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1-07 14:39
[침구사전(針灸辭典)] 루곡 (漏谷) - 무반흔구 (无瘢痕灸)
|
|
글쓴이 :
admin
조회 : 11,283
|
루곡 (漏谷)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7 定位 : 경골내측(脛骨內側) 후연(后緣) 내과(內踝) 위 6寸.
主治 : 복창(腹脹), 장명(腸鳴), 소변불리(小便不利), 뇨로감염(尿路感炎), 족
슬궐냉마비(足膝厥冷麻痹), 족과 족관절종통(足與足關節腫痛).
臨床 ① 소변불리(小便不利) - 加 태충(太冲),
② 족슬마비(足膝麻痺) - 加 량구(梁丘), 족삼리(足三里),
③ 월경과다(月經過多) - 加 회양(回陽).
操作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루음 (漏陰) : 기혈(寄穴) - 하지부(下肢部)
定位 : 내과(內踝)(medial malleolus)아래 5分, 미맥처(微脈處)
主治 : 적백대하(赤白帶下)
操作 : 침자(針刺) 1分, 혹 뜸(灸) 30 장(壯)
륜일육 (輪一六) : 이혈(耳穴)
定位 : 륜(輪) 1~6, 이륜결절아래 변두리에서 귓볼(耳垂) 중간 변두리
까지 5 등분으로 나누어 륜 1~6 여섯 개로 분별한 곳이다.
主治 : 발열(發熱), 편도선염(扁桃腺炎), 상호흡도감염(上呼吸道感染),
인후염(咽喉炎).
리내정 (里內庭) : 기혈(寄穴) - 사지부(四肢部)
定位 : 족심(足心) 2~3 지간(趾間), 내정혈(內庭穴)과 마주보는 곳.
操作 : 0.3-0.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主治 : 식체(食滯), 급성위통(急性胃痛), 소아경풍(小兒驚風) 간질증(癎
疾證) 지절통(趾節痛).
림읍혈 (臨泣穴) : 두림읍(頭臨泣)과 족림읍(足臨泣)이 있다.
두림읍혈(頭臨泣穴)은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옛 담경(膽經)) GB-15,
족림읍혈(足臨泣穴)은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옛 담경(膽經)) GB-41.
만침 (彎針) 原因 : 의사(醫師)의 진침수법(進針手法)이 숙련(熟練)되지 못하였을 때, 그
수법(手法)이 맹렬하거나, 침첨(針尖)이 견경(堅硬)한 조직에 부딪쳤을
때, 또 다른 자극(刺戟)으로 체위(體位)가 변동 되었을 때, 침체가 위
력(偉力)에 부딪쳤을 때와 체침(滯針)을 잘 처리하지 못하였을 때 침
(針)이 굽혀진다.
處理 : 경(輕)하게 굽힌 것은 서서히 빼고, 침체(針体)가 심하게 굽힌 것은 마
땅히 굽힌침의 방향을 주의하여 굽힌 방향으로 빼며, 환자(患者)의 체
위(體位)가 변했을 때는 환자(患者)의 원래체위를 회복시키고 국부(局
部)의 근육(筋肉)을 풀리게 한 후 침(針)을 빼되 절대로 무리하게 빼
면 안 된다
망침 (芒針) : 고대(古代)에 구침(九針) 중에서 긴 침(長針)이 발전되어 온 것이다.
用法 : 오른손 모, 식, 중지로 침 자루를 쥐고 왼손 모, 식 중지로 침 끝 부분
을 쥐어서 자입(刺入)할 때 침체의 흔들림을 막는다. 이렇게 두 손을
함께 사용하는데 오른손으로 침 자루를 돌리며 동시에 왼손 모, 식지
는 아래로 약간 힘주어 천천히 눌러 진침(進針)시킨다. 출침(出針)할
때에는 왼손은 침체를 부축하여 천천히 올리며 오른손은 침을 돌리면
서 뽑는다. 침자의 방향은 주요로 침자부위에 의하여 결정하는데 예를
들면 직자(直刺)는 복부 및 복부측면의 깊은 부위에 사용되고 사자(斜
刺)는 허리, 등 어리 및 팔 등의 근육이 풍부한 부위와 주슬관절(肘膝
關節) 상하에 사용되고 횡자(橫刺)는 머리(頭部) 얼굴(面部) 및 등어
리와 가슴(胸部)에 사용된다. 침자깊이는 환자의 몸집 수혈부위에 의
하여 결정한다. 침이 일정한 깊이에 자입(刺入)되면 환자는 시고, 저
리며, 팽창하고, 무거운 감 혹은 촉전(觸電)된 감각이 생기는데 사면
(四面)으로 확산되거나 혹은 먼 곳으로 전도되면 곧 침을 뺀다.
治療範圍 : 심자(深刺)를 요하는 만성병(慢性病) 예를 들면 정신병(精神病), 위장
염(胃腸炎), 수종(水腫), 천식(喘息), 월경불조(月經不調), 풍습성관절
염(風濕性關節炎) 및 모든 통증(痛症)에 사용되며 이외에 짧은 침으로
효과가 없을 때 망침(芒針)으로 치료(治療)해 볼 수 있다.
注意 : 침은 곧바르게 천천히 침자하며 막히는 감과 통감(痛感)이 있으면 즉
시로 침을 위로 올려 약간 뽑은 후 방향을 개변(改變)하되 환자의 표
정을 관찰하여 감응(感應)에 대처해야 하며, 내장(內臟) 혹은 대혈관
(大血管)의 자상(刺傷 損傷)을 방지해야 한다. 침자하기 전에 환자에
게 필요한 설명을 해주어 긴 침(長針)으로 인한 공포감을 없애주고 환
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빈혈(貧血) 임신부(姙娠婦)
체질이 약 한자와 정신이 긴장(緊張)된 자는 심중히 사용하거나 혹은
시술하지 말아야 한다.
매보 (邁步) : 신혈(新穴) - 하지부(下肢部)
定位 : 비관혈(髀關穴)의 아래 2.5寸
主治 : 소아마비후유증(小兒麻痹后遺症), 편마비(偏麻痹).
臨床 ① 하지탄탄(下肢癱瘓)(運動麻痹)
加 환도(環跳), 은문(殷門), 건슬(健膝), 족삼리(足三里).
操作 : 직자(直刺) 1~3寸 자입(刺入), 가구(可灸).
맹장 (盲腸) : 耳穴
定位 : 대장혈(大腸穴)과 소장혈(小腸穴) 사이에 있다.
主治 : 급만성맹장염(急慢性盲腸炎)
면협부 (面頰部) : 耳穴
定位 : 이수(耳垂)에 제 5區와 6區 사이에 하나의 좁고 긴 區이다.
主治 : 주위성면신경마비(周圍性面神經麻痹), 면근육경련(面筋肉痙攣),
삼차신경통(三次神經痛), 좌창(挫瘡 여드름), 사마귀.
명당 (明堂) : 同 상성혈(上星穴)
명문 (命門) : 독맥(督脈)
GV-4 【靈樞】경맥(經脈)에 14 추(椎)에서 나와 대맥(帶脈)에 속(屬)한다.
定位 : 제 2 요추(腰椎) 극돌(棘突) 아래,
效能 : 장양보신(壯陽補腎), 강장요슬(强壯腰膝), 통리요척(通利腰脊), 고정
삽대(固精澁帶), 소경리기(疏經理氣).
主治 : 척추견강증(脊椎堅强症), 요부동통(腰部疼痛), 요척골비대증(腰脊骨
肥大症), 슬냉무력(膝冷无力), 하지마비(下肢麻痹), 척수회백(脊髓灰
白), 질염후유증(質炎后遺症)(小兒麻痹), 척주염(脊柱炎), 요척추부신
경통(腰脊椎部神經痛), 통경(痛經), 대하(帶下), 양위(陽萎), 음위(陰
痿), 유정(遺精), 대하(帶下), 조설(早泄), 유뇨(遺尿), 뇨급(尿急), 뇨
삭(尿數), 당뇨병(糖尿病), 설사(泄瀉), 치질출혈(痔疾出血), 탈항(脫
肛), 신염(腎炎), 분강염(盆腔炎), 골반강염(骨盤腔炎), 불잉증(不孕
症), 자궁내막염(子宮內膜炎), 빈혈(貧血), 이질(痢疾), 신경쇠약(神經
衰弱), 수종(水腫).
臨床 ① 요배통(腰背痛) - 加 신수(腎兪), 환도(環跳), 위중(委中),
② 유뇨증(遺尿症) - 加 백회(百會). 관원(關元), 삼음교(三陰交), 중
료(中髎)에 뜸(灸),
③ 양위(陽萎), 유정(遺精), 월경이상(月經異常) 적백대하(赤白帶下) -
加 관원(關元), 상료(上髎), 차료(次髎),
④ 뇨빈(尿頻)(老人) - 加 신수(腎兪)를 각각 配用한다.
操作 : 침첨(針尖)을 약간 위쪽으로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명중 (明中) ⇒ 건명4 (健明4)
모혈 (募穴) : 수혈(兪穴). 모혈(募穴)은 모두 구간부(軀干部)에 분포되였으며 장부(臟腑)
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수혈(兪穴)은 장부(臟腑)의 경기(經氣)가 등 어리,
허리의 수혈(兪穴)에 수주(輸注)되고 모혈(募穴)은 장부(臟腑)의 경기(經氣)
가 흉복부(胸腹部)의 수혈에 모인다. 그러므로 육장육부(六臟六腑)의 질병
(疾病)은 반드시 문혈(門穴), 해혈(海穴), 수혈(兪穴), 모혈(募穴)로 治療
한다.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의 모혈(募穴)은 중부혈(中府穴)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의 모혈(募穴)은 천추혈(天樞穴)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모혈(募穴)은 중완혈(中脘穴)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모혈(募穴)은 장문혈(章門穴)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의 모혈(募穴)은 거궐혈(巨闕穴)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의 모혈(募穴)은 관원혈(關元穴)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의 모혈(募穴)은 중극(中極)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의 모혈(募穴)은
수궐음격경(手厥陰膈經)의 모혈(募穴)은 전중(膻中)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의 모혈(募穴)은 석문(石門)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의 모혈(募穴)은 일월혈(日月穴)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모혈(募穴)은 기문혈(期門穴)
목1 (目1) : 耳穴
定位 : 병간절적(屛間切迹) 앞의 하방에 있다.
主治 : 녹내장(綠內障), 가성근시(假性近視), 맥립종(麥粒腫)등 안질병(眼疾病)
목2 (목2) : 耳穴
定位 : 병간절적(屛間切迹) 뒤의 하방에 있다.
主治 : 녹내장(綠內障), 가성근시(假性近視), 맥립종(麥粒腫)등 안질병(眼疾病)
목창 (目窗) : 족소양췌경(足少陽膵經) - 옛 담경(膽經)
GB-16 【甲乙】에 족소양(足少陽) 양유(陽維)의 會
定位 : 두림읍(頭臨泣)뒤 1寸인데 두림읍(頭臨泣)과 풍지혈(風池穴) 연선(連
線)에서 취(取)한다.
主治 : 두통(頭痛), 목현(目眩), 목적종통(目赤腫痛), 시신경위축(視神經萎
縮), 원시(遠視), 근시(近視), 결막염(結膜炎), 치통(齒痛), 중풍(中風)
두면부종(頭面浮腫), 소아경풍(小兒驚風).
臨床 ① 안병(眼病) - 加 풍지(風池), 찬죽(攢竹), 동자료(瞳子髎),
② 두통(頭痛) - 加 천충(天衝), 풍지(風池).
操作 : 0.5~0.8寸 평자(平刺), 가구(可灸).
무도진전공제구 (舞蹈震顫控制區) : 두침(頭針)
定位 : 운동구(運動區) 앞 1.5cm 인 평행선이다.
主治 : 무도병(舞跳病) 진전(震顫) 마비종합증(麻痹綜合證)
무반흔구 (无瘢痕灸) : 뜸을 뜨는 부위에 마늘 즙 혹은 와세린을 바르고 뜸쑥(艾柱)을 세
우고 위에 불을 붙여서 2/5쯤 탔을 때 환자가 뜨거운 감을 느끼면
곧 새로이 뜸쑥을 바꾸어 계속 뜬다. 환부의 피부가 붉게 충혈 되
면 적합하다. 뜸뜬 후 화농하지 않고 상처도 남기지 않으므로 많
이 이용하는 구법(灸法)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