒痛), 미란(糜爛) 류자(流滋) 결가(結痂) 반복발병(反復發病).
2) 습창(濕瘡) 항문소양병(肛門瘙痒病) 등(等)
필잉탕(必孕湯)《仙拈集》
조성 ≒ 川斷(천단), 沙蔘(사삼), 杜仲(두중), 當歸(당귀), 香附(향부), 益母草(익모초), 川
芎(천궁), 陣皮(진피) 各6, 砂仁(사인)1.5.
水煎服. 經后服 4 劑, 下月再服 4 劑, 必天不孕.
효용 : 調和氣血(조화기혈), 補腎種子(보신종자).
주치 : 經期准而不孕者(경기준이불잉자)
필효산(必效散)《一囊春》
조성 ≒ 生地(생지)15, 當歸(당귀), 枳殼(지각), 赤茯苓(적복령), 木通(목통), 滑石(활석),
麥冬(맥동), 黃柏(황백), 知母(지모), 梔子(치자), 牛膝(우슬), 篇蓄(편축) 各10,
甘草(감초)6.- 水煎服
효용 : 淸熱養陰(청열양음), 利水通淋(이수통림).
주치 : 前列腺肥大(전열선비대), 證屬(증속) 濕熱內蘊(습열내온), 陰血受損者(음혈수손자ㅎ
하고초고(夏枯草膏)《丸散膏丹集成》옹양제(癰瘍劑)
조성 ≒ 하고초(夏枯草)740, 현삼(玄參), 당귀(當歸), 주초백작(酒炒白芍), 오약(烏葯),
절패모(浙貝母, 象貝), 강잠(姜蚕) 各15, 진피(陣皮), 길경(桔梗), 천궁(川芎),
감초(甘草), 곤포(昆布) 各9, 주초향부(酒炒香附)30, 홍화(紅花)6.
공입(共入) 사과내(砂鍋內) 수전농즙(水煎濃汁) 여거사(濾去渣) 장즙복입과(將
汁復入鍋) 문화오농(文火熬濃), 가(加) 백밀(白蜜) 오성고비용(熬成膏備用). 매
차복(每次服) 일이시(一二匙) 개수충후온복(開水冲后溫服).
효용 : 양혈(養血), 연견(軟堅), 화담(化痰).
주치 : 라력(瘰癧).- 라력미궤파(瘰瀝未潰破) 체질불허쇠(体質不虛衰).
하수오주(何首烏酒)《醫宗金鑑》옹양제(癰瘍劑)
조성 ≒ 하수오(何首烏)사량(四兩), 당귀(當歸, 當歸身 當歸尾), 자천산갑(炙穿山甲),
생지황(生地黃), 숙지황(熟地黃), 하마(蝦蟆) 각일량(各一兩), 천오(川烏, 湯泡
去皮), 송침(松針), 측백엽(側柏葉), 오가피(五加皮) 각사전(各四錢).
장약장입하(將葯裝入夏) 포대내(布袋內), 찰구(扎口) 용(用) 황주(黃酒)십근(十
斤), 동약대입(同葯袋入) 단내봉고(壇內封固) 중탕전(重湯煎) 30 분종(分鍾),
매음(埋窨) 7日. 취주시시음지(取酒時時飮之) 작한(作汗) 피풍(避風).
효용 : 滋營消毒(자영소독)
주치 : 마풍(麻風).- 마풍병(麻風病) 신체허약(身體虛弱)
하어혈탕(下瘀血湯)《金匱要略》경산제(經産劑)
조성 ≒ 대황(大黃), 자충(蟅虫), 도인(桃仁), 봉밀(蜂蜜), 주(酒).
주치 : 산후복통(産后腹痛).-제하유증적(臍下有症積) 설유어점(舌有瘀点) 맥침실(脈沉
實)
하유용천산(下乳湧泉散)《淸太醫院配方》경산제(經産劑)
조성 ≒ 왕불유행(王不留行) 사물탕(四物湯, 지황(地黃), 작약(芍葯), 당귀(當歸), 천
궁(川芎)) 백지(白芷), 청피(靑皮), 시호(柴胡), 루로(漏蘆), 감초(甘草), 목통
(木通), 통초(通草), 천화분(天花粉), 길경(桔梗), 천산갑(穿山甲).
- 십오미조성(十五味組成).
주치 : 산후(産后) 기체적(氣滯的) 결유(缺乳).- 유즙소(乳汁少) 혹전무(或全无), 흉민
창(胸悶脹) 음식불진(飮食不振) 맥현세(脈弦細)
하인음(何人飮)《景岳全書》보익제(補益劑)
조성 ≒ 하수오(何首烏), 인삼(人蔘), 당귀(當歸), 대조(大棗), 생강(生姜), 진피(陣皮).
주치 : 기(氣)와 혈(血)이 모두 허(虛)하여(氣血兩虛), 학질이 오랫도록 낫지 않고(久虐不
止).- 한다열소(寒多熱少)하고 호흡(呼吸)의 기(氣)가 약少氣无力)하고, 설담(舌
淡), 맥은 연하고 가늘고 꾹눌러야 짚이는(脈弱) 중상을 다스린다.
하지손상세방(下肢損傷洗方)《中醫傷科學講義》골상제(骨傷劑)
조성 ≒ 홍화(紅花), 소목(蘇木), 아출(莪朮), 삼능(三棱), 번목과(番木瓜), 해동피
(海桐皮), 신근초(伸筋草), 투골초(透骨草), 우슬(牛膝), 진구(秦艽), 오가
피(五加皮). - 십일미약(十一味葯). 전탕훈세(煎湯熏洗) 환지(患肢).
주치 : 하지손상(下肢損傷) 구련동통(拘攣疼痛).
하차대조환(河車大造丸)《醫方集解》
조성 ≒ 자하차(紫河車), 숙지황(熟地黃), 두중(杜仲), 천문동(天門冬), 맥문동(麥門
冬), 구판(龜板), 황백(黃柏), 우슬(牛膝).
효용 : 대보원기(大補元氣)., 익신전정(益腎塡精).
주치 1) 허로(虛勞) : 신기허증(腎氣虛證)
2) 허로, 양위(陽萎), 불잉(不孕) -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하차대조환(河車大造丸)《扶壽精方》보익제(補益劑)
조성 ≒ 자하차(紫河車), 구판(龜板), 지황(地黃), 천동(天冬), 맥동(麥冬), 황백(黃柏)
인삼(人蔘), 두중(杜仲), 우슬(牛膝).
주치 : 허손노상(虛損勞傷).- 기침하며, 신시(申時 15~17 時)에 미열이 나며(咳嗽潮
熱), 허리와 무름이 시큼시큼하고 힘이 빠지는 듯이 무력감이 있고(腰膝痠
軟), 몸이 야위는(形體消瘦) 등 증상을 다스린다.
하차종자환(河車種子丸)《妙一齋醫學正印種子編》
조성 ≒ 當歸(당귀, 酒洗)60, 山茱肉(산수육)120, 補骨脂(보골지, 鹽酒浸, 炒)90, 天門
冬(천문동, 去心)60, 麥門冬(맥문동, 去心) 生地(생지, 酒洗) 各90, 人蔘(인삼
60, 甘枸杞(감구기)90, 菟絲子(토사자, 酒煮, 炒)120, 熟地(숙지, 搗爛), 山葯
(산약), 覆盆子(복분자, 酒蒸) 各90, 五味子(오미자)30, 巴戟天(파극천, 酒浸)
川牛膝(천우슬, 塩酒炒) 各60, 川黃柏(천황백, 鹽, 酒, 蜜 3 次 制炒)45, 白茯
苓(백복령), 鎖陽(쇄양, 酒洗, 酥炙), 土炒白朮(토초백출) 各60, 陣皮(진피)30
杜仲(두중, 鹽酒炒去絲)75, 肉桂(육계, 童便制)15.
上爲末, 用紫河車 1 具(須不生瘡疾, 潔凈婦人所生 頭胎男子者), 水洗凈,挑去
筋膜, 擠去紫血, 用米泔水 漂數次, 再用 酒洗過, 入瓷罐內, 加酒 100 毫升, 封
口, 隔湯煮爛, 搗如泥, 再加入 葯末 同炒, 加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 100
丸, 空腹時以 溫酒 或鹽湯送下.
효용 : 益精補血(익정보혈), 補腎益氣(보신익기).
주치 : 男子(남자) 氣血兩虛(기혈양허) 陽衰精薄者(양쇠정박자).
하차팔미환(河車八味丸)《幼幼集成》영아제(嬰兒劑)
조성 ≒ 금궤신기환(金匱腎氣丸, 숙지(熟地), 산수육(山茱肉), 산약(山葯), 백복령(白
茯苓), 택사(澤瀉), 모단피(牡丹皮), 육계(肉桂), 숙부편(熟附片)) 가(加) 자
하차(紫河車), 맥동(麥冬), 오미자(五味子), 눈녹용(嫩鹿茸).
- 십이미조성(十二味組成)
추치 : 일절(一切) 신허지증(腎虛之證).- 발육지완(發育遲緩) 근골연약(筋骨軟弱) 신
문신문유기불합(囟門逾期不合) 지력지둔(智力遲鈍) 오연(五軟) 오경(五硬) 유
뇨(遺尿).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