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2-05-15 14:24
[증후진단론] 3. 溫病證候 4) 溫熱病(온열병) ⑭ 毒壅上焦證(독옹상초증)
|
|
글쓴이 :
admin
조회 : 9,593
|
毒壅上焦證(독옹상초증)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은 대부분 기후의 변화로(氣候失常) 인하여 온독의 사기에 감수된(感受溫毒之邪) 열독이 위로 북돋우어(熱毒上壅) 폐위를 침습(侵襲肺胃) 하게 되어 나타나는 면부홍종(面部紅腫), 인후부란(咽喉腐爛), 기부단사(肌膚丹痧), 해천기급(咳喘氣急)을 위주로 하는 主症(주증)의 증후(證候)이다.
임상표현 : 초기(初起)에는 발열하면서도 추운 것을 싫어하고(憎寒發熱), 頭面紅腫(두면홍종), 咽喉疼痛(인후동통), 繼則壯熱口渴(계칙장열구갈),頭面焮腫(두면흔종),煩躁(번조),咽喉紅腫腐爛(인후홍종부란), 咳喘氣急(해천기급), 肌膚密布丹痧(기부밀포단사), 舌紅或絳(설홍혹강), 苔黃(태황), 脈洪數或細數(맥홍삭혹세삭).
본증상견 : 溫熱時毒(온열시독) 疾病中(질병중) 大頭瘟(대두온), 痄腮(자시), 爛喉痧(란후사),
痧子(사자, 痲疹) 등 질병중
본증분류 : 上焦燥熱證(상초조열증), 熱鬱胸膈證(열울흉격증), 火灼胸膈證(화작흉격증), 肺胃
積熱證(폐위적열증) 등 相鑒別(상감별)
辨證施治(변증시치)
㈀ 大頭瘟(대두온)
臨床 : 대두온(大頭瘟) 중에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폐위(肺胃)에 온
독(溫毒)의 객사(客邪)가 감수된 것으로서 화의 성질은 타오르므로(火性炎上), 열독
이 위로 두면을 공략(熱毒上攻頭面)한다. 발병 초기에 보는 증상은(初則症見), 두면
이 홍종(頭面紅腫)하며 오한발열(惡寒發熱)이 나다가, 후에는 오한은 그치고 발열만
하며(繼則寒罷熱增), 머리와 얼굴이 불에 댄 것처럼 부어서(頭面焮腫), 눈을 뜰 수가
없고(目不能開), 인후종통(咽喉腫痛)하며, 구갈인음(口渴引飮)하고, 태황조(太黃燥),
맥삭유력(脈數有力)하다.
治宜 : 疏風透邪(소풍투사), 淸熱解毒(청열해독).
方用 : 普濟消毒飮(보제소독음)《東垣十書》
≒ 連翹(연교, 酒炒), 牛蒡子(우방자), 薄荷(박하), 姜蚕(강잠), 升麻(승마),
柴胡(시호), 馬勃(마발), 板藍根(판람근), 玄參(현삼), 桔梗(길경), 黃連
(황련), 甘草(감초), 黃芩(황금, 酒炒), 橘紅(귤홍).- 수전복(水煎服)
㈁ 痄腮(자시)
臨床 : 자시병(痄腮病) 중에 보이는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은 역시 외부로 부터 온독의 사
기가 침입해서溫毒外侵),위로 뺨 부위를 범하고(上犯腮部),기혈을 옹체하도록 한다
(致使氣血壅滯)
症見 : 발열(發熱)하며, 양쪽 뺨이 발갛게 붙고 아프며(兩腮腫脹紅痛), 구갈(口渴),
번조(煩躁), 설강(舌絳), 맥현삭(脈弦數)하다.
治宜 : 疏風淸熱(소풍청열), 解毒消腫(해독소종).
方用 : 普濟消毒飮(보제소독음)《東垣十書》
≒ 連翹(연교, 酒炒), 牛蒡子(우방자), 薄荷(박하), 姜蚕(강잠), 升麻(승마),
柴胡(시호), 馬勃(마발), 板藍根(판람근), 玄參(현삼), 桔梗(길경), 黃連
(황련), 甘草(감초), 黃芩(황금, 酒炒), 橘紅(귤홍).- 수전복(水煎服)
另用 三黃二香散(삼황이향산)《溫病條辨》
≒ 대황(大黃), 연교(連翹), 황백(黃柏), 유향(乳香), 몰약(沒葯).
- 곱게 가루 내어(細末), 첫 번은 찻물로(茶汁) 조리해서 환처에 바
른다. 이것이 마르면 이 마른 것을 마유(麻油)에 다시 개어서 환
처에 바른다.
或如意 金黃散(금황산)《外科正宗》
≒ 大黃(대황), 黃柏(황백), 姜黃(강황), 白芷(백지) 各2500, 南星(남성),
陣皮(진피), 蒼朮(창출), 厚朴(후박), 甘草(감초) 各1000, 天花粉(천화
분)5000.
- 共硏細末 可用 葱搗汁, 酒, 油, 蜜, 菊花露, 銀花露, 絲瓜葉搗汁等 外敷
腮部(외부시부)
痄腮(자시) : 腮腫(시종) 혹은 含腮瘡(함시창)이라고 하며 또 蝦蟆瘟(하마온)이라고
도 한다. 溫毒病邪(온독병사)를 감수한 후 腸胃(장위)에 쌓인 열과 肝膽
(간담)의 鬱火(울화)가 소양경락을 막아 발생하는 병으로 겨울과 봄철에 흔히 유행
한다.
대부분 學齡前(학령전)의 어린이들에게 비교적 많이 발병한다. 주요증상은 한쪽 혹
은 선후로 양쪽 이하선 부위가 붙고, 주위가 명확하지 않으며 누르면 유연하고, 堅實
(견실)한 감이 나며 頭痛(두통)과 壓痛(압통) 등이 있는 流行性耳下腺炎(유행성이하
선염)이다.
㈂ 爛喉痧(란후사)
臨床 : 란후사(爛喉痧) 중에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을 보게 되는 것은 대부분 온독(溫毒)
의 사기(邪氣)가 기분에 쌓여 뭉쳐진(蘊結氣分) 것이 원인이 되므로 화열의 기세로
가득차서(火熱熾盛), 위로 인후에 붙은(上客咽喉) 것이다.
症見 : 장열(壯熱)하며, 구갈(口渴)하고, 인후가 홍종부란(咽喉紅腫腐爛)한다. 혀는
진홍색이며 혓바늘이 돗고(舌絳起芒刺), 태황(苔黃)하며, 맥은 홍삭(脈洪數)
하다.
治宜 : 淸氣解毒(청기해독)
方用 : 余氏淸心凉膈散(여씨청심량격산)《溫熱經緯》
≒ 양격산(凉膈散, 대황(大黃), 박초(朴硝), 감초(甘草), 치자(梔子), 박
하엽(薄荷葉), 황금(黃芩), 황연(黃連), 죽엽(竹葉)), 감(减) 박초(朴
硝), 대황(大黃), 가(加) 길경(桔梗), 생석고(生石膏).
- 팔미약조성(八味葯組成)
或用 : 錫類散(석류산)《金匱翼》
≒ 상아(象牙屑)15, 청대(靑黛)30, 인지갑(人指甲)1.5, 진주(珍珠)0.9,빙편(冰片)
0.9, 우황(牛黃)1.5. 벽전(壁錢).
각연세분(各硏細粉) 혼균성산(混勻成散). 장약분(將葯粉), 취입환처(吹入患
處). 吹喉(취후)
㈃ 痧子(사자, 痲疹)
臨床 : 마진(痲疹)이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에 보이는 사람은 대부분 폐위(肺衛)에 열독이 온결(熱毒蘊結) 됨으로 인해서 기도가 막혀(氣道壅塞) 불통(不通)한다.
症見 : 고열번갈(高熱煩渴)하며, 해천기급(咳喘氣急)하고, 콧방울을 벌렁 거리며(鼻
煽), 마진불투(麻疹不透)하고, 한출번조(汗出煩躁), 설홍태황(舌紅苔黃), 맥은
세삭(脈細數)하다.
治宜 : 宣肺達邪(선폐달사), 淸熱解毒(청열해독).
方用 : 麻杏石甘湯(마행석감탕)《傷寒論》
≒ 마황(麻黃)5, 행인(杏仁)9, 감초(甘草)6, 석고(石膏)18.
본증은 동춘계절(冬春季節)에 호발(好發)하며 또 병세가 급하고 증정(症情)이 중(重)한 것은 화의 성질이 급히 다그치기 때문이다(火性急迫). 온독(溫毒)의 사기(邪氣)가 비구(鼻口)로 들어와 매번 쉽게 전염(傳染)이 만연(蔓延)하는 고로 예방에 주의를 해야 한다.
독옹상초증(毒壅上焦證)을 치료해야할 시기를 놓치게 되면(不及時治療) 사독(邪毒)이 영혈로 깊이 들어가(內陷營血), 진액을 모상하고 혈을 움직여(耗津動血), 정신이 어지러우며(扰亂神明), 진액이 빠지고 바싹 말라(津枯液脫), 음과 양이 서로 갈라서게 되는(陰陽離決之變), 불가불신(不可不愼)의 지경에 이른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