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1-08-24 11:32
[침구사전(針灸辭典)] 족태양방광경 별락 (足太陽膀胱經 別絡) - 주치규룰 (主治規律)
|
|
글쓴이 :
admin
조회 : 9,602
|
족태양방광경 별락 (足太陽膀胱經 別絡)
飛揚(비양) : 外踝(외과) 위 7寸에서 갈라져 足少陰經脈(족소음경맥)으로
간다.
病候(병후) - 實證(실증) : 淸涕(청체), 鼻塞(비색), 頭痛(두통),背痛(배통).
虛證(허증) : 衄血(뉵혈), 流涕(유체).
족태음비경 (足太陰脾經)(SP)
穴名 : 隱白 → 大包 21個穴 :
隱白(은백)SP1, 大都(대도)SP2, 太白(태백)SP3, 公孫(공손)SP4, 商丘(상구)SP5,
三陰交(삼음교)SP6, 漏谷(루곡)SP7, 地機(지기)SP8, 陰陵泉(음능천)SP9, 血海(혈
해)SP10, 箕門(기문)SP11, 冲門(충문)SP12, 府舍(부사)SP13, 腹結(복결)SP14, 大
橫(대횡)SP15, 腹哀(복애)SP16, 食竇(식두)SP17, 天溪(천계)SP18, 胸鄕(흉향)SP
19, 周榮(주영)SP20, 大包(대포)SP21.
循行 : 胸部(흉부) 第三側線(제삼측선)과 下肢內側(하지내측)의 前緣(전연)에 분포되였
다. ① 大趾(대지) 끝 隱白(은백)에서 시작되어 大趾(대지) 내측 赤白肉際(적백육
제)를 따라 第一蹠骨頭(제일척골두)에 大都穴(대도혈)을 경과한 후 ② 위로 향하
여 太白(태백), 公孫(공손)을 지나 내측 복사뼈 앞 商丘穴(상구혈)을 지나서 ③
小腿(소퇴) 내측에 올라간 후 三陰交(삼음교), 漏谷(루곡)을 거쳐 脛骨(경골) 뒤
를 따라 足厥陰肝經(족궐음간경)앞에 交出(교출)되어 地機(지기), 陰陵泉(음능천
)을 지나 ④ 膝股(슬고) 내측앞에 올라와서 血海(혈해), 箕門(기문)을 지난다. ⑤
腹部(복부)에 진입되고 冲門(충문), 府舍(부사), 腹結(복결), 大橫(대횡)을 거치는
사이에 任脈(임맥)의 中極(중극)과 關 元(관원)에 會(회)하며, ⑥ 脾(비)에 屬(속)
하고, 胃(위)에 絡(락)하며 ⑦ 橫膈膜(횡격막)을 통과하여 食道(식도) 옆을 끼고
食竇(식두), 天溪(천계), 胸鄕(흉향), 周榮(주영) 大包(대포)에 絡(락)하고 手太陰
肺經(수태음폐경)의 中府穴(중부혈)에 會(회) 하며 ⑧ 舌根(설근)에 연계되어 혀
아래에 퍼진다.
그 支脈(지맥)은 ⑨ 胃(위)에서 분출되어 橫膈(횡격)을 지나서 心(심)에 도달하여
手少陰心經(수소음심경)에 接(접)한다.
病候 : 본경에 병리변화가 발생되면 舌根(설근)이 영활하지 못하고, 食后(식후)에 곧 토
하고 胃(위)가 아프며 脹滿(창만)하며 트림을 잘하고 전신이 무겁고 힘이 없다.
본경 수혈은 脾(비) 방면에 유관되는 병증을 주치하는데 舌根痛(설근통), 身体(
신체) 運動不利(운동불리), 飮食不思(음식불사) 등의 증상이다. 心胸煩悶(심흉번
민), 명치아래 급통, 대변이 무른(便溏) 증상, 泄瀉(설사), 小便不通(소변불통), 黃
疸(황달), 不眠(불면), 大腿(대퇴)와 小腿(소퇴) 내측이 붓고 冷(냉)하며, 엄지발
가락을 움직이지 못하는 증상이다.
족태음비경 별락 (足太陰脾經 別絡)
公孫(공손) : 長趾(장지) 제 1 지척관절 위 1寸에서 갈라져 足陽明經(족양명
경)에 가며 그 支脈(지맥)은 배속에 들어가 胃(위)와 腸(장)이
서로 연계된다.
病候(병후) : 氣厥逆(기궐역) 吐瀉(토사).
實證(실증) : 腹部(복부)에 激烈(격열)한 痛症(통증),
虛證(허증) : 腹部脹滿(복부창만)
족통곡 (足通谷) :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BL-66 오수혈(五輸穴)의 형혈(滎穴)(水)
定位 : 제5 척골관절(跖骨關節)앞 아래쪽에 오목한 함요부(陷凹部) 적백육
제(赤白肉際).
主治 : 두통(頭痛), 항강증(項强症), 목현(目眩), 천식(喘息), 뉵혈(衄血), 자
궁출혈(子宮出血), 선경(善驚), 전간(癲癎), 정신병질환(精神病疾患),
위염(胃炎).
臨床 : ① 목통(目痛) - 加 천주(天柱), 대저(大杼).
② 두통(頭痛) - 加 합곡(合谷), 솔곡(率谷).
操作 : 0.2~0.3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족하수점 (足下垂点) ⇒ 뇌청 (腦淸)
좌골 (坐骨) : 신혈(新穴) - 하지부(下肢部)
定位 : 대전자(大轉子)와 미골첨단(尾骨尖端)을 이은 선의 중점에서 아래로 1寸
되는 곳
主治 :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하지탄탄(下肢癱瘓, 運動麻痹).
臨床 : ①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 加 은문(殷門), 양능천(陽陵泉).
操作 : 직자(直刺) 2~3寸 자입(刺入)
좌골신경 (坐骨神經) : 이혈(耳穴)
定位 : 대이륜상각(對耳輪上脚)의 中 1/3 에 있다.
主治 :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좌골신경점 (坐骨神經点) : 수침혈(手針穴)
定位 : 수배(手背) 제 4 장지관절(長指關節) 척측(尺側)
主治 :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관관절통(髖關節痛), 둔부통(臀部痛).
주 (肘) : 이혈(耳穴)
定位 : 주상와(舟狀窩) - 6등분 중에서 제 3등분
主治 : 팔굽관절통 및 활동장애, 태니스암, 내외상과첨통(內外上踝尖痛)
주관 (走罐) : 우선 피부표면에 와세린을 바르고 부항단지를 붙인 후 피부표면에 올려 밀고 내
리 당기며 붕항 단지를 이동하는 것이다. 근육이 풍부하고 면적이 넓은 등어리
척추(脊椎), 대퇴(大腿) 등에 사용한다.
주료 (肘髎) :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LI-12 定位 : 팔굽을 굽히고 곡지혈(曲池穴) 외상방(外上方) 1寸, 굉골전연(肱骨前緣)
에서 취한다.
主治 : 팔 팔굽통증(肘臂痛)과 경련감(痙攣感), 마목(痲木), 기와(嗜臥),상완골(上
腕骨) 외측상과(外側上顆) 염증(炎症).
臨床 : ① 상지불수(上肢不遂) 동통(疼痛).
加 곡지(曲池), 외관(外關), 족삼리(足三里).
② 견관절주위염(肩關節周圍炎) - 加 양로(養老).
③ 상완골외측(上腕骨外側) 상과염(上顆炎).
加 곡지(曲池), 수삼리(手三里).
操作 : 0.5~1寸 직자(直刺), 가구(可灸).
주영 (周榮) :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SP-20 定位 : 제 2 늑간극(肋間隙), 전정중선(前正中線) 좌우 6寸.
主治 : 흉협팽창감(胸脇膨脹感), 흉막염(胸膜炎), 늑간신경통(肋間神經痛), 해수
기천(咳嗽氣喘), 폐농양(肺膿瘍), 기관지확장증(氣管支擴張症), 식욕부진
(食欲不振).
臨床 : ① 천식(喘息) - 加 천돌(天突), 척택(尺澤), 전중(膻中).
② 식욕부진(食欲不振) 다음수(多飮水) - 加 대장수(大腸兪).
操作 : 0.3~0.5寸 사자(斜刺) 혹 외측(外側)으로 평자(平刺), 가구(可灸)
요주의(要注意) 폐장(肺臟) 손상(損傷).
주첨 (肘尖) : 기혈(寄穴)EX - 상지부(上肢部)UE
EX-UE1 定位 : 팔굽 굽힌후 尺骨鷹嘴(응취)의 첨단(尖端).
主治 : 연주창(連珠瘡, 瘰癧 - 頸部 림프절결절) 각종 종기(腫氣), 옹정악양(癰疔
惡瘍), 충수염(虫垂炎).
임파암(淋巴癌), 피부암(皮膚癌)의 주요혈위(主要穴位).
操作 : 7~15장 뜸(灸) - 장옹시(腸癰時) 뜸을 뜨면 고름이 항문(肛門)으로 나온
다. - 灸 100壯
주치규룰 (主治規律) : 십사경(十四經) 수혈(腧穴)의 분경주치(分經主治)는 본경(本經)의 병증
(病證)도 치료하고 이경(二經) 혹은 삼경(三經)의 서로 같은 병증(病症)
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主治規律的 腧穴主治의 異同分經
1) 수삼음경(手三陰經) 수혈(腧穴)
經名 本經病 二經病 三經病
手太陰經 肺 咽喉病
手厥陰經 心 胃病 神志病 胸部病
手少陰經 心病
2) 手三陽經 腧穴
經名 本經病 二經病 三經病
手陽明經 前頭 鼻 口 齒
眼病
手少陽經 側頭 脇部病 咽喉病
耳病 熱病
手太陽經 后頭 肩 神志病
3) 足三陽經 腧穴
經名 本經病 二經病 三經病
足陽明經 前頭 口 齒 咽喉 胃腸病
神志病
足少陽經 前頭 耳 脇部病 熱病
眼病
足太陽經 后頭 背 腰 臟腑病
4) 足三陰經 腧穴
穴名 本經病 三經病
足太陰經 脾 胃病
足厥陰經 肝病 疾病
婦科病
足少陰經 腎 肺 咽喉病
5) 任脈 督脈 腧穴
穴名 本經病 二經病
任脈 回陽 固脫 强壯 神志病
臟腑病
督脈 中風 昏迷 熱病 頭面部病 婦科病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