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08-03 15:58
[침구임상(針灸臨床)] 대소변불리 (大小便不利) - 대퇴피신경염 (大腿皮神經炎)
|
|
글쓴이 :
admin
 조회 : 14,300
|
대소변불리 (大小便不利)
1. 참조문(參照文)
1) 이변병 (二便病) : 二便不利(이변불리)
2. 主治穴(주치혈)
1) 足太陽膀胱經 : 上髎(상료), 承扶(승부), 胞肓(포황).
任脈 : 會陰(회음).
대소변불통 (大小便不通)
1. 참조문(參照文)
1) 이변병 (二便病)
2. 주치혈(主治穴)
1)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① 足少陰腎經 : 大鍾(대종,絡-太陽經).
대소변실금 (大小便失禁)
1. 參照文(참조문)
1) 이변병 (二便病)
2) 대변실금 (大便失禁)
3) 소변실금 (小便失禁)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대소변불금 (大小便不禁)
① 足太陽膀胱經 : 大腸兪(대장수), 次髎(차료).- 針灸資生經
대장경련 (大腸痙攣) ⇒ 장경련 (腸痙攣)
대장경병 (手陽明大腸經病辨證處方) : 풍한습비(風寒濕痹), 열사상요(熱邪上擾).
1) 풍한습비(風寒濕痹)
病因病理 : 入經 풍한습사(風寒濕邪) 불통경맥(不通經脈)
主要證候 : 견비(肩臂) 외측(外側)에 동통(疼痛)이 있고, 모지(母指)와 식지(食指)에 동
통(疼痛)으로 활동이 불리(活動不利)하다.
治法 : 온경산한(溫經散寒), 소경활락(疏經活絡).
處方 : 합곡(合谷), 열결(列缺), 양계(陽溪), 곡지(曲池).
針法 : 사법(瀉法) 혹 양계(陽溪), 곡지혈(曲池穴) 구법(灸法).
2) 열사상요(熱邪上擾)
病因病理 : 열사가 응체(熱邪凝滯)되어, 대장경을 따라 상역(隨經上逆)(大腸經)
主要證候 : 치통(齒痛), 치은종대(齒齦腫大), 경항부종(頸項部腫), 구취(口臭), 뉵혈
(衄血), 비색다체(鼻塞多涕), 후두마비(后頭痲痺), 설홍태황(舌紅苔黃), 맥
활삭(脈滑數).
現代醫學 : 치은염(齒齦炎), 갑상선종대(甲狀腺腫大).
治法 : 청사사열(淸瀉邪熱)
處方 : 1) 이간(二間), 곡지(曲池), 량구(梁丘), 내정(內庭), 상양(商陽).
針法 : 사법(瀉法)
2) 이간(二間), 합곡(合谷), 어제(魚際), 아통점(牙痛点).
針法 : 사법(瀉法).
대장병변증취혈(大腸病辨證取穴) : 1) 大腸濕熱 2) 大腸瘀熱.
1) 대장습열(大腸濕熱)
病因病理 : 생냉음식(生冷飮食) 혹 오식(誤食), 감수서습(感受暑濕) 습열울결(濕熱鬱結) 대
장실직(大腸失職) 전달기능(傳達機能).
主要證候 : 복통(腹痛), 백색점액변(白色粘液便) 혹 혈변(血便), 복통욕변(腹痛欲便) 리급
후중(里急后重), 항문작열(肛門灼熱), 구갈(口渴), 설태황니(舌苔黃膩), 맥활삭
(脈滑數)
現代醫學 : 급성장염(急性腸炎), 급성이질(急性痢疾).
治法 : 사화제습(瀉火除濕)
處方 : 천추(天樞), 대장유(大腸兪), 상거허(上巨虛),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음능
천(陰陵泉).
針法 : 사법(瀉法)
2) 대장어열(大腸瘀熱)
病因病理 : 열사핍박대장(熱邪逼迫大腸), 손상락맥(損傷絡脈), 기체어혈(氣滯瘀血)
主要證候 : 복통거안(腹痛拒按), 통처고정(痛處固定) 혹 발열(發熱), 혹 구토(嘔吐), 불신요
부(不伸腰部)
現代醫學 : 급성단순성충수염(急性單純性虫垂炎)
治法 : 청열산어(淸熱散瘀)
處方 : 천추(天樞), 내관(內關), 합곡(合谷), 곡지(曲池), 상거허(上巨虛), 란미혈(蘭尾
穴).
針法 : 사법(瀉法) 1日 3-4 차래, 매번(每次) 30-60분간 유침(留針) 간헐적사법(間歇的
瀉法)
대장암 (大腸癌) : 結腸癌(결장암)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足太陽膀胱經 : 腎兪(신수), 大腸兪(대장수).
手少陽三焦經 : 支溝(지구,經).
任脈 : 氣海(기해).
寄穴 腹部 : 臍周(제주).
2. 臨床應用(임상응용)
1) 腸癌 - 足陽明胃經 : 관문(關門), 활육문(滑肉門), 天樞(천추), 氣冲(기충), 上巨虛(상
거허,大腸의 下合穴).
足太陽膀胱經 : 肓門(황문).
任脈 : 下元(하원,任脈,足太陽의 會).
下肢部 : 通氣穴(통기혈), 臍周(제주).
대장염 (大腸炎) ⇒ 장염 (腸炎)
1. 參照文(참조문)
1) 慢性結腸炎 : 비병중(脾病中) 비기허약(脾氣虛弱) 參照
대장질환 (大腸疾患)
1. 主治穴(주치혈)
1) 대장의 하합혈 上巨虛(상거허), 대장의 募穴(모혈) 天樞(천추)는 모든 大 腸疾患을 主治(주치) 한다.
대퇴골동통 (大腿骨疼痛)
1. 針灸大成
1) 대퇴골동통(大腿骨疼痛) : 후계혈(后溪穴), 환도혈(環跳穴) - 百症賦
2) 퇴고병(腿股病) : 환도(環跳穴), 거료(巨髎穴), 위중(委中, 瀉血) - 玉龍歌
3) 퇴슬무력(腿膝无力) 기립불장(起立不長) - 풍습병(風濕病) : 풍시(風市) 구법(灸
法) - 玉龍歌
4) 대퇴부(大腿部) 통증(痛症) : 견정혈(肩井穴) - 勝玉歌
5) 대퇴부(大腿部)와 고관절(股關節) 동통(疼痛), 보행불리(步行不利) : 환도혈(環跳
穴), 음시혈(陰市穴), 풍시혈(風市穴) 금침(金針)으로 사법(瀉法)을 사용한다.
6) 퇴(腿), 과(胯, 사타구니), 요(腰) 동통(疼痛), 더부륵한 기운 : 관골혈(髖骨穴) 七
分后, 풍시혈(風市穴), 족삼리(足三里) 一寸三分, 침자보사(針刺補瀉), 사(瀉) 삼
음교(三陰交) 一寸, 행간(行間) 五分針刺 진퇴보사(進退補瀉)와 호흡보사(呼吸補
瀉) - 雜病十一穴歌
대퇴신경통 (大腿神經痛)
1. 參照文(참조문)
1) 좌골신경통 (坐骨神經痛)
2. 主治穴(주치혈)
1) 下肢部奇穴 : 外陰廉(외음렴).
대퇴통 (大腿痛) : 股外側皮神經炎
1. 參照文(참조문)
1) 비증 (痹證)의 肌痹
2.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大腿內側痛 : 足太陰脾經 - 血海(혈해).
足少陰腎經 - 陰谷(음곡).
足厥陰肝經 - 足五里(족오리).
2) 足太陽膀胱經 : 會陽(회양), 承扶(승부).
3. 皮膚病中醫診療學 徐宜厚 王保方 張賽英
고외측피신경염(股外側皮神經炎)
1895年 제일 먼저 Bernhardt가 진행(進行)하였으므로 Bernhardt病이라 불렀다.
그 후 Roth가 계승하여 명명(命名)하기를 감각이상성고통(感覺異常性股痛)이라
했던 것을 Roth병(病)이라 한 것이다.
중의문헌(中醫文獻)에서는 병변적(病變的) 부위(部位)와 감각(感覺)에 의거(依據)하여
“대퇴통(大腿痛)”이라고 학자들이 칭하고 있다(見承淡安 : 中國針灸學). 이는 역시 “기비
(肌痹)”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1) 호침법(毫針法)
⑴ 循經取穴 : 환도(環跳), 풍시(風市), 중독(中瀆), 양능천(陽陵泉).
方法 : 평보평사(平補平瀉), 침을 찔러서 득기를 얻은 후에 30분간 유침 한다
(針刺得氣后留針 30分鍾). 하루에 1번(日一次)
⑵ 局部取穴 : 아시혈(阿是穴, 感覺異常區 中心点)
方法 : 아시혈(阿是穴)에서 4mm(厘米)를 직자(直刺)하여 득기 후(得氣后),
다시 중심점(中心點)에서 3~4mm 떨어진 곳에서 각기 침 하나를 사자
(斜刺)하는데 침첨(針尖)의 방향을 중심점으로 3~4mm 깊이로 찌른
뒤 유침(留針) 20분간한다. 2일에 1번.
2) 칠성침법(七星針法)
⑴ 七星針 加灸法 : 병이 발생한 구역(病竈區) 상하 3~5을 따라 고자(叩刺)하는데
그 빈율은(其頻率) 80~120次/分 정도로 하여 피부가 발갛게 되
거나(以皮膚潮紅) 혹은 약간 출혈되는 정도(或微出血爲度)로 한 연후에 온화구(溫
和灸, 뜸)를 20~30분간 한다. 하루에 1번.
⑵ 七星針 加電刺法 : 전기침 기계에 칠성침을 바르게 고정하고, 양능천혈(陽陵泉穴)
위에 접촉을 맞춘 다음 통전(通電)을 하는데 그 전류량을 환자
가 능히 견디어 낼 수 있을 정도로 조절 한다. 하루에 1번.
⑶ 七星針 加拔罐法 : 먼저 환처의 주변으로부터 중심을 향해서 작탁술(雀啄術)로 고
자(叩刺)를 한다. 경증(輕症)은 피부가 발갛게(潮紅) 되는 정도
로 하고 중증(重症)은 경미한 출혈이 되면 좋다. 그런 연후에 섬광법(閃光法)으로
발관(拔罐)을 사용하는데 한쪽 방향으로 이동(移動)을 수차 반복하여 피부가 발갛
게 될 때까지 한다. 하루에 1번.
3) 혈위주사(穴位主射)
⑴ 신수방혈(腎兪旁穴, 腎兪旁開 0.5~1寸處)
고상혈(股上穴) : 가전상극(髂前上棘)아래 약 4~5寸處.
고외하혈(股外下穴) : 가전상극(髂前上棘)에서 고골외상과(至股骨外上髁)에 이르
는 연선(聯線)을 삼등분(三等分) 중하(中下) 1/3 교점처(交點處).
⑵ 아시혈(阿是穴) : 감각이상이 있는 곳에 가장 강열한 상하 양단.
方法 : 取 0.5% 보로잡인(普魯卡因) 주사액(注射液) 1毫升, 유생소(維生素) B12
100mmg(微克)의 양자혼합액(兩者混合液)을 침자(針刺)하여 득기후(得氣
后)에 매혈(每穴)마다 완만하게 주사한다(緩慢推注). 1.5~2毫升, 2日 1次.
대퇴피신경염 (大腿皮神經炎)
1. 主治穴(주치혈)
1) 大腿外側(대퇴외측)
足少陽膽經 : 風市(풍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