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10-11 19:31
[침구임상(針灸臨床)] 관흉 (寬胸) - 구취 (口臭)
|
|
글쓴이 :
admin
 조회 : 14,265
|
관흉 (寬胸)
1. 主治穴(주치혈)
1) 관흉격(寬胸膈) : 督脈 - 至陽(지양).
2) 관흉이격(寬胸利膈) : 任脈 - 膻中(전중,足太陰,足少陰,手太陽,手少陽과 交會).
광상신경통 (眶上神經痛)
1. 參照文(참조문)
1) 목통 (目痛)
2. 主治穴(주치혈)
1) 頭頸部奇穴 : 魚腰(어요).
광언광주 (狂言狂走)
1. 참조문(參照文)
1) 정신병(精神病)
2. 참조혈(參照穴)
1) 手陽明大腸經 : 下廉(하렴).
괴저 (壞疽 Raynaud`s disease)
1. 參考文獻
1) 탈저(脫疽) 참조
2) 혈전폐색성맥관염(血栓閉塞性脈管炎) 참조
2. 現代針灸學 成樂箕
일명 대칭성 괴저(壞疽)라 지칭하며, 신체의 말초부 특히 손가락과 발가락에 혈관경련에 의
하여 발작적으로 국소성 빈혈이 일어나서 끝내는 국소성 괴저(壞疽 gangrene)를 일으키는
것으로 주로 청년기에 많으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확률이 높다.
본병은 신경질이 많은 사람에게 일어나기 쉽고, 유전성이 인정되고 있는 질환으로, 경악(驚
愕), 불안(不安), 근심 등의 정신적 영향에 의하여 증상을 악화한다.
證狀은 발작적으로 일어나서 지각신경의 자극증상이 있으며 상지의 경우는 전완에서 손가
락에 걸쳐 저리고 감각 이상이 된다. 손가락의 말초부가 납(Wax) 처럼 창백하고 얼
음처럼 차가와져서 지각이 소실하고 심한 동통이 나타난다. 침으로 조갑(爪甲) 근처를 자침
(刺針)한다 하여도 쉽게 출혈이 안 되고 설사 출혈이 된다 하여도 물모양의 맑은 색의 혈액
이 나올 뿐이다. 이 같은 병변이 진행하면 지단 zyanose를 일으켜서 암회색으로 변하면서
손등에는 반점상의 충혈부가 나타나고 끝내는 괴사(壞死 necrosis)가 일어난다.
necresis는 손가락 끝 손바닥 쪽에 나타나며 곧 건조하고 위축하여 ( 생)으로 변하면서 분계
선이 생기며 탈락한다. 이것이 반복하면 말초지부가 소실된다.
治療 : 본병은 혈관신경의 조절이상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에 치료방침도 정신-신체의학적
인 료법(療法)과 자율신경 조절료법을 제일 목표로 설정하여 여기에 맞추어 주치경
과 주치혈을 선정한다.
정신-신체의학적인 료법 으로서는 neurosis 치법에 준하고, 국소료법은 표저(panar-
itium)에 준한다.
굉골상과마목 (肱骨上髁麻木) : 肘關節(주관절)의 麻木(마목) - 上腕(상완).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肘髎(주료).
굉골상과염 (肱骨上髁炎) : 팔꿈치 염증, 망구주염(网球肘炎), 태니스 Arm. - 上腕(상완).
1. 參照文(참조문)
1) 肘關節痛(주관절통)
2. 主治穴(주치혈)
1) 팔꿈치통증 : 手太陰肺經 : 太淵(태연), 尺澤(척택).
手陽明大腸經 : 偏歷(편력), 下廉(하렴), 曲池(곡지), 肘髎(주료),
2) 팔꿈치쫄림 : 手太陰肺經 - 魚際(어제). 肘髎(주료).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臂痛 肱骨上髁痛 : 下廉(하렴), 曲池(곡지).
2) 近部選穴 : 曲池(곡지), 天井(천정).- 팔굽통증
4. 中醫針灸學
1) 網球肘(망구주) : Tennisarm
⑴ 內側 : 굉요관절 활낭(肱橈關節滑囊處)의 무균성염증(无菌性炎症)
症狀 : 풍한의 사기가 모여들어 경락, 근맥의 조화를 불리하게 하다.
(風寒之邪積聚 經筋脈絡不和)
原則 : 국부 穴(혈)을 위주로 해서 락맥을 통하게 하고 근육을 풀다(舒筋通絡).
取穴 : 壓痛点(압통점), 曲池(곡지), 肘髎(주료), 手三里(수삼리), 合谷穴(합곡
혈)등을 加 하고, 溫針(온침) 혹은 電針(전침) 혹은 推拿(추나)를 배합하
여 치료한다.
⑵ 外側 : 팔뚝 안쪽 위 종지뼈의 염증(肱骨內上髁炎)
아래팔 팔뚝 안쪽 위 종지뼈에 살과 힘줄이 붙어있는 부착점에 겹쳐진곳
에 손상으로 인한 만성 무균성염증
症狀 : 팔 관절에 풍한의 사기가 모이고 쌓여 근맥의 조화를 불리하게 하다.
(風寒積聚肘節筋脈不和).
原則 : 국부의 穴(혈)을 위주로 血(혈)을 소생시켜 힘줄을 펴게 하다(舒筋活血).
取穴 : 壓痛点(압통점), 小海(소해), 少海(소해), 天井穴(천정혈) 등을 加 하고
溫針(온침), 電針(전침) 및 推拿(추나)를 배합한다.
2) 팔꿈치의 경련(肘尖痙攣)으로 팔을 굽히고 펴기가 어려운(屈伸不利) 때
취혈 : 曲池穴(곡지혈).
5. 針灸大成解釋
1) 양쪽 팔꿈치(兩側肘尖)의 근육과 골의 경련(筋肉與骨 痙攣), 떨어져 나가는 뜻한
통증(墜痛), 운동불리(運動不利).
處方 : 瀉 曲池(곡지), 尺澤穴(척택혈) - 玉龍歌
2) 팔꿈치 동통(疼痛) : 曲池(곡지), 經渠(경거), 合谷(합곡). - 雜病十一穴歌
6. 이침(耳針)
耳穴 : 肘(주).
굉골상과추통 (肱骨上髁抽痛) : 肘尖(주첨) 부위가 땡기며 아픈 증상 - 상완(上脘)
1. 參照文(참조문)
1) 肘關節痛(주관절통)
2. 參考穴(참고혈)
1) 手陽明大腸經 : 手五里(수오리).
교감신경 (交感神經) ⇒ 신경 (神經)
교근경련 (咬筋痙攣)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頰車(협거), 하관(下關),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頰車(협거), 翳風(예풍).
교상 (咬傷)
1. 參照文(참조문)
1) 독사교상(毒蛇咬傷) 참조
2. 針灸經驗方 許任
1) 전갈(全蝎) 뱀(蛇) 개(犬) 지네(蜈蚣9에 물려서 심하게 아픈 것
處方 : 각각 그 손상된 경락(經絡)을 따라 침을 놓되 사법(瀉法)을 쓴다. 숨을 쉬지 못하
는 때에는 독기(毒氣)를 경맥을 따라 곧바로 빠져나가게 해야 한다.
2) 견교(犬咬) : 개에 물린 상처
處方 : 첫날에는 뜸을 7장 뜨고 다음날부터 1장씩 늘려서 날마다 뜸을 든다.
3) 미친개에 물린 상처 “狂犬咬”
處方 : 첫날에는 뜸을 7장 뜨고 다음날부터 1장씩 늘려서 날마다 뜸을 떠주는데 100장까
지 늘린다.
4) 뱀(蛇)에 물린 상처 “蛇咬”
處方 : 물린 곳이 왼쪽이면 오른쪽에 침을 놓는데 물린 데와 똑같은 위치에 침을 찔러서
피를 뺀다. 또 정수리(正首里)의 가마 한가운데에 침을 놓으면 妙(묘)한 효험이 있
다. 또 그 증세의 경중(輕重)을 따지지 말고 곧 물리지 않은 쪽의 내태충혈(內太冲
穴)과 음능천(陰陵泉)에 침을 놓으면 아주 좋다.
교원성질병 (膠源性疾病)
병적으로 간세포에 콜라겐 장애가 오면서 생기는 특이한 질병이다. 이런 병들로는 紅
斑性狼瘡(홍반성낭창), 경피증, 결절성동맥주위염 등이 있다.
1. 이침(耳針)
耳穴 : 下屛尖.
구갈 (口渴) ⇒ 소갈 (消渴)
구각경련 (口角痙攣)
1. 參照文(참조문)
1) 구순경련 (口脣痙攣)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陽交,任脈,足陽明의 會).
足少陽膽經 : 上關(상관,手足少陽,陽明의 會).
구강궤양 (口腔潰瘍)
1. 參照文(참조문)
1) 심화상염 (心火上炎)
2) 위병 (胃病)중 위화치성(胃火熾盛)
3) 소장병 (小腸病)중 소장실열(小腸實熱)
2. 主治穴(주치혈)
1) 頭頸部奇穴 : 牽正(견정).
2) 大陵(대능), 湧泉(용천), 通里(통리), 神門(신문), 大腸兪(대장수), 中極(중극).
3. 臨床應用(임상응용)
處方 ① 地倉(지창), 曲池(곡지), 足三里(족삼리).
② 廉泉(렴천), 通里(통리), 合谷(합곡).
③ 地倉(지창), 太冲(태충), 太谿(태계).
구강마비 (口腔麻痹)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입천장 마비 : 天鼎(천정), 合谷(합곡), 太溪(태계), 廉泉(렴천).
구강근위축 (口腔部筋萎縮)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井).
구강점막궤양 (口腔粘膜潰瘍) ⇒ 심화상염 (心火上炎)
구강염 (口腔炎)
1. 參照文(참조문)
1) 急性 : (1) 胃經病中 胃熱隨經上逆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溫溜(온유, 郄).
手少陽三焦經 : 角孫(각손,手太陽,陽明,手足少陽의 會)
3. 臨床應用(임상응용)
處方 ① : 勞宮(노궁).
② : 地倉(지창), 合谷(합곡).
③ : 金津(금진), 玉液(옥액)(放血), 合谷(합곡).
구건설조 (口乾舌燥)
1. 主治穴(주치혈)
1) 舌乾(설건) : 手太陰肺經 - 尺澤(척택).
足少陰腎經 - 湧泉(용천).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厥陰心包經 : 曲澤(곡택), 章門(장문).
3. 針灸大成解釋
1) 口乾舌燥 : 復溜穴(복류혈) - 百症賦
구고 (口苦)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膽輸(담수, 口渴).
足少陽膽經 : 頭竅陰(두규음).
구괘 (口喎) ⇒ 口臥(구와)
구금 (口噤) : 口噤不開(구금불개)
1. 參照文(참조문)
1) 아관긴폐 (牙關緊閉)
2.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陰肺經 : 列缺(열결).
手陽明大腸經 : 禾髎(화료).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足少陽膽經 : 上關(상관), 曲鬢(곡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口噤
足陽明胃經 ① 頰車(협거), 承漿(승장), 合谷(합곡).
② 地倉(지창), 頰車(협거).
③ 頰車(협거), 承漿(승장), 合谷(합곡).
4. 針灸經驗方
1) 구금(口噤) : 입을 벌리지 못하는 것
處方 : 연곡혈(然谷穴)
5. 舍岩五行鍼解說
1) 口噤痰塞 : 입을 악물므로 痰이 막혀 목에서 톱질소리가 나는 症狀
處方 : 脾虛證(비허증) : 少府(소부) - 瀉, 經渠(경거) - 補.
6.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中風으로 입을 악물고 열지 못할 때와 언어가 부자유스러울 때
處方 : 선자 申脈(신맥), 후자 地倉透頰車(지창투협거), 人中(인중), 合谷穴(합
곡혈)을 치료한다.
② 上齒痛(상치통)과 입이 열지 않을 때
處方 : 선자 外關穴(외관혈), 후자 太淵(태연), 頰車(협거), 合谷(합곡), 太溪穴
(태계혈)에 침자한다.
구급 (救急)
1. 主治穴(주치혈)
1) 蘇生(소생) -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井).
2) 急性疾患 - 寄穴 上肢部 : 十宣(십선).
구내염 (口內炎)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陽明大腸經 : 商陽(상양,井).
足陽明胃經 : 頰車(협거).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原), 陽谷(양곡,經).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滎).
督脈 : 兌端(태단).
頭頸部奇穴 : 上廉泉(상렴천).
2) 潰瘍性
任脈 : 承漿(승장,手足陽明,督脈의 交會).
頭頸部奇穴 : 牽正(견정).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潰瘍性
頭頸部奇穴 : 牽正(견정), 承漿(승장), 齦交(은교), 地倉(지창), 合谷(합곡).
구두염 (龜頭炎)
1. 이침(耳針)
外生殖器(외생식기).
구루병 (痀僂病) : 곱추병
1. 주치혈(主治穴) 및 배합혈(配合穴)
1) 足太陽膀胱經 : 곤륜(崑崙,經).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任脈 : 關元(관원), 大椎(대추), 足三里(족삼리).
督脈 : 身柱(신주), 關元(관원), 足三里(灸)(족삼리).
구면 (口面)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遠道選穴 : 合谷(합곡)에서 걷우고(收(수)
구병 (口病)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上下配穴法 : 上病下取 - 內庭(내정), 太溪(태계), 太冲(태충).
2. 舍巖道人鍼灸要訣(사암도인침구요결)
1) 口中生瘡(구중생창) : 입속이 헌 症狀
處方 : 液門(액문), 中渚(중저) 補, 承漿(승장), 勞宮(노궁) 瀉.
2) 脣吻不收(순문불수) : 입술을 잘 다물지 못하는 症狀
處方 : 頰車(협거), 三里(삼리) 補.
3) 重舌(중설) : 혀 밑창에 덧 혓바닥이 생기는 症狀
處方 : 陰谷(음곡), 曲泉(곡천), 補, 間使(간사) 瀉.
※ 臍下(제하)의 石門穴(석문혈), 關元穴(관원혈)에 통증이 있는 사람은 舌病
(설병)을 자주 앓게 되는데 이때는 心正方(심정방)이나 腎勝方(신승방)이
대단히 有效하다.
4) 下脣病(하순병) : 아래 입술의 모든 질병(下脣諸病)
處方 : 章門(장문) 補, 太白(태백) 瀉, 少府(소부) 瀉.
5) 上脣病(상순병) : 윗입술의 모든 질병(上脣諸病)
處方 : 中脘(중완), 三里(삼리) 補, 解谿(해계) 上廉(상렴) 瀉.
6) 舌裂(설열) : 혀가 갈라지는 症狀
處方 : 液門(액문) 補, 中渚(중저) 瀉.
7) 락함 (落頷) : 턱이 탈구(脫臼)된 症狀 - 元神不足(원신부족) 혹 웃음 등으로 접속이 되
지 않아서 별안간 아래턱이 떨어지는 症狀
處方 : 腎肺虛損(신폐허손) - 下關(하관), 合谷(합곡), 三里(삼리)등 左右穴(좌우
혈) 補.
病源(병원) 및 證治(증치)
杏坡按 - 口(구)는 言(언), 食(식)을 司(사)한 竅(규)로서 面部(면부) 下方(하방)에 在(재)
한 것인데 口竅邊(구규변)을 脣(순, 唇)이라 하며 脣內(순내)에는 齒(치)가 있고
齒內(치내)에는 舌(설)이 있어서 食物(식물)이 모두 여기를 거쳐서內(내)에 入(입)함으로
써 신체를 영양하고 言語(언어)가 모두 여기를 거쳐서 外(외)로 出(출)하여 意見(의견)을
발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모두 적당한 것으로써 爲主(위주)할 것이니 그렇치 않으면
害(해)가 있어서 이른바「病從口入(병종구입), 禍從口出(화종구출)」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口(구)는 脾(비)의 竅(규)로서 諸經(제경)이 多分(다분) 여기에 모이였다. 大槪(대
개) 五味(오미)가 입에 들어가 胃(위)에 藏(장)하면 脾(비)가 爲(위)하여 津液(진액)을 運
化(운화)시켜서 五臟(오장)의 氣(기)를 養(양)하게 되므로 脾(비)가 和(화)하면 能(능)히
五味(오미)를 알겠으나 만일 不和(불화)하면 모든 병이 生起(생기)게 되는데 大槪(대개)
는 七情(칠정)에 繁擾(번요)와 五味(오미)의 過傷(과상)으로 말미암아 되는 것이다.
其證(기증)이 瘡(창),鼻(비의 不同(부동)이 있고 그 治法(치법)이 淸熱(청열)의 俱宜(구의
)가 있으나 또한 虛, 實, 瘡(허,실,창)의 三種(삼종)이 있다.
舍岩(사암)은 「口者中央黃色(구자중앙황색), 也入通於脾(야입통어비), 開竅於心(개규어
심), 是以(시이), 脾傷爲重舌(비상위중설), 七情繁擾胃敗(칠정번요위패),
爲糜爛(위미란) 五味過傷(오미과상), 脾熱口甘(비열구감), 肺熱口辛(폐열구신), 腎熱口醎
(신열구함), 淡知胃熱(담지위열), 上脣屬胃(상순속위), 下脣屬膓(하순속장)」이라하였다.
舍岩經驗例(사암경험예)
1) 한 男子(남자)가 口中生瘡(구중생창)하여 심히 고통 하거늘 腋門(액문) 中渚(중저) 補(
보), 承漿(승장) 勞宮(노궁) 瀉(사)하기 數次(수차)에 불효하므로 胃熱治法(위열치법)
을 썼더니 有効(유효)하더라.
2) 한 男子(남자)가 年五十(연오십)에 口中(구중)이 糜爛(미란)하여 飮食(음식)이 無味(무
미)하고 짜고 매운 것을 가까이 못한지가 이미 五六日(오육일)이었는데 此人(차인)은
몸 반쪽이 痲木(마목)한지가 벌서 30년이라 腋門(액문) 中渚(중저) 補(보), 承漿(승장)
勞宮(노궁) 瀉(사) 하였더니 一次(일차)에 舊病(구병, 久病)은 卽除(즉제)하였으나 左
邊麻木(좌변마목)은 낫지 않고 無名指(무명지)는 더욱 심한지라 痛風(통풍)이라 한다
면 三焦(삼초)는 根本(근본)적으로 痲木(마목)이 없거늘 三十餘年(삼십여년)을 痲木(
마목)했으니 이같은 痛風證(통풍증)이어찌 大風(대풍)인줄 알지 못하였는가 이것은
「氣不足而血不能配也(기불족이혈불능배야)」이므로 臨泣(임읍) 中渚(중저) 補(보),
腋門(액문) 俠谿(협계) 瀉(사)하여 낫도록 하였다.
3) 한 婦人(부인)이 年近八十(연근팔십)에 좌측이 깍아 낸 것 같이 콩 한 알 깊이로 살이
패인지가 이미 七八朔(칠팔삭)이라 右便(우편) 腋門(액문) 補(보), 中渚(중저) 瀉(사)하
였더니 數次(수차)에 病(병)이 낫더라.
3. 針灸經驗方 許任
입(口)는 脾臟(비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코(鼻)는 肺臟(폐장)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윗니, 윗잇몸 및 윗입술은 胃腸(위장)에 속하고 아랫니 아랫잇몸 아랫입술은 大腸(대장)에
속한다. 督脈(독맥)과 任脈(임맥)은 몸의 앞 뒤 正中線(정중선)을 따라 순환하며 이곳을 主
管(주관)한다. 각각 그 經脈(경맥)의 穴(혈)을 잡아 치료하면 효과를 보지 않을 수 없다.
胃熱(위열)이 있으면 입내(halitosis)가 나고, 肺熱(폐열)이 있으면 목구멍이 얼얼하고, 脾熱
(비열)이 있으면 입에서 단내가 나고, 膽熱(담열)이 있으면 입에서 쓴맛을 느끼며 신물을 토
한다, 心熱(심열)이 있어도 입에 쓴맛을 느낀다. 肝熱(간열)이 있으면 입에 시큼한 냄새가 나
며, 腎熱(신열)이 있으면 입에서 짠맛을 느끼며, 胃熱(위열)이 있으면 입에서 싱거운 맛을 느
끼면서 음식 맛을 모른다.
1) 口腔潰瘍(구강궤양, aphtha)
處方 : 承漿(승장), 勞宮穴(노궁혈)
2) 唇腫(입술이 붓는 것)
處方 : 內關(내관), 神門(신문), 合谷(합곡), 足三里(족삼리), 內庭(내정), 三陰交穴(삼음
교혈).
3) 입이 갖풀(gelatin)처럼 들러붙는 症狀-(口中如膠)
處方 : 太溪穴(태계혈)
4) 입에서 피가 나오는 症狀
處方 : 上星穴(상성혈), 灸 50 壯 뜨고, 風府穴(풍부혈) 침자 3分 깊이로 놓는다.
5) 입과 코(鼻)에서 피가 나는 症狀
處方 : 上星穴(상성혈) 灸를 뜬다.
6) 입술(唇)을 놀리지 못하는 症狀
處方 : 合谷(합곡), 足三里穴(족삼리혈)
7) 口苦症 - 입에서 쓴맛을 느끼는 症狀
處方 : 足三里(족삼리), 絶骨(절골), 然谷(연곡), 神門穴(신문혈).
8) 二裂舌(double tongue), 균열설(龜裂舌 fissured tongue),뻣뻣한 혀(stiff tongue)
處方 : 혀는 심장과 通해 있다. 神門(신문), 隱白(은백), 三陰交穴(삼음교혈).
9) 牙關緊急(아관긴급, lockjaw)
處方 : 上關(상관), 頰車(협거), 阿是穴(아시혈).
구병체약 (久病体弱)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 膏肓(고황), 關元(灸)(관원), 足三里(灸)(족삼리).
구설생창 (口舌生瘡)
1. 主治穴(주치혈)
1) 任脈 : 承漿(승장).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口舌腫瘡 : 溫溜(온유), 通里(통리).
3. 針灸大成
1) 三焦(삼초)에 熱(열)이 많고, 舌上(설상)에 상처가 있다. - 西江月 任脈
處方 : 선자 - 列缺穴(열결혈),
후자 - 關冲(관충), 外關(외관), 人中(인중), 迎香(영향), 金津(금진), 玉液(옥
액), 地倉穴(지창혈)에 침자한다.
2) 입안에 상처가 있고 더러운 냄새를 가까이 할 수 없을 때 - 西江月 任脈
處方 : 선자 - 列缺穴(열결혈).
후자 - 十宣(십선), 咽中(인중), 金津(금진), 玉液(옥액), 承漿(승장), 合谷(합
곡).
3) 입안에서 냄새가 나 사람이 가까이 접근을 꺼리는 때 - 西江月 任脈
處方 : 선자 - 列缺穴(열결혈),
후자 - 少府(소부), 通里(통리), 人中(인중), 十宣(십선), 金津(금진), 玉液(옥
액).
구설종통 (口舌腫痛)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溫溜(온유).
구순건조 (口脣乾燥)
1. 主治穴(주치혈)
1) 三間(삼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口唇乾 : 合谷(합곡), 水泃(수구).
구순경련 (口脣痙攣)
1. 參照文
1) 구각경련 (口角痙攣)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少陽三焦經 : 角孫(각손,手太陽,陽明,手足少陽의 會), 耳門(이문).
督脈 : 人中(水泃,手足陽明, 督脈의 會).
구순종대 (口脣腫大)
1. 主治穴(주치혈)
1) 手太陽小腸經 : 顴髎(권료).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膺窗(응창), 乳根(유근), 神闕(신궐), 冲門(충문).
구순포진 (口唇泡疹)
1. 主治穴(주치혈)
1) 任脈 : 承漿(승장), 地倉(지창), 廬兌(려태).
구안괘사 (口眼喎斜)
1. 참조문(參照文)
1) 중풍 (中風)
2) 면신경마비 (面神經麻痹)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左右配穴法 ① 右病(우병) 取穴左側(취혈좌측) - 合谷(합곡)
② 左病(좌병) 取穴右側(취혈우측) - 合谷(합곡)
2) 足少陽膽經 ① 聽會(청회), 頰車(협거), 地倉(지창).
3. 針灸大成
1) 治法 : 좌측 괘사는 우측, 우측 괘사는 좌측을 치료한다.
① 口眼臥斜(구안와사) : 頰車(협거), 地倉穴(지창혈) - 百症賦
② 口眼喎斜(구안괘사) : 地倉橫刺頰車(지창횡자협거), 頰車橫刺地倉(협거횡
자지창).
2) 西江月 ① 中風(중풍)으로 눈과 입이 삐뚤어진 것이 낫지 않을 때
處方 : 선자 申脈(신맥), 후자 人中(인중), 合谷(합곡), 太淵(태연), 十宣
(십선), 瞳子髎(동자료), 頰車穴(협거혈)(頰車穴에서 一 分을 찌르
고, 地倉까지 透刺한다. 右側으로 삐뚤어 졌으면 左를 瀉하고, 左로
삐뚤어졌으면 右側에 27 壯을 灸한다.)
4. 舍岩五行鍼解說
1) 口眼喎斜(구안괘사) : 肝虛(간허) - 然谷(연곡) 瀉, 少海(소해) - 補.
2) 偏風口喎(편풍구괘) : 肝實(간실) - 腕骨(완골) 瀉, 前谷(전곡) 迎.
5. 이침(耳針)
1) 구강질환(口腔疾患) - 구강궤양(口腔潰瘍) 등 : 口(구).
구안근육경련 (口眼筋肉痙攣)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地倉(지창,手足少陽,陰交의 會).
督脈 : 水泃(수구).
구역 (嘔逆)
1. 參照文(참조문)
1) 구토 (嘔吐)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少陰腎經 : 幽門(유문).
手厥陰心包經 : 內關(내관).
足厥陰肝經 : 期門(기문).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乾嘔(心痹乾嘔)
手少陰心經 : 極泉(극천).
구와 (口臥) : 면탄(面癱)
1. 參照文(참조문)
1) 中風(중풍) - 口眼喎斜(구안괘사)
2. 主治穴(주치혈)
1) 齦交 下關 觀髎
2) 手陽明大腸經 : 禾髎(화료).
足陽明胃經 : 地倉(지창), 廬兌(려태).
手少陽三焦經 : 耳和髎(이화료).
足少陽膽經 : 完骨(완골).
督脈 : 兌端(태단, 脣顫), 齦交(은교, 口噤).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① 禾髎(화료), 地倉(지창), 頰車(협거).
② 地倉(지창), 頰車(협거).
手太陽小腸經 : 顴髎(권료), 齦交(은교), 下關(하관).
足太陽膀胱經 : 通天(통천), 承光(승광).- 針灸資生經(침구자생경)
手少陽三焦經 : 耳和髎(이화료), 地倉(지창), 頰車(협거).
督脈 : 兌端(태단, 脣顫), 目窗(목창), 正營(정영), 耳門(이문).
4. 針灸大成解釋 第三十九篇 百症賦
1) 입술이 삐뚤어진 데에는 : 太冲穴(태충혈) 瀉法
2) 口喎(구괘), 鼻淵(비연) : 地倉(지창) 頰車穴(협거혈) - 雜病穴法歌
5. 피부침 (皮膚針) : 침이 5개인 매화침(梅花針) 7개인 칠성침(七星針) 18개인 라한침(羅漢針)
등 세 종류가 있다.
1) 中醫針灸學
處方 : 찬죽(攢竹) 동자료(瞳子髎) 지창(地倉) 협거(頰車)를 중점적으로 두드리고 수양명
경(手陽明經)의 합곡(合谷) 및 민감점(敏感点)을 두드린다.
구종통 (口腫痛)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巨髎(거료).
구창 (口瘡)
1. 參照文(참조문)
1) 아구창(鵝口瘡)
2. 主治穴(주치혈)
1)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
頭頸部奇穴 : 金津(금진) 玉液(옥액).
3.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입안에 부스럼, 腫氣(종기)가 생긴 것을 枯曹風(고조풍)이라 한다.
處方 : 선자 外關穴(외관혈), 후자 兌端(태단), 支溝(지구), 承漿(승장), 十宣穴
(십선혈)을 치료한다.
② 입안에 상처가 있고, 口臭(구취)가 甚(심)하다.
處方 : 선자 列缺穴(열결혈), 후자 十宣(십선), 人中(인중), 金津(금진), 玉液
(옥액), 承漿(승장), 合谷穴(합곡혈)에 침자한다.
구취 (口臭)
1. 主治穴(주치혈)
1) 手厥陰心包經 : 勞宮(노궁).
督脈 : 水泃(수구), 齦交(은교).
頭頸部奇穴 : 牽正(견정).
2. 皮膚病中醫診療學
1) 口臭(구취) : 大陵(대능), 大腸兪(대장수), 中脘(중완), 內庭(내정).
3. 針灸大成
1) 口臭(구취) (過勞引起) : 大陵穴(대능혈) 침자, 人中穴(인중혈) 瀉 - 玉龍歌
2) 西江月 ① 입안에 상처가 있고, 더러운 냄새가 심하게 난다.
處方 : 선자 列缺穴(열결혈), 후자 十宣(십선), 人中(인중), 金津(금진), 玉液
(옥액), 承漿(승장), 合谷穴(합곡혈)에 침자 한다.
② 입안에서 냄새가 심하게 나서 사람의 접근이 힘들다.
處方 : 선자 列缺穴(열결혈), 후자 少冲(소충), 通里(통리), 人中(인중), 十宣
(십선), 金津(금진), 玉液穴(옥액혈)에 침자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