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2-05-05 14:28
[증후진단론] 3. 溫病證候 4) 溫熱病(온열병) ⑤ 邪留陰分證(사유음분증)
 글쓴이 : admin
조회 : 10,407  
邪留陰分證(사류음분증)

사류음분증(邪留陰分證)은 온병(溫病)의 여사(余邪)가 음분(陰分)에 류체(留滯) 되어 상(傷) 및 음진(陰津)의 증후(證候)를 가리키는 것이다.
임상표현 : 야열조량(夜熱早凉), 열퇴무한(熱退无汗), 만약 시일을 오래 끌면 몸이 점점 여윈다(若遷延時日則形体漸瘦).,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삭(脈數). 
       
본증상견 : 춘온(春溫), 풍온(風溫), 서온(暑溫) 등 온병(溫病)의 후기(后期).
본증분류 : 사류기분증(邪留氣分證), 어열상박증(瘀熱相搏證), 열모진음증(熱耗眞陰證), 열상
                기음증(熱傷氣陰證) 등 상감별(相鑒別)
       
辨證施治(변증시치)
사류음분증(邪留陰分證)은 온열병의 여사(溫熱余邪)가 아직 깨끗하게 물러나지 않고(未淸), 잠복하여 음분에 머물고 있음으로(留伏陰分而成) 항상 온병후기(溫病后期)의 각종 증상을 보게 된다. 언제나 사(邪)의 성질(性質)은 그 부위를 범(犯)하고 여사의 다소는(余邪多少) 정기손상(正氣損傷)의 심천이 부동(深淺不同)하며 따라서 그 표현(表現) 및 치법(治法)이 부동한 것이다.

㈀ 춘온사류음분증(春溫邪留陰分證)
    臨床 : 온병 후기에(病至后期) 언제나 음분을 상하고(每傷陰分) 항상 잠복해 있던 사기로
              인하여(因其常有伏邪), 밤에는 열이 나고 아침에는 서늘하며(夜熱早凉), 열퇴무한
              (熱退无汗), 설홍맥삭(舌紅脈數) 등의 증상을 많이 본다.
              만일 순수한 자음약(滋陰葯) 만을 사용하는 것은(若純用滋陰), 모름지기 사기를 쫒
              아 방어(須防戀邪) 하고자 함이어서 고한한 약을 많이 쓰는데(多用苦寒), 이는 쉽게
              조 함으로(易致化燥), 응당히 양음하면서 투열(應養陰透熱)하자는 것은, 처음부터
              손상을 막기 위해 음을 보하자는 것이고(旣扶其被傷之陰), 또 음분에 깊숙이 잠복한
              사기(深伏陰分之邪)와 양분을 투출해서 해제(透出 陽分而解)하는 옳은 방법이 기도
              하다.
    治宜 : 양음청열(養陰淸熱)
    方用 : 청호별갑탕(靑蒿鱉甲湯)《온병조변(溫病條辨)》
                          ≒ 청호(靑蒿), 별갑(鱉甲),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모단피(牡丹皮).
                                - 水煎服
       
㈁ 풍온사류음분증(風溫邪留陰分證)
            臨床
            1) 輕者 : 溫熱(온열)의 邪氣(사기)가 肺(폐)를 엄습한(溫邪襲肺), 余邪(여사)가 肺胃
                          (폐위)의 陰(음)을 耗傷(모상)하다.
                症見 : 몸에 열이 아직 깨끗이 물러나지 못하고(身熱未凈), 마른기침을 하며 간혹
                          끈끈한 가래가 있고(干咳或稍有粘痰), 입과  혀가 건조하며 갈증이 있다(口
                          舌干燥而渴).
                治宜 : 생진익위(生津益胃)하여, 청투사열(淸透邪熱)한다.
                          甘寒(감한)한 약으로 肺胃(폐위)의 余熱(여열)을 解除(해제) 시킨다.
                          “使肺胃余熱因甘寒淸潤而解”
                方用 : 사삼맥동탕(沙蔘麥冬湯)《온병조변(溫病條辨)》
                                      ≒ 사삼(沙蔘), 맥동(麥冬), 옥죽(玉竹), 천화분(天花粉), 백편두(白
                                          萹豆), 상엽(桑葉), 감초(甘草).
            2) 重者 : 온열의 사기가 心包(심포)로 역전한(溫邪逆傳心包),表邪(표사)가 入里(입리)
                          하여 영혈로 내함하다(內陷營血)., 치료하여 증상은 잡았으나(經救治后) 여
                          사가 잔류하여(余邪殘留), 영음을 피모 함으로(營陰被耗), 늘 피로로 고달프
                          고(尙有倦乏) 정신이 지치는(神疲) 등 증상이 있다.
                治宜 : 생진익위(生津益胃), 청투사열(淸透邪熱).
                方用 : 사삼맥동탕(沙蔘麥冬湯)《溫病條辨(온병조변)》
                                      ≒  加 죽엽(竹葉), 백합(百合) 등
       
㈂ 서온사류음분증(暑溫邪留陰分證)
    臨床 : 항상(常見) 심열이 번조(心熱煩躁)하며, 소갈이 그치지 않고(消渴不已), 혀는 진홍색
              이며(舌紅絳), 태는 누렇고 건조한(苔黃燥) 등 서열에 오래 이끌림으로(暑熱久羈)
              말미암아 여사에 음을 상한 것이(余邪傷陰), 심신에 파급되어(波及心腎) 심화와 신
              수가 서로 상교하지 못함을(水火不濟而成) 본다.
    治宜 : 청심자신(淸心滋腎)
    方用 : 연매탕(連梅湯)《온병조변(溫病條辨)》
                    ≒ 황련(黃連), 오매(烏梅), 맥문동(麥門冬), 생지황(生地黃), 아교(阿膠).
       
㈃ 습온사류음분증(濕溫邪留陰分證)
    臨床 : 습열이 점차 물러나며(濕熱漸退), 흉중이 좀 답답하고(胸中微悶), 배고픈 줄은 알겠
              는데 밥을 먹지 않으며(知飢不食), 태는 얇고 미끈거리는 사람은(苔薄膩者), 여사가
              아직 남아 있는 것에 속하고(屬余邪未盡), 기의 기능이 활발하지 못하여(氣機不暢),
              위기가 아직 펼쳐지지 않은(胃氣未舒) 것이다.
    治宜 : 선기성위(宣氣醒胃), 청척여사(淸滌余邪)
    方用 : 오엽로근탕(薛氏五葉蘆根湯)《溫熱經緯》 설생백습열병편(薛生白濕熱病篇)
                          ≒ 로근(蘆根), 박하엽(薄荷葉), 광곽향엽(廣藿香葉), 하엽(荷葉), 동과자
                              (冬瓜子), 비파엽(枇杷葉), 풍란엽(偑蘭葉).
           
              만일 거듭해서 반진이 나타나고(曾見斑疹),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져 혼미하며 인              사불성이 되고 팔다리가 서늘해지며(昏厥). 증세를 서서히 회복한 후(證勢緩解后)
              에, 증견(症見)은 밤에는 몸에 열이 나며 아침녘에는 서늘하고(夜熱早凉), 열이 물러
              나고 땀이 나지 않으며(熱退无汗), 맥은 실같이 가늘고 빠른 사람은(脈細數者), 사기
              가 아직도 음분에 머물고 있는 증상에 속하는 것이다(屬余邪滯留陰分).
              治宜 : 가여양음투사화습(可與養陰透邪化濕),
              方用 : 청호별갑탕(靑蒿鱉甲湯) 加 로근(蘆根), 백미(白薇).
                                      ≒ 청호(靑蒿), 별갑(鱉甲), 생지황(生地黃), 지모(知母), 모단피(牡
                                          丹皮).
                                          - 水煎服

사류음분증(邪留陰分證)은 언제나 평소에 음허(陰虛)한 사람에게서 보는데(常見于素体陰虛之人),병정이긴 사람은(病程長者), 몸이 점점 여위어 가고(可出現形体漸瘦), 신체는 지치고 피곤하며(身体疲倦), 고달픈 일을 견디지 못하는 등 증상을(不耐勞乏等症)나타 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須注意) 영음(營陰)을손상(損傷) 받은 정도만큼 조리(程度而加以調理)해야 한다. 소아의 몸은 연약하여(小兒嬌嫩之体), 큰 병으로 오래 앓게 되면(大病遷延), 항상 양기와 음혈이 함께 줄어들게 되어(常致陽氣與陰血幷耗), 얼굴색이희고(可見面白), 기력이 없어서 행동이 느리며(怠惰), 누워있기를 좋아하는 등 증상을(嗜臥等症) 볼 수있으니, 치료할 때 겸해서 살펴야 한다(治須兼顧). 노인은 음정이 부족(老人陰精不足)하며, 신기가 이미 쇠약해져(腎氣已衰), 생기(生機)가 점점 약하다(生機漸弱), 마땅히 장경악의 중신(重腎)의 뜻을 근본으로하여(宜宗景岳重腎之旨), 남은 사기를 말끔히 떨쳐버림(淸余邪而振生機) 으로써 평안을 되찾을(以期康復) 수 있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