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2-05-15 14:05
[증후진단론] 3. 溫病證候 4) 溫熱病(온열병) ⑬ 上焦燥熱證(상초조열증)
 글쓴이 : admin
조회 : 10,081  
上焦燥熱證(상초조열증)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은 폐장이 조열사기에 감수된(肺感燥熱之邪)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폐가 윤하작용을 상실하게 되고(肺失潤降), 발열(發熱)하며, 마르고 껄끄러운 기침을 하며(干咳), 입과 코가 건조하고 껄끄러운(口鼻干燥) 증상을 위주로 하는 증후(證候)이다.
임상표현 : 발열(發熱)하며, 가래가 없고 마른기침을 하고(干咳无痰), 곡구멍이 바싹 마르고 껄끄러우며 아프고(咽喉干痛), 입과 코가 빠싹 마르며(口鼻干燥), 혹은 가슴과 옆구리에 창통이 나고(胸脇脹痛), 혹은 숨을 고르게 쉬지 못하고 헐떡거리며 기침을 하고(氣粗而喘), 마음이 번거롭고, 구갈이 나며(口渴心煩), 혀는 붉고(舌紅), 태는 얇으며 껄끄럽고(苔薄而干(태박이간), 맥음 부삭하거나 혹은 현삭하다(脈浮數或弦數).
       
본증상견 : 秋燥(추조), 風溫(풍온) 病中(병중)
본증분류 :燥犯淸竅證(조범청규증), 肺癆感溫證(폐로감온증) 相鑒別(상감별)
       
辨證施治(변증시치)
온병(溫病)에서 볼 수 있는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은 추조(秋燥) 중에 조기가 범한 병(燥氣犯病)으로서 온조(溫燥)와 량조(凉燥)로 분류하고 있는 것 중에 본증의 주요 견해는 온조(溫燥)이다.
       
㈀ 溫燥(온조)
    臨床 : 온조범폐(溫燥犯肺)로 말미암아 폐기가 선발과 숙강을 상실한(肺氣失于宣降) 고로
              발열(發熱), 해수(咳嗽)를 보이게 되고; 조열이 머물러 쌓이고(燥熱稽留), 호흡도가
              불이하여(氣道不利) 호흡이 거칠고 헐떡거리며 기침을 하는  폐기상역을 보인다(肺
              氣上逆而見氣粗而喘); 조사에 의한 병은(燥邪爲病) 진액을 제일 쉽게 상하며(最易傷
              津), 조열은 폐의 진을 작상(燥熱灼傷肺津)하므로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干咳无痰)
              을 하고, 인후(咽喉), 구비(口鼻)는 호흡(呼吸)이 출입하는 길(通道)인데, 조열(潮熱)
              이 상초(上焦)를 범하게 되면 진액(津液)이 위로 계승될 수 없는고로 인후가 동통(咽
              喉疼痛)하며, 구비가 간조(口鼻干燥)하게 된다; 따라서 상초가 조열(上焦燥熱)로 기
              기가 불이한(氣機不利) 고로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며 아프다(胸脇滿痛); 조열이
              상진(燥熱傷津)하며 열이 마음과 정신을 어지럽히는(熱扰心神) 고로 구갈이 나고 마
              음이 번거롭다(口渴心煩); 한편 조열이 안에 쌓이면(燥熱內蘊) 진액을 사르게 되는
              (津液被灼) 고로 혀가 붉고(舌紅), 설태가 얇으며 또 바싹 마르고(苔薄且干), 맥은 부
              삭하거나 혹은 세삭(脈浮數或細數)한 것이다.
              조사는 화(火)로 가장 잘 변하며(燥邪最易化火) 온열은 진액을 상하고 조가 됨으로
              (溫熱傷津生燥), 조와 열이 서로 뭉쳐(燥熱相結), 진액을 졸이므로서(煎熬津液) 언제
              나 진을 상해 액이 줄어드는데(津傷而液虧), 이것은 조열(燥熱)에 의한 해(害)의 특
              징이다.
              治宜 : 燥熱上犯肺衛(조열상범폐위)는 淸肺潤燥養陰之法(청폐윤조양음지법)
              方用 : 喩昌淸燥救肺湯(유창청조구폐탕)《醫門法律》加减(가감)
                                          ≒ 石膏(석고), 桑葉(상엽), 人參(인삼), 胡麻仁(호마인),  阿膠
                                              (아교), 麥門冬(맥문동), 杏仁(행인), 枇杷葉(비파엽), 甘草(감
                                              초).
       
㈁ 風溫(풍온)
    臨床 : 풍온객우폐위(風溫客于肺衛)로 말미암아 사열이 떠나지 않고 연연히 머물러 있으면
              서(邪熱留戀不去) 위분을 통해서 기분으로 들어가(由衛入氣), 열사가 진액을 상하고
              조로 변하여(熱邪傷津化燥) 발생하는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이다.
              症見 : 身熱(신열), 汗出(한출), 咳嗽氣急(해수기급), 胸悶脇痛(흉민협통), 口渴引飮
                        (구갈인음), 口鼻干燥(구비간조), 舌紅(설홍), 苔黃(태황), 脈數(맥삭).
              治宜 : 辛凉甘潤(신량감윤), 淸熱宣肺(청열선폐).
              方用 : 桑杏湯(상행탕)《溫病條辨》
                              ≒ 桑葉(상엽), 杏仁(행인), 沙參(사삼), 象貝母(상패모), 豆豉(두시), 梔子
                                  皮(치자피), 梨皮(이피).
                        合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傷寒論》加减(가감)
                                          ≒ 麻黃(마황), 杏仁(행인), 甘草(감초), 石膏(석고).
       
본증은 추계(秋季)에 많이 발생한다. 가을의 기후는 간조(干燥) 함으로 조사(燥邪)가 폐위(肺衛)를 침습하여 상초조열증(上焦燥熱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초(上焦)는 심폐(心肺)가 있는 곳으로 본증의 중점(重点)은 폐(肺)가 조열(燥熱)의 사기(邪氣)에 감수(感受)되어 상해(傷害)를 나타내는 병증(病症)이다.
조사가 병이 되는(燥邪致病) 고로 임상에서 항상 간조지증(干燥之症)을 나타내는데 마치 鼻燥(비조), 口干(구간), 咽燥(인조), 脣裂(순열) 등이다.
《素問 ․ 至眞要大論》曰 “燥者潤之(조자윤지)”라 했다. 조사는 쉽게 화로 변하여 열을 내므로(燥邪雖易化火生熱), 성미가 고한한 약제를 사용하여 열화를 사하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但切忌用苦寒瀉火之劑), 쓴(苦) 약은 능히 조하므로(苦能化燥), 다만 감량윤조를 위주로 함이 마땅하다(惟以甘凉潤燥爲宜).
본증이 나타나고 있는 과정 중에(本證在演化過程中) 조열상진(燥熱傷津)으로 말미암아 진액이 휴손 되고(津液虧損), 매번 폐음부족(肺陰不足)이 쉽게 조성되어 해수담소(咳嗽痰少), 성음시아(聲音嘶啞), 오후조열(午后潮熱), 오심번열(五心煩熱)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 조열에 이끌림으로(燥熱羈留) 인해서 폐위가 모손되어(耗損肺胃) 폐위의 음허가(肺胃陰虛) 조성되거나 혹은 폐위기음양허(肺胃氣陰兩虛)의 임상수증(臨床隨證)을 표현한다.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