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8-23 21:21
[침구사전(針灸辭典)] 십이경지해 (十二經之海) - 안면 (安眠)
|
|
글쓴이 :
admin
조회 : 9,210
|
십이경지해 (十二經之海)
經脈之海(경맥지해)는 冲脈(충맥)의 別稱(별칭)이다. 충맥의 순행은 足少陰腎
經(족소음신경)과 足陽明胃經(족양명위경)의 連繫(연계)가 가장 밀접하다. 腎
(신)은 인체에 先天(선천)의 根本(근본)이고, 胃(위)는 인체에 後天(후천)의
根本(근본)이다. 때문에 冲脈(충맥)에는 인체에 先天(선천)과 后天(후천)의
元氣(원기)가 겸하여 있다. 그러므로 十二經之海(십이경지해)라 칭한다.
십이경표본 (十二經標本) : 표본 (標本) 참조
십이자론 (十二刺論)
《靈樞․官針篇》중에서 十二節刺法(십이절자법)을 발취한 것으로 十二經絡(십
이경락의 병변에 따라 十二刺法(십이자법)을 적응시켜야 한다는 내용이다.
十二刺法(십이자법)은 十二經(십이경)에 적응되는 것이다.
1) 偶刺 : 우자는 손으로 앞가슴이나 등줄기를 눌러서 제일 아픈 곳에 침자(針刺)
하는데, 앞가슴에 한 穴(혈)과 등에 한 穴(혈)을 斜刺(사자)하여 心痛(심
통)과 心肌(심기)의 痲痹(마비)를 치료한다.
2) 報刺 : 보자는 報復(보복)한다는 뜻으로 痛症(통증)이 일정하지 않고 왔다 갔다
하며, 상하로 이동이 심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먼저 제일 아픈 점에
針(침)을 찔러놓고 다음에 제 2 의 痛處(통처) 2 개소를 손으로 찾아서
주물러 주고, 찔렀던 針(침)을 뽑는다. 그런 후 제 2 의 통처 2 개소를
다시 針(침)을 찌른다.
3) 恢刺 : 회자인데 이것은 恢復(회복)시킨다는 뜻이다. 제일 아픈 지점의 전후좌
우에 針을 꽂아 놓고 針을 돌려서 끌어올리고 다시 꽂는 提揷法(제삽
법)을 써서 針氣(침기) 즉 針感(침감)이 오면서 당기던 근육이 풀어지므
로, 근육통 치료에 사용된다.
4) 齊刺 : 제자는 三刺法(삼자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최고 壓痛点(압통점)에 1
개를 찔러주고 양쪽 옆에 2 개를 찔러주면 차가운 기운으로 인한 少氣
症(소기증)에 좋다. 단 이것은 깊이 찌르는 방법이다.
5) 揚刺 : 양자는 최고 아픈 곳에 針(침) 1 개를 찔러주고, 전후좌우 사방에 4 개
를 꽂아 주는데 얕게 찔러 表皮(표피)에 寒氣(한기)가 머물러 있을 때
적용시키는 것으로, 단 아픈 곳이 넓을 때에 이용한다.
6) 直針刺 : 직침자는 皮膚(피부)를 잡고 針을 돌려서 옆으로 橫刺(횡자)했다가 바
로 빼는 방법인데 얕게 찌르는 것이다. 이것은 表皮層(표피층)에 있는
寒氣(한기)를 없애는 방법이다.
7) 輸刺 : 수자는 곧바로 찌르고 빼는 것으로, 반드시 깊게 찌르는 것이다. 이는 邪
氣(사기)가 盛(성)하여 熱(열)이 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8) 短刺 : 단자는 骨(골)이 아프고 저린 것을 치료하는 것이므로 針을 찌를 때에
시계방향으로 돌려가면서, 요동하면서 깊이 찔러 직접 뼈있는 데까지
찔러두는 것으로, 뼈를 상하로 마찰하는 형상의 방법이다.
9) 浮刺 : 부자는 얕게 찌르는 手法으로 제일 아픈 곳의 옆을 얕게 찔러 肌肉(기
육)의 경련과 당기는 증상에 적용된다. 비 病(병)은 寒症(한증)에서 오는
病(병)이다.
10) 陰刺 : 음자는 腎經(신경)에서 冷氣(냉기)를 받아 가지고 中焦(중초)가 차가워
진 젓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좌우의 太溪穴(태계혈)에 찔러서 下肢(하지)
의 冷症(냉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11) 傍針刺 : 방침자는 제일 아픈 지점에 針 1 개를 찌르고 그 양옆에 각 1 개씩 찔러
놓아 痲痹(마비), 神經痛(신경통), 오랜 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12) 贊刺法 : 찬자법은 찬조적 의미를 가진 방법이다. 직접 바로 찔렀다가 곧바로 빼
는 것인데 여러 개의 針을 얕게 찔렀다가 出血(출혈)을 시키면서 뺀다.
이는 腫氣(종기)를 치료하는데 이용한다.
십이지장 (十二指腸) : 耳穴(이혈)
定位 : 이갑정(耳甲艇) - 이륜각 后上方
主治 : 십이지장궤양(十二指腸潰瘍), 유문경련(幽門痙攣), 위산부족 (胃酸不足), 담낭염(膽囊炎), 담결석(膽結石).
십이피부 (十二皮部)
十二經脈(십이경맥)이 皮膚(피부)에서의 分屬部位(분속부위)이다. 皮部(피부)는
經絡系統(경락계통)의 일부분으로 經脈(경맥)의 皮部(피부), 分區(분구)인 동시
에 絡脈(락맥)의 分區(분구)이며, 絡脈(락맥) 특히 浮絡(부락)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
作用 1) 機體(기체)를 보위하며 外邪(외사)에 저항한다. 즉 皮部(피부)는 인체의 제일
외부에 있으므로 직접 외계와 접촉하며, 외계의 변화에 調節(조절)과 適應能
力(적응능력)이 있고, 또한 外邪(외사)의 침습은 대부분 피부가 接(접)하고
防禦(방어)하므로 인체를 保衛(보위)하는 작용을 한다.
2) 皮部(피부)는 臟腑(장부)의 변화를 반영한다. 특히 浮絡(부락)이 皮部(피부)
에 分布(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臟腑(장부), 經絡(경락)의 病理變化(병리변
화)는 皮部(피부)에 나타나며 皮部(피부)와 浮絡(부락)의 色變化(색변화)로
써 臟腑(장부)의 疾病(질병)을진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例 ① 靑色(청색)은 腫氣(종기)의 반응, ② 蒼白色(창백색)은 寒症(한증)과 虛症
(허증)의 반응 ③ 黃赤色(황적색)은 熱症(열증)의 반응이다.
耳廓(이곽)의 일정한 부위의 色變化(색변화)를 보고 疾病(질병)을 判斷(판단)
하는 耳廓診斷法(이곽진단법)이라 한다. 또 유관되 經絡(경락), 腧穴(수혈)에
皮膚(피부)의 개변 예를 들면 丘疹(구진), 色素沈着(색소침착), 皮下水泡(피
하수포), 皮膚感覺異常(피부감각이상), 皮膚道電点(피부도전점)의 개변 등으
로 질병을 진단하는 것을 經絡診斷法(경락진단법)이라 부른다.
針灸治療(침구치료)중 皮部(피부)에 침을 놓으면 衛氣(위기)를 일으키는 작
용이 있으며, 灸法(구법)은 皮部(피부)에 溫熱刺戟(온열자극)을 일으키어 氣
血(기혈)을 通(통)하게 하고 經絡(경락)을 調動(조동)하며 陽氣(양기)를 振奮
(진분)하게 하여 祛邪扶正(거사부정)의 작용을 한다.
십일호 (十一号) : 足針(족침)
定位 : 발바닥 모, 식지 사이에서 뒤로 3 촌이다.
主治 :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위경련(胃痙攣).
操作 : 1寸 직자(直刺)한다.
십칠추 (十七椎) : 기혈(氣血)EX - 십칠추(十七椎) 아래 - 배부(背部)B
EX-B8 定位 : 제 5 요추(腰椎) 극돌(棘突) 아래.
主治 : 요통(腰痛), 요뉴상(腰扭傷), 생리통(生理痛), 하지마비(下肢麻
痹),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공능성자궁출혈(功能性子宮出血),
항문질환(肛門疾患), 소아마비후유증(小兒麻痹后遺症).
臨床 ① 하지마비(下肢麻痹) - 加 요부(腰部)의 협척혈(夾脊穴),
② 요천통(腰薦痛) - 加 질변(秩邊), 관원수(關元兪).
③ 통경(痛經) - 加 중극(中極), 삼음교(三陰交), 태계(太溪).
操作 : 상향(上向) 1~1.5寸 사자(斜刺), 가구(可灸).
십칠호 (十七号) : 족침(足針).
定位 : 해계혈(解溪穴) 아래로 2.5 촌이다.
主治 : 심교통(心絞痛), 천식(喘息), 감기(感氣).
操作 : 0.1~0.5 촌 직자(直刺) 혹은 점자(點刺)한다.
십호 (十号) : 족침(足針)
定位 : 발바닥 제 3, 4 발가락 사이에서 뒤로 3 촌이다.
主治 : 복통(腹痛), 급만성위장염(急慢性胃腸炎), 월경통(月經痛).
操作 : 1~1.5寸 직자(直刺) 혹은 내측으로 사자(斜刺)한다.
아 (牙) : 이혈(耳穴) : 치아수술시(齒牙手術時) 마취혈(麻醉穴)(電氣痲醉)
定位 : 이수(耳垂)
主治 : 치주염(齒周炎), 저혈압(低血壓).
아문 (啞門) : 독맥(督脈)
GV-15 【甲乙】에 독맥(督脈) 양유(陽維)의 會,
定位 : 후두(后頭) 발제(髮際) 정중(正中)에서 위 0.5寸 함요부(陷凹部).
效能 : 식풍지경(息風止痙), 통경개규(通經開竅), 소풍활락(疏風活絡).
主治 : 설강불어(舌强不語), 중설(重舌), 嘶啞(시아-쉰소리), 히스테리성 실
어(失語), 중풍실어(中風失語), 두중두통(頭重頭痛), 항강증(項强症),
척추강직경련(脊椎强直痙攣), 정신병(精神病), 간질증(癎疾證), 계종
(瘈瘲).
現代 : 농아(聾啞), 신경성구토(神經性嘔吐), 대뇌발육부전(大腦發育
不全), 뇌성마비(腦性麻痹), 간질(癎疾), 정신분렬증(精神分裂
症), 파상풍(破傷風), 무도병(舞跳病, 風濕性), 신경성두통(神
經性頭痛).
폐암(肺癌)의 주요 배합혈(主要配合穴).
臨床 ① 농아(聾啞) - 加 렴천(廉泉), 이문(耳門), 청궁(聽宮), 청회(聽會),
예풍(翳風), 합곡(合谷).
② 중풍실어(中風失語) - 加 렴천(廉泉), 통리(通里).
③ 간질병(癎疾病) - 加 대추(大椎), 수구(水溝), 요유(腰兪).
④ 전간(癲癎) - 加 인중(人中), 후계(后溪), 풍륭(豊隆).
⑤ 파상풍(破傷風) - 加 대추(大椎), 근축(筋縮), 요양관(腰陽關), 인
중(人中), 후계(后溪), 신맥(申脈).
⑥ 설완불어(舌緩不語) - 加 관충(關冲).
⑦ 대뇌발육부전(大腦發育不全) - 加 대추(大椎), 예명(翳明), 내관
(內關), 족삼리(足三里), 척삼혈(脊三穴).
⑧ 각궁반장(角弓反張) - 加 풍부(風府).
⑨ 뇌좌상(腦挫傷) 후유증성(后遺症性) 치매(痴呆).
加 흥분(興奮), 인중(人中), 족삼리(足三里).
操作 : 침첨(針尖)을 아래턱 방향으로 서서히 0.5~1寸 자입(刺入), 대폭 제
삽염전(提揷捻轉)을 금한다. 연수(延髓)의 자상(刺傷)으로 인한 생명
의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심자(深刺)를 금한다.
고서(古書)에 금구혈(禁灸穴)이라 했다.
아시혈 (阿是穴) : 천응혈(天應穴) 참조
아통점1 (牙痛点1) : 이침(耳針)
定位 : 이수(耳垂)에 1區의 외하방 이다.
主治 : 치통(齒痛), 아주염(牙周炎 치아주위염), 이를 뽑을 때 마취혈.
아통점2 (牙痛点2) : 이혈(耳穴)
定位 : 이수(耳垂)에 1區의 중점(中點)이다.
主治 : 치통(齒痛), 아주염(牙周炎), 이를 뽑을 때 마취혈(痲醉穴)
아통점 (牙痛点)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손바닥 제 3,4 장골(長骨)사이 장지횡문(長指橫紋)뒤 약 1寸.
主治 : 치통(齒痛).
안 (眼) : 이혈(耳穴)
定位 : 이수(耳垂)의 중간(中間) 5區의 중점(中點)에 있다.
主治 : 녹내장(綠內障), 가성근시(假性近視), 맥립종(麥粒腫), 산립종(散粒腫), 급
성결막염(急性結膜炎), 전광염(電光炎).
안면 (安眠) : 기혈(寄穴) - 두경부(頭頸部)
定位 : 흉쇄유돌기(胸鎖乳突肌), 정지부(停止部) 유돌(乳突)아래 오목한 함
요부(陷凹部) 앞 0.5寸.
主治 : 실면(失眠), 현운(眩暈), 편두통(偏頭痛), 심계(心悸), 정신병(精神
病), 히스테리.
臨床 ① 불면(不眠) - 加 내관(內關), 삼음교(三陰交).
② 정신분렬증(精神分裂症) - 加 인중(人中), 대추(大椎), 도도(陶道).
③ 현훈(眩暈) - 加 곡지(曲池), 풍륭(豊隆).
操作 : 0.5~1寸 직자(直刺).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