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8-11-10 14:42
[침구사전(針灸辭典)] 사혈법 (瀉血法) - 삼음교 (三陰交)
|
|
글쓴이 :
admin
조회 : 10,956
|
사혈법 (瀉血法) : 삼능침(三陵針)의 조작법(操作法)이다. 먼저 침자 부위에서 심장(心臟)
쪽을 고무줄(지혈대(止血帶)로 묽고 사혈시킬 부위를 소독한 다음 왼손
모지로 침자할 부위의 아래쪽을 누르고 오른손에 침을 쥐고 정맥(靜
脈)을 0.5~1촌 정도의 깊이로 찌른 후 적은 량의 피가 나올 때까지 기
다린다. 피가 검붉은 색으로부터 선홍색으로 변하면 지혈대를 풀어 놓
는다. 만약 지혈되지 않으면 소독한 마른 솜으로 침구멍을 눌러 지혈
시킨다. 오금에 많이 사용하는데 례를 들면 곡택혈(曲澤穴) 위중혈(委
中穴) 등이다. 이 방법은 2~3일에 한 번씩 사용하는데 만약 출혈량이
비교적 많을 때에는 1~2 주에 한 번씩 사용한다.
使用範圍 : 급성토사(急性吐瀉), 중서(中暑), 발열(發熱) 등
사호 (四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뒤꿈치의 정중선 앞으로 5 촌이다.
主治 : 실명(失明), 황달성간염(黃疸性肝炎), 천식(喘息), 대뇌발육불전(大腦
發育不全).
操作 : 0.5~1 촌 직자(直刺) 혹은 사자(斜刺)한다.
산근 (山根) : 기혈(寄穴)
定位 : 비배(鼻背) 함요처(陷凹處), 비근부(鼻根部)와 내자(內眦) 중간
作用 : 청두식풍(淸頭息風) 개통비규(開通鼻竅)
主治 : 현훈(眩暈), 비뉵(鼻衄), 비염(鼻炎).
臨床 ① 비염(鼻炎) - 加 영향(迎香) 투(透) 비근(鼻根. 山根穴)
操作 : 0.3~0.5寸 斜刺, 或 손톱각으로 5~15次 指壓
산자법 (散刺法) : 삼능침(三陵針)의 조작법(操作法)이다. 고대에 “표문자(豹文刺)”라 불렸
고 근대에 “위자(圍刺)”라 부른다. 먼저 병 부위와 찌르는 부위를 소독한
후 병부위의 바깥쪽에서 중심으로 둥글게 점자하며 병부위의 대소에 의
하여 점자의 다소(多少)를 결정한다.
主治 : 단독(丹毒), 각종종기 초기, 완고한 버짐, 국부의 어혈(瘀血), 혈종(血
腫) 혹은 수종(水腫)에 많이 사용한다.
삼각와부 (三角窩部)의 수혈(腧穴)
1) 신문(神門), 2) 분강(盆腔), 3) 내생식기(內生殖器), 4) 각와상(角窩上).
삼각와상방 (三角窩上方). : 이혈(耳穴)
定位 : 삼각와(三角窩) - 전상방(前上方)
主治 : 고혈압(高血壓)
삼각와중심 (三角窩中心). : 이혈(耳穴)
定位 : 삼각와(三角窩) - 삼각와(三角窩)를 3 등분하여 중간
1/3 점
主治 : 천식(喘息).
삼간 (三間) : 手陽明大腸經 - 오수혈(五輸穴)의 수혈(輸穴)(木)
LI-3 定位 : 약간 주먹을 쥐어 제 2 장골소두(掌骨小頭) 요측(橈側) 뒤에 오목한
함요부(陷凹部).
效能 : 사열(瀉熱, 利熱) 이인(利咽), 조부기(調腑氣).
主治 : 목통(目痛), 치통(齒痛), 구괘(口喎), 인후종통(咽喉腫痛), 구강질병
(口腔疾病), 구순건조(口脣乾燥), 삼차신경통(三叉神經痛), 수지(手
指) 수배홍종통(手背紅腫痛), 학질(瘧疾), 기면(嗜眠), 실면(失眠), 복
통(腹痛), 장명설사(腸鳴泄瀉), 결막염(結膜炎), 천식(喘息).
臨床 ① 인후염(咽喉炎) - 加 양계(陽溪),
② 목통(目痛) - 加 전곡(前谷),
③ 수배홍종(手背紅腫) - 加 후계(后溪).
操作 : 0.3~0.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삼구각 (三灸角). : 기혈(寄穴) - 흉복부(胸腹部)
定位 : 환자(患者)의 양구각간(兩口角間) 길이를 한 변으로 삼각형(三
角形)을 접혀 위각을 제부(臍部)에 똑바로 대면 아래 두각이
닿는 곳이 혈처(穴處)다.
主治 : 산기(疝氣), 복통(腹痛).
操作 : 5~7장 구법(灸法).
삼능침 (三陵針) : 고대(古代) 봉침(蜂針)이 변천(變遷)된 것인데 모양이 직삼각형(直三角
形)이어서 삼능침(三陵針)이라 부른다. 침첨(針尖)은 뾰족하고 삼면(三
面)에 날이 있으며 침 자루는 원주형이다.
임상(臨床)에서 락맥(絡脈)의 피를 빼는데 많이 사용(使用)한다.
用途 : 출혈(出血)하여 락맥(絡脈)을 사(瀉)할 때 사용하기에 모든 옹체
(壅滯) 어혈불통(瘀血不通)의 질병(疾病) 및 음양(陰陽)의 기
(氣)가 옹알(壅遏, 막히다)되고 사기(邪氣)가 성(性)한 실증(實
證)에 사용한다.
治法 : 점자법(點刺法) 산자법(散刺法) 사혈법(瀉血法) 도자법(挑刺法)
등이 있다. 각과를 참조 하라!
삼십호 (三十号) : 足針
定位 : 발내측 주골돌기하(舟骨突起下) 뒤에 오목한 곳이다.
主治 : 월경통(月經痛),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자궁부건염
(子宮附件炎)
治法 : 1寸 직자(直刺)한다.
삼십사호 (三十四号) : 足針
定位 : 태백(太白)과 공손혈(公孫穴) 연선의 중점이다.
主治 : 간질병(肝疾病) 히스테리 신경쇠약(神經衰弱)
治法 : 1~2寸 횡자(橫刺)한다.
삼십오호 (三十五号). : 足針
定位 : 곤륜혈(崑崙穴) 위 1 촌이다.
主治 :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두통(頭痛) 복통(腹痛)
治法 : 1~2寸 횡자(橫刺) 혹은 위로 사자(斜刺)한다.
삼양락 (三陽絡). : 수소양삼초경(手少陽三焦經)
TE-8 定位 : 양지혈(陽池穴)위 4寸, 척골(尺骨)과 요골(撓骨)사이.
效能 : 개규통락(開竅通絡).
主治 : 폭음(暴音, 失語), 이농(耳聾), 치통(齒痛), 수비통(手臂痛)., 폐
절제(肺切除) 수술(手術) 마취혈(麻醉穴).
臨床 ① 실어(失語) - 加 풍지(風池), 염천(廉泉).
② 치통(齒痛) - 加 합곡(合谷).
③ 두통(頭痛) - 加 풍지(風池).
④ 폭아(暴啞) - 加 지구(支溝), 통곡(通谷),
⑤ 폐절제(肺切除) 수술(手術) 마취(痲醉).
加 사투극문(斜透郄門).
操作 : 0.8~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삼음교 (三陰交).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6 【갑을】에 족태음(足太陰) 족궐음(足厥陰) 족소음(足少陰)
의 會
定位 : 내과(內踝) 고점(高点) 위 3寸, 경골내측면(脛骨內側面)의 후연
(后緣).
效能 : 건비화위(健脾和胃), 간신조보(肝腎調補), 행기활혈(行氣活血),
소통경락(疏痛經絡), 공보겸시(攻補兼施).
主治 : 비위허약(脾胃虛弱), 장명복창(腸鳴腹脹), 복통설사(腹痛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월경이상(月經異常), 통경(痛經), 붕루(崩
漏) 기능성(機能性)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경폐(經
閉), 적백대하(赤白帶下), 난산(難産), 불임증(不姙症), 산후혈운
(産后血暈), 유정(遺精), 양위(陽痿), 산기(疝氣)(脫腸), 부종(浮
腫), 소변불리(小便不利), 유뇨(遺尿), 습진(濕疹), 두드러기(蕁
麻疹), 신경성피부염(神經性皮膚炎), 실면(失眠), 하지위비(下肢
痿痹), 편마비(偏麻痹).
現代 : 자궁출혈(子宮出血), 대하(帶下), 고환염(睾丸炎), 급만
성신염(急慢性腎炎), 림질(淋疾), 성기능감퇴(性機能减
退), 남여(男女) 생식기질환(生殖器疾患), 급만성간염
(急慢性肝炎), 맥관염(脈管炎)(血栓閉塞性), 담마진(蕁麻
疹), 고혈압(高血壓), 당뇨(糖尿), 신경관능증(神經官能
症), 습진(濕疹), 고비만(股肥滿).
자궁경부암(子宮經部癌)의 주요혈위(主要穴位).
臨床 ① 월경이상(月經異常) - 加 귀래(歸來), 혈해(血海),
② 산기(疝氣) - 加 대돈(大敦), 태충(太冲),
③ 야뇨(夜尿) - 加 관원(關元), 기해(氣海),
④ 산후혈운(産后血暈) - 加 신유(腎兪), 중극(中極),
⑤ 난산(難産) - 加 합곡(合谷) 태충(太冲),
⑥ 고비만(股肥滿) : 加 풍시(風市),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
승산(承山) - 지압료법(指壓療法).
⑦ 폐색성혈전성맥관염(閉塞性血栓性脈管炎).
加 중완(中脘),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治法 : ⑴ 0.5~2寸 직자(直刺) 혹은 현종(縣鍾)과 심투(深透)한다. 감
응(感應)은 산창감(酸脹感), 가구(可灸).
⑵ 족부병(足部病)을 치료(治療)할 때는 약간 후방(後方)으로
향해서 자입(刺入)한다.
감응(感應)은 마전감(麻電感)이 족심(足心)으로 방산(放散)
된다.
⑶ 구간부(軀干部) 질환(疾患)을 치료(治療)할 때는 약간 상향
(上向)으로 자입(刺入)한다.
감응(感應)은 대폭으로 념전(捻轉)하면 산창감(酸脹感)이
족슬(足膝) 또는 대퇴내측(大腿內側)으로 확산(擴散)된다.
⑷ 임신부(姙娠婦) 금침(禁針), 가구(可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