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2021.05.19
자료실 2 를 열람을 위해서 알려 드립니다.
안내창/Info를 참고하십시오.

작성일 : 10-10-22 10:04
[침구임상(針灸臨床)] 독두 (禿頭) - 두운 (頭暈)
|
|
글쓴이 :
admin
 조회 : 14,947
|
독두 (禿頭)
1. 參照文(참조문)
1) 반독(斑禿), 탈모(脫毛) 參照
2. 中醫針灸學
독두(禿頭) 즉 대머리이다. 머리카락이 국부에 전부 빠지는 일종의 피부병이다. 본 병은 정
신적으로 과도하게 긴장된 후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돌연히 발생되며 엄중한 환자는 머리카
락이 전부 빠지며 심지어 눈썹, 수염, 액모(腋毛), 음모(陰毛)도 빠진다.
병인병기(病因病機)
1) 혈허(血虛) : 간신부족(肝腎不足)으로 영혈(榮血)이 허하여 피부에 영양을 주지 못하게
됨으로 털구멍이 크게 열리고, 풍사(風邪)가 침입하게 되면 풍이 심하고, 혈
이 건조하여 발생된다.
2) 혈어(血瘀) : 정신이 우울(精神憂鬱)하면 간기가 울결(肝氣鬱結)되고, 기체되어 혈어(氣
滯血瘀)로 발전함으로 머리카락에 영양을 주지 못하게 되어 발생한다.
변증론치(辨證論治)
머리카락이 갑자기 신속하게 군데군데 집단적으로 빠지는데 그 형태가 원형 혹은 불규칙한
형태이며 작은 것은 손톱만하고 큰 것은 동전만하며 한군데 혹은 여러 군데 되고 피부는 평
활하며 광택이 난다.
혈허자(血虛者)는 탈발(脫髮)과 동시에 두운(頭暈), 실면(失眠)이 생기며 설질은 담홍색(舌
質淡紅)이고, 설태는 엷으며(舌苔薄), 맥은 세약(脈細弱)하다.
혈어자(血瘀者)는 병의 시일(病程)이 길며, 얼굴색이 어둡고(面色晦暗), 혀 양옆으로 어혈점
이 생기며 맥은 삽(脈澁)하다.
치칙 : 양혈거풍(養血祛風), 활혈화어(活血化瘀).
독맥(督脈), 족태음경(足太陰經)을 위주로 치료한다.
처방 : 아시혈(阿是穴), 백회(百會), 풍지(風池), 삼음교(三陰交).
혈허(血虛) - 족삼리(足三里), 격수(膈兪)를 가하고
혈어(血瘀) - 혈해(血海), 합곡(合谷)을 가한다.
방의 : 본 처방은 매화침으로 아시혈을 고자(叩刺)하여 국부의 기혈(氣血)을 소도(疏導)하게
하여 모발(毛髮)의 신생(新生)을 촉진시킨다.
백회(百會), 풍지(風池), 격수(膈兪), 족삼리(足三里)는 소풍양혈(疏風養血).
삼음교(三陰交), 혈해(血海), 합곡(合谷)은 익기활혈(益氣活血)한다.
만약 두운(頭暈)이 생기면 상성(上星)을 가하여 청열(淸熱), 산풍(散風), 통규(通竅)
하고, 실면(失眠)하면 내관(內關), 신문(神門)을 가하여 영심안신(寧心安神)시킨다.
치법 : 호침으로 보사(補瀉)를 겸하여 사용한다. 탈발주위(脫髮周圍)에 1cm 간격으로 탈발
처(脫髮處)를 향하여 침자(針刺)하되 처음에는 적게 침자하고 점차 늘려간다. 매일 1
번씩 침자 한다.
국부에 매화침으로 고자(叩刺)하는데 약간 피가 나도록 하며, 만약 모발이 희소하게
나오면 경(輕)하게 고자(叩刺)해야 한다.
독맥질병 (督脈疾病)
1. 針灸大成解釋
1) 督脈疾病 : 후계혈(后溪穴) - 蘭江賦
독사교상 (毒蛇咬傷)
1. 參照文(참조문)
1) 교상 (咬傷)
2. 主治穴(주치혈)
上肢部奇穴 : 八邪(팔사), 上八邪(상팔사).
下肢部奇穴 : 八風(팔풍), 上八風(상팔풍).
3. 皮膚病中醫診療學 徐宜厚 王保方 張賽英
급구조시(急救措施)
1) 조기결찰(早期結扎) : 독사에게 물렸을 때 독을 빼는 방법
독사에 물린 상처로부터 심장쪽으로 5~10厘米 되는 곳에서
묵는 것을 진행(進行 縛札)한다 ., 뱀독이 감소가 확산됨에 따라 매 간격 15~30分
마다 한번씩 1~2분간 풀어 준다. 창구로 독을 다뺀뒤에 해제한다. 복약을 했을경
우 약효는 30분 가량 지난 후부터 나타나지만 교상을 받은지 12시간 이전에는 결찰
을 불지 않도록 한다.
2) 충세상구(冲洗傷口)
結扎后立卽 洗去毒液, 可選用 生理鹽水, 双氧水, 肥皂水, 0.1% 高錳酸鉀溶液 等
3) 확창배독(擴創排毒)
傷口冲洗, 消毒后 用 1%的 普魯卡因局麻, 沿傷口牙痕作縱行或 “十” 字形切開 長約
1~2厘米, 深至皮下(避開血管和神經), 繼以 双手自近心端向遠心端推擠, 排出毒汁,
幷注意取出斷牙.
4) 파괴사독(破壞蛇毒)
상용방법(常用方法) ⑴ 화시폭소법(火柴爆燒法) ⑵ 철정락법(鐵釘烙法)
⑶ 상구색약법(傷口塞葯法) ⑷ 상구주약법(傷口注葯法)
⑸ 이단백매(胰蛋白酶) 주사법(注射法) 등
5) 급구복약(急救服葯)
뱀에게 상처를 받은 후 즉시 복용하는 약으로는 傷后立卽服 蛇傷成約, 如 사상해독
편(蛇傷解毒片), 광주사상약산(廣州蛇傷葯散), 상해사약(上海蛇葯), 남통사약(南通
蛇葯), 침주사약(郴州蛇葯) 등 중에서 한 종류를 선택해서(任選一種) 사용한다.
만일 취할 수가 없으면(若无則可取) 신선한 약초로(新鮮草葯) 반변련(半邊蓮), 백랄
료초(白辣蓼草) 120~250克을 깨끗하게 씻어서(洗淨), 냉개수(冷開水) 50毫升을 가
해서, 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하고(搗汁內服), 또 약즙을 짜고 난 찌꺼기를 상처가 난
외부에 붙인다(且以葯渣外敷傷口).
6) 내치법(內治法)
⑴ 풍독증(風毒證) - 거풍해독탕(祛風解毒湯) 가감(加减)
⑵ 화독증(火毒證) - 거독산(祛毒散) 가감(加减)
⑶ 풍화독증(風火毒證) - 식풍해독탕(熄風解毒湯) 가감(加减)
⑷ 사독내결증(蛇毒內結證) - 웅황해독환(雄黃解毒丸)
⑸ 사독공심증(蛇毒攻心證) - 우황청심환(牛黃淸心丸)
⑹ 망양증(亡陽證) -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가감(加减).
돈해 (頓咳) ⇒ 백일해 (百日咳)
동맥경화 (動脈硬化 Arteriosclerosis)
1. 主治穴(주치혈) 및 配合穴(배합혈)
1) 足陽明胃經 : 足三里(족삼리,合,胃의 下合穴).
足太陽膀胱經 : 申脈(신맥,陽交脈의 起始部, 八脈交會穴, 通陽交脈).
2. 現代針灸學 成樂箕
혈관의 노화 현상으로 혈관의 탄력성이 감퇴하여 비후(肥厚)와 경화(硬化)를 초래하는 상
태를 말하는 것으로 일면 Atheroma 변성증 도는 Atheroma 경화증이라고 한다. 노인의 경
우에는 생리적으로 일어나지만 때로는 40~50세 또는 그 이전에 병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도 있다.
原因 : 유전적 체질관계가 많은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그 본태는 혈관벽의 Cholesterin
침착설이 유력한 것으로 심한 육체적 노동을 비롯하여 정신적 흥분의 지속 영양과
다육식, Aklco,l 과음, 끽연의 과량, Tonsilliti, Rheumatism, Diabetes mellitus, 신장
염, 내분비 이상 등이 원이이 된다.
部位 : 육체노동자의 경우에는 요골동맥과 상완동맥에, 정신노동자는 뇌동맥과 관상동맥
에, Nicotine 중독의 경우에는 하지동맥에 있어서 대동맥 과 관상동맥에, 고혈압에
의한 세동맥경화는 腎臟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경화가 일어난 동맥은 폭이 넓고, 두터워지고, 길어지기 때문에 마치 뱀이 기어가
는 형상이 된다. 상완동맥이나 측두동맥상에서는 그 모양이 외부에서 쉽게 볼 수가
있다. 또한 석회가 침착하기 때문에 지두에 의한 촉진에서도 쉽게 딱딱한 것을 촉
지 할 수가 있다. 병변(동맥경화)이 중증이 아닌 이상 혈압이나 심장에 커다란 변화
가 없으나 때로는 심실의 비대(肥大)가 일어날 때도 있다.
일단 동맥에 경화가 발생하면 전신 또는 장기(臟器)에 혈액순환이 악화 되기 때문
에 여러 가지의 증상을 일으키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증상을 부위별로 간략하게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뇌동맥경화 : Insomnia, Headache, 기억력감퇴, vertigo, Neurosthenia, Cerebral
hemorrhage 등을 일으키며, 때로는 동맥경화성의 정신병이나 가성
뇨독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복부대동맥경화 : 복부 협심증을 비롯하여 Diabetes mellitus, Hypoacidity, 장atony
등 증을 일으키기 쉽다.
관상동맥경화 : Angina pectoris, 심근경색증을 일으키기 쉽다.
신동맥경화 : 신위축(腎萎縮 contacted kidney)을 일으킨다.
하지동맥경화 : 간혼성파행증(혈관경화 보행곤란증)을 일으킨다.
治療 : 본병의 원인은 본태성 고혈압의 원인과 흡사한 점이 많은 것으로 일생을 걸쳐서 받
고 있는 무수한 화확적, 물리적인 장해가 축적한 결과로서 일어나는 일종의 노화현
상으로 치료법을 위시하여 양생법도 본태성 고혈압의 경우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
다.
동상동창 (凍傷 Frostbite, 凍瘡 Perniones)
1. 現代針灸學 成樂箕
凍傷, 凍瘡은 다같이 한냉(寒冷)으로 일어나는 같은 종류의 것이지만, 그 정도와 성질이
다소 다른 것으로, 凍傷은 한냉에 접촉하는 모든 사람에게 침범하는 것이며, 凍瘡은 특히
소아, 허약체질 자, 냉증이 많은 자, 말초혈행이 좋지않은 사람에게 일어나는 것으로 이것
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凍傷 : 한냉에 의하여 발생하며 그 정도에 따라 다음 세가지로 분류한다
1) 제1도 홍반성 : 처음에는 피부가 빈혈 되다가 이어서 충혈을 가져오며, 이것이
진행하면 혈행이 울체하여 자홍색이 되면서 부어서 가려움이 생
긴다. 이때 지각둔마를 수반하며 따뜻하게 하면 충혈이 되면서 작열 감(灼熱感)
을 띤 통증(痛症)이 일어나면서 부종(浮腫)이 나타난다.
2) 제2도 수포성 : 자홍색의 피부상에 수포(水疱 bulla)가 생긴 다음에 이것이 터져
서 문드러져 화농하는 경우도 있다.
3) 제3도 괴저성 : 괴저(壞疽 gangrene) 궤양(潰瘍 ulcer)등이 발생하며, 심한 경우
에는 사지의 말단부위에서는 환부 전체가 탈락하는 경우도 있다
凍瘡 : 겨울철 일상생활에서 섭씨 5~10도의 비교적 저온환경에서 발생하는 자홍색의 경
결성 홍반으로 주로 손가락 발가락 손등 발등 코끝 뺨 귀밑 등에 호발하며, 증상은
Frostbite의 제1도 또는 제2도에 해당한다.
治療 : 전체적 료법과 국소적 료법을 병행한다.
1) 전체적료법 : 본증은 혈관운동신경의 이상을 근본원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
자를 실시하여 전체적인 혈관운동신경을 조정하고 이와 병행하여
지단 부위에 있는 정혈(井穴)을 자극함으로써 지지(指趾 손가락과 발가락)말단
의 화학적 감수체에 자극을 전달하여 혈행조절을 도모한다.
2) 국소적료법 : 경결성 홍반부를 삼능침으로 천자하여 출혈시키게 되면, 작열감이
나 통양감이 급속하게 쇠퇴되어 증상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때
로는 이같은 자락(刺絡)만으로 완치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제2도 수로성 이상의 것은, 水疱 또는 괴저(壞疽)의 주변을 자락(刺絡)하여 소량의
혈액(血液)은 사혈(瀉血)하고 이와 병행하여 소속 정혈(井穴)을 자락(刺絡)하여 혈
액을 짜내면 저효가 있다.
동안신경마비 (動眼神經痲痺) ⇒ 안검하수 (眼瞼下垂)
동통 (疼痛)
1. 主治穴(주치혈)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 原),
2. 針灸大成
1) 疼痛 : 금침용(金針用) 신맥혈(申脈穴), 통심처(痛甚處)에 사법(瀉法) - 蘭江賦
3. 이침(耳針)
1) 각종원인으로 인한 동통(疼痛) : 신문(神門).
두경부암 (頭頸部癌)
1. 臨床應用(임상응용)
1) 手陽明大腸經 : 合谷(합곡,原).
두드러기 ⇒ 담마진 (蕁麻疹)
두면병 (頭面病)
1. 參照文(참조문)
1) 삼차신경통 (三次神經痛)
2. 主治穴(주치혈)
1) 頭面痛(두면통)
足陽明胃經 : 四白(사백).
2) 側頭筋痙攣(측두근경련)
足少陽膽經 : 曲鬢(곡빈).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遠道選穴 : 至陰(지음).
4. 針灸大成
1) 두부병(頭部病) : 열결혈(列缺穴) - 蘭江賦
2) 두면(頭面)에 생긴 모든 병(諸病) : 합곡혈(合谷穴) - 玉龍歌
3) 두면병(頭面病)과 이목구비병(耳目口鼻病)
처방 : 곡지혈(曲池穴), 합곡혈(合谷穴) - 雜病穴法歌
4) 두면부(頭面部) 질병(疾病) : 지음혈(至陰穴) - 肘后歌
두운 (頭暈)
1. 參照文(참조문)
1) 현운 (眩暈)
2. 主治穴(주치혈)
1) 足陽明胃經 : 豊隆(풍륭).
手少陰心經 : 靈道(령도).
手太陽小腸經 : 陽谷(양곡).
足少陽膽經 : 風池(풍지,手足少陽,陽兪脈의 交會), 足臨泣(족림읍,輸,八脈交會穴,通帶脈)
督脈 : 長强(장강,絡). 囟會(신회).
頭頸部奇穴 : 太陽(태양).
下肢部奇穴 : 腦淸(뇌청).
3. 臨床應用(임상응용)
1) 頭暈頭痛(두운두통)
手少陽三焦經 : 天牖(천유), 崑崙(곤륜), 風門(풍문), 關元(관원).
督脈 ① 囟會(신회), 百會(백회).
② 囟會(신회), 支泃(지구), 血海(혈해). - 血虛頭暈(혈허두운).
2) 頭眩(두현)
足太陽膀胱經 : 飛揚(비양), 陽谷(양곡).- 針灸資生經
4. 이침(耳針)
耳穴 : 額(액).
5. 針灸大成
1) 西江月 ① 머리와 눈이 어지러울 때
處方 : 先刺(선자) 后溪穴(후계혈), 后(후) 太陽穴(태양혈) 부근이 아플 때는
合谷(합곡), 太陽穴(태양혈)의 紫脈(자맥), 頭維穴(두유혈)에 針刺한다.
② 머리와 눈이 어지러울 때
處方 : 先刺(선자) 后溪穴(후계혈), 后刺(후자) 風池(풍지), 命門(명문), 合谷穴
(합곡혈)에 針刺한다.- 西江月
③ 머리가 흔들리면서 어지러웁고 가래(痰), 와 침(涎)을 吐한다.
處方 : 先刺(선자) 外關穴(외관혈), 后刺(후자) 百會(백회), 中脘(중완), 太淵
(태연), 風門穴(풍문혈)에 針刺(침자)한다.
④ 머리가 흔들리면서 어지럽고 가래(痰), 와 침(涎)을 吐한다.
處方 : 先刺 - 外關穴(외관혈),
后刺 - 百會(백회), 中脘(중완), 太淵(태연), 風門穴(풍문혈)에 針刺(침
자)한다.
|
|
|