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8-03 15:24
[침구임상(針灸臨床)] 당뇨병 (糖尿病) - 대상포진 (帶狀疱疹)
|
|
글쓴이 :
admin
 조회 : 15,303
|
당뇨병 (糖尿病)
1. 參照文(참조문)
1) 소갈증(消渴證)
2) 신병중(腎病中) - 신양부족(腎陽不足), 신음허증(腎陰虛證) 參照
3) 위병중(胃病中) - 위화치성(胃火熾盛) 參照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의사(意舍), 비수(脾兪), 위수(胃兪), 신수(腎兪), 족삼리(足三里), 태계(太溪).
2) 足陽明胃經 : 陰市(음시).
手太陽小腸經 : 腕骨(완골,原), 支正(지정).
足太陽膀胱經 : 脾兪(비수), 關元兪(관원수), 膀胱兪(방광수), 中膂兪(중려수), 陽綱
(양강), 意舍(의사).
足少陰腎經 : 然谷(연곡,滎), 太溪(태계).
手少陽三焦經 : 陽池(양지,原).
任脈 : 廉泉(렴천).
寄穴 頭頸部 : 金津(금진) 玉液(옥액).
腰背部 : 腰眼(요안).
3. 現代針灸學 成樂箕
진성 diabetes mellitus는 Pancreas 의 Langerhansscher Insel의 機能的 또는 氣質的 變化
에 의하여 Insulin(일종의 hormone으로 內分泌線으로부터 分泌되어 體液과 같이 體內응
循環하여 化學的으로 모든 가관에 여러 가지 중요한 作用을 하는 物質의 總稱)의 分泌不
足을 가져와서 그 結果로 함수탄소(carbonic hydrate)의 代謝障碍를 일으켜서 뇨(尿) 중
에 糖(sugar)을 排出하는 疾患이다.
原因으로는 遺傳的 소인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평소 Carbonic Hydrate의 食品을 偏食하
거나, 甘味의 食品을 過食하는 경우에 本病을 誘發하기 쉽다. 이밖에 腦下垂體 副腎皮質
hormon 성선 甲狀腺 疾患도 本病 發生에 깊은 關係가 있으며, 또는 精神的 過勞 感情의
激動 不安 恐怖 家庭不和 經濟的 失敗 等의 精神的 쇼크도 本病을 誘發하고 症狀을 進行
시킨다.
Diabetes mellitus에는 眞性糖尿病 以外에 取外性糖尿病이 있다. 이것은 Langerhansscher
Insel의 機能 自體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고 다른 原因에 의하여 尿중에 sugar가 나오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腎性糖尿病 取外性과 血糖性 糖尿病 等이 있으며 이들은 대체로
아무런 害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一名 无害性 糖尿病이라 指稱한다.
眞性糖尿病의 症狀은 口渴 多尿(一日 300~500cc) 多食 疲勞感 等을 나타내면서 病變이
進行하면 몸이 야위고(get thin) 白內障(catsract) 糖尿性網膜炎 眼底 動脈硬化 等의 안증
상과 癤癰 瘙痒 等의 皮膚症狀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神經痛, 神經炎, 齒槽膿漏, 性慾減
退, impotence 等을 일으키기 쉽다. 이밖에도 創傷(wound)이 잘 낫지 않고, 발가락에 壞
死를 일으킬 때도 있다.
重症 糖尿病에 이르면 간혹 acidosis(酸性症)를 가져와서 尿 중에 aceton체를 증명하고,
headache, weariness, 无力 等을 呼訴하며 드문일이긴 하지만 돌연 insomnia, dizziness,
nausea, anxiety, vomitting, somnolence(기면)等 症을 나타내면서 끝내는 糖尿病性 昏睡
에 빠질 때가 있다.
治療方法
1) 食餌療法 : 治療의 第一原則으로 病變의 輕重에 따라 實施하는 것이 바랍직 하지만,
一般的으로 輕重이나 中等症의 경우에는 함수탄소가 많이 含有되지 않은
菜食을 主食으로 하고, 蛋白質과 脂肪도 動物性을 피하고 植物性을 攝取
한다.
2) 針灸療法 : 輕證과 中等證의 경우는 곧잘 效果的이지만, 重症인 경우에는 葯物療法
을 幷用하는 것이 보다 理想的이다.
4. 針灸大成解釋
1) 백증부(百症賦)
糖尿病 腎消(腎渴) : 행간혈(行間穴), 용천혈(湧泉穴).
5. 이침(耳針)
耳穴 : 胰膽.
6.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太陽小腸經 ① 腕骨(완골), 三里(삼리), 脾兪(비수).
② 腕骨(완골), 膵兪(췌수), 脾兪(비수), 足三里(족삼리).
足太陽膀胱經 ① 脾兪(비수), 膈兪(격수), 腎兪(신수), 足三里(족삼리), 三陰交.
② 脾兪(비수), 膈兪(격수), 膵兪(췌수), 腎兪, 脾熱穴(비열혈).
③ 腎兪(신수), 關元(관원), 足三里(족삼리).
④ 關元兪(관원수), 膵兪(췌수), 脾兪(비수), 三焦兪(삼초수) 腎兪(신수)
⑤ 意舍(의사), 脾兪, 胃兪(위수), 腎兪, 足三里, 太溪(태계).
2) 신재용의 남성동의보감
① 多食症 : 足三里穴에 針治療로 胃腸機能을 改善시킬 수 있다.
② 多尿症 : 腎兪, 復溜穴 - 排尿를 抑制하는 작용이 있다. 즉 抗利尿作用을 일으키고
絲毬体(glomerulus)의 濾過量이 顯著히 减消되었는데 이러한 동물실험 결
과로 미루어 볼 때 이것은 神經反射를 통하여 사구체의 血流量을 개선하
고 絲毬体의 濾過率을 조정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소변횟수도 잦고
소변량이 많은 多尿症을 改善시킬 수 있다.
㉠ 電針 : 동물의 抗利尿 호르몬의 分泌를 增加시키므로 刺針에 의한 抗利尿호르몬
의 작용을 통하여 絲毬体의 水分 再吸收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
고 있다.
㉡ 刺針 : 膀胱의 內壓도 低下 혹은 上升시킨다. 실험보고에 따르면 關元등 經穴에
刺針하면 예를 들어 糖尿病의 緊張性膀胱에 대하여 그 內壓을 低下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 內分泌系에 미치는 刺針의 영향을 보면, 예를 들어 足三里穴에 刺針后 20
여분 만에 하이드로코티손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본
래 함유량의 2~3 배에 달했다고 한다. 이것은 刺針이 副腎皮質刺戟호르
몬(ACTU)의 분비를 促進시키기 때문이다.
- 또 電針에 의하여 反射性으로 腦下垂體后葉의 록시토신, 항이 뇨 호르몬
바소프레신이 분비된다는 것이 동물실험으로 관찰 되었다. 혹은 電針으
로 低血糖 상태를 비교적 빠르게 상승시키고, 高血糖 상태를 迅速히 低下
시킨다. 이것은 인슐린이나 아드레날린과의 상호관계에서 이루어진 것
으로 보인다.
- 그러나 針灸療法은 보조치료법에 속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신중을 기해야
한다.
- 注意点 : 皮膚感染이 쉽게 오므로 刺針에 의한 그릇된 손상이 感染性 疾患
즉 瘡證을 유발하기 쉽기 때문에 특히 糖尿病에 이환(罹患)된 경
력이 긴 경우에는 刺針과 灸法 모두 주의해야 한다.
3) 지압료법(指壓療法) : 신재용의 남성동의보감
① 上消 : 糖尿가 있으면서 小便量이 增加하고 자연히 渴症도 심해지는데 이때는 翳風
穴을 指壓하는 것으로 다스릴 수 있다.
翳風穴은 귓불 뒤의 엄지손톱 만한 크기로 튀어나온 유양돌기(乳突) 바로
앞에 있는 오목한 陷凹部이다.
② 中消 : 糖尿病은 膵臟의 인슐린분비 이상이나 인슐린 저항성이 주요 원인이지만 胃
腸과 大腸에 熱이 蓄積되어 發病하는 질환이기도 하다. 胃腸과 大腸에 熱이
蓄積돼 있으면 활활 타오르는 난로 위에서 눈덩이가 금방 녹아버리듯 飮食
을 아무리 먹어도 금방 소화돼 끊임없이 虛飢에 시달리게 된다. 또 속에 熱
이 蓄積되어 있기 때문에 口臭도 심해진다. 이런 경우에는 입술의 양쪽 가장
자리(口角)에서 바깥쪽으로 1cm 되는 지점에 있는 地倉穴을 지압해 주면 좋
다. 이외에도 胃兪, 脾兪, 中脘, 足三里, 陽陵泉, 內庭 經穴들을 지압해주면
좋다.
③ 下消 : 消渴症 중에 小便이 자주 마려우며 夜間頻尿까지 심한 경우, 또는 小便에 기
름이 낀 듯한 경우에는 腎兪穴을 중심으로 指壓해준다.
이외에도 關元, 復溜, 中膂兪, 湧泉 經穴들을 指壓해주면 좋다.
④ 눈의 합병증 예방 : 糖尿病으로 인한 눈의 合病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눈썹사이
의 印堂穴을 指壓한다. 上下左右로 지그시 누르면서 밀어주면
血壓上升에 다른 不眠症과 어지럽증(眩暈), 高血壓으로 인한 頭痛과 메스꺼움(惡
心)을 해소하는 效果가 있다. 또 糖尿病으로 인해 눈이 疲困하고 아플 때는 四白穴
을 指壓하는 것도 좋다.
눈의 합병증으로 頭痛이 있을 때는 絲竹空穴과 太陽穴 주위를 폭넓게 指壓해 주도
록 한다. 눈썹 바깥쪽 끝부터 귀의 중간지점까지 모두 頭痛에 효과적인 지압부위
가 되는 셈이다. 이때 人中穴을 함께 지압해주면 더욱 효과적이다.
당변 (溏便)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足厥陰肝經 : 太冲(태충), 神闕(신궐), 三陰交(삼음교).- 針灸大成
§ 神闕穴은 금침혈이다. 隔鹽灸(격염구), 隔姜灸(격강구)등을 응용한다.
대뇌발육부전 (大腦發育不全)
1. 主治穴(주치혈)
1) 督脈 : 啞門(아문,陽兪脈과 交會).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督脈 : 啞門(아문), 大椎(대추), 翳明(예명), 內關(내관), 足三里(족삼리), 脊三
穴(척삼혈).
대뇌피질 (大腦皮質)
1. 이침(耳針)
1) 대뇌피질(大腦皮質)의 흥분(興奮)과 억제(抑制)를 조절(調節)
緣中(腦点), 腦(皮質下).
대두온 (大頭瘟) : 온병(溫病)
1. 針灸經驗方 許任
症狀 : 붉은 실과 같은 것이 무지개처럼 이마에 가로놓여 있으며 얼굴, 귀, 눈, 입, 코가
모두 부어서 그 본래 모습을 찿아볼 수가 없고 한데 뭉쳐진 고깃덩이 같으며 말소
리가 나오지 않고 숨이 깔딱깔딱하며 6~7일째 되는 날 죽게 된다. 이것은 열사
(熱邪)가 심장(心臟)과 폐(肺)에 침입한 것이다.
處方 : 하마온(鰕蟆瘟) 치법(治法)과 같다 즉 - 삼능침(三陵針)으로 당양혈(當陽穴)의 혈
락(血絡)과 태양혈(太陽穴)의 血絡을 찔러서 악혈(惡血)을 많이 뺀다. 이어서 명
주실로 어깨아래와 팔뚝위를 묶고 곧바로 척택혈(尺澤穴)의 크고 작은 血絡 및
위중혈(委中穴)의 血絡을 모두 찔러서 피(血)를 빼면 하루가 안되어 물을 마시게
되는데 신기한 효험이 있다.
대머리 ⇒ 독두 (禿頭)
대변곤난 (大便困難)
1. 參照文(참조문)
1) 변비 (便秘)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膀胱兪(방광수).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 交信(교신).
대변실금 (大便失禁)
1. 參照文(참조문)
1) 이변실금 (二便失禁)
2) 이변병 (二便病)
대사 (代謝) ⇒ 신진대사(新陳代謝)
대상포진 (帶狀疱疹)
1. 參照文(참조문)
1) 포진 (疱疹)
2. 中醫針灸學
본병은 피부에 疱疹(포진)이 한군데 결집되어 마치 구슬을 꿴 듯하며 또한 뱀이 기어
가는 듯하고 색이 붉어서 蛇丹(사단)이라고도 부르며 본병은 痛證(통증)이 아주 심한
피부병으로써 가슴과 얼굴에도 발생하지만 대부분 허리를 둘러서 나기 때문에 纏腰火
丹(전요화단) 또는 帶狀疱疹(대상포진)이라고 부른다.
病因病機
風火(풍화)의 邪氣(사기)가 少陽(소양), 厥陰經脈(궐음경맥)에 침습하여 피부에 몰리
거나 濕毒(습독)에 감염되어 手太陰(수태음), 陽明經絡(양명경락)에 留滯(류체)되면
모두 肌膚(기부)의 營衛(영위)를 壅滯(옹체)하여 疱疹(포진)이 발생된다.
辨證論治
初起(초기)에는 피부에 열이 나고 따끔거리며 아프고 漸次(점차) 콩알 만 한 疱疹(포
진)이 한곳에 集結(집결)되여 생기고 迅速(신속)히 작은 수포로 변하며 몇개 씩 集結
(집결)되여 한곳 혹은 몇 곳에 허리띠 형상으로 配列(배열)되고 포진과 포진사이는 정
상이다. 엄중하면 血点(혈점), 血疱(혈포)가 생기며 아픈 부위가 길 다란 형태이며 刺
痛, 水疱(수포)는 흔히 신체의 한쪽 허리 肋骨部位(륵골부위)와 가슴에 많이 생기며
얼굴에 생기면 痛症(통증)이 더욱 심하다.
1) 풍화증(風火證)
症狀 : 허리 늑골부위(肋骨部位)에 생기며 구고(口苦), 두통(頭痛), 현훈(眩暈), 심
번(心煩), 면홍목적(面紅目赤) 혹은 이노(易怒) 겸하여 소변단적(小便短赤)
태황(苔黃) 혹건니(或乾膩) 맥현삭(脈弦數)
原則 : 풍화청설(風火淸泄) - 소양(少陽), 궐음경혈(厥陰經穴) 爲主
處方 : 중저(中渚), 기문(期門), 곡천(曲泉). 족규음(足竅陰) 국부주위
方義 : 局部周圍(국부주위)에 침자하여 기혈을 조화(氣血調化)시키고, 해독(解毒)
하고, 통증을 멈추게 한다(止痛).
기문(期門), 곡천혈(曲泉穴) : 궐음경의 울화(厥陰鬱火)를 청설(淸泄).
족규음(足竅陰), 중저(中渚) : 소양경의 풍사(少陽風邪)를 소산(疏散).
심번(心煩) : 극문(郄門), 신문(神門) → 청심안신(淸心安神)
동통 후유증 : 내관(內關), 양보(陽輔) → 진정(鎭靜) 지통(止痛).
구고(口苦) : 양능천(陽陵泉), 지구(支溝) → 肝膽의 邪熱을 疏泄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한다.
침자법(針刺法)은 국부주위의 즉 포진(疱疹)이 집결된 주위의 피부를 소독
한 후 1寸 길이의 針을 포진 중심을 향해 연피자(沿皮刺)하는데 針 숫자는
아픈 부위의 면적의 대소에 따라 결정하되 매 침간격(針間隔)은 1-2 寸 정
도. 1-2 시간 유침(留針) 하며 경환자(輕患者)는 每日 한번씩, 중환자(重患
者)는 每日 두 번씩 針刺한다.
2) 풍열증(風熱證)
症狀 : 가슴과 면부(面部)에 발생하며 수포(水疱)가 터져서 물이 나고, 무력(无力)
하며, 식욕(食欲)이 없고, 위(胃)가 먹먹한 증상이 겸한다. 설태황니(舌苔黃
膩) 맥활삭(脈滑數)하다.
原則 : 청열이습(淸熱利濕) - 족양명(足陽明), 태양(太陽), 수소양경혈(手少陽經穴)
을 위주로 한다.
處方 : 내정(內庭), 외관(外關), 협계(俠溪), 공손(公孫) - 局部周圍
葬儀 : 양명(陽明)과 태음(太陰)은 표리관계(表里關系) -
⑴ 내정(內庭, 滎穴)과 공손(公孫, 絡穴)을 사(瀉)하여 청열이습(淸熱利濕)
하고 수포(水疱)의 흡수(吸收)와 완쾌(完快)를 촉진(促進) 시킨다.
⑵ 외관(外關)과 협계(俠溪)를 배합 : 소양경기(少陽經氣)를 소리(疏利)하여
표(表)의 사독(邪毒)을 해제(解除)한다.
⑶ 열(熱)이 심하면 : 합곡(合谷), 대추혈(大椎穴)를 加하여 설열(泄熱)시킨
다.
治法 : 호침(毫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한다.
3. 現代針灸學 - 成樂箕
帶狀疱疹(Herpes)
수포성 피부질환의 일종으로, 일정한 신경지배구역에 구진(丘疹, papule) 또는 소수
포가 대상으로 군생한다. 수포(水疱, blister)의 크기는 좁쌀에서 작은 콩 정도까지 있
으며, 2~3일이 지나면 농포(膿疱)로 변한다음에 딱지(痂皮)가 생기고 이어서 딱지가
떨어지면서 반흔(瘢痕, scar)이 남는다.
호발부위(好發部位)는 흉복부(胸腹部)의 늑간신경(肋間神經)의 경로(經路)이지만 때
로는 안면(顔面), 사지(四肢) 또는 점막(粘膜)에도 나타난다. 그러나 언제나 한쪽 부위
만 나타나고 중선(中線)을 넘어가지 않으며, 경과는 보통 2~3 주일간이다.
원인(原因)은 Virus가 척수신경절(脊髓神經節) 세포(細布)를 침범하기 때문에, 신경염
(神經炎) 또는 말초신경염(末梢神經炎)에 의하여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증상(證狀)은 발진부위(發疹部位)에 작열감(灼熱感), 신경통 모양의 동통(神經痛樣疼
痛), 지각과민(知覺過敏), 개미가 기어가는 감(蟻走感, 蟻蛛感)등이 있
으며, 때로는 지각이 둔하고 마비(知覺鈍麻) 감을 호소할 경우도 있다.
치료(治療)는 신경통(神經痛)의 치법에 준하여 치료한다. 즉 포진(疱疹)이 발현(發現)
하는 부위를 지배하는 경락(經絡)을 주치경(主治經)으로 하고, 동통(疼
痛)이 심한 부위의 아시혈(阿是穴)을 주치혈(主治穴)로 선정하여 침구료법(針灸療法)
을 시술(施術)한다.
4. 皮膚病中醫診療學 徐宜厚 王保方 張賽英
전요화단(纏腰火丹) : 대상포진(帶狀疱疹)
병인(病因) : 습독(濕毒), 화독(火毒), 어체(瘀滯).
1) 針刺法
(1) 순경취혈(循經取穴)
主穴 : 곡지(曲池), 신주(身柱), 양능천(陽陵泉), 삼음교(三陰交).
配穴 : 皮損在 안광구(眼眶區) : 加 태양(太陽), 두유(頭維), 양백(陽白).
권협구(顴頰區) : 加 사백(四白), 정명(睛明), 하관(下關).
하악구(下顎區) : 加 협거(頰車), 지창(地倉), 대영(大迎).
액와구(腋窩區) : 加 견정(肩井), 극천(極泉).
제상구(臍上區) : 加 합곡(合谷).
제하구(臍下區) : 加 족삼리(足三里).
方法 : 기혈이 왕성한 청년에게는 사법을 쓰고, 노인이나 신체가 허약한 환자에
게는 보법으로 시술한다(靑年患者施瀉法, 老年人和體虛患者施補法).
2일에 1번, 10번을 1료정(療程)으로 한다.
(2) 局部取穴 : 아시혈(阿是穴) - 피진구(皮疹區)
方法 : 采用 30~32号 호침(毫針), 아시혈에서 상하좌우 각기 다른 방향으로 15
~30° 피진(皮疹)아래로 사자(斜刺)한다. 득기후 유침(得氣后留針) 30분
간 하며 그 동안에 3~5 차례 념전(捻轉)을 경(輕)하게 한다. 매일 1번,
10변을 1료정(療程)으로 한다.
(3) 변증취혈(辨證取穴),
主穴 : 간수(肝兪), 곡지(曲池), 지구(支溝), 아시혈(阿是穴, 皮疹區)
配穴 : 풍화증(風火證) : 加 기문(期門), 곡천(曲泉), 족규음(足竅陰).
습열증(濕熱證) : 加 내정(內庭), 외관(外關), 협계(俠溪).
열성증(熱盛證) : 加 합곡(合谷), 양능천(陽陵泉), 신문(神門).
方法 : 시사법(施瀉法), 2日 1次, 10次爲 1療程.
2) 구법(灸法)
(1) 위구법(圍灸法) : 아시혈(阿是穴, 皮疹區), 심수(心兪), 간수(肝兪).
方法 : 직접구(直接灸)로 피부에 열감이 넘치려는 정도까지 지속(持續) 30~40
분간, 日 1번.
(2) 면화구(棉花灸) : 병손구(病損區)
方法 : 의료용 탈지(脫脂) 솜조각(薄棉片)을 얇게 펴서 환부(病損區)를 덮은 후
얇은 솜조각에 불을 살라(燃棉片) 완전히 연소되도록 한다(棉片一過性
燃完). 1日 1次.
(3) 변증구(辨證灸)
主穴 : 아시혈(阿是穴, 피진구(皮疹區))
配穴 : 풍열증(風熱症) : 加灸 심수(心兪), 폐수(肺兪).
습열증(濕熱症) : 加灸 간수(肝兪), 비수(脾兪).
方法 : 직접구(直接灸)로 피부가 빨갛게 될 때까지(至皮膚泛紅), 하되 아프지
않고 풀리는 감이 나는 정도로 한다. 하루에 1번 한다.
중증(重證)은 1日 2~3次, 5일을 1료정으로 한다.
(4) 經驗穴灸 : 지주혈(蜘蛛穴)
方法 : 艾炷置于穴上灸 1~3壯, 日 1次, 3次爲 1療程.
3) 이침법(耳針法)
主穴 : 폐(肺), 신상선(腎上腺) 상응부위(相應部位).
配穴 : 신문(神門), 내분비(內分泌), 교감(交感), 침(枕), 담마진구(蕁麻疹區), 간
(肝), 비(脾).
方法 : 針后留針 30分鍾, 2日 1次, 7次爲 1療程.
4) 두침법(頭針法)
主穴 : 취혈(取穴) 감각구(感覺區), 운동구(運動區).
方法 : 좌병취우(左病取右), 우병취좌(右病取左), 피진(皮疹)이 배꼽위에 있으면
(皮疹在臍以上) 침을 찌르되 아래로(針刺下) 3/5 하고, 피진이 배꼽 아래에
있으면(皮疹在臍以下) 침을 찌르되 위로(針刺上) 2/5 한다. 찜을 찌르고 득
기한 후(針刺得氣后30~45분간 유침(留針)하며 그 동안 념전(其間捻轉)을
5~10차래 한다. 하루에 1번씩, 10번을 1 료정(療程)으로 한다.
5) 혈위주사(穴位主射)
(1) 인근취혈(隣近取穴)
피진(皮疹)이 배꼽위에 있을 때(臍上區域) - 내관(內關), 곡지(曲池).
피진(皮疹)이 배꼽아래 있을 때 -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2) 순경취혈(循經取穴)
主穴 : 간수(肝兪), 담수(膽兪), 태충(太冲).
配穴 : 대저(大杼), 풍문(風門), 폐수(肺兪), 환도(環跳), 족삼리(足三里).
方法 : 유생소(維生素) B12 500mg(微克), 당귀주사액(當歸注射液) 중에서 하나
를 선택하여(任選一種), 침자하여 득기한 후(針刺得氣后), 매혈(每穴)마
다 0.5mg(毫升) 씩 주사하는데, 하루에 1번, 5번을 1료정(療程)으로 한
다.
6) 혈위격광법(穴位激光法)
耳穴 : 간(肝), 담(膽), 신문(神門)
方法 : 채용(采用) 비소를 칼륨으로 변화시키는(砷化鎵) 반도체격광기(半導体激光
機), 매혈조사(每穴照射) 5분간 1日 1次하는데 3次를 1료정(療程)으로 한다.
7) 매화침법(梅花針法)
取穴 : 피진구(皮疹區)의 아시혈(阿是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