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09-10-26 16:15
[침구임상(針灸臨床)] 기면 (嗜眠) hypnopathia - 뇌연화증 (腦軟化證 Encephalomalacia)
|
|
글쓴이 :
admin
 조회 : 15,672
|
기면 (嗜眠) hypnopathia
1. 參照文(참조문)
1) 기와 (嗜臥)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二間(이간), 三間(삼간), 肘髎(주료), 手五里(수오리).
足太陰脾經 : 公孫(공손).
足厥陰肝經 : 足五里(족오리).
督脈 : 囟會(신회), 百會(백회).
下肢部奇穴 : 腦淸(뇌청).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二間(이간), 三間(삼간).
2) 足陽明胃經 : 廬兌(려태), 大敦(대돈).
3) 足厥陰肝經 : 大敦(대돈), 厲兌(려태).
4) 기면증(嗜眠症 hypnopathia)
處方 : 간유(肝兪)에 뜸 7장, 폐수(肺兪) 이간(二間) 소상(少商) 백회(百會) 신회(顖會)등
혈(穴)을 쓴다. 또 다른 방법은 해계(解溪) 용천(湧泉)을 쓴다.
4. 이침(耳針)
耳穴 : 腦(皮質下).
기미 ⇒ 간반
기병 (氣病)
1. 參照文(참조문)
1) 기허 (氣虛)
2. 針灸大成
1) 各種 氣病 : 氣海穴(기해혈) 針 或 灸 - 勝玉歌
2) 各種 氣病 : 膻中穴(전중혈) 針刺 - 行針指要歌
기수 (嗜睡) ⇒ 기면 (嗜眠)
기억감퇴 (記憶力減退)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志室(지실).
2. 이침(耳針)
耳穴 : 腎(신).
기역상충 (氣逆上冲)
1. 針灸大成解釋
1) 氣逆 上冲 : 痛玄指腰賦 - 太白穴(태백혈), 氣冲穴(기충혈).
기와 (嗜臥)
1. 參照文(참조문)
1) 기면(嗜眠)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陰脾經 : 商丘(상구).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倦言嗜臥 : 通里(통리,絡-太陽經), 大鍾(대종).- 百症賦(백증부)
기천 (氣喘) ⇒ 천식 (喘息), 효천 (哮喘)
기체 (氣滯) ⇒ 리기 (理氣)
기침 ⇒ 해수 (咳嗽)
1) 經渠(경거), 行間(행간). 2) 魚際(어제), 列缺(열결), 少澤(소택)
1. 針灸大成
1) 기침 : 灸 肺兪(폐수), 風門(풍문) - 行針指要歌
기침각혈 ⇒ 해혈 (咳血)
承山穴(승산혈), 孔最穴(공최혈), 膈兪穴(격수혈), 二白穴(이백혈)
기침과 숨찬증상 ⇒ 해수기단 (咳嗽氣短)
기통 (氣痛)
1. 針灸大成
1) 氣痛(기통) 漸次畏寒(점차외한) 發熱(발열) : 間使穴(간사혈) - 雜病十一穴歌
기허증 (氣虛證)
1. 참조문(參照文)
1) 기병 (氣病)
2. 임상응용(臨床應用)
1) 辨證選穴 : 氣虛(기허) ① 關元(관원)
② 氣海(기해) - 益氣(익기)
③ 氣海(기해), 委中(위중).- 行針指要歌
3. 針灸大成
1) 各種 氣病 : 氣海穴(기해혈) 針(침) 혹은 灸(구) - 勝玉歌
2) 元氣虛弱 : 針灸 氣海(기해), 丹田(단전), 委中穴(위중혈) 침자 - 行針指要歌
3) 各種 氣病 : 膻中穴(전중혈) 침자 - 行針指要歌
기화 (氣化)
1. 主治穴(주치혈)
1) 助氣化(조기화)
任脈 : 中極(중극,足三陰經과 交會, 膀胱의 募穴).
나병 (癩病) ⇒ 대풍 (大風)
낙침 (落枕)
1. 참조문
1) 경강 (頸强)
2) 경항강통 (頸項强痛)
3) 경추병 (頸椎病)
4) 항강증 (項强症)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手太陽小腸經 : 養老(양노,郄), 肩中兪(견중수).
足太陽膀胱經 : 天柱(천주), 后溪(후계), 懸鍾(현종).
手少陽三焦經 : 外關(외관,絡-厥陰經,八脈交會穴,通陽兪脈).
足少陽膽經 : 懸鍾(현종,足三陽經과 連絡, 髓會).
項背腰部奇穴 : 定喘(정천), 百勞(백로).
上肢部奇穴 : 落枕(낙침,項强).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少陽膽經 ① 完骨(완골), 天柱(천주), 后溪(후계), 折骨(절골).
② 風池(풍지), 折骨(절골).
③ 懸鍾(현종), 天柱(천주), 后溪(후계), 風池(풍지).
2) 處方 ① : 大椎 后溪 懸鍾
② : 阿是穴 落枕
3) 잠을 자다가 베개에서 목이 떨어져(落枕) 목이 뻣뻣하고 아픈 때는
巨骨穴(거골혈)에 침자 한다.
4. 中醫針灸學
落枕(락침)은 단순하게 목이 뻣뻣한 통증으로 활동에 제한을 받는 일종의 급성 병증이다.
頸部傷筋(경부상근)으로서 아동에게는 극히 적고, 성인에게 많은 편이며, 노년에는 頸椎病
(경추병)에서 나타나는데 반복적으로 발작하는 경향이 높다.
頸肌勞損(경기노손), 頸項纖維織炎(경항섬유직염), 頸肌風濕(경기풍습), 枕后神經痛(침후신
경통), 頸椎肥大(경추비대)로 생긴 斜頸(사경)등은 모두 본절의 변증론치를 참고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대부분 수면할 때 자세가 적당하지 못했거나 베개를 잘못 베어 목 부위에 골절근육
(骨節筋肉)이 오랜 시간 과분하게 당기고 있었던 관계로 경련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는 목
부위의 손상 혹은 풍한(風寒)의 사기(邪氣)를 감수하여 국부의 경맥(經脈)에 기혈(氣血)이
막힘(阻滯)으로 목에 강직한 통증이 생기게 되는 것일 수도 있다.
辨證論治(변증론치)
일반적으로 아침에 일어나면 갑자기 목 한쪽이 뻣뻣해(强直) 지며 전후좌우로 돌리지 못하
고 국부에 시큼한 통증이 생기는데 어깨와 팔 등어리까지 퍼진다. 혹은 두통(頭痛)과 추위
를 타는(惡寒) 증상을 겸하기도 한다.
국부의 근육이 경련되며 압통이 있으나 벌겋게 붓거나 열은 나지 않고 뜨거운 찜질을 하면
시원해진다.
治則(치칙) : 調氣活血(조기활혈), 舒筋散寒(서근산한).
近部(근부)의 阿是穴(아시혈), 手足太陽(수족태양), 少陽經穴(소양경혈)을 위주
로 취한다.
處方(처방) : 落枕穴(낙침혈), 壓痛点(압통점), 后谿(후계), 懸鍾(현종).
方義(방의) - 본 처방은 모두 患側(환측)에 針刺(침자)한다.
落枕穴(낙침혈) : 낙침을 치료하는 경험혈이고
壓痛点(압통점) : 近部(근부) 취혈이며
后谿(후계), 懸鍾(현종) : 循經(순경) 취혈인데 이들은 調氣活血(조기활혈)하
고, 舒筋散寒(서근산한) 작용
萬若(만약) - 惡寒(오한), 頭痛(두통) : 加 合谷(합곡), 外關(외관). - 散寒止痛(산한지통)
어깨에 통증 : 加 曲垣(곡원), 肩髃(견우). - 氣血疏通(기혈소통)
등어리 통증 : 加 大杼(대저), 肩外兪(견외수). - 氣血疏通(기혈소통)
治法(치법) : 針(침)으로 瀉法(사법)을 사용한다.
먼저 落枕穴(낙침혈) 혹은 懸鍾穴(현종혈)에 침자하여, 捻轉(염전)하면 환자에
게 목을 돌리게 하여 통증을 완해하고, 다음에 근부의 혈위에 침자한다.
어깨와 등어리 부위에는 溫針灸(온침구) 혹은 附缸(부항)을 사용하면 좋은 효
과를 얻는다.
5. 이침(耳針)
耳穴 : 肩(견), 頸(경).
낙태 (落胎)
1. 針灸大成
1) 胎不下(태불하) : 三陰交穴(삼음교혈) - 勝玉歌
난산 (難産)
1. 參照文(참조문)
1) 체산 (滯産)
2) 인산 (引産)
3) 최산 (催産)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至陰(지음,井).
足少陽膽經 : 肩井(견정).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陰脾經 : 三陰交(삼음교), 合谷(합곡), 太冲(태충).- 針灸大成.
4. 針灸經驗方 許任
症狀 : 횡위(橫位) - 손이 먼저 나오는 것
족위(足位) - 발이 먼저 나오는 것
處方 : 침(針)으로 태아(胎兒)의 손바닥이나 발바닥을 1~2푼 깊이로 3~4곳을 찌르고 나서
소금(鹽)을 침구멍에 바르고 문지른 다음 가볍게 밀어 넣으면 태아(胎兒)를 순산(順
産)하게 된다.
거듭 소금을 산모의 배에 바르면 정상분만을 한다. 또 산모(産母)의 새끼발가락 끝(至
陰穴)에 뜸을 3장 뜨면 순산(順産)한다.
5.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난산증 아기가 나오지 않고, 胎衣가 없어지지 않을 때
處方 : 선자 照海穴(조해혈), 후자 巨闕(거궐), 合谷(합곡), 三陰交穴(삼음교혈)
에 針刺(침자)하고, 至陰穴(지음혈)에 灸(구)한다.
② 難産(난산)으로 分娩(분만)을 할 수 없을 때
處方 : 선자 照海穴(조해혈), 후자 合谷(합곡), 三陰交(삼음교), 獨陰穴(독음혈)
에 침자한다.
난소난종 (卵巢卵腫 Overial cyst)
1. 現代針灸學 成樂箕
Ovarial cyst는 모든 Ovarial tumor 중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선성과 유치성으로 분류되
고 있다. 전자는 후자보다도 한결 많다. 발병하는 연령은 30~50세가 가장 많으며 발육
은 완만하며 크기는 母指大(모지대)에서 성인의 머리 크기 까지 있다.
初起(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덩어리가 어느 정도 커진 다음에 비로써 나타난
다. Menses는 거의 정상으로 때로는 임신을 할 경우도 있으며 囊腫(낭종)이 일정한 크
기에 이르면 여러 가지의 압박증상이 일어난다. 즉 constipation(便秘), 신후염 배, 뇨강
해, 尿頻數(뇨빈삭) 등이 일어나며, 복강으로 올라가서 위를 압박하면 nausea(惡心),
anorexia(食欲不振)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낭종이 커지면 호흡곤란이나 심장장해가 일
어난다.
治療 : 針灸療法(침구료법)은 주먹 크기 이하의 경우에만 적응되는 것으로 그 발육을 정
지시키거나 퇴축시키는데 저효를 나타낸다.
치법은 Ahmenorrhea(无月經)에 준한다. 局所療法(국소료법)으로는 囊腫(낭종)
이 觸指(촉지)되는 부위에 1~2개소에 침구료법을 추가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낭종이 상당히 진행되었을 경우(手拳大 以上)는 적출수술이 가장 이상적인 료법
이다.
난소병 (卵巢病)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歸來(귀래), 氣冲(기충), 三陰交(삼음교).
난소암 (卵巢癌)
1. 주치혈(主治穴) 및 배합혈(配合穴)
1) 足陽明胃經 : 수도(水道), 歸來(귀래).
난소염 (卵巢炎)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歸來(귀래).
足太陽膀胱經 : 上髎(상료), 次髎(차료).
난시 (亂視)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承泣(승읍,陽交,任脈,足陽明의 會).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手足太陽,足陽明,陽交,陰交와의 會).
난쟁이병 ⇒ 侏儒症 (주유증)
난청 (難聽)
1. 參照文(참조문)
1) 이명-이농(耳聾)
2. 主治穴(주치혈)
1) 手少陽三焦經 : 液門(액문,滎), 會宗(회종), 瘈脈(계맥).
手少陽三焦經 : 上關(상관).
足少陽膽經 : 浮白(부백), 頭竅陰(두규음).
내과종통 (內踝腫痛)
1. 參照文(참조문)
1) 족과통 (足踝痛)
2. 主治穴(주치혈)
1) 足厥陰肝經 : 中封(중봉).
3. 針灸大成
1) 발의 안쪽 복사뼈가 빨갛게 붓고 아픈 것은 繞踝風(요과풍)이다. - 西江月
處方 : 선자 外關穴(외관혈), 후자 太谿(태계), 丘墟(구허), 臨泣(임읍), 崑崙穴(곤륜
혈)을 치료한다.
내분비 (內分泌)
1. 이침(耳針)
내분비계통(內分泌系統)의 질병(疾病)
處方(처방) : 緣中(연중 腦点(뇌점)), 屛間(병간 內分泌(내분비)).
내상 (內傷)
1. 針灸大成解釋
1) 一切內傷病 : 內關穴(내관혈) - 雜病穴法歌
내이성현훈증 (內耳性眩暈症)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崑崙(곤륜), 申脈(신맥,陽交脈의 起始部, 八脈交會穴, 通陽交脈).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太陽膀胱經 ① 申脈(신맥), 風池(풍지), 翳風(예풍), 中渚(중저), 太冲.
② 申脈(신맥), 翳風(예풍), 安眠(안면), 太冲(태충).
足少陰腎經 : 太溪(태계), 安眠(안면), 太冲(태충).
2) 處方 ① 百會(백회), 內關(내관), 太冲(태충).
② 風池(풍지), 翳風(예풍), 太冲(태충).
내자소양 (內眦瘙痒)
1.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
내장하수 (內臟下垂)
1. 參照文(참조문)
1). 비병 (脾病)중에 脾氣虛弱(비기허약) 참조
냉증 (冷症)
1. 現代針灸學 成樂箕
끊임없이 허리, 무릎, 손, 발 등이 자각적으로 냉감을 느끼는 것으로 혈관신경 이상에 민감
한 사람에게 많다. 그 원인은 다음 네 가지로 추상되고 있다.
1) 표수체질과 피하지방 : 표수체질은 냉에 대하여 대단히 민감하다. 표수체질이란 피부가
희고 부드러우며 근육도 단단하지가 않고 체표전체가 물기가 있
는 감을 주는 체질을 말하는 것으로 일명 수독체질 이라고도 부르며 이 같은 수독체질자
는 감기를 비롯하여 Tonsillitis(扁桃腺炎), Cystitis(膀胱 炎) 등 증을 일으키기 쉬운 체질
로 일반적으로 모든 외적 자극에 과민반응을 나타낸다. 때문에 침의 약 자극에도 침감이
과잉으로 일어나서 면현증을 일으키기쉬운 체질이므로 주의 하여야 할 체질이다. 그리
고 일견해서는 대단히 건강하게 보이지만 병변에 걸리기 쉬운 체질이며 針보다는 灸를
잘 적응하는 체질이다.
성별적으로 여성은 남성에 비하여 피하지방이 잘 발달하여 수족의 온도가 남성보다 낮
다. 지방이 많다는 것은 곧 수분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표수 체질의 성질을 띠
고 있는 셈이다.
2) 골반내장기의 염증성질환 : 여성의 내부 성기에는 다량의 혈액이 순환 축적하고 있기 때
문에〈다수도루 모라 법칙〉에 의하여 피부측에 빈혈이 일어
나기 쉽다. 특히 골반내부의 장기에 염증성 질환이 있을 경우에는 내부 충혈이 촉진되어
한층 심한 피 부상에 빈혈을 가져와서 허리, 하복, 다리, 손발이 차가와 진다. 때문에 하
반신상에 냉감을 심하게 느끼는 환자는 일단 염증성 질환을 의심할 필요가 있다.
3) 성선 Hormone의 부족 : 성선 Hormone의 부족 때문에 월경과소나 자궁발육부족의 경향
이 있는 여성에게 냉증이 많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갱년기부인
의 冷症(냉증)이 바로 그것이다
4) 소화기의 Atony성 질환 : 무력성 체질로 위무력증(胃无力證 gastric atony), 위하수(胃下
垂 gastroptosis), enteroptesis, 위산부족(胃酸不足) 등의 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 냉증을 호소한다.
治療 : 표수체질의 체질개선은 산이나 바다에서 일광욕을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치법
은 Amenorrhea(无月經), Leucirrhea, Blood-disease(혈도)에 준한다.
념좌 (捻挫)
捻挫傷(념좌상)이란 뼈마디가 다쳐서 접질려진 것. 발목을 접질린 경우를 가장 많이 볼수 있
다. 일반적으로 손상된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저절로 점차 낫지만 자주 접질리는 현상이 있
게 된다. 념좌상때에는 환부가 붓고, 누르면 몹시 아프고, 瘀血(어혈)이 생기는등 증상이 나
타난다. 때로는 骨折(골절)이 동시에 생길수 있으므로 X선검사를 하면 확실하다.
1. 參照文(참조문)
1) 뉴상 (扭傷)
2) 발목불침
3) 요뉴상 (腰扭傷)
2.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上廉(상렴).
노육반정 (胬肉攀睛) : 翼狀胬肉(익상노육)
1. 主治穴(주치혈) 및 배합혈(配合穴)
1) 手陽明大腸經 : 陽谿(양계,經).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陽交,任脈,足陽明의 會).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井).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手足太陽,足陽明,陽交,陰交와의 會).
頭面部 寄穴 : 耳尖(이첨).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 少澤(소택), 睛明(정명), 太陽(태양), 合谷(합곡).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 少澤(소택), 太陽(태양), 合谷(합곡).
2) 睛攀(정반) - 頭面部 寄穴 : 球后(구후).
3. 針灸大成
1) 攀睛(반정)으로 瞳子(동자)를 덮는 것 : 少澤(소택), 肝兪穴(간수혈)- 百症賦
2) 굳은 살이 瞳子를 덥는 데 : 睛明穴(정명혈) - 靈光賦
노이로제 (Neurosis) : 신경증(神經證) 참조
노화안 (老花眼, 노시안)
1. 이침(耳針)
耳穴 : 枕(침)
녹내장 (綠內障)
1.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 陽交,任脈,足陽明의 會).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手足太陽,足陽明,陽交,陰交와의 會).
足少陽膽經 : 懸顱(현로), 光明(광명).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滎).
頭頸部奇穴 : 球后(구후).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陽明胃經 : 承泣(승읍), 睛明(정명), 風池(풍지), 曲池(곡지), 太冲(태충).
足太陽膀胱經 : 睛明(정명), 球后(구후), 風池(풍지), 太冲(태충).
足少陽膽經 : 瞳子髎(동자료), 合谷(합곡), 臨泣(림읍), 睛明(정명).
足厥陰肝經 : 行間(행간), 風池(풍지), 合谷(합곡).
頭頸部奇穴 : 球后(구후), 健明(건명), 風池(풍지), 曲池(곡지), 合谷(합곡), 太冲(태충).
2) 지압료법(指壓療法)
① 風府(풍부) : 疏散風邪(소산풍사), 疏經活絡(소경활락).
風池(풍지) : 疏風淸熱(소풍청열), 醒腦開竅(성뇌개규), 疏經活絡(소경활락)
② 通里(통리) : 寧心安神(영심안신), 疏痛經絡(소통경락).
合谷(합곡) : 開關通竅(개관통규).
③ 申脈(신맥) : 疏經活絡(소경활락).
照海(조해) : 滋陰補腎(자음보신).
④ 上星(상성) : 淸肝明目(청간명목).
百會(백회) : 平肝熄風(평간식풍), 醒腦寧神(성뇌영신), 淸熱開竅(청열개규)
⑤ 光明(광명) : 淸肝明目(청간명목), 疏肝活絡(소간활락).
地五會(지오회) : 疏痛經絡(소통경락).
⑥ 居髎(거료) : 疏痛經絡(소통경락), 行氣止痛(행기지통).
⑦ 肝兪(간수) : 疏肝理氣(소간리기), 養血明目(양혈명목), 淸熱利濕(청열이습)
命門(명문) : 보법(補法) - 補腎培元(보신배원), 溫陽益脾(온양익비).
⑧ 瞳子髎(동자료) : 疏風淸熱(소풍청열), 明目止痛(명목지통)
睛明(정명) : 疏風淸熱(소풍청열), 明目(명목).
絲竹空(사죽공) : 疏風淸熱(소풍청열).
攢竹(찬죽) : 疏風淸風(소풍청풍), 通絡明目(통락명목)
3. 이침(耳針)
耳穴 : 目1 (목1), 目2, (목2), 眼.
놀라다 ⇒ 경계 (驚悸)
농아 (聾啞) : 벙어리
1. 參照文(참조문)
1) 언어불리 (言語不利)
2) 불어증 (不語症)
3) 실어증 (失語症)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足少陽의 交會).
手太陽小腸經 : 后溪(후계,輸,八脈交會穴,通督脈), 聽宮(청궁).
手少陽三焦經 : 中渚(중저,輸), 이문(耳門).
足少陽膵(膽)經 : 聽會(청회).
督脈 :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 음아 (音啞)
頭頸部奇穴 : 醫聾(의농).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前后配穴法 : 啞門(아문), 廉泉(렴천).
2) 足陽明胃經 : 下關(하관), 耳門(이문), 翳風(예풍), 中渚(중저).
手少陽三焦經 : 耳門(이문), 醫聾(의농), 足益聽(족익청).
督脈 : 啞門(아문), 廉泉(렴천),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合谷
(합곡).
頭頸部奇穴 : 醫聾(의농), 耳門透聽宮(이문투청궁), 耳門透聽會(이문투청회).
3) 暴啞(폭아) : 三陽絡(삼양락), 支泃(지구), 通谷(통곡).
4. 中醫針灸學
聾啞(농아)는 벙어리를 가리킨다. 聾(농)과 啞(아)는 각기 다른 증상으로써 聾(농)으로 인하
여 啞(아)가 발전되는 것을 聾啞(농아)라 한다.
病因病機(병인병기)
본병은 대부분 先天的(선천적)으로 稟賦(품부)가 부족하거나 혹은 后天(후천)에 濕 邪熱毒
(습사열독)에 감수된 것을 제때에 치료하지 못하여 邪毒(사독)이 絡脈(락맥)의 소통을 막음
(壅滯)으로서 淸竅(청규)가 닫히게(閉阻) 되므로 어려서부터 양쪽 귀가 들리지 않게 되고 나
아가 언어를 배우지 못하게 됨으로 인해서 聾啞(농아)로 형성된다. 또 外傷(외상) 혹은 暴聲
(폭성)으로 鼓膜(고막)이 파열되어 농아가 발생되는 현상도 있다.
辨證論治(변증론치)
症狀 : 청력을 상실하고(聽力喪失) 말할 줄 모르는(言語不能) 것이 주요 증상이다. 선천성
농아는 원인이 불명확 하며, 후천성 농아는 대부분 원인을 찿을 수 있다.
治則 : 通絡開竅(통락개규) - 手足少陽經穴(수족소양경혈) 위주로 취혈한다.
處方 - 聾(농) : 耳門(이문), 聽宮(청궁), 聽會(청회), 翳風(예풍), 中渚(중저), 外關 (외관).
啞(아) : 啞門(아문), 廉泉(렴천), 通里(통리).
方義 - 翳風(예풍), 耳門(이문), 中渚(중저), 外關(외관), 聽會(청회). : 소양경의 기가 통 하
도록 기도를 트다.
配合 聽宮(청궁) : 통락개규(通絡開竅)하는 작용으로 수족 소양경의 기를 통하게 하다
啞門(아문) : 통규청신(通竅淸神)하는 작용으로 - 혀가 뻣뻣하게 굳어 말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廉泉(렴천) : 혀를 영활하게 하여 - 音啞(음아, 瘖瘂)를 치료하다.
通里(통리) : 手少陰絡穴(수소음경락혈) - 심기를 다스려(調心氣), 마음과 정신을 편
안하게 하고(寧神志) 혀뿌리가 통하게(利舌本)하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한다.
먼저 농(聾)을 다스리고, 후에 아(啞)를 다스린다. 만약 농아(聾啞)를 함께 치료할 때
는 치료와 언어훈련을 결합해서 시행하도록 한다. 30 회를 1 료정(療程)으로 한다.
농혈변 (膿血便)
1. 참조문(參照文)
1) 혈변(血便)
2) 변혈(便血)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下巨虛(하거허).
3. 임상응용(臨床應用)
1) 膿血便 : 上巨虛(상거허).
뇌경색 (腦梗塞)
1. 참조문(參照文)
1) 간병 (肝病)중에 肝風內動(간풍내동) 參照
뇌막염 (腦膜炎)
1. 參照文(참조문)
1) 유행성뇌막염 (流行性腦膜炎)(熱極生風(열극생풍))
① 간병 (肝病)중에 肝風內動(간풍내동) 參照
② 경증 (痙證) 參照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京骨(경골,原).
뇌빈혈 (腦貧血) ⇒ 빈혈 (貧血)
뇌발육부전 (腦發育不全)
1. 이침(耳針)
耳穴 : 腎(신).
뇌암 (腦癌)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腦癌 - 督脈 : 風府(풍부,督脈,太陽經,陽兪脈과의 交會).
2) 腦腫瘍 -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經).
足太陽膀胱經 : 天柱(천주), 大杼(대저,手足太陽, 少陽의 會, 督脈의 別絡,八會
穴의 骨會).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手足少陽,陽維의 會).
3) 腦下垂體癌 - 手少陽三焦經 : 耳門(이문).
頭面部 寄穴 : 四神聰(사신총).
4) 腦下垂體 腫瘍 - 足太陽膀胱經 : 찬죽(攢竹), 崑崙(곤륜).
督脈 : 印堂(인당), 前頂(전정), 風府(풍부,督脈,太陽經,陽兪脈과의 交會)
뇌연화증 (腦軟化證 Encephalomalacia)
1. 現代針灸學 成樂箕
腦軟化證은 뇌를 영양하고 있는 血行의 일부가 차단되어, 그 지배하에 있는 뇌실질이 변
화하여, 軟化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원인에 따라서 1) 뇌혈전(腦血栓 Cerebral
thrombosis)과 2) 뇌전색(腦栓塞 Cerebral embolism)으로 분류한다.
1) 腦血栓 : 본증은 뇌출혈(腦出血)보다도 고령자에게 많이 볼 수 있는 병변이 지만 그
원인이 매독(梅毒)에 의한 것은 젊은 사람에게도 볼 수가 있다.
原因 : 腦血管(뇌혈관)의 動脈硬化(동맥경화)를 위시하여 Atherom변성(油脂體 또
는 cholesterrin에서 성립한다.), 매독성 혈관변화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혈
압의 저하 또는 혈유(血流)의 느림만으로도 발생 할 수가 있다. Thrombosis
는 뇌의 어디서나 일어나지만 주로 좌측 실비어스관(Aqueduct of sylvius)
중뇌 제3 뇌실에서 제4 뇌실로 통하는 3/4 인치의 관이 있는 곳에서 일어나
는 경우가 많으며 해부학적 변화는 혈행장애(血行障碍)에 의한 뇌조직의 사
멸(死滅), 붕괴(崩壞)로 혈구(血球)가 혈관 밖으로 삼출(滲出) 됨으로써 적
색 또는 백색으로 되며 그곳의 조직은 재생이 되지 않는다.
뇌졸중 발작증이 갑자기 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식장해도 처음에는 없다.
설혹 있다 하여도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가벼우며, 서서히 진행하다가 며칠
이 경과한 후에 극에 달한다. 때로는 마비(痲痹) 증상이 의식장해에 선행할
때가 있으며 주증상은 hemiplegia(편마비(偏麻痹)이지만 간혹 실어증(失語
症), 편측지각일실, 실행증, 착란상태, 섬어(譫語, delirium)등의 정신장해증
도 나타 나며 심한경우에는 치매증(痴呆症, dematia)에 이르는 경우도 있
다.
2) 腦栓塞 : 원인은 주로 심장판막증으로 특히 승모판장해, 심내막염 등이지만 때로는
대동맥류, 대동맥 매독으로도 일어날 때가 있다.
心臟 또는 血管 중에 생긴 血栓(瘀血 피의 덩어리)이 뇌혈행에 의하여 보내
져서 뇌동맥이 막혀서 일어나는 글자 그대로 Embolism(전색)증으로 전술
한 Cerebral throbosis(腦血栓)와는 반대로 젊은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증상도 뇌혈전과는 달리 전구증상 없이 졸중 발작이 갑자기 일어나는 것이
특색이다. 이점은 뇌전색과 같다. 큰 뇌동맥이 침범 되었을 경우에는 심장
마비와 같이 졸중 발작과 동시에 사망한다.
병변이 가벼운 것은 비록 의식장해, 편마비, 실어증 등의 증상이 있다 하여
도 극히 가볍고 회복도 빠른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治療 : 본증은 대부분 음허증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침
치료 보다는 구료법이 바람직하다.
주치경과 주치혈의 선정은 일반적인 치료원칙과 같이 맥진, 모진, 수진, 사
지 요혈그룹의 切經에 의하여 증에 상응한 것을 선택하여 치료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