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 침구치료, 약물치료, 연구보고, 도서, 약품 / 동의원, TCM Sun-Young Suh

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8-23 21:02
[침구사전(針灸辭典)] 수혈 (兪穴) - 슬내 (膝內)
 글쓴이 : admin
조회 : 9,457  
수혈 (兪穴) : 六臟六腑(육장육부)의 疾病(질병)은 반드시 문혈(門穴), 해혈(海穴), 수
                  혈(兪穴), 모혈(募穴)로 治療한다.
                  兪穴은 모두 인체의 배부(背部), 방광경(膀胱經)에 분포 되었으므로 상부(上
                  部)로부터 아래로 표기 하였다.
                  폐수(肺兪), 궐음수(厥陰兪), 심수(心兪), 독수(督兪), 격수(膈兪), 위관하수
                  (胃管下兪), 간수(肝兪), 담수(膽兪), 膵수(췌수), 비수(脾兪), 위수(胃兪), 삼
                  초수(三焦兪), 신수(腎兪), 기해수(氣海兪), 대장수(大腸兪), 관원수(關元兪)
                  소장수(小腸兪), 방광수(膀胱兪), 중려수(中膂兪), 백환수(白環兪) 등 이다.
수혈 (輸穴) : 五輸穴(오수혈 : 井, 滎, 輸, 經, 合)중에서 輸穴(수혈)을 말한다.
                  태연(太淵)-(手太陰肺經),        삼간(三間)-(手陽明大腸經),
                  함곡(陷谷)-(足陽明胃經),        태백(太白)-(足太陰脾經),
                  신문(神門)-(手少陰心經),        후계(后溪)-(手太陽小腸經),
                  속골(束骨)-(足太陽膀胱經),      태계(太溪)-(足少陰腎經),
                  대능(大陵)-(手厥陰膈經),          중저(中渚)-(手少陽三焦經),
                  족림읍(足臨泣)-(足少陽膵經),    태충(太冲)-(足厥陰肝經).
수혈의 분경 주치규률 (腧穴分經主治規律) ⇒ 主治規律(주치규율)
수혈의 분부 주치규률 (腧穴分部主治範圍) ⇒ 主治範圍(주치범위)
수혈의 정위 (腧穴定位)           
              1. 골도분촌법 (骨度分寸法)
                                  옛날에는 骨度法(골도법)이라 불렀다. 이는 患者(환자)의 骨節
                                  (골절)을 主要標志(주요표지)로 全身(전신) 각부분의 大小(대소)
                                  와 길이를 測量(측량) 한후 이 寸數(촌수)를 비례로 환산하여
                                  穴(혈)을 정하는 標準(표준)으로 하고 그의 部位(부위)를 나누
                                  어 取(취)하는 방법이다.
 

    部位            起止点            分寸    測量                      說明                     
                                                                  前發際가 不分明하면 눈섭에서 大椎穴 
                前發際애서 后發際    12      直        18寸, 눈섭에서 前發際 3寸, 大椎穴에서
                                                                  后發際 3寸                           
    頭部      前頭角                      9      橫        頭部橫寸을 測定                     
                耳后 兩完骨穴間                                                       
 
                後頭骨에서 天突          2      直        목부위를 곧게 제일 때               
    項部      兩人迎穴間                3      橫        목부위를 옆으로 제일 때         
 
                天突에서 岐骨            9                  胸部와 脇部 取穴時 直寸은 每 肋骨間을
    胸腹      岐骨에서 臍部            8      直        1.6寸으로 한다. 天突穴애서 璇璣穴까지
                臍部에서 耻骨            5                  1寸, 璇璣穴에서 中庭穴까지 每穴사이를
                                                                  1.6寸으로 計算한다.                 
 
    胸部      兩乳頭間                    8                  胸腹部 取穴時 橫寸은 兩乳頭間을 標志 
                耻骨                          6.5  橫          로 하며, 女性은 鎖骨中線을 代替한다. 
                                                                    耻骨길이는 腹股泃毛際를 標志로 穴을 
                                                                    정한다.                               

    背部      大椎以下 尾骨          21椎    直          背 腰 兪穴은 脊椎棘突을 標志로 한다 
                兩肩胛骨間                6      橫          背部 腰部를 橫寸                     
   
                腋窩에서 季脇까지    12                    季脇은 第十二 肋骨이다.             
    脇部      季脇에서 髀樞까지      9      直          髀樞는 大腿外側末端이다.             
 
                前腋窩橫紋에서        9                                                 
                팔목 橫紋까지                                                         
    上肢      팔급횡문에서          12        直        手三陰 手三陽經의 骨度分寸에 使用   
                팔목횡문                                                             
 
                上耻骨에서 膝內側  18        直          足三陽經의 骨度分寸에 使用           
                膝內側에서 內踝骨  13                                                 
    下肢 
                髀樞에서 膝關節      19                                                 
                무릎에서 外踝骨      16        直        大腿橫紋에서 무릎오금까지 14寸       
                外踝骨에서 足心        3 

              2. 自然標志(자연표지) 取穴法(취혈법)
                  인체의 자연스런 형체를 근거로 하여 取穴(취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
                  으로서 고정표지와 활동표지로 나눈다.
                  1) 고정표지
                      六官(육관), 毛髮(모발), 指甲(지갑, 손톱), 趾甲(지갑, 발톱), 乳頭(유두,
                      젖꼭지), 臍(제, 배꼽) 및 뼈마디가 튀어 나왔거나 들어간 곳, 근육이 두
                      드러진 곳 등의 특징을 이용하여 취혈 표지로 하는 것이다.
                      비교적 顯名(현명)한 표지를 예로 든다면
                      ① 코끝에서 素髎穴(소료혈)을 취하고,
                      ② 양쪽 유두 중간에서 顫中穴(전중혈)을 취하며,
                      ③ 腓骨(비골) 小頭(소두)앞 아래쪽에서 陽陵泉穴(양능천혈)을 취하며
                      ④ 제 7 頸椎棘突(경추극돌) 아래에서 大椎穴(대추혈)을 취하는 등이다.
                      두 뼈가 分岐(분기)하는 지점에서
                      ① 鎖骨肩峰端(쇄골견봉단)과 肩甲岡(견갑강) 분기점에서 거골혈을 취하
                          고 胸骨下段(흉골하단)과 肋骨緣(늑골연)의 분기점에서 中庭穴(중정
                          혈)을 취한다.
                      ② 肩甲岡(견갑강)은 제 3 胸椎棘突(흉추극돌)과 평행되고 髂脊(가척)은
                          제 4 腰椎棘突(요추극돌)과 평행되는 표지로써 등거리, 허리의 腧穴
                          (수혈)을 취한다. 
                  2) 活動標志(활동표지)
                      관절, 근육, 피부의 활동으로 나타나는 틈새(구멍), 오목한 곳, 주름 등을
                      이용하여 取穴標志(취혈표지)로 하는 것이다.
                      ①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穴(청회혈)을 취할 때 입을 벌려야 하고
                      ② 下關穴(하관혈)을 취할 때 입을 다물어야 한다.
                      ③ 曲池(곡지)를 취할 때 반드시 팔굽을 굽혀서 주름 끝에서 취하고
                      ④ 肩髎穴(견료혈)과 肩髃穴(견우혈)은 팔을 수평으로 벌리면 肩峰(견
                          봉)과 肱骨(굉골) 끝에서 나타나는 2개의 오목한 곳에서 앞쪽의 오목
                          한 곳은 肩髃穴(견우혈)이고 뒤에 오목한 곳은 肩髎穴(견료혈)이다.
                      ⑤ 陽溪穴(양계혈)을 취할 때는 엄지를 뒤오 벌리면 두 肌腱(기건) 사이
                          에 오목한 곳이 바로 穴處(혈처)이다.
                      ⑥ 養老穴(양노혈)은 손바닥을 가슴으로 향하면 尺骨莖突(척골경돌) 橈
                          側(요측) 뼈 사이에서 取穴(취혈)한다.
              3. 手指 同身寸(수지동신촌) 取穴法(취혈법)
                  수지 동신촌 취혈법은 의사가 손바닥으로 재어 취혈하는 방법으로서 分部
                  折寸(분부절촌)을 기초로 하는 指寸法(지촌법)이라 부르는 것이다.
                  사람의 손가락과 신체의 기타 부위에는 일정한 비례가 있는데 取穴(취혈)
                  할 때 환자 자신의 손가락을 표준으로 하기 때문에 同身寸(동신촌)이라 부
                  른다. 이 같은 指寸法(지촌법)에는 아래와 같이 3가지 방법이 있다.
                  1) 中指(중지) 同身寸(동신촌)
                      患者(환자)의 中指(중지)를 굽혔을 때 중간 관절 내측 가로선의 양쪽의
                      끝의 길이를 1촌으로 한다. 이렇게 얻은 1촌의 길이로 四肢(사지) 및 脊
                      椎(척추)와 등어리의 橫寸(횡촌) 환산에 사용한다.
                  2) 拇指(모지) 同身寸(동신촌)
                      患者(환자)의 拇指(모지) 關節(관절)의 가로선을 1촌으로 한다. 이렇게
                      얻은 길이로 四肢部(사지부)의 直寸(직촌) 취혈에 사용한다.
                  3) 橫指(횡지) 同身寸(동신촌)
                      횡지 동신촌법을 一夫法(일부법)이라고 부른다. 患者(환자)의 食指(식
                      지), 中指(중지), 无名指(무명지)를 합하여, 둘째 관절을 표준으로 식지와
                      중지를 합한 길이를 1.5촌으로 하며, 4 손가락 가로늬 길이를 3촌으로
                      한다. 이렇게 얻은 길이로 下肢(하지), 下腹部(하복부), 등어리의 횡촌에
                      사용한다.
              4. 간편 취혈법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혈위를 찾기 쉬운 취혈 방법이다.
                  예를들어
                  ① 列缺穴(열결혈)을 찾을 때 患者(환자)의 좌우 양손의 엄지와 식지를 벌려
                      서 교차로 맞물린 후 한손의 식지를 다른 한 손의 손목위 두드러진 뼈
                      (橈骨突(요골돌) 중간 위에 놓으면 식지 끝에 오목한 곳이 穴(혈)이 된다.
                  ② 勞宮穴(노궁혈)은 주먹을 쥐었을 때 中指(중지) 끝이 손바닥 제일 가로
                      무늬에 닫는 오목한 곳이다.
                  ③ 風市穴(풍시혈)은 患者(환자)가 똑바로 서서 양손을 자연스럽게 내렸을
                      때 股骨(고골) 외측에 中指(중지)가 닫는 곳이다.
                  ④ 이외에 또 어깨를 내리고 팔굽을 굽혀 章門穴(장문혈)을 취하고 양쪽 귀
                      각에서 곧게 올라가서 연결된 선의 중점에서 百會穴(백회혈)을 취한다.
숭골 (崇骨) : 기혈(寄穴) - 경배요부(頸背腰部)
                  定位 : 대추혈(大椎穴)위 제 6 경추(頸椎), 극돌(棘突) 아래와 제 7 경추(頸
                            椎) 극돌(棘突)아래 사이에
                  主治 : 감기(感氣), 학질(瘧疾), 경항부(頸項部) 경련(痙攣), 백일해(百日咳)
                            간질증(癎疾證), 해수(咳嗽).
                  操作  : 0.3~0.5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슬 (膝) : 이혈(耳穴)
            定位 : 대이륜상각(對耳輪上脚) - 대이륜상각(對耳輪上角)을 3등분하여, 중간
                      1/3点과 대이륜하각(對耳輪下脚) 위 변두리와 수평선상에 있다.
            主治 : 슬관절종동(膝關節腫疼) : 무릎 통증.
슬관 (膝關) :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
        LR-7    定位 : 경골내과(脛骨內踝), 후하방(后下方), 음능천(陰陵泉) 후 1寸.
                  主治 : 슬관절병(膝關節病), 슬관절염(膝關節炎), 하지마비(下肢麻痹), 통풍
                            (痛風).
                  臨床  ① 슬관절병(膝關節病) - 加 독비(犢鼻), 양구(梁丘), 혈해(血海).
                          ② 하지마비(下肢麻痹) - 加 위중(委中), 족삼리(足三里), 음시(陰市).
                  操作 : 정좌한 후 무릎을 굽히고 취혈(取穴) 1-1.2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슬내 (膝內) : 기혈(寄穴)EX - 하지부(下肢部)LE
      EX-LE3  定位 : 무릎안쪽 곡천혈(曲泉穴)과 내슬안(內膝眼) 사이
                  主治 : 슬관절동통(膝關節疼痛), 하지무력(下肢无力)
                  操作 : 직자(直刺) 0.5~0.8촌, 가구(可灸) 2장

 
   
 




동의원, TCM Sun-Young Suh
Lilienthaler Heerstr. 121, D-28357 Bremen, Tel.: +49-421-25 51 62, E-Mail: tcmsys@hotmail.de
Sun-Young Suh
Postbank
IBAN: DE36100100100409504125
BIC: PBNKDEFFXXX (Berlin)
POSTBANK NDL DER DB PRIVAT- UND FIRMENKUNDENBANK
© 2018 TCM Suh / Impressum | Datenschu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